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342A - Transfer unit pipes - Google Patents

Transfer unit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42A
KR20150010342A KR1020130085223A KR20130085223A KR20150010342A KR 20150010342 A KR20150010342 A KR 20150010342A KR 1020130085223 A KR1020130085223 A KR 1020130085223A KR 20130085223 A KR20130085223 A KR 20130085223A KR 20150010342 A KR20150010342 A KR 20150010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ipe
frame
moving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4604B1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04B1/en
Publication of KR2015001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fer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 pipe transfer apparatus which includes a gantry lift having improved work efficiency in transferring circular or rod-shaped material; and a buffer transfer device transferring a pipe. The pipe transfer apparatus includes a buffer transfer device moving a pipe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gantry lift located at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buffer transfer device to grip the pipe to be mounted on the buffer transfer device to vertically be moved to another process, wherein the buffer transfer device includes a fixing frame having a groove capable of gripping the pipe; a moving fram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ing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pipe; a cam motor moving the moving frame; a sensor attached to the fixing frame to determine whether the groove is gripping the pipe; and a variable hook operated by the sensor signal, and having an upp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groove capable of gripping the pipe by a hinge, and one side portion connected to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in the moving frame by a hinge. The gantry lift can easily grip circular and rod-shaped material and an object to be processed. The buffer transfer device transfers objects to be transferred without omission, thereby having a work speed three to ten times faster than the prior art, and having improved work efficiency.

Description

파이프 이송장치 {Transfer unit pip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이나 봉 타입의 소재를 이송하는데 작업효율이 향상된 켄트리 리프트와, 파이프를 이송하는 버퍼 이송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p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transporting apparatus having a cantilever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in transporting a circular or rod type material and a buffer transport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pipe.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제조하기 위한 파이프를 성형함에 있어서, 각 공정별 가공이 끝나면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a pipe for manufacturing a hydraulic cylinder to the next step after finishing each process.

통상적으로 파이프를 이송하는 켄트리 리프트는 4축 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Typically, a four-axis control system is required for a Kent tree lift to transport pipes.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0788835의 4축 제어 갠트리 로더를 기술하고 있지만, 상기 4축 제어방식은 파이프 구경에 관계없이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지만, 제조단가가 높고, 각 공정별 이송속도가 늦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Although the 4-axis control gantry loader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88835 is described, the 4-axis control method can grasp the pipe irrespective of the pipe diameter,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feed rate is slow for each process Have.

또한, 파이프 형태의 피이송물을 파지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4398과 KR 10-1235480에서와 같이 집게형태로 양쪽으로 파지함에 따라, 피이송물이 일정한 유격을 가지면서 이송되어야 함에 따라 컨베어 벨트 및 이송장치 차지 공간이 넓어지는 것이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grasping a pipe-shaped article to be conveyed has a problem in that, as the articles are gripped on both sides in the form of a tongue as in Korean Patent No. 10-0524398 and KR 10-1235480, The conveyer belt and the transfer device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charge space is widened.

따라서, 피이송물의 이송속도를 단축할 수 있고, 적은 설치 비용으로 고효이율의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켄트리 리프트가 필요한 실정이며, 피이송물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파이프 구경에 관계없이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켄트리 리프트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antilever capable of shorten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ed object and operating the equipment with a high effective rate with a low installation cost. In the case where the conveyed object is not held, there is no projection, Which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can be easily grasped regardless of pipe diameter.

또한, 피이송물을 일정길이로 이송하는 버퍼 이송장치에 있어서, 검사 불량으로 제거되거나, 리프트의 이송이 없어 버퍼 이송장치에 피이송물이 없는 경우에, 이것을 인지하여, 빈 공간을 차기 피이송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버퍼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Further, in the buffer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object is removed due to inspection failure or there is no conveyance of the lift and there is no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buffer transfer apparatus, A buffer transfer device in which water is sequentially transferred is required.

