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566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566A
KR20150010566A KR20140049269A KR20140049269A KR20150010566A KR 20150010566 A KR20150010566 A KR 20150010566A KR 20140049269 A KR20140049269 A KR 20140049269A KR 20140049269 A KR20140049269 A KR 20140049269A KR 20150010566 A KR20150010566 A KR 2015001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access
information
access point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환
김규환
배범식
정상수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92B1/ko
Priority to US14/763,122 priority patent/US10312971B2/en
Priority to EP14827029.1A priority patent/EP2936864B1/en
Priority to PCT/KR2014/006607 priority patent/WO2015009130A1/en
Priority to CN201480005875.9A priority patent/CN104937967B/zh
Publication of KR2015001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협력 통신 방법은,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GPRS(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E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 무선 접속망(130, Radio Access Network, RAN) 및 코어 망(140, core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망(130)은 몇 가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과 상호 작용 하는 무선 접속망의 구성 요소(120)는 단말(100)과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나머지 요소들은 주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00)과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호 작용하는 무선 접속망 구성 요소(120)는 예를 들어, 진화된 노드 비(evolved Node B, eNB), 노드 비(Node B, NB) 혹은 이를 포함하는 무선 망 하위 조직(Radio Network Subsystem, RNS),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혹은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하위 조직(Base Station Subsystem, BSS), 무선 접속점(wireless access point), 홈 eNB, 홈 NB, 홈 eNB 게이트웨이(Gateway, GW), X2 GW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용어 라디오 접속점(radio access point)을 이용해 상기 나열한 무선 접속망 구성 요소(120)의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일컫거나 무선 접속망(130) 그 자체를 일컫도록 하겠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셀은 특정 범위를 관장하며, 단말(100)은 셀의 범위 내에서 서비스 받는다. 여기서, 셀은 셀룰러(cellul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하고, 라디오 접속점(120)은 상기 셀을 관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셀과 라디오 접속점(120)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대상-예를 들어, 실시예-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편의에 따라 셀과 라디오 접속점(120)을 혼동하여 쓸 수 있다.
코어 망(140)은 RAN 제어 요소(135, RAN control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RAN 제어 요소(135)는 이동성 관리, 인증 및 보안 등의 총괄적인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RAN 제어 요소(135)는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요소(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지원 요소(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단말(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라디오 접속점(120)은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절한 커버리지(coverage)를 갖는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여러 라디오 접속 점의 협력 통신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협력 통신 방법은,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GPRS(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협력하여 통신할 수 있고 이 협력을 기반으로 라디오 접속점 간의 부하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커버리지의 중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을 포함하는 망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통신 요소(300)와 라디오 접속점(120) 간의 인터페이스(310)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프로토콜 더미(stack)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사이에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협력 라디오 접속점 집합을 구성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7 실시 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요소(300)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규격을 정한 무선 접속망, 코어 망인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와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커버리지의 중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접해 있는 일반적인 두 라디오 접속점(120a, 120b)은 각각의 커버리지(210a, 210b)를 가진다. 이때, 두 커버리지(210a, 210b)가 서로 겹치는 영역(220)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겹치는 영역(220)에 위치하는 단말(100)은 두 라디오 접속점(120a, 120b)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하여 강한 간섭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라디오 접속점(120a)에서 서비스 받고 있으면, 단말(100)은 라디오 접속점(120b)으로 인한 강한 간섭을 경헙할 수 있다.
도 2에는 라디오 접속점들(120a, b)이 서로 비슷한 넓이의 커버리지(210)를 갖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고려하는 상황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라디오 접속점(120a)의 커버리지(210a)가 다른 라디오 접속점(120b)의 커버리지(210b)에 포함되는 상황, 세 개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들의 커버리지가 공통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는 상황 및 그 밖의 다양한 겹치는 커버리지(220)로 인한 간섭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겹치는 커버리지(220)는 라디오 접속점(120) 간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잦은 시그널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핸드오버 관련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시스템은 각각의 라디오 접속점(120)을 켜고 끄거나 전송 전력(transmission power)을 조절할 수 있다. 어떤 지역이 그 어떤 라디오 접속점의 커버리지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는 바람직한 경우가 아니므로, 라디오 접속점(120)을 켜고 끄거나 전송 파워를 조절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겹치는 커버리지(220)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문제, 에너지 절약 문제 등)를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3세대 동업자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여러 라디오 접속점(120)들이 서로 협력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는 조직화된 여러 점 송수신(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기술 및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을 포함하는 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겹치는 커버리지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문제 및 에너지 절약 문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이 서로 라디오 접속점 자신과 이들이 서빙하는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한 라디오 접속점(120) 주변에는 여러 개의 다른 라디오 접속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수의 라디오 접속점과 이들이 서빙하는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적 많은 수의 라디오 접속점(120)과 이들이 서빙하는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에 적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통신 요소(300)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120)과 연결돼 있다. 통신 요소(300)의 처리 능력에 따라, 연결되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해당 연결을 위해 적합한 인터페이스(310)가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예를 들어 다음 역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그 라디오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그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단말이 기준 신호 자원 및/혹은 간섭 측정 자원에서 측정하여 보고하는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역할;
- 하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다른 라디오 접속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협력 정보) 및 그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역할
통신 요소(300)는 상기 역할 수행을 기반으로, 라디오 접속점(120) 간 협력 통신을 수행하거나, 라디오 접속점(120)의 스케줄링에 고려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요소(300)는 기존에 정의된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존에 정의된 요소는 예를 들어, MME, SGSN, 라디오 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진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E-SMLC), 라디오 접속점,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합한 인터페이스(310)는 상기 통신 요소(300)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인 경우에 이 인터페이스(310)는 X2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요소(300)가 새로운 요소인 경우에는, 이 인터페이스(310)도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통신 요소(300)가 또한 하나의 라디오 접속점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통신 요소(300)와 다른 라디오 접속점(120)의 역할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구성(configuration)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 요소(300)가 또한 라디오 접속점인 경우에는 네트워크 구성이 우수한 환경을 요구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통신 요소(300)와 라디오 접속점(120) 간의 인터페이스(310)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프로토콜 더미(stack)의 예시도이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400), 데이터 연결 계층(data link layer, 410),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계층(420) 위에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계층(430)이 적용될 수 있다. UDP 계층 위에 GPRS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이 적용될 수 있다.
