KR20150011648A -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 Google Patents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648A
KR20150011648A KR1020130086865A KR20130086865A KR20150011648A KR 20150011648 A KR20150011648 A KR 20150011648A KR 1020130086865 A KR1020130086865 A KR 1020130086865A KR 20130086865 A KR20130086865 A KR 20130086865A KR 20150011648 A KR20150011648 A KR 2015001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eater
emergency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6979B1 (en
Inventor
성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라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라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라닉스
Priority to KR102013008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79B1/en
Publication of KR2015001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alarm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ing system of reporting an emergency in real time with a simple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and a manager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in a certai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in a certain area, witnesses as well as a victim can report a situation to a manager such as a teacher with a simple metho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r who receives the report can monitor an emergency situation via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responding to the situation promptly and preventing an emergency in advance.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 RTI ID = 0.0 >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내 폭력 등 소정 지역 범위 내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 및 관리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 간편한 방법으로 실시간 긴급 상황을 신고하는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tification system for reporting a real-time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user and an administrator when an emergency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violence within a school.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12년 제1차 학교 폭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 폭력은 교내, 등/하교길, 학원, PC 방, 온라인 등 여러 장소에서 모욕/공갈/협박, 집단 따돌림, 강제 심부름, 금전/물품 강취, 폭행/감금, 성폭력, 정보통신매체를 통한 폭력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학교 폭력은 전체 학교 폭력의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chool viole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in 2012, the school violence was found to be insulting / intimidating / intimidating in various places such as campus, school / , School bullying, forced errands, money / item violence, assault / confinement, sexual violence, and violence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In particular, school violence in schools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all school violence .

이러한 학교 폭력은 피해 학생의 미약한 심리 상태, 동료들의 시선 의식, 신고 자체의 불편/부담 등으로 인하여 폭행 사실을 축소/은폐하는 등 음성화되는 경향이 강함에 따라 종래 위 학교 폭력 근절을 위해 신고 센터의 운영, 교내 CCTV를 통한 실시간 감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신고 등의 방법이 제시되었고 실제 운용 중에 있다.This school violence has been reported to the school for violence against school violence because of the tendency to vio- lence such as the weakness of the victim's students, consciousness of their peers, inconvenience / , Real-time surveillance through CCTV on campus, and reporting using smart phone have been suggested and are in actual operation.

상기 신고 센터의 운영은 전화 신고, 인터넷을 통한 신고, 학교 폭력 상담실 등을 통해 기존의 학교 폭력 신고 방법에 비해 신고 자체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강점이 있으나 이는 사건 발생의 사후 신고에 불과하여 학교 폭력의 예방 또는 학교 폭력의 즉각적 대응으로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The operation of the report center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report the report than the existing reporting method of school violence through the telephone report, the report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school violence counseling room. However, this is merely a post- There is an inadequate problem with immediate response to prevention or school violence.

상기 CCTV를 통한 실시간 감시는 사건 발생 상황을 즉각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사건의 기록을 보전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어 교내 CCTV의 설치 범위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계속적인 성능 개선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나, 위 CCTV 상황을 확인하는 관리 모니터가 교내 당직실에만 설치되어 있는 등 그 관리 인력이 부족하여 사건의 즉각적인 대응에는 미흡할 뿐만 아니라 CCTV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폭력 상황에 대해서는 감시할 수 없다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The real-time surveillance through the CCTV can instantly monitor the occurrence of incidents and maintains a record of incidents.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range of intra-campus CCTV is on the rise and the performance is continuously improved.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monitor the situation of violence in the blind spot of CCTV as well as the lack of immediate management of the incident due to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such as the fact that the management monitor for checking the CCTV situation is installed only in the office work room.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신고 방법은 피해학생이 SMS, 카카오톡 등을 통해 폭력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부모/교사 등에게 통보하거나 온라인 상담방 운영을 통해 학교 폭력을 방지하려는 것이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학교 폭력의 사후 처방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물리적인 학교 폭력에 대한 즉각적 대응책으로는 미흡하다.The reporting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to automatically notify the parent / teacher when a victim receives a violent message through SMS, KakaoTalk, etc., or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rough the operation of an online counselor May be effective for post-school violence, but it is not an immediate response to physical viol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학교 내 폭력 등 소정 지역 범위 내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와 관리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 및 중계 장치를 통해 즉각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간편한 방식으로 교사 등 관리자에게 긴급 상황을 신고하는 실시간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immediately reporting,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 relay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an administrator, And to provide a real-time notification system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is reported to an administrator such as a teacher in an easy mann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지역 범위 내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은, 소정 지역 범위 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긴급 상황 발생 신호에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노드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소정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area, th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including 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generated signal and a node repeater including a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a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for management, The mobile terminal can display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display.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소정 지역 범위 내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노드 중계기 중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설치된 노드 중계기로부터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및 상기 노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anager mobile terminal can receive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relay from a plurality of node repeater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range from a node relay installed closest to the user mobile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노드 중계기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obile terminal and the node repeater can communicate using a Zig-Bee method.

