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772A -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772A
KR20150008772A KR1020130083162A KR20130083162A KR20150008772A KR 20150008772 A KR20150008772 A KR 20150008772A KR 1020130083162 A KR1020130083162 A KR 1020130083162A KR 20130083162 A KR20130083162 A KR 20130083162A KR 20150008772 A KR20150008772 A KR 2015000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upper case
ultraviolet ligh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596B1 (ko
Inventor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씨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티엘 filed Critical (주)씨티엘
Priority to KR102013008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조명물에 대한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글로브 박스, 콘솔 박스, 오버헤드 콘솔 박스와 같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각종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수납용 박스 내부에 수납된 장갑이나 안경 등의 피조명물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LED lamp with a LED emitting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조명물에 대한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함께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p-n 접합구조를 가지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발생 되는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각종 조명기구와 액정디스플레이 TV 등의 전자제품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패키지(package)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각종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조명 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납용 박스로는, 보조석의 전방에 있는 수납함인 글로브 박스(Glove Box),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위치한 수납함인 콘솔 박스(Console Box), 룸미러 앞에 위치한 수납함인 오버헤드 콘솔 박스(Over-head Consol Box)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는,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납용 박스에 수납된 장갑이나 안경 등의 수납물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이 없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발생시키는 가시 광선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오히려 상기 수납물에 부착된 세균을 증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조명물에 대한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함께 가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꺼지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꺼지도록,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그네틱 센서, 조도 센서, 인버터, 비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진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 박스의 뚜껑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켜지고, 상기 수납용 박스의 뚜껑이 폐쇄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부 공간을 가진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까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렌즈와 상기 상부 케이스는,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피조명물에 대한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렌즈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자외선을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가 가시 광선을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진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진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시 광선을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렌즈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 장치로서, 하우징(10)과, 회로 기판(20)과,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와, 렌즈(50)와, 컨넥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공간(S)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하우징으로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튜브형 부재로서, 중심축(C1)을 따라 상하로 미리 정한 길이 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S)까지 연통되어 있는 원형의 구멍인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걸림 돌기(13)가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 돌기(13)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반경 방향으로 굽혀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말단에는 상기 중심축(C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 돌기(13)는 상기 상부 케이스(11)를 상기 하부 케이스(12) 방향으로 가압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걸림턱(131)은 후술할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홈(14)에 끼워져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내주면에는, 사각형 구멍 형상의 제2 걸림홈(15)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심축(C1)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회로 기판 고정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외주면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의 장착을 위한 "ㄷ"자형 홈인 장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용기로서, 중심축(C1)을 따라 상하로 미리 정한 길이 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방에 배치되며, 개구된 상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제1 걸림 돌기(1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인 컨넥터 장착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걸림 돌기(13)와 상기 제1 걸림홈(14)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스냅 피트(snap-fit) 결합이 구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은, 상기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다.
상기 회로 기판(20)은, 원판형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기판(20)은,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 고정부(19)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20)에는, 후술할 상기 컨넥터(60)의 전극(61)이 삽입되는 전극 삽입공(21)과, 상기 컨넥터(60)의 위치 고정 돌기(62)가 삽입되는 위치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는, 가시 광선(visible rays; VR)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로서, 상기 회로 기판(20)의 상면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는,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로서, 상기 회로 기판(20)의 상면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는, 서로 최대한 밀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인버터(inverter), 비교기(compara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켜지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꺼지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켜지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꺼지도록, 서로 반대 전압이 걸리도록 연동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 조도 센서, 인버터, 비교기의 구성 및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렌즈(5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반구형 렌즈로서,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렌즈(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투과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50)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의 조사각(α)은 110 내지 120도이며, 상기 렌즈(50)가 비구면 렌즈인 경우에는 10 내지 60도의 조사각(α)을 가지며, 상기 렌즈(50)가 확산 렌즈인 경우에는 120 내지 180도의 조사각(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5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개구부(17)에 장착되며,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걸림 돌기(5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걸림 돌기(51)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반경 방향으로 굽혀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17)에 삽입되며, 말단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걸림 돌기(51)는 상기 렌즈(50)를 상기 상부 케이스(11) 방향으로 가압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걸림턱(511)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홈(15)에 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걸림 돌기(51)와 상기 제2 걸림홈(15)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렌즈(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스냅 피트(snap-fit) 결합이 구현되어 있다.
상기 컨넥터(60)는, 외부 전원을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에 공급하기 위한 컨넥터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컨넥터 장착구(18)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컨넥터(60)의 상단부에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61)과, 상기 회로 기판(20)의 위치 고정공(22)에 삽입가능한 위치 고정 돌기(6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극(61)은,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넥터(60)는, 차량용 전원인 DC 12V의 외부 전원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Glove Box), 콘솔 박스(Console Box), 오버헤드 콘솔 박스(Over-head Consol Box)와 같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각종 수납용 박스(B)의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용 박스(B)는, 개폐 가능한 뚜껑(C)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착부(16)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내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를 장착하고,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뚜껑(C)의 개폐 동작과 연동시킨다.
이때, 상기 뚜껑(C)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켜져 가시 광선(VR)이 발광하게 되고,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뚜껑(C)이 폐쇄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켜져 자외선(UV)이 발광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뚜껑(C)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는 꺼진 상태에서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켜져 가시 광선(VR)이 발광하게 되고,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뚜껑(C)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는 꺼지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켜져 자외선(UV)이 발광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회로 기판(20)과, 상기 회로 기판(20)에 장착되며 가시 광선(VR)을 발생시키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회로 기판(20)에 장착되며 자외선(UV)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납용 박스(B) 내부에 수납된 장갑이나 안경 등의 피조명물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 기능과 아울러 조명 기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켜지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꺼지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켜지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가 꺼지도록,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으므로, 개폐 가능한 뚜껑(C)을 가지고 있는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내부 조명용으로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30, 40)들 중 1개의 발광다이오드만이 켜지므로 절전 효과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마그네틱 센서, 조도 센서, 인버터, 비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 수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개폐 가능한 뚜껑(C)을 가진 수납용 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뚜껑(C)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만 켜지고, 상기 수납용 박스(B)의 뚜껑(C)이 폐쇄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만 켜지므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발광하는 자외선(UV)이 언제나 사용자에게 조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내부 공간(S)을 가진 하우징(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2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로 기판(2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30, 40)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0)이,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로 기판(20)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에 배치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30) 및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0)까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17)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5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사각(α)으로 상기 가시 광선(VR) 및 자외선(UV)을 발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100)는, 상기 렌즈(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1)가,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상기 렌즈(50)를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가 별개의 발광모듈로 제작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로 기판(20)에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30) 및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0)을 1개의 발광모듈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10 : 하우징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제1 걸림 돌기 14 : 제1 걸림홈
15 : 제2 걸림홈 16 : 장착부
17 : 개구부 18 : 컨넥터 장착구
19 : 회로 기판 고정부 20 : 회로 기판
21 : 전극 삽입공 22 : 위치 고정공
30 : 조명용 발광다이오드 40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50 : 렌즈 51 : 제2 걸림 돌기
60 : 컨넥터 61 : 전극
62 : 위치 고정 돌기 B : 수납용 박스
C : 뚜껑 S : 내부 공간

