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41A -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41A
KR20150009041A KR20130081053A KR20130081053A KR20150009041A KR 20150009041 A KR20150009041 A KR 20150009041A KR 20130081053 A KR20130081053 A KR 20130081053A KR 20130081053 A KR20130081053 A KR 20130081053A KR 20150009041 A KR20150009041 A KR 2015000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ent screen
content
boundary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041A/ko
Publication of KR2015000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요청을 감지하는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단계;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감지 시 화면의 경계이면 설정된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경계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화면의 특정 경계에 다다르거나 통과하면, 컨텐츠 화면에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경계를 지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CREEN I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텐츠 화면 이동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그 활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화면을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하며, 사용자의 페이지 이동 요구에 따라 페이지 단위의 화면을 이동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화면(home screen)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application screen)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페이지 단위의 실행 아이콘들을 배열 또는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런 페이지들은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면들을 이동시킬 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텐츠 화면 표시 시,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의 그 너머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 받으면, 사용자 이벤트에 대응하는 다음 페이지의 컨텐츠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같은 방향으로 계속되는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하면, 컨텐츠 화면의 끝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컨텐츠 화면의 끝에서 시작으로 링크되는 루핑(Looping)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루핑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아무런 효과를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바운스 백(BOUNCE BACK) 또는 블링킹(blinking)과 같은 효과를 표시하여 더 이상 표시할 컨텐츠 화면(즉, 시작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이 없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루핑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화면)으로 이동 요구를 감지하면, 휴대단말기는 아무런 효과 없이 마지막 컨텐츠 화면(또는 시작 컨텐츠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면 이동 방법은 화면의 경계에서 아무런 효과없이 제자리에 멈춰져 있는 경우, 사용자는 피드백을 받지 못해 해당 상황을 오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특히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컨텐츠의 시작/끝 부분에서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컨텐츠 내용만 보고서는 화면의 시작 또는 마지막의 경계에서 화면이 이동되어 표시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화면의 페이지 이동 시, 특정 경계 영역에 다다르거나 넘어서면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경계 영역에 다다르거나 넘어서면 페이지 단위로 효과를 적용하고, 해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에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요청을 감지하는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단계;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감지 시 화면의 경계이면 설정된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경계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요청 감지 시 컨텐츠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며, 화면의 경계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 화면을 표시한 후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화면 표시하고, 컨텐츠 화면의 페이지를 이동 시, 특정 경계 영역에 다다르면 컨텐츠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적용된 효과를 통하여 특정 경계 영역에 다다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경계 통과 시, 효과를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루핑을 지원하는 여부에 따라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루핑 지원 시,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리스트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에서 루핑 지원 시,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리스트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에서 루핑 지원하지 않을 시,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화면은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텍스트, 이미지, 리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화면은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메뉴 화면, 퀵 패널, 다양한 리스트 화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경계라는 용어는 복수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되는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경계, 또는 상위 및 하위 리스트(즉, depth)를 가지는 화면에서 상위 또는 하위 리스트로 이동되는 시작 또는 마지막 리스트의 경계(depth의 변경) 위치가 될 수 있다. 이하 시작 컨텐츠 화면(또는 마지막 컨텐츠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또는 시작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페이지라는 용어는 복수의 컨텐츠 화면 중에서 휴대단말기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하나의 컨텐츠 화면에 해당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정방향이라는 용어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 이동 시 움직이는 방향이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츠 화면이라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츠 화면이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역방향이라는 용어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 이동 시 움직이는 방향이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츠 화면이라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츠 화면이라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CDMA, LTE, WCAMA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휴대단말기(100)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컨텐츠 화면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등)를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고 있으며, 화면의 경계화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30)은 터치패널(131)과 표시패널(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31)은 표시패널(132)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31)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터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13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경계의 상이에 나타내는 효과 면적을 넓히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감지한다.