상기 노드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node repeater may store manager mobile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anager mobile terminal may store user ident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eate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CCTV 관제 센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CCTV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an receive real-time video information of the adjacent CCTV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CTV control center and display the real-time video information on the display.

상기 노드 중계기는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의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반복하여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nd the node repeater can repeatedly transmit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whe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of the manager mobile terminal is not completed.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완료 신호를 상기 노드 중계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emergency mobile terminal is consider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is completed, generates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ode relay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내 폭력 등 소정 지역 범위 내 긴급 상황 발생 시 피해자는 물론 주변 목격자에 의해 간편한 방식으로 담당 교사 등 관리자에게 긴급 상황을 즉각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할 수 있고, 위 신고를 수신한 관리자는 소정 이동단말기를 통해 긴급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긴급 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violence within the school,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ystem for promptly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a manager such as a teacher in charge in a simple manner The manager receiving the report can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lso to prevent an emergency in advanc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정보 설정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노드 중계기 및 CCTV 정보 설정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긴급 상황발생 신고 수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CCTV 영상 화면 확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od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ssociating user information with an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de relay and CCTV information setting screen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eption of an emergency occurrence report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CCTV image screen confirmation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학교 내 폭력 등 소정 지역 범위 내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와 관리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 및 중계 장치를 통해 즉각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간편한 방식으로 교사 등 관리자에게 긴급 상황을 신고하는 실시간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in which, when an emergency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violence in a school, a user can easily notify a user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a relay device, And a real time notification system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a manager such as a teac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의 개략적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 위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와 위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간 통신을 중계하는 노드 중계기(120)를 포함한다.1,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for a user carried by a user, a mobile terminal 130 for an administrator carried by an administrator, And a node relay 120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mobile terminal 130 for the manager.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은 학교 폭력 등 긴급 상황 시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발생되는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노드 중계기(120)를 통해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간편한 방식으로 긴급 상황 신고 체계를 수립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은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학교 내 폭력 발상 예상 지점에 설치된 다수의 CCTV(140)를 이용해 위 CCTV로부터 촬영된 긴급 상황에 관한 영상을 CCTV 관제 센터(10)로부터 수신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적절한 구제 대응을 실현할 수 있다.The emergency alert system 100 transmits an emergency alert 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to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node relay 120 in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The emergency alert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CCTV 140 by using the plurality of CCTVs 140 installed at the expected location of violence in the school by the manager's mobile terminal 130, It is possible to receive a video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CCTV control center 10 and confirm it, so that quicker / more appropriate remedial response can be realized.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 상기 노드 중계기(120),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의 구체적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the node relay 120, and the mobile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는 키 입력부(111), 표시부(112), 제어부(113), 송수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2, a mobile terminal 110 for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111, a display unit 112, a control unit 113,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4.

