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866A -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866A
KR20150010866A KR20130085278A KR20130085278A KR20150010866A KR 20150010866 A KR20150010866 A KR 20150010866A KR 20130085278 A KR20130085278 A KR 20130085278A KR 20130085278 A KR20130085278 A KR 20130085278A KR 20150010866 A KR20150010866 A KR 2015001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amping cup
oil level
sensor housing
connector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671B1 (ko
Inventor
오선미
고나윤
손현수
유대현
조수만
김상수
최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6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초음파 센서(50)를 수용한 센서하우징(10)과 댐핑 컵(40,Damping Cup)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져 댐핑 컵(40)의 내부 공간으로 오일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로(20)가 포함됨으로써 오일 레벨 측정에 유리한 초음파 센서(50)의 장점을 모두 구현하고, 특히 유로(20)를 이용한 신속한 오일 유입과 배출 경로를 형성하면서도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서도 오일팬 내부의 유면 역동성 영향 없이 오일 레벨이 항상 정확하게 검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Oil Level Detection Device without Oil Fluxation Effectiveness}
본 발명은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서도 오일팬 내부의 유면 역동성에 의한 영향이 없이 항상 정확한 오일 레벨을 검출할 수 있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주요 섭동부는 엔진 오일 부족 상태가 아주 짧은 수초의 시간이더라도 손상을 피하기 어렵고, 이후 부족한 엔진 오일이 보충되더라도 주요 섭동부의 손상은 회복될 수 없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엔진 오일 부족에 따른 사고를 대비하도록 오일레벨 게이지에 의한 육안점검을 수동적으로 실시하지만, 이러한 육안 점검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 아니라 특히 차량 운행중 측정이 불가 할 수밖에 없다.
반면, 오일팬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이용하고, 검출된 압력 센서의 오일 레벨 신호가 전기회로로 연결된 운전석 계기판으로 전송되도록 하면, 운전자는 차량 운행중에도 편리하게 엔진 오일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식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 계기판에서 오일 경고를 확인하고 엔진을 정지하더라도 엔진 손상이 이미 크게 진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통상 운전조건에서 오일 압력은 약 5기압 인데 비해 압력센서가 반응하는 오일 압력은 약 0.5 기압 이하로 매우 낮은 조건임에 기인된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에 비해 검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높은 오일레벨센서의 적용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국내특허공개 10-2008-0007326(2008.01.18)
상기 특허문헌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오일 레벨이 검출됨으로써 압력 센서가 갖는 한계를 해소한 기술의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초음파 센서는 유면을 향해 초음파를 송신하고 되돌아오는 수신파를 이용함으로써 오일 유면의 역동성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 부딪힘으로써 오일 유면의 역동성이 매우 클 수밖에 없는 오일팬에 초음파 센서가 설치되면, 초음파 센서는 역동성이 매우 큰 오일 유면으로 초음파를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그 결과로 획득된 오일 레벨 값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도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통상, MRS(Magnetic Reed Switch)방식을 이용한 오일레벨스위치나 THW(Thermoresistive Heated Wire)방식을 이용한 레벨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초음파 센서의 취약점이 해소될 수 있으나, 초음파 방식에 비해 비용 장점이외에 제한적인 기능으로 인한 한계와 함께 작동 특성 변경을 위한 장착 위치 변경이 요구되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오일 레벨 측정에 유리한 초음파 방식의 장점을 모두 이용하고, 특히 유로구조를 통한 오일의 신속한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면서도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서도 오일팬 내부의 유면 역동성 영향이 제거됨으로써 오일 레벨이 항상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는 초음파 센서가 내부에 수용된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으로 오일이 채워지도록 중공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댐핑 캡(Damping Cap)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가려진 댐핑 컵(Damping Cup)과;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에 오일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를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유로;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는 상기 댐핑 컵이 상기 센서하우징에서 돌출된 커넥터 보스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 컵의 내주면이 형성한 공간이 상기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에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 컵의 내주면이 형성한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댐핑 컵의 흡입공이 포함되고,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수용공간이 포함된다.