한편, 표시패널(132)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컨텐츠 화면 이동 시, 제어부(140)는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의 시작 또는 끝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 또는 끝을 통과하는 루핑(Looping)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고,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루핑을 지원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때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때 경계에서 경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루핑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은 시작 컨텐츠 화면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 이동 요구가 감지되면 설정된 경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이동할 때 화면의 경계영역에 다다르거나 넘어서면, 컨텐츠 영역의 일부 혹은 전체에 경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컨텐츠 화면만 보고 있어도 쉽게 특정 경계에 다다랐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경계 통과 시, 효과를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화면의 경계에서 컨텐츠 화면의 이동이 요구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40)는 201단계에서 표시패널(132)에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은 텍스트 및 이미지로 구성된 메뉴 화면, 홈 화면, 리스트 화면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화면은 루핑을 지원하는 컨텐츠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패널(132)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패널(132)에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화면 이동을 요청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요청은 터치, 탭, 드래그, 드래그 앤 드랍,플릭(flick), 멀티터치 등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루어지는 드래그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텐츠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인터렉션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203단계에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으로 감지한다. 그러나 상기 203단계에서 감지한 사용자 요청이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것이 아니면, 즉, 드래그 인터렉션이 아니면, 21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해당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널(131)을 통하여 아이콘 탭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1단계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203단계에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205단계에서 표시패널(132)에 표시하는 화면의 위치를 확인하고, 컨텐츠 화면이 경계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는 복수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된 화면들 중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요청에 의해 컨텐츠 화면 이동 시 표시패널(132)에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이 시작 컨텐츠 화면 및 마지막 컨텐츠 화면이 아니면(즉, 경계를 통과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는 20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 페이지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이 있다고 가정하면, 시작 컨텐츠 화면은 1페이지이고, 마지막 컨텐츠 화면은 3페이지일 것이다. 표시패널(132)에 1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2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역방향의 사용자 요청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루어지는 드래그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화면을 2페이지로 이동시켜 표시패널(13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205단계에서 컨텐츠 화면의 경계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207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 화면을 이동시키고, 기 설정된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효과는 휴대단말기(100)의 제조 단계 또는 사용자 설정단계에서 설정되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효과는 색상의 반전, 명도, 채도, 색상 등을 지정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화면(예컨대, 메뉴화면) 표시 시, 제어부(140)는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컨텐츠화면의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의 경계를 통과할 때 시작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 사이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경계를 통과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를 구체화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루핑을 지원하는 여부에 따라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표시패널(132)에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화면은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홈 화면, 퀵 패널 등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303단계에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은 드래그일 수 있으며, 컨텐츠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입력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아니면(예컨대, 탭), 313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기능(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303단계에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305단계에서 표시하는 현재의 컨텐츠 화면이 경계에 다다랐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는 복수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된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경계일 수 있다.
305단계에서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이 경계가 아니면, 제어부(140)는 313단계에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시패널(132)에 표시하는 현재의 컨텐츠 화면이 시작 컨텐츠 화면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이 아니라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된 화면에서 두번 째 페이지에서 세번째 페이지로 이동하는 사용자 요청(역방향,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드래그)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세 번째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페이지에서 시작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정방향 사용자 요청(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드래그)를 감지하면, 시작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305단계 검사 결과, 표시하는 현재의 컨텐츠 화면이 경계에 다다르면, 제어부(140)는 307단계에서 루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루핑은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이 경계에 도달하면, 링크로 연결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으로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루핑을 지원하는 컨텐츠 화면인 경우, 제어부(140)는 309단계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사이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화면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효과가 적용된 경계화면일 수 있다.
도4a 내지 도 4b및 도 5를 통하여 도 3의 309단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루핑 지원 시,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410>화면은 세 개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세 개의 컨텐츠 화면에는 각각 아이콘, 위젯 등이 표시되어 있다. 세 번째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401과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역방향으로)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세 번째 컨텐츠 화면은 컨텐츠 화면의 마지막 컨텐츠 화면이기 때문에 우측에 더 이상 표시할 컨텐츠 화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루핑 지원 시, 제어부(140)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다음 컨텐츠 화면으로 시작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마지막 컨텐츠화면(또는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때, 마지막 컨텐츠 화면과 시작 컨텐츠 화면 사이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화면은 시작 컨텐츠화면과 마지막 컨텐화면 사이에 링크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컨텐츠 화면에서 색상의 반전, 명도, 채도 등이 변경된 화면일 수 있다.