상기 키 입력부(111)는 학교 폭력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 사용자에 의해 위 긴급 상황을 관리자에게 신고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자의 단순 동작으로 간편/신속하게 긴급 상황 발생 사실을 관리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소정의 버튼 또는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11 is an input means for notifying the manag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by the user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110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or the lik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button or a touch pad for transmitting to the administrator.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키 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확인시키기 위한 수단 및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부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피커 또는 진동 장치(vibrator) 등으로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2 may include means for confirming that the input is normally performed when a user's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nd means for receiving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from the manager's mobile terminal 130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speaker, a vibrator, or the like may be suitably implemented as a means for confirming completion of the operation.

상기 제어부(113)는 상기 키 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113)는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부터 노드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 완료 신호를 상기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3 generates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when the input of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Through the display unit 112,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node relay 120. [

상기 송수신부(114)는 상기 제어부(113)를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접한 노드 중계기(120)로 전송한다. The transceiver 114 transmits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113 to the adjacent node relay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는 교내 등 특정 지역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이를 소지하여 사용된다는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전력 소모가 적고 소형으로의 제작이 유리하며 소량 정보의 근거리 통신 방식에 적합하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상기 노드 중계기(120)로 전송하는 무선 호출기(numeric pager)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mall power consumption and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n consideration of a special situation that a plurality of users are used in a specific area such as a campus, For example,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o the node relay 120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numeric pager).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한 효과적인 전력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 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obile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unit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or effective power management by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od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중계기(120)는 송수신부(121), 표시부(122), 제어부(123), 중계기 식별 정보 설정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3, a node repeat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ceiver 121, a display unit 122, a controller 123, and a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4. FIG.

상기 송수신부(121)는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위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위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미리 지정된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전송한다.The transceiver unit 121 receives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pper user mobile terminal 110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upper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이때, 상기 송수신부(121)는 관리자에게 긴급 상황 발생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노드 중계기(120)에 대응되는 인접 CCTV를 이용한 긴급 상황 관련 영상의 제공을 위해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에 노드 중계기(120)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ceiver 121 provides the manager with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place, and transmit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o the node repeater 120 in order to provide the emergency- To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130) includ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20).

상기 송수신부(121)와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Wi-Fi(Wireless Lan) 등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121 and the mobile terminal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such as Wi-Fi (Wireless LAN).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 설정부(124)는 소정 지역 범위 내 설치되는 복수개의 노드 중계기(120)간 상호 식별을 위한 중계기 식별 정보의 입력 및 위 중계기 식별 정보의 변경 수단으로 소정의 버튼 또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124 may include a predetermined button or a touch pad as a means for inputt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utual identification among a plurality of the node repeaters 12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a means for chang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

상기 표시부(122)는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의 설정 상태 또는 상기 노드 중계기(1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피커 등으로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2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speaker, or the like as a means for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of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node repeater 120 .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송수신부(121)를 통해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 및 중계기 식별 정보를 미리 지정된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3)는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의 식별 정보와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may transmit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to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transceiver 121. For this, the controller 123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30 for the manager,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노드 중계기(120)로부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 및 중계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원 정보 및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리자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속/적절한 구제 대응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교내 등 소정 지역 범위 내 긴급 상황 발상 예상 지점에 설치된 다수의 CCTV(140)를 이용해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CCTV의 촬영 영상 정보를 CCTV 관제 센터(10)로부터 전송받아 소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가능 하도록 제작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긴급 상황의 신속/적절한 구제 대응을 실현할 수 있다.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receive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for the user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node repeater 120 and transmits the emergency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1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prompt / appropriate remedial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manager. Further,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130 may use the CCTV 140 installed at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predetermined area such as the campus,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video information of the CCTV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CTV control center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display so that the manager can promptly / quickly respond to the urgent situation.

이를 위해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소정 메모리를 자체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인접 CCTV 정보를 사전 저장/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등록 과정은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를 스마트폰으로 구현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간편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includes a predetermined memory and stores therein user ident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y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can pre-store / register the CCTV information. In the storing / registering process,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nd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can do.