1. KR 10-0788835, '4축 제어 갠트리 로더'. 등록일자 2007.12.18.1. KR 10-0788835, 'Four-axis control gantry loader'. Registration date 2007.12.18. 2. KR 10-0524398,'갠트리로봇 이송장치', 등록일자: 2005.10.20.2. KR 10-0524398, 'Gantry robot transfer device', registered on October 20, 2005. 3. KR 10-1235480, '가공기의 공작물 언로딩 장치', 등록일자: 2013.02.14.3. KR 10-1235480,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Registration date: 2013.02.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파이프 형태의 피이송물을 쉽게 파지할 수 있으며, 피이송물간의 유격이 없이도 파지 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 비해 이송속도를 단축할 수 있고, 적은 설치 비용으로 고효율의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켄트리 리프트와, 이송 간에 피이송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피이송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버퍼 이송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ripping a pipe-shaped conveyed object easily without gripping between the conveyed objects, And a buffer transfer device for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object to be transferred between the transferring object and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transfer devic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이송물인 파이프(200)을 일정거리를 이동시키는 버퍼 이송장치(300)와;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파이프(200)를 파지하여 버퍼 이송장치(300)에 올리거나, 타 공정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켄트리 리프트(100)로 구성된 파이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는, 파이프(200)을 파지할 수 있는 홈(321)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320)과; 상기 파이프(200)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30)과; 상기 이동프레임(330)을 이동시키는 캠모터(350)와; 상기 고정 프레임(320)에 부착되어, 홈(321)에 파이프(200)의 파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310)와; 상기 센서(310)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단부에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홈과, 일측부는 이동프레임(320)에 제 1링크(380)와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된 가변 후크(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transfer apparatus (300) for moving a pipe (200) which is a conveyed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ip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is a vertical pipe transfer device (300)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includes a fixed frame 320 having a groove 321 capable of holding a pipe 200; A moving frame 330 mov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pipe 200; A cam motor (350) for moving the moving frame (330); A sensor 310 attached to the fixed frame 320 to determine whether the pipe 200 is grasped by the groove 321; A groove which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sensor 310 and is capable of gripping the pipe at the upper end and a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320 by a variable hook 370 hinged with the first link 380 and the second link 39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porting apparatus.

또한, 상기 가변 후크(370)의 작동은, 상기 이동프레임(330)과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되며, 센서(31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360)와; 상기 실린더(360)의 왕복운동을 가변 후크(370)에 전달하며, 흰지 연결된 제 1링크( 380)과, 제 2링크(390)와; 상기 제 2링크(380)와 체결된 가변 후크(370)로 구성되어, 파이프(200)가 파지될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hook 370 may include a cylinder 360 hinged to the moving frame 330 and the second link 390 and actuated by a signal of the sensor 310; And transmit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360 to the variable hook 37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80, the second link 390, And a variable hook (370) fastened to the second link (380), and operates only when the pipe (200) is gripped.

또한, 상기 켄트리 리프트(100)는, 3축 방향 엑추에이터에 체결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면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지지대 역할을 하며, 내부 일측면부에 후크패드(53)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후크 가이드(61)와 브라켓 핀(57)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63)와, 아암(5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측면가이드(62)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유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하며, 가공물을 파지하는 한개 이상의 후크(55)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50)와;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를 수직왕복운동하게 하는 후크 작동 실린더(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 the can tree lift (100) includes: a plate (10) fastened to a three-axis direction actuator; A hook guide 61 for guiding a conveyance direction of the hook pad 53 and a bracket pin 57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acket pin 57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late 10, A vertical guide 63 and a side guide 62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rm 52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hook assembly (50) located within the frame (20) and including at least one hook (55) for gripping a workpiece; And a hook actuating cylinder (40)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hook assembly (50).

또한,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는, 상기 후크 작동 실린더(40) 일측면부와 체결되는 후크 브라켓(51)과; 상기 후크 브라켓(51)과 브라켓 핀(57)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며, 'ㄱ'자형태의 아암(52)와; 상기 아암(52)와 후크 핀(54)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후크(55)와; 상기 후크(55) 양측면부에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20)의 후크 가이드(61) 내에 접촉하면서,후크(55)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후크 패드(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hook assembly 50 includes a hook bracket 51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portion of the hook actuating cylinder 40; An arm 52 hingedly connected to the hook bracket 51 via a bracket pin 57; A hook 55 hinged to the arm 52 via a hook pin 54; And a hook pad (53)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hook (55)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hook (55) while contacting the hook guide (61) of the frame (20) ≪ / RTI >

또한, 상기 후크(55)는 가공물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 the hook 55 is inserted into the frame when the workpiece is not gripped.

