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749A -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 Google Patents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749A
KR20150008749A KR1020130083106A KR20130083106A KR20150008749A KR 20150008749 A KR20150008749 A KR 20150008749A KR 1020130083106 A KR1020130083106 A KR 1020130083106A KR 20130083106 A KR20130083106 A KR 20130083106A KR 20150008749 A KR20150008749 A KR 2015000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celle
rear door
rail
power generation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8749A/ko
Publication of KR2015000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셀 내부에 설치된 발전용 장치를 유지 보수를 위해 이송하기 위한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로서, 나셀 내부 천정과 나셀 후면 도어에 설치하여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되 나셀 후면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레일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부재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 대상 장치의 이송시에 나셀 후면 도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나셀을 경량화하여 경제성 있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Maintenance Structure for Wind-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은 나셀 내부에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를 구비하여 풍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되, 수십 미터 높이의 타워에 나셀을 설치하여 운용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나셀 내부의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를 외부로 이송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나셀 내부의 장치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크레인을 동원하여 나셀 내부의 장치를 이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 기능을 구비하는 이송장치를 나셀 내부에 구비하여 운용하는 경우,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내부의 천장에 구비하고, 해당 이송장치에 유지 보수 대상 장치를 매달아 외부로 이송해야 하며, 이처럼 유지 보수 대상 장치를 이송장치에 매달아서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 진행을 위해서는 나셀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이동 안내를 위한 레일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나셀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야 하여 풍력발전시스템의 중량이 증가되어 풍력발전시스템을 경제성 있게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셀 내부에 설치된 발전용 장치를 유지 보수를 위해 이송하기 위한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로서, 나셀 내부 천정과 나셀 후면 도어에 설치하여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되 나셀 후면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레일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부재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 대상 장치의 이송시에 나셀 후면 도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레일은 나셀 후면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기 위한 힌지를 구비하고, 해당 힌지 부분의 레일은 절결되어 있고, 레일의 절결 부위에 관통 홀을 구비하여 해당 관통 홀에 볼트를 결합하여서 너트를 체결하여 절결된 레일을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연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이송장치는, 레일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서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레일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각각의 바퀴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 되어서 회전축을 통해 바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1 모터와;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회전되어서 후크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를 감거나 풀도록 작용하여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로우프 드럼과; 상기 로우프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력을 로우프 드럼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고, 유압은 유압펌프에 의해 제공되며, 유압펌프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의 일 단이 걸리게 하도록 나셀 후면 도어의 선단 부위에 설치된 제1 걸림턱과; 상기 지지대의 타 단이 걸리게 하도록 나셀 내부 바닥에 설치된 제2 걸림턱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나셀을 경량화하여 경제성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나셀의 후면 도어를 받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나셀의 후면 도어를 받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나셀의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서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이송장치에 걸어놓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나셀의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서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이송장치에 걸어 외부로 이송하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의 이송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의 이송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의 이송장치와 레일의 연결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의 도어 개폐 부재의 설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 나셀 후면 도어를 닫았을 때의 도어 개폐부재의 작동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 나셀 후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도어 개폐부재의 작동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나셀 후면 도어 개폐에 관련된 레일의 힌지 부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C-C' 선으로 절단한 레일의 힌지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레일의 힌지 부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에서 나셀 후면 도어 개방시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설치 위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나셀 후면 도어 개방시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걸림 구조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내부 천장(10)에 레일(20)을 구비하고, 해당 레일(20)에는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달아매어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30)를 설치하고, 나셀 후면 도어(40)에는 나셀 내부 천장(10)으로부터 연장되는 레일(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풍력발전시스템의 나셀은 타워(50) 상에 설치되는데, 나셀 내부에 구비되는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는 경우 레일(20)에 설치된 이송장치(30)를 이용한다.
나셀 후면 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내부 천장(10)으로부터 나셀 후면 도어(40)에 연장되어 설치된 레일(20)을 접어 놓은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나셀 후면 도어(40)를 닫아놓은 상태에서 이송 작업을 위하여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하는 경우,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후면 도어(40)는 힌지(15)를 기준으로 펼쳐져서 개방되고, 해당 나셀 후면 도어(40)의 개방에 연동하여 레일(20)이 힌지(25)를 기준으로 펼쳐지며, 이에 이송장치(30)는 레일(20)을 따라 나셀 후면 도어(40)의 레일(20) 까지 이동할 수 있다.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송장치(30)를 나셀 후면 도어(40)의 레일(20)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나셀 후면 도어(40)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나셀 후면 도어(40)와 나셀 바닥면의 선단 부분 사이에 지지대(90)를 가로질러 설치할 수 있다.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송장치(30)의 후크(60)에 유지보수 대상 장치(70)를 매달아서 나셀 후면 도어(40)의 레일(20)까지 이동하는 경우,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30)에 의해 유지보수 대상 장치(70)를 나셀 바닥면 바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장치(30)의 크레인 기능을 이용하여 후크(60)에 매달은 유지보수 대상 장치(70)를 하강시킴으로써 표시된 화살표 같이 타워 하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나셀 내부 천장(10)과 나셀 후면 도어(40)에는 이송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20)이 설치되는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일(20)은 일정 거리를 두어서 이격시켜 서로 마주보게 평행으로 설치되며, 해당 레일(2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20)에 이송장치(30)가 설치된다. 이송장치(30)는 회전되어서 후크(60)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를 감거나 풀도록 작용하여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로우프 드럼(31)을 구비함과 아울러, 해당 로우프 드럼(3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2)와, 모터(32)의 회전력을 로우프 드럼(31)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33)를 구비한다. 또한, 이송장치(30)는 레일(20)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서 레일(30)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34)를 구비함과 아울러, 바퀴(34)의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서 바퀴(34)에 회전력을 가하는 복수의 모터(35)를 구비한다.