상기 유로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 둘레의 반쪽 구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과 상기 수용공간에 각각 연통되어진다.
상기 유로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반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유로는 상기 흡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에 파여진 아웃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에 파여진 인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을 이어주는 흐름 연결 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은 상기 커넥터 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의 상면(Top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은 커넥터 보스(15)의 상면(Top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숫나사와 상기 댐핑 컵의 암나사로 결합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포지셔너가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상기 댐핑 컵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기밀링이 구비되고, 상기 기밀링은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에 의한 오일 레벨 검출로 초음파 방식의 장점이 모두 구현되는 오일 레벨 센서가 오일 팬에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레벨 센서로 유입 및 배출되는 오일 흐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오일 팬의 오일 보충시 빠른 응답성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서 유면 역동성이 제거됨으로써 차량 운행중 방지턱, 급커브 구간, 출발, 급정거시 발생하는 오일의 출렁거림시에도 오일 레벨의 검출 값이 항상 정확하게 획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의 유입 및 배출 경로를 이용해 초음파 센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초음파 센서에 연결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및 회로부에 대한 안정적인 보호가 가능하고, 특히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송수신이 차량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 적용된 센서 하우징의 구성이며, 도 3은 도 2의 센서 하우징에 형성된 유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 적용된 댐핑 컵(Damping Cup)의 구성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조립단면과 댐핑 컵에 오일이 채워지는 상태이고, 도 6은 오일 팬내 오일 레벨 감소로 댐핑 컵에서 오일이 빠져나가는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초음파 센서가 댐핑 컵내 역동 유면 영향이 제거된 오일 유면으로부터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오일 팬에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0)과, 외부에서 오일을 센서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하거나 센서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20)와, 유로(20)로 유입된 오일로 채워지거나 유로(20)로 오일을 배출하도록 유로(20)를 감싸면서 센서하우징(10)과 결합되는 댐핑 컵(40, Damping Cup)과, 댐핑 컵(40)에 채워진 오일의 유면으로 초음파를 송수신하여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50)가 포함된다.
이에 더해, 상기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포지셔너(30)가 센서하우징(10)에 더 구비되어져 댐핑 컵(40)이 오조립되지 않도록 조립위치를 잡아주며, 상기 포지셔너(30)는 유로(20)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댐핑 캡(40-1, Damping Cap)이 더 포함되고, 상기 댐핑 캡(40-1, Damping Cap)은 댐핑 컵(40)에 결합됨으로써 센서하우징(10)에 결합되지 않은 댐핑 컵(40)의 개구된 상단부위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기밀링(60)이 더 포함되고, 이를 위해 센서하우징(10)에는 유로(20)의 둘레를 따라 홈(13)이 파여져 상기 기밀링(60)을 위치시켜준다.
한편, 도 2는 센서 하우징(1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하우징(10)은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체결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원형으로 파여져 기밀링(60)이 끼워지는 홈(13)과, 홈(13)의 안쪽 공간에서 동심원을 이루면서 베이스(11)의 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커넥터 보스(15)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커넥터 보스(15)에는 나선테두리가 그 외주면 둘레를 감아 돌아 형성됨으로써 댐핑 컵(40)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더불어 유로(20)가 그 외주면 둘레를 감아 도는 상기 나선테두리를 이용해 형성됨으로써 오일이 유로(20)를 이용해 커넥터 보스(15)의 안쪽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돌출 보스(15)의 안쪽 공간에서 빠져나오는 흐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20)는 커넥터 보스(15)의 반쪽 구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반쪽 구간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보스(15)에는 초음파 센서(5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수용공간(15-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5-1)에 다수의 단착턱과 보스를 형성함으로써 초음파 센서(50)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유로(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20)는 커넥터 보스(15)로 오일을 빨아들이거나 수용공간(15-1)의 오일을 커넥터 보스(15)의 밖으로 내보내는 아웃사이드 연통 홈(21)과, 커넥터 보스(15)로 빨아들인 오일을 상기 커넥터 보스(15)의 수용공간(15-1)으로 배출하거나 수용공간(15-1)의 오일을 내보내는 인사이드 연통 홈(23)과,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에서 인사이드 연통 홈(23)을 이어 오일 흐름을 연속시켜주는 흐름 연결 면(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은 커넥터 보스(15)의 바닥면(Bottom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15)의 상면(Top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23)은 커넥터 보스(15)의 상면(Top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15)의 바닥면(Bottom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21)과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23)은 커넥터 보스(15)의 중심에 대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는 위치를 갖는다.