또한, 상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이 이송중에 흔들림 또는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일측면부에 부착되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을 고정하는 클램프(31)와; 상기 클램프(31)과 체결된 고정 엑추에이터(30)와; 상기 엑추에이터(30) 로드의 흔들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샤프트(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hook 55 is attach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rame 20 to prevent the workpiece or the workpiece held by the hook 55 from shaking or dropping during transportation, (31); A fixed actuator (30) fastened to the clamp (31); And a guide shaft (32) for preventing shaking of the rod of the actuator (30).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첫째, 켄트리 리프트는 원형, 봉 형태 및 가공물을 쉽게 파지할 수 있고, 버퍼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빠짐없이 이송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3~10배 이상 작업속도가 빠르고, 작업효율이 높다. First, the Kent tree lift can easily grasp the round shape, the rod shape and the workpiece, and as the buffer transfer device conveys the conveyed object, the work speed is 3 ~ 10 time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rt, high.

둘째, 종래기술은 파이프 형태의 소재나 가공물을 양쪽에서 파지하지 위해서는 집게가 들어갈 공간이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크가 이송물 아래로 삽입하여 파지하므로,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파이프 구경에 구애없이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ly, in the prior art, a space is required to accommodate a pipe-shaped material or a workpiece from both sid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is inserted and held under the conveyed object, space can be minimiz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without courtship.

셋째, 버퍼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이 없을 경우에는 가변 후크가 작동하지 않고, 피이송물이 있는 경우에만 작동함에 따라, 피이송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Third, since the buffer transfer device does not operate the variable hook when there is no object to be dispensed, and is operated only when there is the object to be dispensed, the object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넛째, 켄트리 리프트는 프레임에 삽입되어, 피이송물의 아래에서 파지됨에 따라, 3축 방향 제어 리프트로 구조가 복잡한 가공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다.
Nut, the can tree lift is inserted into the frame and gripped under the conveyed object, the three-axis directional control lift can be easily grasped with a complicat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버퍼 이송기(300)의 후면도
도 3은 가변 후크 구성도
도 4는 켄트리 리프트(100)의 사시도
도 5는 켄트리 리프트(100)의 프레임(20) 일측면부와 커버(21)를 제거한 상태로, 프레임 내부구성도.
도 6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후크 어셈블리(50)의 구성도
도 7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프레임(2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61, 62, 63)의 사시도
도 8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후크 어셈블리(50) 작동전(A)과 파이프(200)의 파지 상태(B)의 상태도.
도 9는 파이프 성형공정에 적용된 이송장치.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buffer conveyor 300
Figure 3 shows a variable hook configur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ent tree lift 100.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tructure of the frame with the cover 2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20 of the can tree lift 100 removed.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hook assembly 50 of the can tree lift 100
7 is a perspective view of guides 61, 62 and 63 formed in the frame 20 of the can tree lift 100. Fig.
Fig. 8 is a state view of the retaining state (B) of the pipe 200 before the hook assembly 50 of the can tree lift 100 is operated.
Fig. 9 shows a transfer device applied to a pipe forming process. Fig.

본 발명은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원형이나 봉타입의 소재를 이송하는데 작업효율이 향상된 켄트리 리프트와, 파이프를 이송하는 버퍼 이송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p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transporting apparatus having a cantilever with an improved working efficiency in transporting circular or bar-shaped workpieces, and a buffer transport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pip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버퍼 이송기(300)의 후면도이며, 도 3은 가변 후크(370) 구성도이며, 도 4는 켄트리 리프트(100)의 사시도이다. 2 is a rear view of the buffer conveyor 300, FIG. 3 is a view of the variable hook 370,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n tree lift 100. FIG. to be.

본 발명의 파이프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인 파이프(200)를 일정거리를 이동시키는 버퍼 이송장치(300)와;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파이프(200)를 파지하여 버퍼 이송장치(300)에 올리거나, 타 공정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켄트리 리프트(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ipe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ffer conveying apparatus 300 for moving a pipe 200, which is a conveyed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antilever 100 positioned at a side of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to hold the pipe 200 and lift the pipe 200 to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or vertically move the buffer 200 to another process.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는, 파이프(200)을 파지할 수 있는 홈(321)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320)과; 상기 파이프(200)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30)과; 상기 이동프레임(330)을 이동시키는 캠모터(350)와; 상기 고정 프레임(320)에 부착되어, 홈(321)에 파이프(200)의 파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310)와; 상기 센서(310)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단부에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홈과, 일측부는 이동프레임(320)에 제 1링크(380)와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된 가변 후크(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includes a fixed frame 320 having a groove 321 capable of holding a pipe 200; A moving frame 330 mov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pipe 200; A cam motor (350) for moving the moving frame (330); A sensor 310 attached to the fixed frame 320 to determine whether the pipe 200 is grasped by the groove 321; A groove which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sensor 310 and is capable of gripping the pipe at the upper end and a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320 by a variable hook 370 hinged with the first link 380 and the second link 390 ).