UDP 계층 대신(430)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계층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UDP 계층(430)이 적용되고,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인 경우, 인터페이스(310)는 사용자 면(User Plane) X2 인터페이스(X2-U)이거나 X2 인터페이스가 아닌 새로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SCTP는 멀티 호밍(homing) 환경 및 패킷 유실에 대한 강인성을 제공해 줄 수 있지만, 이런 장점을 제공해주기 위해, 구현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크다. 이런 구현 복잡도 때문에 SCTP는 디지털 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칩으로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SCTP 패킷은 일반적으로 리눅스 커널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이 리눅스 커널을 이용하면, 계산량이 과중하여 구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적 간단한 DSP 칩으로 구현할 수 있는 UDP는, SCTP보다, 실시간으로 보내야 하는 데이터를 보내는 데 적합할 수 있다.
GTP 계층(440)은 응용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 AP) 계층의 일례이다. AP 계층은 인터페이스(310)의 이름에 따라 적절하게 이름 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10)가 X2인 경우에는 응용 프로토콜을 X2-AP라 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310)가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경우에는 응용 프로토콜을, 예를 들어, {새로운 인터페이스 이름}-AP라 할 수 있을 것이다. UDP 계층(430)을 적용할 경우, AP 계층으로서 GPRS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이 적용될 수 있다. AP 계층의 메시지 인코딩 방식은 간단한 구현을 위하여 공통 헤더(common header)를 가진 단어 정렬 구조(word aligned structure)를 띌 수 있다. 또 다른 AP 계층의 메시지 인코딩 방식의 예로 ASN.1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 간의 협력을 위해, 라디오 접속점에 관련된 정보 혹은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는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120)인 경우에, 협력을 위한 일부 정보는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고, 그 밖의 일부 정보는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교적 자주 전달되는 정보는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고, 그 밖의 정보는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이 아니어서 X2가 아니라 다른 인터페이스가 고려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자주 전달되는 정보는 UDP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고, 그 밖의 정보는 SCTP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을 위해, 라디오 접속점 혹은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가 X2-U인 경우에, X2-U 인터페이스는 현재 정의된 데이터 포워딩(data forwarding) 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도 쓰일 수 있도록 용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상, 도 3과 4에 걸쳐 보인 라디오 접속점과 단말(100)에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와 정보를 주고 받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더미(stack)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사이에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도 5a 내지 도 5d를 통틀어 도 5라고 칭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메시지 흐름은 AP 메시지를 통한 전달을 뜻할 수도 있고, GTP 메시지의 페이로드 부분 혹은 메시지 확장(이를 테면 헤더 확장)을 통한 전달을 뜻할 수도 있다. GTP 패킷의 헤더를 확장하는 경우에는 GTP 패킷 헤더에 현재 여분으로 남아있는 4번째 비트를 통해 혼잡을 표시할 수도 있고(8번째 비트가 제일 왼쪽에 위치) 새로운 확장 헤더를 통해 혼잡을 표시할 수도 있다. GTP 패킷 헤더에 새로이 확장 헤더를 만들어 혼잡을 표시하는 방법은 새 확장 헤더를 만듦으로써 정보를 담을 수 있는 풍부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더욱 적합한 방법일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서는 라디오 접속점(120)으로부터 메시지 전달 과정이 시작되는 경우의 전달 과정이 도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게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510에서 통신 요소(300)는 단계 500의 메시지에 응답하는 응답 메시지(510)를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보낼 수 있다. 응답 메시지(단계 510)는 일반적인 성공 관련 메시지일 수도 있고,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라디오 접속점(120)은 단계 515에서 통신 요소(300)에게 메시지를 보내지만, 통신 요소(300)는 응답 메시지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 5b의 과정은 하나의 메시지(단계 515)로만 이루어진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 5c와 도 5d에서는 통신 요소(300)으로부터 메시지 전달 과정이 시작되는 경우의 메시지 전달 과정이 도시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단계 520에서 통신 요소(300)는 메시지를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송신한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단계 520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계 530에서 응답 메시지를 통신요소(300)에게 보낼 수 있다. 응답 메시지(단계 530)는 일반적인 성공 관련 메시지일 수도 있고,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통신 요소(300)는 단계 535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메시지를 보내지만, 라디오 접속점(120)은 응답 메시지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 5d의 과정은 하나의 메시지(단계 535)로만 이루어진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셋업(Setup) 과정을 통하여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간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위의 데이터(혹은 간단히 특성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셋업 과정은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라디오 접속점(120)이 시작(initiate)할 수도 있고, 통신 요소(300)가 시작할 수도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이 셋업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게 셋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단계 500)를 보낼 수 있다. 이 메시지(단계 5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 정보,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의 이웃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단계 500)의 한가지 예를 보여준다.
정보 요소/그룹 이름(IE/Group Name) 범위(Range)
글로벌 eNB 식별자(Global eNB ID)
서비스되는 셀들(Served Cells) 0 .. <maxCellineNB>
>셀 정보(Cell Information)
>이웃 정보(Neighbor Information) 0 .. <maxnoofNeighbours>
>>셀 정보(Cell Information)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기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는 셀을 뜻하거나, 이보다 더 세분화된 개념인 전달점(Transmission Point, TP) 혹은 하위 셀(sub-cell)을 뜻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을 구분하기 위해서 ECGI 혹은 PCI를 사용하는데, 셀보다 더 세분화된 개념인 TP 혹은 sub-cell을 구분하기 위해 ECGI 혹은 PCI에 새로이 적당한 개수의 bit를 덧붙일 수 있다.