상기 흐름 연결 면(25)은 커넥터 보스(15)의 외주면에 홈형상으로 파여짐으로써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에서 인사이드 연통 홈(23)을 이어주고,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으로 들어온 오일을 인사이드 연통 홈(23)으로 보내주거나 인사이드 연통 홈(23)에서 나온 오일을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으로 보내주는 흐름 통로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흐름 연결 면(25)은 별도의 가공 공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커넥터 보스(15)에 형성된 나선테두리의 사이를 이용해 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댐핑 컵(40)과 댐핑 캡(40-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 컵(40)은 그 내부로 오일이 충진되는 중공홀(40a)이 형성되고, 한쪽부위는 센서 하우징(10)의 커넥터 보스(15)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그 반대쪽부위는 댐핑 캡(40-1)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 컵(40)의 연결부에는 흡입공(41)이 더 포함되고, 상기 흡입공(41)은 연결부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절개된 홈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공(41)은 아웃사이드 연통 홈(21)과 일치됨으로써 유로(20)에 오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컵(40)의 연결부에는 흡입공(41)과 간격을 둔 위치에서 포지셔너 위치홈(43)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포지셔너 위치홈(43)은 단지 포지셔너(30)에 대한 조립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상기 포지셔너 위치홈(43)은 댐핑 컵(40)이 센서하우징(10)의 커넥터 보스(15)와 결합될 때, 댐핑 컵(40)의 흡입공(41)이 유로(20)의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에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센서하우징(10)과 댐핑 컵(40)의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 오일이 유입되어 댐핑 컵에 채워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가)는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조립 상태로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센서하우징(10)에는 댐핑 캡(40-1)을 결합한 댐핑 컵(40)이 커넥터 보스(15)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보스(15)의 수용공간(15-1)에는 초음파 센서(50)가 고정되며, 상기 초음파 센서(50)에 연결된 트랜스듀서(Transducer) 및 회로부는 센서하우징(10)의 내부로 위치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센서하우징(10)에 구비된 포지셔너(30)가 댐핑 컵(40)의 조립위치를 잡아줌으로써 작업자의 별다른 주의 없이도 댐핑 컵(40)의 흡입공(41)과 유로(20)의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이 서로 일치된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 유로(20)는 댐핑 컵(40)과 커넥터 보스(15)의 결합부위를 통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오일 레벨 측정 장치가 오일 팬에 설치되면, 센서하우징(10)과 댐핑 컵(40)의 결합부위가 오일 팬에 충진된 오일에 담겨짐으로써 오일은 유로(20)를 통해 댐핑 컵(40)의 중공홀(40a)로 유입되어진다.
도 5(나)는 오일이 유로(20)를 통해 댐핑 컵(40)의 중공홀(40a)로 유입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은 흡입공(41)으로 들어와 유로(20)로 유입되고, 유로(20)로 유입된 오일은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으로 들어와 이에 이어진 흐름 연결 면(25)을 지나면서 인사이드 연통 홈(23)에 도달된 후 수용공간(15-1)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댐핑 컵(40)의 중공홀(40a)에는 수용공간(15-1)을 통해 오일이 채워지고, 이러한 과정은 댐핑 컵(40)의 오일레벨이 오일 팬 내 오일 레벨과 동일한 오일 레벨이 될 때 까지 진행된다.
