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27A -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27A
KR20150009027A KR1020130079994A KR20130079994A KR20150009027A KR 20150009027 A KR20150009027 A KR 20150009027A KR 1020130079994 A KR1020130079994 A KR 1020130079994A KR 20130079994 A KR20130079994 A KR 20130079994A KR 20150009027 A KR20150009027 A KR 2015000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position
sound output
sound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739B1 (ko
Inventor
나보연
강재현
김광태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39B1/ko
Priority to US14/327,443 priority patent/US9268471B2/en
Publication of KR2015000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34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electrical steering of transducer arrays, e.g. beam steering
    • G10K11/341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은, 목표 위치의 상기 장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ING SOUND BASED ON LOCATION}
본 명세서는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에 기반한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용 단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부 휴대용 단말 장치들은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는 수신 호 요청이 있을 때, 혹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방향이 적절히 설정되지 않거나 소리가 방향성 없이 모든 방향으로 출력되는 경우가 많다. 그 소리 출력의 크기도 적절히 설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그 사용자와 동일한 크기의 소리를 전달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함 또는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방식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방향 및/또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은, 목표 위치의 상기 장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장치는, 소리의 출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 목표 위치의 상기 소리 출력 장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소리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스피커는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210)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210)의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목표 위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목표 위치 설정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목표 위치는 소리 출력 장치의 소리를 도달시키려는 목표가 되는 위치를 일컫는다. 소리 출력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와 유사한 방식에 따라 목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위치에 적절한 소리 출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장치는,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지향성 스피커(121), 표시부(132),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는 센서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성이 불필요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62)가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에게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유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이 불필요한 소리 출력 장치(100)의 경우 통신부(110)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지향성 스피커(121)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지향성 스피커(121)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방향을 조정하고 그 방향으로 집중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121)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가 감지하는 소리의 크기는 그 외의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가 감지하는 소리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크다. 따라서 지향성 스피커(121)가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출력되는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지만 그 외의 방향에 위치하는 사람은 출력되는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다. 지향성 스피커(121)는 오디오 처리부(120)를 통해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의 방향 조정 방식 및 스피커 출력의 방향성 획득은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피커 소리 출력의 방향 조정 없이 소리 출력의 크기만을 조정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지향성 스피커(121)는 방향성 없는 스피커, 또는 방향 조정이 불가능한 스피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입력부(140)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및/또는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명세서의 터치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 센서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에게로 전송한다.
키패드는 소리 출력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패드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 출력 장치(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센서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소리 출력 장치의 경우에는 키패드가 생략될 수도 있다. 반대로 키패드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소리 출력 장치의 경우에는 터치센서가 생략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40)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위치 및/또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는 터치(멀티 터치 포함), 드래그, 키 입력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리 출력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2)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표시부(13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목표 위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소리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소리 출력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소리 출력 장치(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소리 출력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목표 위치의 위치 정보 및 그에 연관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지향성 스피커(121)의 소리 출력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목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소리 출력 장치(100)의 표시부(132) 및 제어부(140)를 제어한다.
센서부(16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부(162)의 구체적인 구성은 각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62)가 생략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목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소리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제어부(160)는 목표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목표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소리 출력 장치(100)에 대해 목표 위치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인 방향 관련 정보 및/또는 소리 출력 장치(100)와 목표 위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인 거리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소리 출력 장치(100)가 호 요청을 수신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러한 이벤트에 대해 소리 출력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소리 출력 장치(100)가 설정된 경우 출력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알람 시간이 도래한 경우에도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타 소리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면 과정은 단계 230으로 진행한다.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과정은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단계 220단계에 머무른다.
변형 예에 따르면, 소리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이벤트 중 특히 일부 이벤트만이 목표 위치를 고려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해당 일부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만 단계 230 내지 단계 250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소리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이벤트 중 목표 위치를 고려하지 않도록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목표 위치에 대한 고려 없이 종래 방식에 따라 소리를 출력한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에 따라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방향을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지향성 스피커(121)가 목표 위치를 향하도록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방향은 출력되는 소리가 특히 크게 들리는 방향을 일컫는다. 출력 방향 외의 방향에서는 소리가 비교적 작게 들리고 출력방향에서는 소리가 비교적 크게 들리
지향성 스피커(121)가 모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없고 일부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제한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목표 위치의 방향이 지향성 스피커(121)가 향할 수 없도록 제한된 방향인 경우 제어부(160)는 지향성 스피커(121)가 목표 위치의 방향과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목표 위치의 방향이 지향성 스피커(121)가 향할 수 없도록 제한된 방향인 경우 제어부(160)는 지향성 스피커(121)를 이용하지 않고 종래 방식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기 이전이라도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면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방향을 다시 설정하지 않고 이전에 설정된 방향을 유지하여 지향성 스피커(121)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60)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따라 지향성 스피커(121)의 소리 출력 크기를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목표 위치와 소리 출력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지향성 스피커(121)의 소리 출력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크기가 목표 위치와 소리 출력 장치(100)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소리 출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 출력 크기의 설정은 지향성 스피커(121)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입력되는 신호 중 지향성 스피커(121)가 출력하게 될 소리의 크기에 대응되는 속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기 이전이라도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조건이 만족되면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크기를 다시 설정하지 않고 이전에 설정된 출력 크기를 유지하여 지향성 스피커(121)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60)는 단계 230 및 단계 240의 설정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도록 지향성 스피커(121)를 제어한다.