또한, 상기 가변 후크(370)의 작동은, 상기 이동프레임(330)과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되며, 센서(31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360)와; 상기 실린더(360)의 왕복운동을 가변 후크(370)에 전달하며, 흰지 연결된 제 1링크(380)과, 제 2링크(390)와; 상기 제 2링크(380)와 체결된 가변 후크(370)로 구성되어, 파이프(200)가 고정프레임에 파지된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hook 370 may include a cylinder 360 hinged to the moving frame 330 and the second link 390 and actuated by a signal of the sensor 310; And transmit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360 to the variable hook 37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80, the second link 390, And a variable hook 370 fastened to the second link 380, and is operated only when the pipe 200 is gripped by the fixed frame.

도 2는 버퍼 이송기(300)의 후면도이면서, 상기 가변 후크(370)의 작동상태를 프로그래시브하게 나타낸 것이다.  2 is a rear view of the buffer feeder 300 and shows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variable hook 370 in a progressive manner.

상기 고정프레임(320)에 파이프(200)이 파지된 경우에는 센서(310)에 의해 파이프를 인지하면서, 상기 센서(310)의 신호에 의해 실린더(360)가 팽창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제 1링크(380)과 제 2링크(390)에 의해 가변 후크(370)가 이동프레임(330) 상단에 위치하게 되어, 캠모터(350)가 회전함에 따라 파이프는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When the pipe 360 is gripped by the fixed frame 320 and the cylinder 360 is inflated by the signal of the sensor 310 while sensing the pipe by the sensor 310, The variable hook 37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oving frame 330 by the first link 380 and the second link 390 so that the pipes sequentially move as the cam motor 350 rotates.

상기 제 1링크(380)와 제 2링크(390)은 양끝단부가 힌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링크(380)는 가변 후크(370)의 일측부와 제 2링크(390)과 힌지연결된되며, 제 2링크(390)는 이동프레임(330)과 제 1링크(380)과 힌지 연결된다. The first link 380 and the second link 390 are preferably hinged at both ends and the first link 380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riable hook 370 and the second link 390 And the second link 39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330 and the first link 380.

상기 제 2링크(390)의 일측부는 실린더(360)와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side of the second link 390 is hinged to the cylinder 360.

상기 실린더(360)는 유압실린더가 바람직하나, 파이프 중량에 따라 공압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The cylinder 360 is preferably a hydraulic cylinder, but can also operate with pneumatic pressure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pipe.

상기 캠모터(350)은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cam motor 350 is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켄트리 리프트(1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켄트리 리프트(100)의 프레임(20) 일측면부와 커버(21)를 제거한 상태로, 프레임 내부구성도이며, 도 6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후크 어셈블리(50)의 구성도이며, 도 7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프레임(2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61, 62, 63)의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n tree lift 100, Fig. 5 is an internal view of the fram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20 of the can tree lift 100 and the cover 21 remov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guides 61, 62 and 63 formed inside the frame 20 of the can tree lift 100. As shown in Fig.

본 발명 파이프 이송장치의 켄트리 리프트(100)는, 3축 방향 엑추에이터에 체결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면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지지대 역할을 하며, 내부 일측면부에 후크패드(53)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후크 가이드(61)와 브라켓 핀(57)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63)와, 아암(5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측면가이드(62)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유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하며, 가공물을 파지하는 한개 이상의 후크(55)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50)와;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를 수직왕복운동하게 하는 후크 작동 실린더(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n tree lift (100) of the pipe trans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 (10) fastened to a three-axis direction actuator; A hook guide 61 for guiding a conveyance direction of the hook pad 53 and a bracket pin 57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acket pin 57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late 10, A vertical guide 63 and a side guide 62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rm 52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hook assembly (50) located within the frame (20) and including at least one hook (55) for gripping a workpiece; And a hook actuating cylinder (40)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hook assembly (50).