<410>화면에서401방향으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어부(140)는 상기 경계화면을 <411>화면과 같이 상기 경계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하고 마지막 컨텐츠 화면을 왼쪽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412>화면과 같이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의 경계화면을 표시하고, <413>화면과 같이 상기 경계화면을 왼쪽에 표시하며, 오른쪽에는 링크로 연결된 시작 컨텐츠 화면을 조금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401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에 의하여 <413>화면 표시 후, <414>화면과 같이 시작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의 경계에서 사용자 요청을 감지하면, 링크로 연결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화면의 경계 통과 시, 제어부(140)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경계에서 효과가 적용된 효과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420>화면은 다수의 컨텐츠 화면으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컨텐츠 화면은 루핑을 지원하는 화면으로 아이콘 및 위젯이 표시된 홈 화면일 수 있다. 마지막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403과 같이 역방향으로(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를 감지하면, <421>화면과 같이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크기를 점차 작게 하고, 빈 공간에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크기를 작게한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즉, 마지막 컨텐츠 화면)은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왼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오른쪽에 상기 마지막 컨텐츠 화면과 링크로 연결된 시작 컨텐츠 화면을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403과같이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컨텐츠 화면을 이동 할 때, <422>화면과 같이 상기 컨텐츠 화면을 작게하여 반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422>화면과 같이 빈 공간(즉, 컨텐츠 화면의 경계)에 효과가 적용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효과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효과가 점차 흐려질 수 있고, 명도, 채도, 색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효과가 발현될 수도 있다. <423>화면은 403드래그에 의하여 <422>화면에서 조그맣게 보이는 시작 컨텐츠 화면의 크기를 조금 더 크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403드래그에 의하여 시작 컨텐츠 화면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빈 공간에 상기 경계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424>화면과 같이 감지한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시작 컨텐츠 화면을 크게하여 표시패널(132)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오른쪽으로 사용자 요청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화면 이동 시, 상기 컨텐츠 화면의 사이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시, 제어부(140)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크기는 점차 작게하고, 시작 컨텐츠 화면의 크기는 점차 크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마지막 컨텐츠 화면과 시작 컨텐츠 화면을 반반 표시하는 지점(즉, 경계화면이 가장 많이 표시되는 지점)에서 제어부(140)는 효과를 가장 강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화면의 경계를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리스트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에서 루핑 지원 시,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10>화면은 세 개의 상위리스트(501,502,503) 및 하위리스트(즉, depth)를 가지는 컨텐츠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depth를 가지는 컨텐츠 화면에서 경계는 상위 리스트에 해당하는 하위리스트의 시작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과 다른 상위리스트에 해당하는 시작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은 루핑을 지원하는 컨텐츠 화면인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각각의 리스트들은 아이템(예컨대, 이미지 파일)으로 구성될 수 있다. <510>화면에서 첫 번째 상위리스트(501)는 하위 리스트를 다수 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위리스트(501)의 시작 컨텐츠 화면은 상위리스트(501)에 해당하는 하위리스트 중에서 첫번째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계 위치이다. 또한, 상위리스트(501)의 마지막 컨텐츠 화면은 상위리스트(501)의 하위리스트 중에서 마지막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계 위치이다.
<510>화면과 같이 상위 리스트 및 하위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수직응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를 530과 같이 역방향(즉, 하측에서 상측)으로 감지하면,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화면이 이동되면서 컨텐츠 화면의 첫번째 상위리스트(501)의 하위리스트 중에서 마지막 이미지(51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의 경계(5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경계(500)에서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효과를 적용한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화면은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작은 크기의 경계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화면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후, <520>화면과 같이 사용자 요청 진행 방향에 따라서 다음 상위리스트(502)의 시작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위 리스트의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다음 상위리스트의 시작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의 경계 위치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화면을 표시한 이후, 제어부(140)는 다음 상위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307 단계에서 루핑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311단계에서 현재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에서 효과가 적용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조 단계 또는 사용자 설정단계에서 설정되어, 색상, 명도, 채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또한 상기 효과는 컨텐츠 화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311단계는 도 6을 통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리스트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에서 루핑 지원하지 않을 시, 경계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화면은 리스트로 구성된 컨텐츠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611과 같이 정방향(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03단계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드래그(611)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30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화면이 경계를 표시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경계는 컨텐츠 화면의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305단계에서 <610>화면과 같이 경계(600)을 표시하면, 제어부(140)는 307단계에서 루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 때,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으로 루핑을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311단계에서 <620>화면과 같이 현재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에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화면은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작은 크기일 수 있으며, 컨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에서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 컨텐츠 화면에서 동일한 크기에서 컨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로 크기를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화면은 <610>화면에서 611과 같은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이 계속 되면, 제어부(140)는 효과를 더욱 선명하도록 하거나 면적을 넓게한 경계 화면을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화면 표시 후, 제어부(140)는 312단계에서 현재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 화면을 다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40)는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 감지 시, 컨텐츠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은 루핑을 지원하지 않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시, 경계에 다다르면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서 효과를 적용한 경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효과가 적용된 경계화면을 통하여 경계에 다다른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 방향에 따라 컨텐츠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화면을 이동할 때, 제어부(140)는 경계에 