상기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 정보는 X2-AP에 정의된 서비스되는 셀 정보(Served Cell Informati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의 이웃 정보도 X2-AP에 정의된 서비스되는 셀 정보(Served Cell Information)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 정보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설정 정보, 시간 설정 정보, 간섭 측정 자원(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 IMR) 설정 정보 및 위치 정보, RNTP(Relative Narrowband Transmit Power) IE, 거의 빈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 AB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RS는 예를 들어 사운딩(Sounding) RS(SRS), 셀 특정(Cell-specific) RS(CRS), 채널 상태 정보(Channel-State Information, CSI) RS(CSI-RS) ),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RS(DMRS)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RS 설정 정보는 RS의 할당 정보를 뜻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S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RS의 대역폭 정보, 주파수 위치 정보, 시간 위치 정보, 안테나 포트 정보, 순환 시프트(cyclic shift) 정보,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 전송 조합(transmission combination) 정보, CQI-ReportConfig 전체 혹은 일부, CSI-RS-Config 전체 혹은 일부, CSI-RS-ConfigNZP 전체 혹은 일부, CSI-RS-ConfigNZPId 전체 혹은 일부, CSI-RS-ConfigZP 전체 혹은 일부, CSI-RS-ConfigZPId 전체 혹은 일부, DMRS-Config 전체 혹은 일부, SoundingRS-UL-Config 전체 혹은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나열한 정보에 속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시간 설정 정보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시간 동기화를 위해 쓰일 수 있으며, 시간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오프셋, 서브프레임 번호(Subframe Number) 오프셋, 기준 시간(reference tim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의 지리적인 혹은 위상학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IMR 설정 정보는 CSI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CSI-IM)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R 설정 정보는 CSI-IM-ConfigCSI-IM-Config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BS 정보는 예를 들어 ABS 정보 (ABS Information) IE 및 ABS 상태(ABS Status) I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설정 정보는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셋업 요청 메시지(단계 500)에 대한 응답으로 셋업 응답 메시지(단계 510)를 보낼 수 있다. 이 응답 메시지(단계 510)는 통신 요소(3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가 셋업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 셋업 요청 메시지(단계 500), 셋업 응답 메시지(단계 510)가 각각 도 5c의 메시지(단계 530), 메시지(단계 520)에 사상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셋업 요청 메시지(단계 530)는 제1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이 셋업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의 셋업 응답 메시지(단계 5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셋업 응답 메시지(단계 520)는 제1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이 셋업 과정을 시작하는 경우의 셋업 요청 메시지(단계 5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전달받은 라디오 접속점(12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 혹은 자원 조직화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셋업 과정에서 주고받은 정보 중 전체 혹은 일부에 변화가 생긴 경우 설정 갱신 과정을 통해 변화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협력 라디오 접속점 집합을 구성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정보를 바탕으로 협력할 라디오 접속점(120) 집합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을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
단계 610에서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이 속할 적합한 집합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은 제1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셋업 혹은 설정 갱신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단계 610의 판단은 하나 이상의 기준을 사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현재 존재하는 라디오 접속점 집합들 중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라디오 접속점들의 집합에 라디오 접속점(120)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셋업 과정 혹은 설정 갱신 과정에서 교환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으로 쓰일 수 있다.
단계 61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이 속할 적합한 집합이 있다고 판단되면 과정은 단계 620으로 진행하고, 반대로 라디오 접속점(120)이 속할 적합한 집합이 없다고 판단되면 과정은 단계 630으로 집행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을 적합한 집합에 추가시키고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630에서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또는 속성, 또는 구성) 중 변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 중에는 단순히 통신 요소(300)와 라디오 접속점(120)의 통신을 통해 바꿀 수도 있는 특성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변환이 허용되지 않는 특성이 있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 중 변환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면 과정은 단계 640으로 진행할 수 있고, 변환할 수 있는 특성이 없으면 과정은 단계 65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단계 640 혹은 단계 650으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통신 요소(300)는 단순히 변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 외에도 추가적인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요소(300)의 판단 결과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 중 변환할 수 있는 특성이 있고 그러한 특성을 변환하는 것이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을 통한 통신에 더 유리하다면 과정은 단계 64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요소(300)의 판단 결과, TDD(Time Division Duplex) 라디오 접속점(120)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라디오 접속점(120)으로 동작하도록 변환하는 경우 이미 존재하는 라디오 접속점 집합(FDD로 동작 중인 라디오 접속점의 집합)에 추가하여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을 통한 통신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면 단계 640을 통해 변환을 촉발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보인 TDD 및 FDD 간 변환과 같이 라디오 접속점(120)의 근간이 되는 특성 변환은 자주 수행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변환 수행에 앞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을 변환하도록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명령하거나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변환 명령 및/혹은 변환 요청은 통신 요소(300)와 라디오 접속점(120) 사이의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단계 520 혹은 단계 535)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20 혹은 단계 535)는 변환의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의 대상은 예를 들어, RNTP IE, ABS 정보, 업링크 고 간섭 정보(UL High Interference Information) IE, 서브프레임 할당(Subframe Assignment) IE, RS 설정 정보, IMR 설정 정보(CSI-IM-Config 혹은 그 하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의 대상의 예에서 짐작할 수 있듯, 단계 640에서 수행되는 변환 과정을 통해서도 일정 수준의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RNTP IE를 변화시키기를 명령하거나 요청하여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정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서 전송하는 신호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라디오 접속점(120) 주변의 라디오 접속점과의 협력을 꾀할 수 있다.