이하에서는,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를 스마트폰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한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인접 CCTV 정보 등의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he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13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it corresponds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e user through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put method of adjacent CCTV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정보 설정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ssociating user information with an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알림 시스템(100)이 학교 폭력 등 긴급 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사용되는 경우, 담당 선생님 등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개별 학생이 소지한 사용자용 이동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위 학생의 소속/이름 등에 관한 정보를 간편한 방식으로 저장/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관리자 메뉴에서 등록할 학생의 학년 및 학반 소속 정보(예컨대, 1학년 2반)를 선택하면 학생 등록 메뉴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해당 소속 학생의 단말기 식별 정보(예컨대, 호출기 정보 031) 및 신원 정보(예컨대, 이름 홍길동) 등을 입력 및 등록할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a smartphone carried by a manager such as a teacher in charg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and information on the affiliation / name of the stud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 registered in an easy manner. 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pager information 03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name Hong Gil-dong) of the student belonging to the student, ) Can be input and register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노드 중계기 및 CCTV 정보 설정 관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de relay and CCTV information setting screen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알림 시스템(100)이 학교 폭력 등 긴급 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사용되는 경우, 담당 선생님 등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노드 중계기(120)의 중계기 식별 정보, 설치 장소 및 위 노드 중계기(120)에 인접한 CCTV 정보를 저장/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 등록 메뉴에서 등록할 노드 중계기(120)의 중계기 식별 정보(예컨대, NODE1, NODE2, NODE3), 노드 중계기(120)의 설치 장소 정보(예컨대, NODE1-정문, NODE2-후문, NODE3-별관) 및 위 노드 중계기(120)에 인접한 CCTV 식별 정보(NODE2-CCTV1, NODE3-CCTV2) 등의 정보를 입력 및 등록할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the relay server 120 of the node relay device 120, The administrator can store and register the CCTV information adjacent to the upper node relay device 12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nu of the smart phone display screen. The NODE1-front door, the NODE2-back door, the NODE3-annex) and the CCTV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NODE1, NODE2, NODE3) (NODE2-CCTV1, NODE3-CCTV2) can be inputted and register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긴급 상황발생 신고 수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eption of an emergency occurrence report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알림 시스템(100)이 학교 폭력 등 긴급 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사용되는 경우, 담당 선생님 등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긴급 상황 발생 신고 일시, 신고 학생에 대한 정보로 위 학생의 학년, 학반, 성명 등 소속/신원 정보 및 신고 지역에 대한 정보로 위 긴급 상황 발생 신고를 중계한 노드 중계기(120)의 중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호출 일시(예컨대, 13/04/09/15:30, 13/04/10/12:20), 신고 학생 정보(예컨대, 1학년 2반 홍길동, 2학년 5반 임꺽정), 중계기 식별 정보(Node3, Node7)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신고 메시지(예컨대,“위 학생이 위 지역에서 긴급 호출하였습니다.”)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uch as school violence, an administrator's mobile terminal 130 carried by an administrator such as a teacher in charge, The relay information of the relay node 120 relaying the emergency occurrence report can be displayed as information on the affiliation /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declared area of the student, such as grade, class, and name of the student, (For example, 13/04/09/15: 30, 13/04/10/12: 20), report student information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year classes (For example, "the student has made an urgent call in the above area"), and can display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message have.

이때, 관리자의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 선택을 통해 이에 해당되는 노드 중계기(120)의 인접 CCTV(140) 영상을 위 CCTV 관제 센터(10)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jacent CCTV 140 image of the corresponding node repeater 120 can be received from the CCTV control center 10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administrator, and can be reproduced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phone display.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를 통한 CCTV 영상 화면 확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CCTV image screen confirmation through a manager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학생 등 사용자를 통해 긴급 상황 발생 신고가 수신되어 위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신고 지역에 대한 정보로 노드 중계기(120)의 중계기 식별 정보가 선택된 경우, 위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CCTV 관제 센터(10)로부터 위 노드 중계기에 인접한 CCTV의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재생할 수 있으며, 이때 호출 지역(예컨대, Node3-별관-CCTV2), 호출 일시(예컨대, 13/04/09/15:30), 신고자(예컨대, 1학년 2반 홍길동) 등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If an emergency occurrence report is received through a user such as a student in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repeater 120 is selected as information on the declared area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for supervisor 130 receives the video of the CCTV adjacent to the upper node repeater from the CCTV control center 10 and can reproduce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phone display. At this time, the calling area (for example, Node3- ), The date and time of the call (for example, 13/04/09/15: 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notifier (for example, class 1, class 2).