변형 예에 따르면 단계 230 및 단계 240 중 어느 하나만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만이 이용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240의 과정은 생략되고, 이 경우 소리 출력 장치(100)와 목표 위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의 수집/획득/추정 등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와 목표 위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만이 이용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230의 과정은 생략되고, 이 경우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의 방향에 관한 정보의 수집/획득/추정 등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210)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160)는 카메라를 통해 화상을 획득한다. 단계 320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 및 입력부(140)를 통해 상기 획득된 화상 위에 목표 위치 및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의 배경이 되는 화상은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전달하는 화상이 될 수도 있고, 그 이전의 일정 시점에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정지 화상이 될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 입력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표 위치 및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목표 위치와 소리 출력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첫 화면(410)에서 목표 위치(취침 위치)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화면에 표시된 침대 및 탁자가 포함된 화면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화상이다. 입력부(140)는 목표 위치(412)를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60)에게 전달한다. 두 번째 화면(42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위치(424)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두 번째 화면(420)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 화면(410)에서 설정된 목표 위치를 표시하는 아이콘(422)이 제공된다. 입력부(140)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424)를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60)에게 전달한다. 세 번째 화면(430)에서 전 화면(410)에서 설정된 목표 위치를 표시하는 아이콘(422) 및 전 화면(420)에서 설정된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434)이 표시된다. 세 번째 화면(430)에서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위치 설정을 위한 입력 과정이 종료된다.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 및/또는 목표 위치의 설정을 위한 입력은 터치 센서를 통한 입력 또는 키 입력을 통한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가 이용되는 경우 주로 인터페이스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 및 목표 위치 또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를 확정하는 키가 사용될 것이다.
자동 초점(오토 포커스)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 정보를 카메라로부터 수신하여 화상이 촬영될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각 위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제공을 위해 소리 출력 장치(100)는 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 또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방향을 일부 조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방향을 조정하고, 카메라가 필요한 거리 정보를 모두 획득하면 소리 출력 장치(100)는 더 이상의 방향 조정이 필요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는 거리 측정을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고 촬영된 화상에서 선택된 특정 위치와 촬영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제어부(16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화상에 포함된 심도 정보, 초점 정보 등을 이용해 선택된 특정 위치와 촬영될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화면들(410, 420)에서 설정된 위치들 사이의 거리를 확정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표시되는 화상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의 앞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윗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설정 정보를 통해서 소리 출력 장치(100)의 지향성 스피커(121)가 목표 위치로 향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설정돼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추정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의 센서부(162)는 도 4에서 표시되는 화상이 촬영된 이후 소리 출력 장치(10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회전이 감지되면 촬영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 방향에 대해 수정을 가하고, 최종적으로 소리 출력이 필요할 때 추정되는 배치 방향에 따라 목표 위치의 상대적인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의 센서부(162)는 중력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중력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정보를 통해 촬영된 화상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이 연직방향으로 어떠한 방향인지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어떠한 방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소리 출력이 필요할 때 소리 출력 장치(100)는 중력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소리 출력이 필요할 때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촬영 당시의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 방향 추정값 및 소리 출력이 필요할 때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추정값을 이용해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지향성 스피커(121)가 목표 위치로 향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설정돼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추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210)의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목표 위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목표 위치 설정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는 입력부(132)를 통해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제1 입력은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에 소리 출력 장치(100)가 위치하는 위치가 목표 위치임을 지시하는 입력이다. 단계 52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의 센서부(162)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160)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해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목표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b에서 사용자는 목표 위치(62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의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도 6a)를 통해 제1 입력을 입력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32) 및 입력부를 통해 도 6a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확인 버튼(610)을 터치하거나 선택하여 제1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입력을 입력한 이후 사용자는 소리 출력 장치(100)를 탁자 위(630)에 가져다 놓는다. 소리 출력 장치(100)의 센서부(162)는 제1 입력이 수신된 후 소리 출력 장치(100)의 경로 정보를 수집한다. 경로 정보는 소리 출력 장치(100)가 이동한 경로 및/또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배치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62)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지자기 센서, 회전 센서, 중력 센서 및 기타 유사한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62)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모듈을 통해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경로 정보 수집을 중단하도록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는 제1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는 소리 출력 장치(100)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추가적 변형 예에 따르면 소리 출력 장치(100)는 목표 위치를 이용한 소리 출력이 있을 때까지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후 호 요청 수신이나 알람 시각 도래 등의 이유로 소리가 출력되어야 할 때를 위해 제어부(160)는 목표 위치의 상대적 거리 및/또는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지향성 스피커(121)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거나 및/또는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모식도이다.