Claims (9)

  1.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 광선을 발생시키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꺼지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꺼지도록,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마그네틱 센서, 조도 센서, 인버터, 비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에 의하여,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진 수납용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 박스의 뚜껑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가 켜지고, 상기 수납용 박스의 뚜껑이 폐쇄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진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까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상부 케이스는, 스냅 피트 방식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20130083162A 2013-07-15 2013-07-15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53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62A KR101536596B1 (ko) 2013-07-15 2013-07-15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62A KR101536596B1 (ko) 2013-07-15 2013-07-15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72A true KR20150008772A (ko) 2015-01-23
KR101536596B1 KR101536596B1 (ko) 2015-07-14

Family

ID=5257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62A KR101536596B1 (ko) 2013-07-15 2013-07-15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2854A (zh) * 2016-05-24 2019-01-04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消费者机器内的uv模块
KR20190109934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102315591B1 (ko) * 2020-09-25 2021-10-21 주식회사 아이엘사이언스 2-Way 방식 UV-C 멸균 LED를 이용한 IoT 시스템
KR20220086747A (ko) * 2020-12-16 2022-06-24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탈착형 휴대살균기
KR20230150618A (ko) *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uv살균 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83B1 (ko) * 2016-11-03 2018-06-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 감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762B1 (ko) * 1999-08-28 2001-11-01 박기점 전구형 엘이디 교통신호등
KR20050045043A (ko) * 2003-11-10 2005-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KR20070053013A (ko) * 2005-11-18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034070B1 (ko) * 2010-12-07 2011-05-12 정철우 살균 겸용 엘이디 조명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2854A (zh) * 2016-05-24 2019-01-04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消费者机器内的uv模块
JP2019516514A (ja) * 2016-05-24 2019-06-20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消費者装置内のuvモジュール
KR20190109934A (ko)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102315591B1 (ko) * 2020-09-25 2021-10-21 주식회사 아이엘사이언스 2-Way 방식 UV-C 멸균 LED를 이용한 IoT 시스템
KR20220086747A (ko) * 2020-12-16 2022-06-24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탈착형 휴대살균기
KR20230150618A (ko) *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uv살균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96B1 (ko)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596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US9289523B2 (en) Universal UV sterilizer
US7040776B2 (en) Self-contained illumination device for medicine containers
US6942354B2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US9574750B1 (en) Single axis adjustment for emergency lights emitting an asymmetric beam pattern to illuminate a path of egress
US8579462B2 (en) Lighting assembly
US9151481B2 (en) End piece for a retrofit fluorescent lamp and retrofit fluorescent lamp
EP1475846A3 (en) Light emitting diode based light source with cooling liquid arrangement,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US20050167445A1 (en) Illuminating pouring spout
US10531720B2 (en) Container, container component, and product range comprising such products
WO2012128299A1 (ja) 照明装置
JP2015063252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回路、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KR101738157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EP2322973A1 (en) Lens and light emitting diode lamp using same
US9226374B2 (en) Illumination light source
KR101466012B1 (ko) 와인병 거치대
KR102510947B1 (ko) 차량용 램프
US20150000971A1 (en) Electric Wire Drawout Part Structure
JP2010225507A (ja) 発光装置
JP2015214173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回路、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KR10148094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6988812B2 (en) Lighting apparatus
JP3823663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装置
KR20180085329A (ko) Uv led가 구비된 용기 뚜껑
US8147104B2 (en) Vehicle room ligh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