특히, 댐핑 컵(40)에 채워지는 오일 유량은 그 레벨이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는데, 이는 오일의 흐름경로에는 커넥터 보스(15)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면서 흐르는 흐름 연결 면(25)이 포함됨으로써 오일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기인된다.
또한, 댐핑 컵(40)에 채워지는 오일에는 기포가 포함되지 않는데, 이는 오일의 흐름경로에는 커넥터 보스(15)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면서 흐르는 흐름 연결 면(25)이 포함됨으로써 오일내 기포형성이 차단됨에 기인된다.
한편, 도 6은 오일 팬내 오일 레벨 감소로 댐핑 컵에서 오일이 빠져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은 인사이드 연통 홈(23)을 통해 수용공간(15-1)에서 빠져 나온 후 이에 이어진 흐름 연결 면(25)을 지나면서 아웃사이드 연통 홈(21)에 도달된 후 흡입공(41)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댐핑 컵(40)의 중공홀(40a)에 채워진 오일은 배출된 만큼 오일 레벨이 낮아지고, 이러한 과정은 댐핑 컵(40)의 오일레벨이 오일 팬 내 오일 레벨과 동일한 오일 레벨이 될 때 까지 진행된다.
한편,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측정 장치의 초음파 센서가 댐핑 컵내 역동 유면 영향이 제거된 오일 유면으로부터 오일 레벨을 검출하는 작동상태이다.
도 7(가)와 같이, 초음파센서(50)는 센서하우징(10)과 연결된 댐핑 컵(40)을 향하도록 커넥터 보스(15)에 수용됨으로써 댐핑 컵(40)의 중공홀(40a)에 채워진 오일 유량이 가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초음파센서(50)에서는 압전효과로 트랜스듀서(Transducer)에서 송신파(burst pulse)가 발생하고, 송신된 송신파가 오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수신파가 수신된다.
도 7(나)는 초음파 센서(50)가 송신파와 수신파를 이용해 획득한 에코(Echo)시간차의 예로서, 이로부터 일반적인 주지관용의 기술인 에코(Echo)시간차를 이용한 오일 레벨 변환이 수행됨으로써 정확한 측정값을 갖는 오일 레벨이 실시간으로 운전석 계기판에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에는 초음파 센서(50)를 수용한 센서하우징(10)과 댐핑 컵(40,Damping Cup)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져 댐핑 컵(40)의 내부 공간으로 오일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로(20)가 포함됨으로써 오일 레벨 측정에 유리한 초음파 센서(50)의 장점을 모두 구현하고, 특히 유로(20)를 이용한 신속한 오일 유입과 배출 경로를 형성하면서도 엔진 운전 상태인 동적조건이나 엔진오프상태인 정적조건에서도 오일팬 내부의 유면 역동성 영향 없이 오일 레벨이 항상 정확하게 검출된다.
