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096A -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096A
KR20150010096A KR1020130084603A KR20130084603A KR20150010096A KR 20150010096 A KR20150010096 A KR 20150010096A KR 1020130084603 A KR1020130084603 A KR 1020130084603A KR 20130084603 A KR20130084603 A KR 20130084603A KR 20150010096 A KR20150010096 A KR 2015001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xhaust gas
generator engine
mai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096A/ko
Publication of KR2015001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가 마련되는 주배기관부와 상기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 열교환부와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가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서 분기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재순환 시키는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waste-heat recovering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메인 엔진 및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폐열로 스팀을 만드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보일러는 연료를 사용하여 증기를 생산하는 장치이고, 이코노마이저는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로 선박 등에서 사용되는 증기를 만드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보일러는 겨울철 운항시 일반 항해 조건에 대비하여 증기 요구량이 많아지는 경우, 그에 따라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겨울철에만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으로 인한 연료의 손실과 CO2의 배출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운항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구동되는 D/G(diesel generator) 엔진으로부터 증기를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1937호(공개일 : 2010.02.26)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이코노마이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주배기관의 구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를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가 마련되는 주배기관부와 상기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 열교환부와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가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서 분기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재순환 시키는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는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로부터의 열전달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단열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배기관부는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조절하는 밸브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상기 메인 엔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분기된 배기라인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는 상기 주배기관부 내부에서 상기 발전기 엔진의 개수에 대응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는 인입된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상기 주배기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되는 복수의 열교환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이 구비된 나머지 영역에는 물이 공급되어 상기 인입된 배기가스의 열로 인해 스팀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주배기관의 구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주배기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A-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B-B`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흐름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주배기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A-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주배관부(100),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및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주배관부(100)에는 메인 엔진(10)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20)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30)가 마련된다.
상기 주배관부(100)는, 후술 될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및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가 일체형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는 메인 엔진(10)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30)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는 선박의 항해를 위하여 구동되는 메인 엔진(1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배출통로(30)를 통해 인입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한편,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발전기 엔진(20)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30)에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상기 발전기 엔진(20)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주배관부(100) 내부에서 상기 발전기 엔진(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상기 주배관부(100) 내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상기 주배기관부(100)에 구획되어 배치되고, 발전기 엔진(20)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가 선택적으로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후술 될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가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연결된다.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는, 상기 발전기 엔진(20)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30)에서 분기된다.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는, 상기 배출통로(30) 상에서 분기되어 기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를 거치지 않고 배출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는, 선박의 항해 시, 메인 엔진(1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통해 충분한 스팀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재순환될 수 있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는, 주배관부(100)에 구획되어 배치됨에 있어서,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로부터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단열재(50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재(500)는 상기 엔진 바이패스부(400)의 외주면에 공간을 형성한 후, 충진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는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에서 배기가스의 열교환이 이루지면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주배관부(100)에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및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를 일체형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B-B`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는 복수의 열교환관(31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310)은,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로 인입된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주배기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310)은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가 배치되는 상기 주배기관부(100)의 구획 영역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310)이 구비된 상기 구획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는, 물이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310)으로 인입된 배기가스의 열로 인해 스팀을 발생시킨다.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에는, 상기 열교환관(310)으로 인입된 배기가스의 열로 인하여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 관(210, 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의 나머지 영역에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20, 330)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로 인입된 배기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효과적으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열교환관(310)을 배치하여, 상기 열교환관(310) 배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기관부(100)는 배기라인(110) 및 밸브(1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주배기관부(100)는 발전기 엔진(20)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라인(110) 및 상기 밸브(120)를 구비한다.
상기 배기라인(110)은, 상기 발전기 엔진(20)의 배출통로(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기라인(110)은, 상기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및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분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기라인(100)에는 댐퍼(damper)로 형성된 밸브(12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120)는,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밸브(120)는,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와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분기된 배기라인(110) 중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측 배기라인(110)에 설치되고, 후술 될 제어부(600)에 의해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는 메인 엔진(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분기된 배기라인(110)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120)를 제어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만일 상기 메인 엔진(10)이 구동되면, 발생된 배기가스에 의해 메인 엔진 열교환부(200)에서 충분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는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통해 스팀을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배기라인(110)에 구비된 밸브(120)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가스가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600)는 선박이 정박하여 메인 엔진(10)이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에 의해 스팀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120)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상기 제어부(600)를 통해 상기 발전기 엔진(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300) 또는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400)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스팀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주배기관의 구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메인 엔진 20 : 발전기 엔진
30 : 배출통로 100 : 주배관부
110 : 배기라인 120 : 밸브
200 : 메인 엔진 열교환부 210, 320 : 배출관
220, 330 : 급수관 300 :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310 : 열 교환관 400 :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
500 : 단열재 600 : 제어부

Claims (6)

  1.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와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가 마련되는 주배기관부;
    상기 메인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 열교환부;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의 배가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에서 분기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재순환 시키는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는,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로부터의 열전달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관부는,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발전기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 및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조절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는,
    상기 메인 엔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발전기 엔진 바이패스부로 분기된 배기라인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는,
    상기 주배기관부 내부에서 상기 발전기 엔진의 개수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엔진 열교환부 및 발전기 엔진 열교환부는,
    인입된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상기 주배기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져 형성되는 복수의 열교환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관이 구비된 나머지 영역에는 물이 공급되어 상기 인입된 배기가스의 열로 인해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KR1020130084603A 2013-07-18 2013-07-18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KR20150010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603A KR20150010096A (ko) 2013-07-18 2013-07-18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603A KR20150010096A (ko) 2013-07-18 2013-07-18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96A true KR20150010096A (ko) 2015-01-28

Family

ID=5248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603A KR20150010096A (ko) 2013-07-18 2013-07-18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0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493A (zh) * 2018-04-24 2019-11-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热交换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493A (zh) * 2018-04-24 2019-11-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热交换器
CN110397493B (zh) * 2018-04-24 2022-09-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热交换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2411B1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CN202281212U (zh) 一种电站锅炉二次再热系统
CN102374524A (zh) 一种电站锅炉二次再热系统
CA2754465C (en) Device with a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t exchanger of a steam generating plant
RU2014113685A (ru) Реактивная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а
KR101655174B1 (ko) 수냉식 인터쿨러 장치
KR20150010096A (ko)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KR102020309B1 (ko) 선박용 보일러
KR101454385B1 (ko) 선박
CN106762115A (zh) 一种具有补偿功能的热电联产系统
KR102084549B1 (ko) 가스 기화기
JP2007333238A (ja) 給湯システムの運転方法及び給湯システム
JP5403486B2 (ja) ボイラ
KR20150012037A (ko) 선박의 이코노마이저
CN105298554A (zh) 压缩空气储能发电系统
KR20120009290A (ko) 선박의 청수 발생기용 열공급 시스템
CN104896461B (zh) 一种内置分流装置的可调式蒸汽冷却器
CN105102771A (zh) 用于发电厂的灵活运转的方法
CN105317554A (zh) 压缩空气储能发电方法
JPH0364603A (ja) 蒸気タービンへの給気方法及び装置
KR102075610B1 (ko) 배기가스 이코노마이저
KR102115055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폐열회수시스템
KR101414267B1 (ko) 고온 재생기
KR20170114014A (ko)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JP3183921U (ja) 船舶の居住区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