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604A -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604A
KR20150011604A KR1020130086764A KR20130086764A KR20150011604A KR 20150011604 A KR20150011604 A KR 20150011604A KR 1020130086764 A KR1020130086764 A KR 1020130086764A KR 20130086764 A KR20130086764 A KR 20130086764A KR 20150011604 A KR20150011604 A KR 2015001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magnetic substrate
connecting member
coil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650B1 (ko
Inventor
최강룡
류지만
여정구
안성용
정창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성체 기판; 상기 자성체 기판 상에 구비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외측단에 접촉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코일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코일부의 내측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접촉되는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코일부의 두께의 0.1 내지 0.8배가 되도록 하여, 인덕턴스가 향상되고 직류저항이 감소되면서도 슬림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휴대성이 향상되고 사용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무선충전방식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무선충전기술은 일측에서 유도된 자기장이 타측의 코일에 유도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기술로써, 특허문헌1 등 다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페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따르면, 시간당 자속의 변화량에 따라 무선총전 효율이 결정된다. 이러한 무선충전 효율은 코일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 Q)와 결합계수(Coupling factor ; k)가 클 수록 증가한다.
이때, 결합계수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 중 하나는 코일의 직접적인 인덕턴스 및 상호 인덕턴스 값이다. 따라서, 인덕턴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선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직류저항과 교류저항의 총 합인 총 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여 퀄리티 팩터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충전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퀄리티 팩터와 결합계수를 함께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슬림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무선충전장치 자체의 슬림화 또한 요구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21273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직류저항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인덕턴스가 향상되고 슬림화에 유리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자성체 기판; 상기 자성체 기판 상에 구비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외측단에 접촉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코일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코일부의 내측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접촉되는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코일부의 두께의 0.1 내지 0.8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기판 표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자성체 기판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코일부의 상기 내측단부는 비아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자성체 기판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코일부 사이에 구비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 기판은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 기판은, 철, 니켈, 알루미늄, 실리콘, 코발트 및 아연 중 선택되는 금속분말;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 C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 EPDM), 천연고무(Natural Rubber ; NR), 아크릴로닐릴-부타디엔(Nitrile Butadiene Rube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계열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중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인덕턴스가 향상되고 직류저항이 감소되면서도 슬림화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는, 코일부(120), 자성체 기판(110), 제1 접속단자(131), 제2 접속단자(132) 및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2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선 또는 도전패턴이 적어도 1턴 이상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120)는 자성체 기판(11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자성체 기판(110)의 표면에 코일부(120)의 저면이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성체 기판(110) 상에 도금, 에칭, 인쇄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코일부(120)가 직접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성체 기판(110)과 코일부(120)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 될 수 있으므로, 인덕턴스가 더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자성체 기판(110)은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자성체 기판(110)은 NiZnCu, MnZn, M- type ferrie, Y- type ferrie, W- type ferrie, Z- type ferrie 등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자성체 기판(110)은 금속분말과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금속분말은 철, 니켈, 알루미늄, 실리콘, 코발트 및 아연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수지는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 C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 EPDM), 천연고무(Natural Rubber ; NR), 아크릴로닐릴-부타디엔(Nitrile Butadiene Rube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계열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100)에 구현되는 코일부(12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코일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코일부(120)의 외측에는 제1 접속단자(131)와 제2 접속단자(132)가 구비될 수 있다.
코일부(120)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면서 권선된 경우 코일부(120)의 외측단과 제1 접속단자(131)는 쉽게 접촉될 수 있으나, 코일부(120)의 내측단부(121b)와 제2 접속단자(13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수단이 필요하다.
이때, 종래에는 코일부를 이루는 코일패턴과 동일한 두께의 코일패턴으로 코일의 내측단과 외부 접속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코일부의 전체 두께가 2배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에서는 코일부(120)의 내측단부(121b)와 제2 접속단자(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40)의 두께가 코일부(120) 두께의 0.1 내지 0.8배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연결부재(140)의 두께가 코일부(120) 두께의 0.8배를 초과하게 되면, 연결부재(140) 상에 위치하는 코일부(120)와 나머지 부분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이 단차로 인하여 코일부(120) 외부에 유도되는 자기장이 영향을 받게 되어 무선충전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 모바일 전자기기의 슬림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데, 무선충전장치(100)가 이러한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될 경우 무선충전장치(100) 자체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이 모바일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유리하다.
반면에, 연결부재(140)의 두께가 코일부(120) 두께의 0.1배 미만이 되면, 제1 접속단자(131), 제2 접속단자(132), 연결부재(140) 및 코일부(120)로 이루어지는 도전연결의 직류저항(Rdc)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무선충전효율이 급감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0)는 자성체 기판(110) 내부에 구비되고, 코일부(120)의 내측단부(121b)와 비아(14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단자(132)와 연결부재(140) 사이도 비아(14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충전장치(100) 전체의 두께를 전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코일부(120)의 내측단부(121b)와 제2 접속단자(13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200)는 코일부(220), 자성체 기판(210), 제1 접속단자(231), 제2 접속단자(232), 연결부재(240) 및 절연막(2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연결부재(240)가 자성체 기판(2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성체 기판(210)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240)와 코일부(220) 사이에는 절연막(250)이 구비됨으로써 코일부(220)의 내측단과 연결부재(240)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일부(220)를 이루는 코일패턴(221a)들 각각이 연결부재(240)와 각각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절연막(250)은 연결부재(240)와 코일부(220) 사이의 영역에만 구비되어 코일부(220) 전체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도 연결부재(240)와 코일부(220)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240)와 코일부(220)의 내측단부(221b) 사이에는 절연막(250)을 관통하는 비아(241)가 구비되어 연결부재(240)와 코일부(220)의 내측단부(221b)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200)는 자성체 기판(210)의 두께, 코일부(220)의 두께가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연결부재(240)의 두께 및 절연막(250)의 두께 만큼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자성체 기판(210) 내부에 연결부재(240)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효율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200 : 무선충전장치
110, 210 : 자성체 기판
120, 220 : 코일부
121a, 221a : 코일패턴
121b, 221b : 내측단부
131, 231 : 제1 접속단자
132, 232 : 제2 접속단자
140, 240 : 연결부재
141, 142, 241 : 비아
250 : 절연막

