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995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995A
KR20150008995A KR1020130078483A KR20130078483A KR20150008995A KR 20150008995 A KR20150008995 A KR 20150008995A KR 1020130078483 A KR1020130078483 A KR 1020130078483A KR 20130078483 A KR20130078483 A KR 20130078483A KR 20150008995 A KR20150008995 A KR 20150008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icon
auxiliary display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성민
이자은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8995A/ko
Priority to US14/208,708 priority patent/US20150012850A1/en
Publication of KR2015000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상에 배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경계를 지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 기판을 채용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플라스틱과 같은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기판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고, 휘거나 굽힐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과 더불어 그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입체적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아이콘의 이동 효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휴대감과 시각적 효과를 더해주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포함한 복수의 입체적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상에 배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상기 경계를 지나는 상기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일체로 형성된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소정의 각도들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예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이동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상기 아이콘의 이동 명령, 복사 명령, 삭제 명령 및 실행 명령 중 상응하는 하나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해 다른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콘의 이동 명령 또는 복사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깥쪽으로 던져지면 상기 아이콘의 삭제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상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후면상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상기 경계를 지나는 상기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상기 상측 경사면 및 상기 하측 경사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상기 좌측 경사면 및 상기 우측 경사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소정의 각도들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예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및 제4 소정의 각도들은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둔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들의 계면간 아이콘 등의 이동 시 이동 효과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곡면부위 설계로 인해 휴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을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양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며, 디스플레이부들의 계면간 아이콘 등의 이동 시 이동 효과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곡면부위 설계로 인해 휴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개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배치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문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160, 170, 180, 1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상에 배치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60),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70),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90),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부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195)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경계를 지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일체로 형성된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며,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를 중심으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꺾어져 휴대 단말기(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체로 형성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소정의 각을 이루며 꺾어지거나 구부러지는 선을 기준으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와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꺾어지며 이루는 각도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를 연장한 평면과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만나는 면이 이루는 각도로 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 면을 기준으로 예각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미도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모바일 시스템-온-칩(mobile System-On-Chip(SOC)),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등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버스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은 휴대 단말기(100)의 아이콘(195)을 표시하고, 아이콘(195)의 실행 명령, 이동 명령, 복사 명령 및 삭제 명령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100)가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비활성화되고, 휴대 단말기(100)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다는 것은, 이미지 등이 표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센서가 기능하지 않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없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설정을 변경하여 모든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을 비활성화시킨다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만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195)이 이동되는 방향에 의해 아이콘(195)의 이동 명령, 복사 명령 및 삭제 명령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아이콘(195)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해 다른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이동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아이콘(195)의 이동 명령 또는 복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아이콘(195)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깥쪽으로 던져지면, 아이콘(195)의 삭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아이콘(195)이 하나의 다른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아이콘(195)이 이동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동된 아이콘(195)에 대한 이동 명령, 복사 명령. 삭제 명령 및 실행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 경계를 지날 때, 아이콘의 이동 속도, 모양 또는 크기가 변화하는 것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하거나 사용자가 이동 효과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아이콘(195)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어느 하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195)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실행중인 화면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상기 실행중인 화면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60)에 위치하는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 이동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인터넷 연결 창이 표시되며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실행 중인 인터넷 창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상기 인터넷 창이 사라지며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40),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부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OELD, 투명 LCD 등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195)의 이동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의 이동 효과란, 아이콘의 이동 시 아이콘의 이동속도,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물결 형태로 구성된다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하여 아이콘(195)이 상기 물결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날 때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아이콘(195)의 모양은 물결 형태로 계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와 복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을 입체적으로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부들의 경계간 또는 곡면에서 아이콘(195) 등의 이동 시 이동 효과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곡면부위 설계로 인해 휴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베이스밴드 칩 셋(baseband chipset)과 같은 모뎀, 전력 공급을 위한 파워 서플라이, 버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스피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 메모리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Processor; CI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oP(Package on Package), BGAs(Ball grid arrays), CSPs(Chip scale packages), PLCC(Plastic Leaded Chip Carrier), PDIP(Plastic Dual In-Line Package),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OB(Chip On Board), CERDIP(Ceramic Dual In-Line Package), MQFP(Plastic Metric Quad Flat Pack), TQFP(Thin Quad Flat-Pack), SOIC(Small Outline Integrated Circuit), SSOP(Shrink Small Outline Package), TSOP(Thin Small Outline Package), TQFP(Thin Quad Flat-Pack), SIP(System In Package), MCP(Multi