상기 플레이트(10)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제어되는 엑추엑이터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ate 10 is preferably fastened to an exciter controlled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면부에 다수개의 샤프트 브라켓(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haft brackets 1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 10.

상기 샤프트 브라켓(11)에 연결된 샤프트와, 켄트리 리프트(100)가 피이송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양 끝단부에 슬라이딩 롤러(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bracket 11 and a sliding roller 12 at both ends of the shaft for moving the ken tree lift 100 while grasping the conveyed object.

도 6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후크 어셈블리(5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는, 후크 작동 실린더(40) 일측면부와 체결되는 후크 브라켓(51)과; 상기 후크 브라켓(51)과 브라켓 핀(57)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며, 'ㄱ'자형태의 아암(52)와; 상기 아암(52)와 후크 핀(54)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후크(55)와; 상기 후크(55) 양측면부에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20)의 후크 가이드(61) 내에 접촉하면서,후크(55)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후크 패드(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is a block diagram of the hook assembly 50 of the can tree lift 100.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assembly 50 includes a hook bracket 51 to be fasten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hook actuating cylinder 40; An arm 52 hingedly connected to the hook bracket 51 via a bracket pin 57; A hook 55 hinged to the arm 52 via a hook pin 54; And a hook pad 53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hook 55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hook 55 in contact with the hook guide 61 of the frame 20.

도 7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프레임(2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61, 62, 63)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guides 61, 62 and 63 formed inside the frame 20 of the can tree lift 100. Fig.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61, 62, 63)의 홈에 의해 후크(55), 아암(52)와 브라켓(51)의 이동방향을 제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hook 55, the arm 52 and the bracket 51 by the grooves of the guides 61, 62 and 63 formed inside the frame.

상기 브라켓 핀(57)은 후크 브라켓(51)을 관통하면서 양끝단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acket pins 57 may penetrate through the hook bracket 51 and have both end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브라켓 핀(57)의 돌출부는 수직가이드(63)의 홈과 일치하여, 후크 작동실린더(40)가 작동할 경우, 수직가이드(63)에 의해 브라켓(51)은 수직왕복운동을 한다.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pin 57 coincides with the groove of the vertical guide 63 so that when the hook actuating cylinder 40 is operated, the bracket 51 is vertically reciprocated by the vertical guide 63.

상기 아암(52)은 프레임 내측 측면부에 형성된 인라인 형태의 측면 가이드(62) 홈과 형합하면서 아암(52)의 이동경로를 안내받는다. The arm 52 is gui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arm 52 while cooperating with the groove of the side guide 62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ame.

상기 후크패드(53)는 프레임 내측에 형성된 완만한 곡률 곡선을 구비한 후크 가이드(61) 홈과 형합하면서 이동한다. The hook pad 53 is moved while cooperating with the groove of the hook guide 61 having a gentle curvature curve formed inside the frame.

도 8은 켄트리 리프트(100)의 후크 어셈블리(50) 작동전(A)과 파이프(200)의 파지 상태(B)의 상태도이며, 도 9는 파이프 성형공정에 적용된 이송장치이다. 8 is a state view of the can tree lift 100 before the operation of the hook assembly 50 and the gripping state B of the pipe 200, and Fig. 9 is a feeding device applied to the pipe forming process.

상기 후크패드(53)는 후크가이드(61) 홈에 삽입되어, 후크 작동실린더(4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크(55)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8의 A).The hook pad 53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ook guide 61 so that the hook pad 53 is inserted into the hook 55 frame when the hook actuating cylinder 40 is not operated.

피이송물을 파지하고할 경우에는, 후크 작동실린더(40)를 작동함에 따라 후크패드(53)은 프레임(20)의 내측에 형성된 후크 가이드(61)의 홈의 형상에 따라 돌출(도 8의 B)되어 피가공물 아래에서 파지 할 수 있게 된다. The hook pad 53 protrud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of the hook guide 6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20 B) and can be held under the workpiece.

따라서, 본 발명은 켄트리 리프트는 원형, 봉 형태 및 가공물을 쉽게 파지할 수 있고, 버퍼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빠짐없이 이송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3~10배 이상 작업속도가 빠르고, 작업효율이 높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amping device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circular shape, a rod shape, and a workpiece, and the buffer transfer device is capable of carrying out a conveyed object with a speed of 3 to 10 time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art, Work efficiency is high.