상기 변환 과정은 도 5c 혹은 도 5d에서 도시한 과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5c에서 도시한 과정에 따르는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은 변환의 성공 여부를 통신 요소(300)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에 의하면, 상기 변환 과정 즉, 단계 640은 다른 단계들과 연계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보다 자세히,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할당(Subframe Assignment) IE를 바꿀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TDD 방식을 쓰는 라디오 접속점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언제 하향링크(Downlink, DL) 신호를 송신하고 언제 상향링크(Uplink, UL) 신호를 수신할지에 대한 조직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라디오 접속점(120)의 DL 및 UL 신호를 주고받는 설정이 이상적이지 않은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의 서브프레임 할당(Subframe Assignment) IE를 바꿀 수 있다.
그 밖에도 라디오 접속점(120)이 여러 개의 전송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적절하지 않은 전송 주파수 영역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라디오 접속점(120)의 특성을 바꾸는 한 가지 예라고 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가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꾸기를 요청 및/또는 명령하는 경우,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는 각 단말(100)에 대해 별도로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기 때문에 단말(100) 식별자도 함께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꾸기를 요청하거나 명령하는 메시지(단계 520 혹은 단계 535)를 수신한 라디오 접속점(120)은 단말(100)의 설정 정보를 바꿀 수 있다.
도 8은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81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은 단말(100)에게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재설정 메시지는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변경, 추가, 삭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810)는 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810)의 physicalConfigDedicated IE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810)를 받은 단말(100)은 물리적 채널 설정을 전달된 정보에 알맞게 재설정한다.
단계 640을 수행한 다음, 과정은 단계 610으로 진행하여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이 속할 적합한 집합이 있는지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는 라디오 접속점(120)이 통신 요소(300)를 통한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도 있고,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이 소속될 새로운 라디오 접속점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과정은 종료된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라디오 접속점(120)이 서빙하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를 통신 요소(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는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된 신호 흐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따르는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은 서빙하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통신 요소(300)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단계 500)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메시지는 전달되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는 UE 무선 성능(UE Radio Capability) IE, UE 무선 성능 IE에 담긴 정보의 일부,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가입 상태(CSG Membership Status) IE, 단말(100)의 베어러 정보, UE-AMBR(Aggregate Maximum Bit Rate), 영역 제한(area restric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메시지는 라디오 접속점(120)에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00)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요소(300)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단계 510)를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긴 상황이라면, 상기 메시지(단계 510)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eNB 설정 갱신(Configuration Update) 과정 혹은 X2 셋업 과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10)는 통신 요소(300)에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따르는 경우 상술한 메시지(500)에 포함되는 정보의 전체 혹은 일부는 도 5b의 메시지(단계 515)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15)는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따르는 경우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이 서빙하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 전달을 요청하는 메시지(단계 520)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20)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요소(300)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전달하는 메시지(단계 530)을 보낼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전달받은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이를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 혹은 자원 조직화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통신 요소(300)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고받은 정보 중 전체 혹은 일부에 변화가 생긴 경우 단말(100) 컨텍스트 갱신 과정을 통해 변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식별자로 식별되는 단말(100)의 변화한 컨텍스트 혹은 컨텍스트 전체를 보낼 수 있다. 이 정보를 받은 통신 요소(300)는 이미 있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받은 정보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갱신 결과(실패 혹은 성공)를 알리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는 통신 요소(300)에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요소(300)에 저장된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해제하기(release) 위해 해제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 해제 과정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서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이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할 수 있다. 해제 과정에서 식별자를 받은 통신 요소(300)는 이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100)에 대한 컨텍스트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라디오 접속점(120)이 서빙하는 단말(100)의 채널 정보 및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통신 요소(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는 도 5a 혹은 도 5b에 도시된 신호 흐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말(100)의 채널 정보는 시간에 따라 비교적 빠르게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말(100)의 채널 정보는 자주 보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이 통신 요소(300)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필수적으로 보내져야 하지만 이에 대한 답 메시지(단계 510)를 매번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120)으로 보내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요소(300)측이 응답 메시지(단계 510)를 보내지 않는 도 5b에 도시된 신호 흐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요소(300)가 응답 메시지(단계 510)를 보내는 것이 모든 경우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며, 응답 메시지(단계 510)는 문제가 생겼을 때만 보내질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메시지(단계 500)를 받은 다음 보내질 수도 있다.
제4 실시 예가 도 5b에 도시된 신호 흐름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게 채널 정보 및/혹은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담은 메시지(단계 515)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15)는 시간 정보, RS 측정 정보 및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서브프레임 번호(Subframe Number), 기준 시간(reference time) 및 절대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들이 동일한 시간 혹은 동일한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여러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간의 연결 상태가 서로 다르면, 통신 요소(300)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에게 시간 정보를 보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제1 실시 예에서 수신한 시간 설정 정보와 본 실시 예에서 수신한 상기 시간 정보를 조합해 라디오 접속점(120)이 보내는 메시지(단계 515)의 시간 인덱스를 유추할 수 있다.