Chip Package), WFP(Wafer-level Fabricated Package), WSP(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 등과 같은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개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배치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60), 하측에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70), 좌측에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 및 우측에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화면(220)을 표시할 수 있고,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은 휴대 단말기(100)네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세서 등의 아이콘들(240, 250, 260, 27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이 소정의 제1 내지 제4 각도(a1, a2, a3, a4)를 형성하며 꺾어져 휴대 단말기(1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300)과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이 각각 이루는 각(a1, a2, a3, a4)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구부러지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제1 내지 제4 각도들(a1, a2, a3, a4)은 90˚보다 작은 임의의 예각일 수 있고,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각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비활성화(400)될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화된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터치 등을 인식하지 못하고, 나머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들의 동작으로 휴대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아이콘들(240, 250, 260, 270)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상에 표시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20)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아이콘들(240, 250, 260, 270)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들간을 이동할 수 있다. 아이콘들(240, 250, 260, 270)의 이동 시, 제어부는 아이콘들(240, 250, 260, 270)의 이동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들의 경계를 지날 때, 아이콘의 이동 속도, 모양 또는 크기가 변화하는 것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하거나 사용자가 이동 효과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보조디스플레이부들(160, 170, 180, 190) 중 어느 하나의 경계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 아이콘이 이동하는 경우, 구부러진 경계의 형태에 맞추어 아이콘이 접히는 모양으로 변하며,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이동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된 아이콘(500)이 사용자에 의해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90)로 드래그 앤 드롭 됨으로써, 아이콘(500)의 복사 명령 또는 이동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아이콘(500)이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90)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콘을 이동할 것인지 복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확인메시지(510)가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아이콘(500)은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90)로 이동하여 표시되고, '복사'를 클릭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500)과 같은 아이콘이 우측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아이콘의 이동 또는 복사는 보조 디스플레이부간의 이동 또는 복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 또는 복사되고,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 또는 복사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명령 또는 복사 명령을 취소하려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된 취소 버튼을 클릭하거나, 디스플레이부의 확인메시지(510) 이외의 영역을 클릭하여 이동 또는 복사 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아이콘(500)이 사용자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깥쪽으로 던져짐으로써, 아이콘의 삭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에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600)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600)을 메인 디스플레이부(140)로 드래그 앤 드롭 하거나, 던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는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시키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20)을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180)로 드래그 앤 드롭 하거나, 던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는 실행 중인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표시되는 윈도우가 없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제어부는 실행중인 화면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로의 이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10)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700)을 구비한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부(160, 170, 180, 190) 및 제어부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2 개의 곡률로 이루어진 곡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700)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곡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70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움켜쥘 때 휴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형태의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700)을 아이콘이 지나가는 경우, 곡면 영역을 지나는 아이콘(720)은 이동 속도, 모양 또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하는 이동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아이콘(720)은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700)의 형태에 맞춰 구부러진 모양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어부는 아이콘(720)의 이동 속도, 모양 및 크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 보조 디스플레이부(850, 860, 870, 88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상에 배치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하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50),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60),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상에 배치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하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70),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80),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부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경계를 지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거나 지정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자 모양의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800, 820)로 구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상측 및 하측 경사면들을 둘러싸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50)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60)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820)은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과 좌측 및 우측 경사면을 둘러싸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70)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80)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와 상측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이 구부러지며 이루는 각도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를 연장한 평면과 상측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이 만나는 면이 이루는 각도(b1, b2)로 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면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예각일 수 있으며,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각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와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70, 880)이 구부러지며 이루는 각도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30)를 연장한 평면과 상측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이 만나는 면이 이루는 각도(b3, b4)로 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면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둔각일 수 있으며,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각 상이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은 휴대 단말기(100)의 아이콘(미도시)을 표시하고, 아이콘의 실행 명령, 이동 명령, 복사 명령 및 삭제 명령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100)가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비활성화되고, 휴대 단말기(100)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다는 것은, 이미지 등이 표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센서가 기능하지 않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없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설정을 변경하여 모든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을 비활성화시킨다면, 제1 또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들(830, 8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또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840)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이 이동되는 방향에 의해 아이콘의 이동 명령, 복사 명령 및 삭제 명령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해 다른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이동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아이콘의 이동 또는 복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깥쪽으로 던져지면, 아이콘의 삭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하나의 다른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아이콘이 이동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동된 