또한, 종래기술은 파이프 형태의 소재나 가공물을 양쪽에서 파지하지 위해서는 집게가 들어갈 공간이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크가 이송물 아래로 삽입하여 파지하므로,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파이프 구경에 구애없이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in the prior art,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lamps is required to grip the pipe-shaped material or the workpiece from both side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is inserted and gripped under the conveyed object, space can be minimiz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without courtship.

또한, 후크(55)가 피이송물이 없을 경우에는 프레임에 삽입되어, 이송속도가 빠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hook 55 is absent from the object to be conveyed, it is inserted into the frame, the conveying speed is fast, and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또한, 버퍼 이송장치(300)는 피이송물이 없을 경우에는 가변 후크가 작동하지 않고, 피이송물이 있는 경우에만 작동함에 따라, 피이송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Further, since the buffer transfer apparatus 300 does not operate the variable hooks when there is no object to be dispensed, and is operated only when there is the object to be dispensed, it can continuously supply the object to be dispens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이 이송중에 흔들림 또는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일측면부에 부착되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을 고정하는 클램프(31)와; 상기 클램프(31)과 체결된 고정 엑추에이터(30)와; 상기 엑추에이터(30) 로드의 흔들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샤프트(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or a workpiece gripped by the hook 55 is attach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rame 20 in order to prevent shaking or falling during transportation, A clamp 31 for clamping the wafer W; A fixed actuator (30) fastened to the clamp (31); And a guide shaft (32) for preventing the rod of the actuator (30) from being shake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플레이트 11: 샤프트 브라켓 12: 슬라이딩 롤러
20: 프레임 21: 커버 30: 엑추에이터
31: 클램프 40: 후크 작동실린더 50: 후크 어셈블리
51: 후크 브라켓 52: 아암 53: 후크패드
54: 핀 55: 후크 56: 워크 패드
57: 브라켓 핀 61: 후크가이드 62: 측면 가이드
63: 수직 가이드 70: 인서트 100: 켄트리 리프트
200: 파이프 300: 버퍼 이송장치 310: 센서
320: 고정프레임 321: 홈 330: 이동프레임
340: 수직고정프레임 350: 캠모터 360: 실린더(엑추에어터)
370: 가변 후크 380: 제1링크 390: 제 2링크
10: plate 11: shaft bracket 12: sliding roller
20: Frame 21: Cover 30: Actuator
31: Clamp 40: Hook actuating cylinder 50: Hook assembly
51: hook bracket 52: arm 53: hook pad
54: pin 55: hook 56: workpiece pad
57: bracket pin 61: hook guide 62: side guide
63: vertical guide 70: insert 100: ken tree lift
200: pipe 300: buffer transfer device 310: sensor
320: fixed frame 321: groove 330: movable frame
340: Vertical fixing frame 350: Cam motor 360: Cylinder (actuator)
370: variable hook 380: first link 390: second link

Claims (6)