상기 RS 측정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가 측정한 SRS 정보;
-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가 서빙하는 단말(100)들이 측정한 CSI 피드백 정보;
-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가 서빙하는 단말(100)들이 측정한 CRS 피드백 정보;
-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가 서빙하는 단말(100)들이 측정한 CSI-RS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보고 정보; 및
- 라디오 접속점(120)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가 서빙하는 단말(100)들이 측정한 CRS의 RSRP 보고 정보
이때, 필요에 따라 라디오 접속점(120)의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120)의 하위 요소 식별자 및 단말(100)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함께 상기 메시지(단계 515)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반드시 단말(120)이 보낸 정보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이 측정한 정보를 그대로 활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단말(120)이 보낸 정보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이 측정한 정보를 가공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여러 라디오 접속점(120)들이 서빙하는 단말(100)의 채널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전달되는 RS 정보와 제1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RS 설정 정보 및 IMR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해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제1 실시 예 외의 경로를 통해서 얻은 RS 설정 정보 혹은 IMR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 특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단말(100)에게 얼마나 데이터를 주었는지 혹은 단말(100)로부터 얼마나 데이터를 받았는지를 추정, 계산 및/또는 가늠할 수 있는 정보를 뜻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단말(100)에게 송신한 데이터 양 혹은 단말(100)로부터 받은 데이터 양과 양(positive)의 상관관계를 지닌 값을 뜻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는 단말(100)이 보낼 데이터 양 혹은 단말(100)에게 보낼 데이터 양을 추정, 계산 및/또는 가늠할 수 있는 정보 혹은 사용자 인지 성능(User Perceived Throughput)을 뜻할 수도 있다. 즉,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는 단말(100)이 보낼 데이터 양 혹은 단말(100)에게 보낼 데이터 양과 양의 상관관계를 지닌 값을 뜻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이 문단에서 언급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지닌 값"은 "음의 상관관계를 지난 값"으로 대체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메시지(단계 515)는 로드 지시(Load Indication) 과정 및 자원 상태 보고(Resource Status Reporting)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515)가 Resource Status Reporting 과정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사전에 자원 상태 보고 촉발(Resource Status Reporting Initiation) 과정이 수행됐을 수 있다. Resource Status Reporting Initiation 과정은 도 5c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따를 수 있다. Resource Status Reporting Initiation 과정에서 통신 요소(300)는 자원 상태 요청(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단계 520). 이때, 통신 요소(300)는 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에 어떤 정보(예를 들어 RSRP 측정 결과)를 보고받고 싶은지 나타낼 수 있다. 이 메시지에는 보고받고 싶은 정보와 함께 보고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기 정보는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다양한 값은 특정 주기 값(예를 들어, 120ms)을 지칭할 수도 있고, 구체적 주기를 지칭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리는 값(예를 들어, No Periodicity, Event Triggered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라디오 접속점은 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에 대한 답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단계 530).
Resource Status Reporting Initiation 과정에서 특정 주기 값이 라디오 접속점(120)에 전해지지 않은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은 너무 자주 채널 정보 및/혹은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담은 메시지(단계 515)를 보낼 수 있다. 이는 통신 요소(300)에 과부하를 일으키거나 전송 자원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점(120)은 연달아 일어나는 두 측정 보고 메시지(단계 515) 간의 전송에 최소 시간 간격을 둘 수 있다. 이 시간 간격 값은 라디오 접속점(120)에 따라 구현으로 설정된 혹은 라디오 접속점(120)에 공통적으로 및/혹은 표준적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값은 수 ms에서 수백 ms일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 값은 통신 요소(300)가 전달해준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요소(300)는 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를 통해 타이머(명칭의 예로는 Inhibition Timer)를 전달해줄 수 있다. 연달아 일어나는 두 측정 보고 메시지(단계 515) 간의 전송에 최소 시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점(120)은, 그 간격 값이 라디오 접속점에 설정되었던 값이건 통신 요소(300)로부터 수신한 값이건, 한 측정 보고 메시지(단계 515)를 보내고 그 값에 해당하는 타이머를 돌리고 적어도 이 타이머가 만료되면 또 다른 측정 보고 메시지(단계 515)를 보낼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이 실시 예를 통해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보낼 수 있는데, 이때 대상이 되는 단말(100)은 곧 스케줄링 될 단말(100)일 수 있다. 이때, 라디오 접속점(120)은 (제3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 있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대상이 되는 단말(100)을 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CSG 가입자로 밝혀진 단말(100)은 그렇지 않은 단말(100)보다 더 자주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라디오 접속점(120)은 단말의 베어러 정보 기초로 대상이 되는 단말(100)을 고를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상기 베어러 정보를 기초로 특정 QCI를 가진 단말에 대해서는 보다 더 자주 대상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걸쳐, 베어러 정보는 QCI, ARP 및 GBR QoS Informa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단말 컨텍스트 정보, 예를 들어 UE-AMBR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4 실시 예가 도 5a에 도시된 신호 흐름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에, 메시지 (단계 500)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명한 메시지(단계 515)와 비슷하게 묘사될 수 있다. 덧붙여,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으로부터 메시지(단계 500)를 잘 받았다는 것 혹은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단계 510)를 응답으로서 보낼 수 있다.
표 2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단계 515 혹은 500)의 한가지 예를 보여준다. 하기 표에 표시된 IE 중 전체 혹은 일부는 변경되거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정보 요소/그룹 이름(IE/Group Name) 범위(Range) 비고
메시지 유형
(Message Type)
글로벌 eNB 식별자
(Global eNB ID)
시간 인덱스 INTEGER
서비스되는 셀들
(Served Cells)
0 .. <maxCellineNB>
>셀 식별자
(Cell Identity)
ECGI 혹은 PCI
>단말 정보
(UE Information)
0 .. <maxnoofUEsinaCell>
>>단말 식별자
(UE ID)
C-RNTI,
eNB UE X2AP ID,
eNB UE {새로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ID 및/혹은
그 밖의 적절한 단말 식별자
>>일정 기간 동안 송신한 DL 데이터 양
>>DL 버퍼 상태
>>CSI 보고 정보
>>>CSI-RS NZP 보고 정보 0 .. <maxCSI-RS-NZP>
>>>>CSI-RS NZP의 설정 식별자
CSI-RS NZP Configuration ID
CSI-RS-ConfigNZPId
>>>>자원 설정
Resource Configuration
resourceConfig
>>>>서브프레임 설정
Subframe Configuration
subframeConfig
>>>>CSI 보고 CQI, PMI 및/혹은 RI
>>>CSI IM 보고 정보 0 .. <maxCSI-IM>
>>>>CSI-IM의 설정 식별자
CSI-IM Configuration ID
CSI-IM-ConfigId
>>>>자원 설정
Resource Configuration
resourceConfig
>>>>서브프레임 설정
Subframe Configuration
subframeConfig
>>>>CSI 보고 CQI, PMI 및/혹은 RI
>>CRS 보고
상기 표 2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라디오 접속점(120)의 각 셀(ECGI 혹은 PCI로 식별됨) 별로 각 셀이 서빙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가 통신 요소(3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 식별자 정보 (UE ID);
- 단말 식별자 정보로 식별되는 단말이 일정 기간 동안 수신한 DL 데이터 양;
- DL 버퍼 상태;
- CSI 보고 정보; 및
- CRS 보고(RSRP Measurement Report).