10 : 센서하우징 11 : 베이스
13 : 홈 15 : 커넥터 보스
15-1 : 수용공간 20 : 유로
21 : 아웃사이드 연통 홈 23 : 인사이드 연통 홈
25 : 흐름 연결 면 30 : 포지셔너
40 : 댐핑 컵(Damping Cup) 40a : 중공홀
41 : 흡입공 43 : 포지셔너 위치홈
40-1 : 댐핑 캡(Damping Cap)
50 : 초음파 센서 60 : 기밀링

Claims (11)

  1. 초음파 센서가 내부에 수용된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으로 오일이 채워지도록 중공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댐핑 캡(Damping Cap)으로 상기 내부공간이 가려진 댐핑 컵(Damping Cup)과;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에 오일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를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유로;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는 상기 댐핑 컵이 상기 센서하우징에서 돌출된 커넥터 보스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 컵의 내주면이 형성한 공간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 컵의 내주면이 형성한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댐핑 컵의 흡입공이 포함되고, 상기 댐핑 컵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수용공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초음파 센서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 둘레의 반쪽 구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과 상기 수용공간에 각각 연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흡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에 파여진 아웃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에 파여진 인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커넥터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과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을 이어주는 흐름 연결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연통 홈은 상기 커넥터 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의 상면(Top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사이드 연통 홈은 커넥터 보스의 상면(Top Surface)을 시작위치로 하여 커넥터 보스의 바닥면(Bottom Surface)에 닿지 않도록 수직하게 파여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숫나사와 상기 댐핑 컵의 암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포지셔너가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결합되는 상기 댐핑 컵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에는 기밀링이 구비되고, 상기 기밀링은 상기 센서하우징과 상기 댐핑 컵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KR1020130085278A 2013-07-19 2013-07-19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KR101526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78A KR101526671B1 (ko) 2013-07-19 2013-07-19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78A KR101526671B1 (ko) 2013-07-19 2013-07-19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866A true KR20150010866A (ko) 2015-01-29
KR101526671B1 KR101526671B1 (ko) 2015-06-08

Family

ID=5248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278A KR101526671B1 (ko) 2013-07-19 2013-07-19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4256A (zh) * 2019-09-23 2019-11-15 赵梓杰 一种多功能车载机油传感器
WO2022145903A1 (ko) * 2020-12-30 2022-07-07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108A (en) * 1993-11-15 1995-10-10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Baffle assembly for ultrasonic liquid level measuring probe
DE102005011049B4 (de) * 2005-03-08 2010-09-23 Eurocopter Deutschland Gmbh Kraftstoff-Füllstand-Messvorrichtung
JP2007240183A (ja) * 2006-03-06 2007-09-20 Ngk Spark Plug Co Ltd 液体状態検知センサ
DE102008027969B4 (de) * 2008-06-12 2017-11-02 Hella Kgaa Hueck & Co.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Füllstands mit einem Dämpfungsbec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4256A (zh) * 2019-09-23 2019-11-15 赵梓杰 一种多功能车载机油传感器
WO2022145903A1 (ko) * 2020-12-30 2022-07-07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671B1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0515B (zh) 用于确定液体液位的多腔式超声波传感器
CN204461544U (zh) 多变量流体水位检测系统
US8689624B2 (en) Level sensor system for propane tanks and or the likes
CN104457870B (zh) 超声波流量计
EP2277015B1 (en) Clamp-on apparatus for measuring a fluid flow that includes a protective sensor housing
US20190078927A1 (en) Sensor
CN104040304B (zh) 液位探测器
US10408649B2 (en) Ultrasonic fluid flow measuring using an oscillating body and a coupling piece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than the oscillating body
US8899116B2 (en) Replaceable ultrasonic transducer for an ultrasonic flow measuring device
CA262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entering a wellbore
US20130220012A1 (en) Ultrasonic level sensor for aerated fluids
WO2006016224A3 (de) Ultraschall-niveausensorvorrichtung
FR2882141B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tecter au sol l'obstruction d'une prise de pression d'un capteur de pression statique d'un aeronef
US8371179B2 (en) Measurement arrangement
KR101526671B1 (ko) 역동 유면 영향을 제거한 오일 레벨 측정 장치
US20190107419A1 (en) Hydraulic system for ultrasonic flow measurement using reflective acoustic path approach
JP4707088B2 (ja) 超音波流量計
US7802470B2 (en) Ultrasonic liquid level detector
WO2006003783A1 (ja) 液体貯蔵タンクの漏洩検査装置
KR102010615B1 (ko) 유체의 충전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JP6019622B2 (ja) 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計
CN112444339B (zh) 差压传感器测试工装和差压传感器测试系统
US8250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eration of a liquid
US6474142B2 (en) Device for testing pressure in a gas reservoir
CN210835224U (zh) 一种超声波传感器外壳结构及超声波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