피이송물인 파이프(200)를 일정거리를 이동시키는 버퍼 이송장치(300)와;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파이프(200)를 파지하여 버퍼 이송장치(300)에 올리거나, 타 공정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켄트리 리프트(100)로 구성된 파이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 이송장치(300)는, 파이프(200)을 파지할 수 있는 홈(321)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320)과;
상기 파이프(200)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30)과;
상기 이동프레임(330)을 이동시키는 캠모터(350)와;
상기 고정 프레임(320)에 부착되어, 홈(321)에 파이프(200)의 파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310)와;
상기 센서(310)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단부에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홈과, 일측부는 이동프레임(320)에 제 1링크(380)와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된 가변 후크(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A buffer transfer device (300) for moving the pipe (200) which is a conveyed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ip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is a vertical pipe transfer device (300)
The buffer transfer device 300 includes a fixed frame 320 having a groove 321 capable of holding a pipe 200;
A moving frame 330 mov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pipe 200;
A cam motor (350) for moving the moving frame (330);
A sensor 310 attached to the fixed frame 320 to determine whether the pipe 200 is grasped by the groove 321;
A groove which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sensor 310 and is capable of gripping the pipe at the upper end and a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320 by a variable hook 370 hinged with the first link 380 and the second link 390 And the pipe convey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후크(370)의 작동은,
상기 이동프레임(330)과 제 2링크(390)와 힌지 연결되며, 센서(31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360)와;
상기 실린더(360)의 왕복운동을 가변 후크(370)에 전달하며, 흰지 연결된 제 1링크(380)과, 제 2링크(390)와;
상기 제 2링크(380)와 체결된 가변 후크(370)로 구성되어, 파이프(200)가 파지된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hook 370,
A cylinder 360 hinged to the moving frame 330 and the second link 390 and actuated by a signal from the sensor 310;
And transmit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360 to the variable hook 37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80, the second link 390,
And a variable hook (370) fastened to the second link (380), and operates only when the pipe (200) is gripp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켄트리 리프트(100)는,
3축 방향 엑추에이터에 체결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면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지지대 역할을 하며, 내부 일측면부에 후크패드(53)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후크 가이드(61)와 브라켓 핀(57)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63)와, 내측 측면부에 아암(5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측면가이드(62)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유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하며, 가공물을 파지하는 한개 이상의 후크(55)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50)와;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를 수직왕복운동하게 하는 후크 작동 실린더(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n tree lift (100)
A plate (10) fastened to the three-axis direction actuator;
A hook guide 61 for guiding a conveyance direction of the hook pad 53 and a bracket pin 57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acket pin 57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late 10, A vertical guide 63 and a side guide 62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rm 52 to the inner side surface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hook assembly (50) located within the frame (20) and including at least one hook (55) for gripping a workpiece;
And a hook actuating cylinder (40)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hook assembly (5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는,
상기 후크 작동 실린더(40) 일측면부와 체결되는 후크 브라켓(51)과;
상기 후크 브라켓(51)과 브라켓 핀(57)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며, 'ㄱ'자형태의 아암(52)와;
상기 아암(52)와 후크 핀(54)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후크(55)와;
상기 후크(55) 양측면부에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20)의 후크 가이드(61) 내에 접촉하면서,후크(55)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후크 패드(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ook assembly (50)
A hook bracket (51) fasten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hook actuating cylinder (40);
An arm 52 hingedly connected to the hook bracket 51 via a bracket pin 57;
A hook 55 hinged to the arm 52 via a hook pin 54;
And a hook pad (53)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hook (55)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hook (55) while contacting the hook guide (61) of the frame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55)는 가공물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55) is inserted into the frame when not gripping the workpie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이 이송중에 흔들림 또는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일측면부에 부착되며, 후크(55)에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을 고정하는 클램프(31)와;
상기 클램프(31)과 체결된 고정 엑추에이터(30)와;
상기 엑추에이터(30) 로드의 흔들임을 방지하는 가이드 샤프트(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hook (55) is attach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rame (20) for preventing the work or material gripped by the hook (55) from shaking or dropping during transportation, )Wow;
A fixed actuator (30) fastened to the clamp (31);
Further comprising a guide shaft (32) for preventing the rods of the actuator (30) from being shaken.
KR1020130085223A 2013-07-19 2013-07-19 Transfer unit pipes KR101494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23A KR101494604B1 (en) 2013-07-19 2013-07-19 Transfer unit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23A KR101494604B1 (en) 2013-07-19 2013-07-19 Transfer unit pi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42A true KR20150010342A (en) 2015-01-28
KR101494604B1 KR101494604B1 (en) 2015-03-09