CRS 보고는 UE ID로 식별되는 단말이 측정한 하나 이상의 셀에 대한 RSRP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측정한 (하나 이상의) 셀은 그 단말을 서빙하는 셀(ECGI 혹은 PCI로 식별됨) 혹은 그 이웃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표 2와 같은 메시지가 전달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채널 정보 전달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신 요소(300)는 전달받은 단말(100)의 채널 정보 및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 혹은 자원 조직화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요소(300)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라디오 접속점(120)들의 협력에 쓰일 협력(coordination)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요소(300)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는 아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제1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RS 설정 정보;
- (제1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IMR 설정 정보;
- (제3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단말 컨텍스트;
- (제4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RS 측정 정보; 및
- (제4 실시 예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통신 요소(300)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라디오 접속점들의 협력에 쓰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협력할 라디오 접속점의 집합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통신 요소(300)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라디오 접속점(120)들의 협력에 쓰일 협력 정보를 생성하는 한가지 예를 바탕으로 진행한다.
협력 정보는 라디오 접속점(120)과 라디오 접속점(120) 주변의 다른 라디오 접속점들이 각 서빙 단말과 어떤 레벨의 송신 혹은 수신 전력 상황을 취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혹은 수신 전력 상황은 다양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지만 편의 상 송수신 전력을 끄고 켜는 상황을 고려하도록 하겠다. 이 경우, 협력 정보는 라디오 접속점들의 블랭킹 패턴(blanking pattern)을 뜻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ABS 정보 및 RNT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 라디오 접속점(120)의 블랭킹 패턴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라디오 접속점(120)의 ABS 정보 및 RNTP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서브프레임 및 PR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 전송하도록 한다면, 통신 요소(300)는 이 자원에 대해서 전력을 끄도록 혹은 낮은 전력으로 보내도록 블랭킹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블랭킹 패턴을 정할 때, 다음의 과정(1 내지 3)으로 얻어질 수 있는 성능'(throughput')(변형된 성능 지시자)를 고려할 수 있다:
1.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RS 설정 정보, IMR 설정 정보, RS 측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라디오 접속점(120) 주변의 라디오 접속점들과 이들이 서빙하는 단말 간의 다양한 송신 혹은 수신 전력 상황에 따라 라디오 접속점(120)이 서빙하는 단말(100)들에 대해 예상되는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송신 혹은 수신 전력 상황은 다양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지만 편의 상 끄고 켜는 것으로 고려하도록 하겠다. 다시 말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라디오 접속점들의 다양한 가능한 블랭킹 패턴(blanking pattern)에 따라 라디오 접속점(120)이 서빙하는 단말(100)들에 대해 예상되는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이 성능은 더 많은 주변 라디오 접속점들이 송수신을 중단할수록 간섭이 줄어들기 때문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2. 통신 요소(300)는 상기 단계에서 각 단말(100)들에 대해 계산한 다양한 블랭킹 패턴에 대해 별도의 방식으로 성능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한 값을 성능'라고 한다면, 단말(100)이 이미 송신 혹은 수신한 데이터가 많다면 공평함(fairness)을 고려하여 그렇지 않은 단말에 비해 성능'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많은 라디오 접속점들이 송수신을 중단한 블랭킹 패턴(blanking pattern)에 대한 단말(100)의 성능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들의 자원을 희생시켜 얻은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은 블랭킹 패턴에 비해 성능'을 낮게 조절할 수 있다.
3. 성능' 계산 시, 제3 실시 예에서 받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G 가입자로 밝혀진 단말은 그렇지 않은 단말보다 좀 더 큰 성능' 값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 요소(300)는 단말의 베어러 정보(예를 들어, QCI, ARP, GBR QoS Information)를 기초로 특정 QCI를 가진 단말에 대해서는 보다 큰 성능' 값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단말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UE-AMBR)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신 요소(300)는 이렇게 얻어진 각 라디오 접속점의 단말(들)에 대한 성능'의 합을 최대화하는 블랭킹 패턴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협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협력 정보는 제5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제6 실시 예는 도 5d 혹은 도 5c에 도시된 신호 흐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신호 흐름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시간 정보, 협력 정보 및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측정한 SRS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메시지(단계 525)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서브프레임 번호, 기준 시간 및 절대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가 동일한 시각 혹은 동일한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여러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간의 연결 상태가 서로 다르면, 라디오 접속점(120)에 정보가 전달되는 시각은 제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요소(300)은 통신 요소(120)에게 시간 정보를 보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은 상기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협력 정보를 언제 적용할지 정할 수 있다.