단계 71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는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음성을 감지한다.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음성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음성 구문(예: "목표 위치 설정")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또는 텍스트 형태로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이후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음성에 해당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목표 위치(820)에서 미리 설정된 음성 구문 "Good night Galaxy"를 소리내어 말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는 자신(100)의 위치(830)에서 소리를 수신하여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음성 구문임을 판단해 낼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소리 출력 장치(100)는 단계 710의 감지된 음성의 크기를 이용해 위치(830)로부터 목표 위치(820)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후 거리에 관한 추정 정보는 지향성 스피커(121)의 음성 출력 크기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단계 720의 과정은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와 목표 위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 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센서부(162)는 센서부(162)에 포함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820)로 향하는 상대적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 위치(820)의 사용자가 주변에 비하여 더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온도나 벽, 바닥의 온도보다 인체의 온도가 높으므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사람이 위치한 곳(820)을 파악해 낼 수 있다. 단계 730의 과정은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 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소리 출력 장치(100)로부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단계 710의 감지된 음성의 방향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구현을 위해 소리 출력 장치(100)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더와 같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둘 이상의 방향성 마이크, 또는 주기적으로 방향을 바꾸어 회전하는 방향성 마이크가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방향성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마이크를 이용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파악하고, 도플러 효과를 고려하여 음성 신호의 방향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상대적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모식도이다.
단계 910에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타 짧은 거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일부가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리 출력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목표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 장치는 소리 출력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과 통신하거나, 소리 출력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게 외부 장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나 기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신호는 외부 장치와 소리 출력 장치(100) 사이에 미리 약속된 형태의 신호가 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제어부(160)는 단계 910의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목표 위치(=외부 장치의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출력 장치(100)(1030에 위치)는 위치(1020)의 사용자가 소지한 스타일러스 펜(외부 장치의 일종)으로부터 발생하는 NFC 신호를 감지하여 목표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해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약할수록 거리가 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 예에서는 거리의 추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에 따라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리 출력 장치(160)는 근거리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더 잘 수신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해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 위치 정보를 소리 출력 장치(1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100)는 수신한 외부 출력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소리 출력 장치(100)의 위치 정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목표 위치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르면 목표 위치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어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사용자에게만 적절한 소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리 출력 장치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에 있어서,
    목표 위치의 상기 장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라 출력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출력 크기 및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화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화상 위에 상기 목표 위치 및 상기 장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목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수신 시점 이후에 상기 장치가 이동한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음성이 감지되면, 해당 음성의 크기를 이용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출력 방법.
  7. 소리 출력 장치에 있어서,
    소리의 출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
    목표 위치의 상기 소리 출력 장치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소리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향성 스피커는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라 출력 크기를 설정하고,
    상기 지향성 스피커는 상기 설정된 출력 크기 및 상기 설정된 출력 방향에 따라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화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화상 위에 상기 목표 위치 및 상기 장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목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의 수신 시점 이후에 상기 장치가 이동한 경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음성이 감지되면, 해당 음성의 크기를 이용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신호를 감지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출력 장치.