Claims (6)

  1. 자성체 기판;
    상기 자성체 기판 상에 구비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외측단에 접촉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코일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코일부의 내측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접촉되는 제2 접속단자;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코일부의 두께의 0.1 내지 0.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기판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자성체 기판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코일부의 상기 내측단부는 비아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자성체 기판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코일부 사이에 구비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기판은 페라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기판은,
    철, 니켈, 알루미늄, 실리콘, 코발트 및 아연 중 선택되는 금속분말;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 C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 EPDM), 천연고무(Natural Rubber ; NR), 아크릴로닐릴-부타디엔(Nitrile Butadiene Rube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계열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중 선택되는 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KR1020130086764A 2013-07-23 2013-07-23 무선충전장치 KR10201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64A KR102017650B1 (ko) 2013-07-23 2013-07-23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64A KR102017650B1 (ko) 2013-07-23 2013-07-23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04A true KR20150011604A (ko) 2015-02-02
KR102017650B1 KR102017650B1 (ko) 2019-10-21

Family

ID=5248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764A KR102017650B1 (ko) 2013-07-23 2013-07-23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279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WO2019088505A1 (ko) * 2017-10-30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934A (ja) * 2005-03-31 2006-10-19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20070094576A (ko) * 2006-03-17 2007-09-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인덕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인덕터 소자를 구비한반도체 모듈
JP2011222598A (ja) * 2010-04-05 2011-11-0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磁性体基板の製造方法、磁性体基板、及び、電子回路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934A (ja) * 2005-03-31 2006-10-19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20070094576A (ko) * 2006-03-17 2007-09-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인덕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과, 인덕터 소자를 구비한반도체 모듈
JP2011222598A (ja) * 2010-04-05 2011-11-0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磁性体基板の製造方法、磁性体基板、及び、電子回路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279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WO2019088505A1 (ko) * 2017-10-30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50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693B2 (ja) 無接点充電システム用受信部の2次コイル
KR101326716B1 (ko) 비접촉 충전 모듈 및 비접촉 충전 기기
KR101246878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
CN101233664B (zh) 充电效率变化减小的无线充电器
KR101452093B1 (ko) 박막 코일, 이를 포함하는 차폐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US10229782B2 (en) Wireless power coil with multi-layer shield
EP2992776B1 (en) Cas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02173B2 (en) Shield part,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the shield part
US20140340030A1 (en) Magnetic sheet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35135B1 (ko) 무선 충전 수신 모듈
CN106169785B (zh) 无线充电系统
JP2014036116A (ja) 非接触給電用受信装置
KR102017650B1 (ko) 무선충전장치
US20180017599A1 (en) Current detection element,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476316B2 (en) Wireless charging boar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JP7022979B2 (ja) 非接触給電用伝送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非接触給電装置
CN109148111A (zh) 一种线圈装置及电子设备
KR101703271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클립 타입 무선전력 송신장치
CN212849958U (zh) 一种无线充电线圈和无线充电装置
KR102378999B1 (ko)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무선마우스 급전패드 및 무선전력전송 수신모듈
CN109215967B (zh) 电磁扩增器
JP4835797B1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非接触充電機器
JP5903568B2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非接触充電機器
JP5031911B2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非接触充電機器
KR20130004994U (ko) 무선 충전기용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