상기 협력 정보는 각 라디오 접속점(120)에 대해 별도로, 혹은 각 라디오 접속점 하위 요소(120)에 대해 별도로, 혹은 각 단말(100)에 대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열 혹은 문자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수열 혹은 문자열의 각 원소는 두 종류의 값(이를 테면, 0 또는 1)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보다 세분화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수열 혹은 문자열의 각 원소는 PRB 혹은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협력 정보는 기존 RNTP IE 형태 혹은 RNTP IE를 응용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보다 세세한 자원 협력 혹은 스케줄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라디오 접속점의 협력 정보가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120)의 서비스를 받는 어떤 단말(100)이 라디오 접속점 A로부터 큰 간섭을 받는다면, 라디오 접속점 A가 연관되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해서 라디오 접속점(120)은 상기 단말(100)에 대한 스케줄링을 하지 않거나 해당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해 상기 단말(100)에 대한 스케줄링의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 간 협력을 위해 쓰이는 RS가 SRS인 경우에, 한 라디오 접속점(120)에서 측정한 SRS 세기만 참조해서는 라디오 접속점(120)에 속한 단말(100)의 간섭 상황을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측정한 SRS 정보를 통신 요소(300)가 라디오 접속점(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6 실시 예가 도 5c에 도시된 신호 흐름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에, 메시지(단계 520)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명한 메시지 (단계 535)와 비슷하게 묘사될 수 있다. 덧붙여, 라디오 접속점(120)은 통신 요소(300)로부터 메시지(단계 520)를 잘 수신했다는 것, 혹은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단계 530)를 응답으로서 통신 요소(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7 실시 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과정의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의 제7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7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들로부터 수신한 단말(100)의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라디오 접속점(120)들 간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여러 라디오 접속점들(120a, 120b)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예를 들어 단말(100))의 채널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를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단계 710에서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a)에게 부하 균형 및/혹은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710)는 단말 식별자, 라디오 접속점 식별자, 단말 별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 값, 단말 그룹 별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 값은 현재 이동성 매개변수 값에 대한 차이 값 및/또는 절대적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그룹은 단말 특성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E(Cell Range Expansion)를 적용한 단말 그룹의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을 위해 CRE를 위한 이동성 매개변수 조정값이 전달될 수 있다.
통신 요소(300)는 여러 단말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를 통해 전달되는 CSI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CSI 피드백 정보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이용하면,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 방향 및 이동 방향 등에 대한 추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이뤄지는 라디오 접속점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이 경험하고 있는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부하 조절 대신 상세한 각 단말 별 및/혹은 단말 그룹 별 특성을 고려한 부하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a)은 서빙하던 단말(100)을 라디오 접속점(120b)에게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a)은 핸드오버 시, 라디오 접속점(120b)에게 적절한 핸드오버 사유(cause) 지시자를 전달하여 단말(100)이 라디오 접속점들 사이를 반복적으로 왔다갔다하는 핑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부하 조절 절차에 의해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부하 조절 사유'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라디오 접속점(120a)이 라디오 접속점(120b)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디오 접속점(120b)은 해당 지시자를 참조하여 라디오 접속점(120b)으로부터 라디오 접속점(120a)에게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단계 710)는 라디오 접속점(120a)이 서빙하는 특정 단말(100) 혹은 단말 그룹을 라디오 접속점(120b)으로 핸드오버 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b)과 통신 요소(300)는 실질적으로 같은 개체(또는 요소, 또는 장치)를 뜻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통신부(910) 및 제어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100)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92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라디오 접속점(120)의 블록구성도이다.
통신부(10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라디오 접속점(120)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2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점(12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요소(300)의 블록구성도이다.
통신부(111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요소(300)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12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요소(3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설명한 과정에서 쓰이는 메시지에 들어가는 정보는 다른 적절한 과정 혹은 새로운 과정에서 쓰이는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혹은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과정에서 쓰이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따로 정의된 과정 없이 라디오 접속점(120)과 통신 요소(30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업 과정에서 라디오 접속점(120)이 통신 요소(300)에게로 전달하는 RS 정보는 다른 과정을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과정이 반드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과정일 필요가 없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든 단계 및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메시지 전달도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쓰인 통신 요소(300)는 실시 예마다 다른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의 통신 요소(300)는 라디오 접속점(120)일 수 있고 제6 실시 예의 통신 요소(300)는 OAM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협력 통신 방법에 있어서,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으로 상기 할당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신호 설정 정보, 시간 설정 정보, 간섭 측정 자원 설정 정보, 위치 정보, RNTP(Relative Narrowband Tranmit Power) 정보 및 거의 빈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 AB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속하기에 적합한 라디오 접속점 집합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속하기에 적합한 라디오 접속점 집합이 없으면,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특성을 변경하여 라디오 접속점 집합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서비스 받도록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을 서비스하는 도중 새로운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조건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협력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GPRS(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으로 자원 상태 요청(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상태 요청 메시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보고해야 할 정보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보고 주기를 지시하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은 상기 주기 정보 또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단말이 사전에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하향링크(DL : Downlink) 데이터량, DL 버퍼 상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정보 및 셀 특정 기준 신호(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11.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라디오 접속점으로 상기 할당 결과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신호 설정 정보, 시간 설정 정보, 간섭 측정 자원 설정 정보, 위치 정보, RNTP(Relative Narrowband Tranmit Power) 정보 및 거의 빈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 AB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속하기에 적합한 라디오 접속점 집합을 식별하고,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속하기에 적합한 라디오 접속점 집합이 없으면,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특성을 변경하여 라디오 접속점 집합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서비스 받도록 핸드오버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을 서비스하는 도중 새로운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조건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GPRS(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ing Protocol, GTP)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으로 자원 상태 요청(Resource Statu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상태 요청 메시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보고해야 할 정보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의 보고 주기를 지시하는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은 상기 주기 정보 또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라디오 접속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비스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단말이 사전에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하향링크(DL : Downlink) 데이터량, DL 버퍼 상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정보 및 셀 특정 기준 신호(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KR20140049269A 2013-07-19 2014-04-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10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95A KR102182292B1 (ko) 2013-07-19 2014-06-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US14/763,122 US10312971B2 (en) 2013-07-19 2014-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827029.1A EP2936864B1 (en) 2013-07-19 2014-07-21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4/006607 WO2015009130A1 (en) 2013-07-19 2014-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480005875.9A CN104937967B (zh) 2013-07-19 2014-07-21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协作通信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647 2013-07-19