한편, 관리자에 의해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예컨대,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고 관련 관리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로 상기 노드 중계기(1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상태로 간주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노드 중계기(12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 및 중계기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by the administrator as a completed state, for example, if there is an input of the manager related to the emergency occurrence reporting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transmit the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through the node relay 120, If the reception of the signal can not be regarded as completed, the node relay 120 repeatedly transmit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10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13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소정 지역 범위 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긴급 상황 발생 신호에 중계기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노드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소정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1. A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area,
A mobile terminal for a us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clud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d a node repeater including a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for management,
Wherei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소정 지역 범위 내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노드 중계기 중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가장 인접하여 설치된 노드 중계기로부터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및 상기 노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omprises:
And receive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repeater from a node repeater installed closest to the user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he node repeaters install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ran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노드 중계기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mobile terminal and the node relay communicate using a Zig-Bee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de repeater comprising:
And stores the manager mobile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신원 정보,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mobile terminal stor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eate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CCTV 관제 센터로부터 상기 중계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CCTV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omprises:
And receives real-time video information of the adjacent CCTV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CTV control center, and displays the real-time video information on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중계기는,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의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반복하여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de repeater comprising:
And transmits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repeatedly when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of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an be regarded as not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긴급 상황 발생 신호의 수신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완료 신호를 상기 노드 중계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comprises:
And generates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ode relay if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can be considered to be complete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1020130086865A 2013-07-23 2013-07-23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KR101536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65A KR101536979B1 (en) 2013-07-23 2013-07-23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65A KR101536979B1 (en) 2013-07-23 2013-07-23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48A true KR20150011648A (en) 2015-02-02
KR101536979B1 KR101536979B1 (en) 2015-08-18

Family

ID=524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865A KR101536979B1 (en) 2013-07-23 2013-07-23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60A (en) *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814B1 (en) 2012-12-26 2013-05-22 김성빈 System for emergency resc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60A (en) *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79B1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223B2 (en) Anti terrorist and homeland security public safety warning system
WO2011119273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US104257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358667B1 (en) Interactive Information Supply 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and Multi-Contents
US20190088097A1 (en) Mental health, safety, and wellness support system
US20140368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 the fly updates of threat and hazard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KR20150018975A (en) Photographing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GPS for emergency scene using IP CCTV and Photographing and monitoring method for emergency scene therefor
KR20100061104A (en) Realtime interactive safety control system using cctv camera, and method thereof
KR101031732B1 (en) System for supervising critical situation
WO2013136976A1 (en) Terminal device,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101536979B1 (en)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KR20140021348A (en)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management using wireless fidelity
KR101308481B1 (en) Violence prevention ubiquitous sensor network radio paging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n school
US20090276712A1 (en) Safety awareness system
TW201610920A (en) Cloud guard patrol system
KR102368523B1 (en)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porting service using physical buttion
US20110298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lert Notification System
KR101383583B1 (en) Remote supervisory method for scene of accident, management method for remote supervisory system and remote supervisory realization method for application operated on mobile terminal
JP5486108B2 (en) Mobile device
KR101213839B1 (en) Emergency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JP2014203372A (en) Monitoring control system
KR101451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critical situation of mobile user with realtime motion picture data
KR100644280B1 (en) System of displaying in-use status using sensor network
JP7003206B2 (en) Report processing system
JP4282715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report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