Family

ID=5248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223A KR101494604B1 (en) 2013-07-19 2013-07-19 Transfer unit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0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0364A (en) * 2016-07-15 2016-12-07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full-automatic pipe perforating press
CN109368108A (en) * 2018-11-09 2019-02-22 武汉锦隆工程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evice for expecting library automatically for making steel the sampling of refining zone thermometric
KR20190061482A (en) 2017-11-28 2019-06-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ipe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on of pipe painting for various hanger
CN110523947A (en) * 2019-08-24 2019-12-03 浙江深澳机械工程有限公司 Rocker arm type connecting pipe weighing device of centrifugal pipe casting machine
CN112875194A (en) * 2021-02-03 2021-06-01 湖州师范学院求真学院 Workpiece transfer device for machining
CN113601220A (en) * 2021-08-12 2021-11-05 佛山市南海区辰丰机械有限公司 Eight-line rear positioning device for pipe sealing
CN114194772A (en) * 2021-12-17 2022-03-18 广东兴发铝业(江西)有限公司 Aluminium alloy discharge apparatus based on inter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34B1 (en) 2016-06-02 2016-10-07 신영윤 Automatic sorting and feeding device
CN106040810B (en) * 2016-07-07 2018-06-29 宁波新世达精密机械有限公司 A kind of full-automatic beading machine
KR102161840B1 (en) 2019-12-17 2020-10-05 성신메카텍(주) Hooking device for transferring material
KR102195628B1 (en) * 2020-03-10 2020-12-28 우영산업(주) Swing table for cutting machine for feed of cutting target
KR102604636B1 (en) * 2021-10-01 2023-11-23 에스아이에스(주) Core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9215A (en) * 1975-07-01 1977-06-14 Midcon Pipeline Equipment Co. Pipe handling apparatus for pipe laying barges
JPH0561117U (en) * 1992-01-21 1993-08-10 村田機械株式会社 Pipe thread feeder
JP2597786B2 (en) * 1992-04-21 1997-04-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Pipe transfer device
JP3664775B2 (en) * 1995-06-30 2005-06-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Cylindrical loading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0364A (en) * 2016-07-15 2016-12-07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full-automatic pipe perforating press
CN106180364B (en) * 2016-07-15 2019-03-05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full-automatic pipe perforating press
KR20190061482A (en) 2017-11-28 2019-06-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ipe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on of pipe painting for various hanger
CN109368108A (en) * 2018-11-09 2019-02-22 武汉锦隆工程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evice for expecting library automatically for making steel the sampling of refining zone thermometric
CN109368108B (en) * 2018-11-09 2024-05-28 武汉锦隆工程技术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 temperature measurement sampling material warehouse in steelmaking refining area
CN110523947A (en) * 2019-08-24 2019-12-03 浙江深澳机械工程有限公司 Rocker arm type connecting pipe weighing device of centrifugal pipe casting machine
CN110523947B (en) * 2019-08-24 2022-03-01 浙江深澳机械工程有限公司 Rocker arm type connecting pipe weighing device of centrifugal pipe casting machine
CN112875194A (en) * 2021-02-03 2021-06-01 湖州师范学院求真学院 Workpiece transfer device for machining
CN113601220A (en) * 2021-08-12 2021-11-05 佛山市南海区辰丰机械有限公司 Eight-line rear positioning device for pipe sealing
CN114194772A (en) * 2021-12-17 2022-03-18 广东兴发铝业(江西)有限公司 Aluminium alloy discharge apparatus based on internet
CN114194772B (en) * 2021-12-17 2023-12-19 广东兴发铝业(江西)有限公司 Aluminum profile discharging device based on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04B1 (en)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604B1 (en) Transfer unit pipes
JP5981811B2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of transport system
KR10242252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metal products
WO2019082113A1 (en) Apparatus for unscrambling randomly arranged containers
EP2893987B1 (en) Work processing apparatus and die moving method for work processing apparatus
CN111212943B (en) Machine for treating linen in an industrial laundry system, method for operating the machine and industrial laundry system
ITBO20120241A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CESSING WOOD OR SIMILAR COMPONENTS
KR101474990B1 (en) Bar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conveyor
JP6071549B2 (en) Transport system
JP2016038938A (en) Twist cable production device and twist cable production method
ITTO20100491A1 (en) TUBE BENDER MACHINE WITH AUTOMATIC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LOADING OF TUBES ON THE BENDING HEAD OF A TUBE BENDER.
KR101314040B1 (en) Wrapping Apparatus
KR101553810B1 (en) Automatic transfering device
JP2009012135A (en) Conveying device
KR101877836B1 (en) Conveyor apparatus for rotating a meterial in material production equipment
KR102138999B1 (en) Apparutus for supplying and polishing of subject matter
KR10149381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lab
EP3167969B1 (en) Machine to process bars made of aluminium, light alloys, pvc or the like
WO2018155688A1 (en) Robot and robot system
CN210339524U (en) Automatic buffer memory equipment of product
KR101591349B1 (en) Sleeve automatic insert system
US3659693A (en) Loading device for processing machines
KR101104926B1 (en) Apparatus for suppling steel bar of magenetic drum type
JPH057234Y2 (en)
JP2657592B2 (en) Bracket mounting device to hose e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