KR20130085647 2013-07-19
KR20140014337A KR20150010560A (ko) 2013-07-19 2014-02-07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140014337 2014-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566A true KR20150010566A (ko) 2015-01-28

Family

ID=524823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4337A KR20150010560A (ko) 2013-07-19 2014-02-07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49269A KR20150010566A (ko) 2013-07-19 2014-04-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140071095A KR102182292B1 (ko) 2013-07-19 2014-06-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4337A KR20150010560A (ko) 2013-07-19 2014-02-07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95A KR102182292B1 (ko) 2013-07-19 2014-06-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12971B2 (ko)
EP (1) EP2936864B1 (ko)
KR (3) KR20150010560A (ko)
CN (1) CN104937967B (ko)
WO (1) WO2015009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24124C (en) * 2012-08-24 2016-10-04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mixing a dilution air in a sequential combustion system of a gas turbine
KR20150015349A (ko)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라디오 접속점 간 조직화 방법 및 장치
JP6409282B2 (ja) * 2014-02-20 2018-10-24 ヤマハ株式会社 有線通信装置、有線通信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888469B2 (en) 2014-03-19 2018-02-06 Nec Corporation Signall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WO2015171108A1 (en) * 2014-05-05 2015-11-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230507B2 (en) 2014-09-25 2019-03-12 Nec Corporation Signalling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US10224986B2 (en) 2014-09-25 2019-03-05 Nec Corporation Signalling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US20160094321A1 (en) * 2014-09-25 2016-03-31 Nec Corporation Signalling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KR101722444B1 (ko) 2015-03-26 2017-04-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eg 및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막 및 그 제조방법
CN115066004A (zh) * 2016-01-21 2022-09-16 索尼公司 电子设备和通信方法
CN107733549B (zh) * 2016-08-10 2020-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质量信息计算方法、装置及系统
US10917290B2 (en) * 2017-02-22 2021-02-09 Nokia Technologies Oy Interface for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WO2021126024A1 (en) * 2019-12-17 2021-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bservation of resources by a coap cli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83B1 (ko) 2009-05-22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다중 포인트 통신을 위한 정보 피드백 방법
JP5426023B2 (ja) * 2009-06-23 2014-02-26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チャネル状態情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793272A1 (en) * 2010-02-12 2021-03-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ell-edge user performance and signaling radio link failure conditions via downlink cooperative component carriers
BR112013003207A2 (pt) 2010-08-12 2019-09-24 Fujitsu Ltd método de configuração de comunicação, estação base sem fio, e estação móvel
KR101746588B1 (ko) 2010-10-08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셀 정보 관리 방법
WO2012047005A2 (ko) * 2010-10-08 2012-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셀 정보 관리 방법
CN101998420B (zh) * 2010-11-12 2013-03-20 北京邮电大学 协作多点通信中的协作小区集合建立方法
WO2012067403A2 (ko) *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간섭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과 기지국이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96001B1 (ko) 2011-07-12 2018-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법
KR20140044358A (ko) * 2011-07-20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단말
JP5800022B2 (ja) * 2011-08-12 2015-10-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局
US9306638B2 (en) * 2011-08-25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enhancements for cooperative multi-point (CoMP) operations
US9578526B2 (en) * 2011-10-26 2017-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indication of interference mitigation
EP2774440A4 (en) * 2011-11-04 2015-10-21 Intel Corp LINKING ADAPTATION IN A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
GB2496198B (en) * 2011-11-07 2014-03-19 Broadcom Corp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N103139905B (zh) * 2011-11-29 2016-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用户设备进行定位的方法和装置
US9917629B2 (en) * 2011-12-14 2018-03-13 Qualcomm Incoroporated Multi-hypothesis channel quality indicator feedback
US9179332B2 (en) * 2012-03-19 2015-11-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rtificial interference injectio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US9231723B2 (en) * 2012-05-11 2016-01-05 Intel Corporation Coordinated dynamic point selection (DPS) with cell range expansion in a coordinated multipoint (CoMP) system
WO2013172746A1 (en) * 2012-05-16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45510A1 (en) * 2012-07-25 2014-02-13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GB2512599B (en) * 2013-04-02 2015-10-14 Broadcom Corp Joint scheduling in a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
US10034299B2 (en) * 2013-05-28 201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perating clusters i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7967A (zh) 2015-09-23
WO2015009130A1 (en) 2015-01-22
KR20150010577A (ko) 2015-01-28
KR102182292B1 (ko) 2020-11-25
KR20150010560A (ko) 2015-01-28
US20160119037A1 (en) 2016-04-28
EP2936864B1 (en) 2021-09-01
EP2936864A1 (en) 2015-10-28
EP2936864A4 (en) 2016-01-06
US10312971B2 (en) 2019-06-04
CN104937967B (zh)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9251B2 (ja) 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基地局の制御方法
KR1021822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JP6569779B2 (ja) マスター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RE47613E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mary point handovers
KR102018057B1 (ko) 중첩 셀 환경에서의 조정 다중점 송수신 방법
US201302588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onitor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access nodes
KR20160110974A (ko) 이중 연결에서의 특별한 Scell 선택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1149081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3086856A1 (en) System and Method of Radio Bearer Management for Multiple Point Transmission
US881201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6002159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EP2919518A1 (en) Handovers with co-operating cells configured to provide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US20180192357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Enabling a Network Node to Perform a Radio Operation Tas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