KR1020130079994A 2013-07-09 2013-07-09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10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994A KR102109739B1 (ko) 2013-07-09 2013-07-09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US14/327,443 US9268471B2 (en) 2013-07-09 2014-07-09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rectional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994A KR102109739B1 (ko) 2013-07-09 2013-07-09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27A true KR20150009027A (ko) 2015-01-26
KR102109739B1 KR102109739B1 (ko) 2020-05-12

Family

ID=5227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994A KR102109739B1 (ko) 2013-07-09 2013-07-09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8471B2 (ko)
KR (1) KR102109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171B2 (en) 2015-06-09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231132A1 (ko) * 2019-05-10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저전력을 이용한 음성 신호 수신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793A (zh) * 2015-11-18 2017-05-24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声音播放控制方法及其装置
KR102549689B1 (ko) * 2015-12-24 2023-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US11317204B2 (en) 2016-03-31 2022-04-2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 phase array directed speaker
WO2019195799A1 (en) * 2018-04-05 2019-10-10 Synaptics Incorporated Context-aware control for smart devices
US10674306B2 (en) * 2018-08-14 2020-06-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directional sound provided by mobile computing device
CN112312273B (zh) * 2020-11-06 2023-0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声音播放方法、声音接收方法和电子设备
CN113747303B (zh) * 2021-09-06 2023-11-10 上海科技大学 定向声束耳语交互系统、控制方法、控制终端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1387A1 (en) * 2009-02-17 2010-08-1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peech processing with source location estimation using signals from two or more microphones
KR20110087530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팬택 목표물에 대한 위치 정보 획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물의 정보 획득 방법
KR20110098556A (ko) * 2010-02-26 2011-09-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최적의 사운드 제공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US20130089218A1 (en) * 2010-07-23 2013-04-1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Audio equipment and oscillation uni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682B2 (en) * 2000-12-15 2012-10-02 Tvipr, Llc Device for monitoring movement of shipped goods
US20040114772A1 (en) * 2002-03-21 2004-06-17 David Zlotnick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udio signals with a desired direction
US7269452B2 (en) * 2003-04-15 2007-09-11 Ipventure, Inc.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6008790A1 (ja) * 2004-07-15 2006-01-26 C & N Inc 携帯端末装置
KR101316750B1 (ko) * 2007-01-23 201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101133672B1 (ko) 2007-06-28 2012-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향성 스피커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A2695841C (en) * 2007-08-06 2016-11-08 Trx Systems, Inc. Locating, tracking, and/or monitoring personnel and/or assets both indoors and outdoors
US20090156249A1 (en) * 2007-12-12 2009-06-18 John Ruckart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se with devices having audio output within a spatially controlled output beam
US8488799B2 (en) * 2008-09-11 2013-07-16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sound monitoring over a network
US8788676B2 (en) * 2009-05-22 2014-07-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to or from a mobile device
US20110003550A1 (en) * 2009-07-03 2011-01-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actile input for accessories
US8315673B2 (en) * 2010-01-12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display to select a target object for communication
KR20110093031A (ko) 2010-02-11 2011-08-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US20120134507A1 (en) * 2010-11-30 2012-05-31 Dimitriadis Dimitrios B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Voice Control
US8781436B2 (en) * 2011-08-09 2014-07-15 Ht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user to configure custom voice alarms/event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147122B2 (en) * 2012-05-3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ose estimation based on peripher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1387A1 (en) * 2009-02-17 2010-08-1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peech processing with source location estimation using signals from two or more microphones
KR20110087530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팬택 목표물에 대한 위치 정보 획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표물의 정보 획득 방법
KR20110098556A (ko) * 2010-02-26 2011-09-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최적의 사운드 제공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US20130089218A1 (en) * 2010-07-23 2013-04-1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Audio equipment and oscillation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171B2 (en) 2015-06-09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231132A1 (ko) * 2019-05-10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저전력을 이용한 음성 신호 수신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US11903056B2 (en) 2019-05-10 2024-02-13 Lg Electronics, Inc. Voice signal receiving method using Bluetooth low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8471B2 (en) 2016-02-23
KR102109739B1 (ko) 2020-05-12
US20150018038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739B1 (ko) 위치 기반 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410802B1 (ko) 마커 포인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0015836B2 (en)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KR102127640B1 (ko) 휴대 단말 및 보청기와 휴대 단말에서 음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US10605250B2 (en) Fan an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fan
KR102037412B1 (ko)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US2017007883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locating wearable device
US8254984B2 (en) Speaker activ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7001311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ravel path condition prompt
EP29277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
US20110054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mapping
JP2017505466A (ja) 自動ピント合わ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9154097A1 (zh) 对地磁信息进行更新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800886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environment picture
US201701470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air mouse remote controller and terminal device
US20240094970A1 (en) Electronic system for producing a coordinated output using wireless localization of multip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5125210A1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10306394B1 (en) Method of managing a plurality of devices
CN113269877A (zh) 获取房间布局平面图的方法和电子设备
CN111383243B (zh) 一种跟踪目标对象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586577B (zh) 定位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18090202A1 (zh) 一种障碍物提示的方法和终端设备
US96190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allpaper image on screen
KR102318519B1 (ko)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4023130B (zh) 位置提醒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