다다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경계를 통과는 루핑을 지원하거나 지원하지 않으면 효과를 적용한 경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루핑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앱 아이콘을 복수의 컨텐츠 화면에 걸쳐 표시하는 메뉴에서 루핑을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태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영역(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 할 때, 제어부(140)는 이동 중간(즉,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사이)에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화면을 표시할 때, 제어부(140)는 상기 경계화면에서 시작 컨텐츠 화면과 마지막 컨텐츠 화면이 이동하면서 반반씩 보일 때 가장 넓고 강하게 보이며, 페이지가 완전히 넘어가면 효과는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루핑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하로 이동하는 리스트의 경우, 컨텐츠 화면의 마지막 컨텐츠 화면(또는 시작 컨텐츠 화면)에 다다르면, 제어부(140)는 하측 영역(또는 상측영역)에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컨텐츠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이 계속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은 고정하고,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화면은 사용자 입력에 맞춰 넓어질 수 있고, 효과 영역이 넓어지면서 효과의 강도도 세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사용자입력의 움직임이 멈추면, 지정된 효과 역시 변하지 않고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면, 효과영역은 서서히 줄어들고 강도를 약하게할 수 있다. 또한, 좌우로 이동하는 리스트의 경우, 제어부(140)는 가장 왼쪽의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더 왼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예컨대, 드래그)를 감지하면 효과가 적용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계는 시작 또는 마지막 컨텐츠 화면의 끝뿐만 아니라 중간에도 컨텐츠 화면의 의미상 컨텐츠를 구분 지을 필요가 있다면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리스트에 해당하는 하위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위리스트의 한 아이테의 경계마다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리스트가 멈춰있으면, 제어부(140)는 효과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경계에 효과를 적용한 경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40 : 제어부

Claims (23)

  1.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요청을 감지하는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단계;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감지 시 화면의 경계이면 설정된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경계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 표시 단계는,
    루핑을 지원하는 컨텐츠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경계화면에 이어서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시,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방향이 정방향이면, 시작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화면을 표시한 후 마지막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방향이 역방향이면,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화면을 표시한 후 시작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은,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며,
    상기 역방향은,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의 명도, 채도, 색상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화면 표시 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크기를 작게 변경하여 경계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 표시 종료 시, 다음 컨텐츠 화면의 크기를 크게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단계는,
    루핑을 지원하지 않는 컨텐츠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경계 화면 표시 후,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시, 현재 컨텐츠 화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방향이 시작 컨텐츠 화면에서 정방향이면, 시작 컨텐츠 화면에 상기 경계 화면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이동 방향이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서 역방향이면, 마직막 컨텐츠 화면에 상기 경계 화면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은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며,
    상기 역방향은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은
    상기 경계화면은 상기 컨텐츠 화면의 명도, 채도, 색상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화면을 이동 요청이 계속 되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경계화면의 효과를 넓게하거나 강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컨텐츠 화면의 이동 요청 감지 시 컨텐츠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며, 화면의 경계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 화면을 표시한 후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루핑을 지원하지 않는 컨텐츠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경계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이전의 컨텐츠 화면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화면 표시 시 시작 컨텐츠화면과 마지막 컨텐츠화면 사이에 링크로 연결하며, 상기 컨텐츠화면과 동일한 크기 또는 작은 화면 크기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신호는 드래그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감지 시 드래그 방향을 감지하여 컨텐츠 화면이 표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화면 이동 요청 시,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정방향이면, 시작 컨텐츠 화면에 이어서 경계화면을 표시한 후 마지막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역방향이면 마지막 컨텐츠 화면에 이어 경계화면을 표시한 후 시작 컨텐츠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방향을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역방향을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컨텐츠 화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경계화면을 상기 컨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에서 넓게 하여 표시하고, 다음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화면을 상기 컨텐츠 화면에서 명도, 채도,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30081053A 2013-07-10 2013-07-10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09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053A KR20150009041A (ko) 2013-07-10 2013-07-10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053A KR20150009041A (ko) 2013-07-10 2013-07-10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41A true KR20150009041A (ko) 2015-01-26

Family

ID=5257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053A KR20150009041A (ko) 2013-07-10 2013-07-10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693B2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4054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sturally changing object attributes
US201900259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2020037168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04482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US112694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79174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30052743A (ko) 항목 선택 방법
KR20150013991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6013232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US2018003224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ving icons between different pages
KR2011010793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콘 제어 방법
KR201300815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95039B1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85187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size of screen object
JP6412778B2 (ja) 映像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9063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600837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50009041A (ko) 휴대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3503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31327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