아이콘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아이콘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84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또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840)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제1 또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840)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중인 화면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상기 실행중인 화면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850)에 위치하는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로 이동하면,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에는 인터넷 연결 창이 표시되며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고,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에서 실행 중인 인터넷 창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에서는 상기 인터넷 창이 사라지며 인터넷 접속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 경계를 지날 때, 아이콘의 이동 속도, 모양 또는 크기가 변화하는 것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들의 이동 효과는 휴대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하거나 사용자가 이동 효과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부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OLED, 투명 LCD 등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이동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의 이동 효과란, 아이콘의 이동 시 아이콘의 이동속도,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물결 형태로 구성된다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하여 아이콘이 상기 물결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날 때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아이콘의 모양은 물결 형태로 계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830)와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840) 및 복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들(850, 860, 870, 880)을 입체적으로 구비하여 양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디스플레이부들의 경계간 또는 곡면에서 아이콘 등의 이동 시 이동 효과를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곡면부위 설계로 인해 휴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 Computer),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2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8)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상에 배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상기 경계를 지나는 상기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일체로 형성된 십자 모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소정의 각도들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이동 명령, 복사 명령, 삭제 명령 및 실행 명령 중 상응하는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해 다른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콘의 이동 명령 또는 복사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깥쪽으로 던져지면 상기 아이콘의 삭제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로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실행 화면이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상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1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전면과 제2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하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후면상에 배치되는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후면과 제3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좌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후면과 제4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우측 경사면상에 배치되는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를 지날 때, 상기 경계를 지나는 상기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상기 상측 경사면 및 상기 하측 경사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상기 좌측 경사면 및 상기 우측 경사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측 보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소정의 각도들은 상기 제1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소정의 각도는 상기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연장한 평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이 만나는 면의 각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곽을 기준으로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디스플레이부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보조 디스플레이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이 이동할 때,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곡면에 따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이동 속도,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78483A 2013-07-04 2013-07-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008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83A KR20150008995A (ko) 2013-07-04 2013-07-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US14/208,708 US20150012850A1 (en) 2013-07-04 2014-03-13 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83A KR20150008995A (ko) 2013-07-04 2013-07-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95A true KR20150008995A (ko) 2015-01-26

Family

ID=5213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483A KR20150008995A (ko) 2013-07-04 2013-07-0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12850A1 (ko)
KR (1) KR201500089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5086B1 (en) * 2012-03-25 2021-12-22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monitor touchscreen interface
KR102252619B1 (ko) 2015-02-03 2021-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D914672S1 (en) * 2018-06-04 2021-03-30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cover and screen
KR102649236B1 (ko) 2019-04-04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251647A1 (ko) * 2020-06-12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상태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144A (en) * 1991-11-19 1999-02-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direct manipul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non-default drag and drop operation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US10728381B2 (en) * 1999-06-04 2020-07-28 Raman K. Rao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interfaces supporting authenticated high quality video, audio, TV and multimedia services
US6904001B1 (en) * 2001-01-05 2005-06-07 Rodger H. Rast Apparatus and methods of providing enhanced control for consumers
JP5074129B2 (ja) * 2007-08-21 2012-11-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8863038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EP3734404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816972B2 (en) * 2011-04-28 201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curved area
KR101832958B1 (ko) * 2011-06-01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43526A (ko) * 2011-10-20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US9158334B2 (en) *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flexing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US20140173471A1 (en) * 2012-12-19 2014-06-1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curved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2850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964B2 (en) Customization of GUI layout based on history of use
KR101384857B1 (ko) 연속 줌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들
JP486505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ドラッグ制御方法
KR102097361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60320891A1 (en) Electronic Display with a Virtual Bezel
TWI393045B (zh) 瀏覽多個應用視窗的方法、系統及圖形化使用者介面
JP4952733B2 (ja) コンテンツ表示端末及びコンテンツ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9632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7079079A (ja)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US20120229399A1 (en) Electronic device
KR2015000899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US9927973B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electronic device
JP2011070609A (ja) タッチパネル付情報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20792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49445A1 (en) Electronic device
KR102181887B1 (ko) 휴대 단말기
JP201124846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500790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20642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ドラッグ制御方法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6834808B2 (ja) 表示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TWI425412B (zh) 觸控式電子裝置
TW201324315A (zh) 依據軌跡屬性顯示目標資料之系統及其方法
CN103902136A (zh)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