도 5에 표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투시한 이송장치(30)의 평면도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다. 로우프 드럼(31)에는 회전축(36)을 통해 기어박스(33)에 결합됨과 아울러 해당 기어박스(33)에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32)가 회전축(38)을 통해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레일(20)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서 레일(30)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각각의 바퀴(34)는 회전축(37)을 통해 모터(35)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5에 표시된 화살표B 방향으로 투시한 이송장치(30)의 측면도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다. 이송장치(30)의 바퀴(34)는 레일(20)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서 레일(30)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며, 해당 바퀴(34)에는 회전축(37)을 통해 모터(35)에 결합 되어서 회전축(37)을 통해 모터(35)의 회전력을 바퀴(34)에 인가하여 바퀴(34)를 회전시킨다.
아울러,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하거나 닫는 경우,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측벽에 설치된 도어 개폐 부재(80)에 의하여 개폐한다. 도어 개폐 부재(8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해당 도어 개폐 부재(80)에 인가되는 유압은 유압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유압펌프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도어 개폐 부재(80)에 의해 나셀 후면 도어(40)를 닫는 경우에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 실린더(85)를 잡아당김으로써 연결부재(81)를 잡아당겨서 나셀 후면 도어(40)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닫는다. 도어 개폐 부재(80)의 일단은 힌지(82)를 통해 나셀 내부 천장(10)에 결합되고, 도어 개폐 부재(80)의 타단은 힌지(84)를 통해 나셀 후면 도어(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압에 의해 실린더(85)를 잡아당기는 경우 힌지(82), (84)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여 나셀 후면 도어(40)를 내측으로 잡아당겨서 닫는다.
그리고, 도어 개폐 부재(80)에 의해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 실린더(85)를 신장시킴으로써 연결부재(81)를 밀어내어서 나셀 후면 도어(40)를 외측으로 밀어 개방한다. 도어 개폐 부재(80)의 일단은 힌지(82)를 통해 나셀 내부 천장(10)에 결합되고, 도어 개폐 부재(80)의 타단은 힌지(84)를 통해 나셀 후면 도어(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압에 의해 실린더(85)를 신장시키는 경우 힌지(82), (84)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여 나셀 후면 도어(40)를 외측으로 밀어서 개방한다.
한편, 나셀 후면 도어(40)를 힌지(15)를 기준으로 펼쳐져서 개방하는 경우, 해당 나셀 후면 도어(40)의 개방에 연동하여 레일(20)이 힌지(25)를 기준으로 펼쳐지는데, 해당 레일(20)의 힌지(25)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힌지(25)를 기준으로 레일(2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레일(20)이 절결되어 있으며, 해당 힌지(25)의 부위는 도 11에 표시된 화살표C-C' 방향으로 절단하여 투시한 도 12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5)를 삽입하고서 레일(2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너트(26)를 체결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해당 레일(20)의 힌지(25) 부위에 대한 분해 사시도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은데, 나셀 내부 천장(10) 측에 설치된 레일(20)의 일단에 힌지로서 작용하기 위한 볼트(25)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홀(24)를 구비하고, 나셀 후면 도어(40) 측에 설치된 레일(20)의 일단에 힌지로서 작용하기 위한 볼트(25)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홀(23)을 구비하며, 해당 레일(20)의 절결부를 맞춘 상태에서 해당 관통 홀(23),(24)를 관통하여 볼트(25)를 삽입한 후 레일(2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너트(26)를 조임으로써 절결된 레일(2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서 나셀 후면 도어(40)의 개폐와 함께 개폐하기 위한 레일(20)의 힌지(25)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송장치(30)를 나셀 후면 도어(40)의 레일(20)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나셀 후면 도어(40)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나셀 후면 도어(40)와 나셀 바닥면의 선단 부분 사이에 지지대(90)를 가로질러 설치하는데,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후면 도어(40)의 양단에 대하여 개별로 지지대(90)를 설치한다. 지지대(90)는,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셀 후면 도어(40)의 선단 부위에 걸림턱(43)을 구비함과 아울러 나셀 내부 바닥에 걸림턱(18)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90)의 일단을 걸림턱(43)에 걸리게 하고 지지대(90)의 타단을 걸림턱(18)에 걸리게 하여 지지대(90)를 설치하여서 이송장치(30)를 나셀 후면 도어(40)의 레일(20)에 이동시키는 경우 나셀 후면 도어(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대(90)에 의해 지지한다. 이와 같은 지지대(90)는 도어 개폐 부재(80)의 구동에 의해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걸림턱(43), (18)에 걸리도록 설치하면 된다. 아울러, 지지대(90)는 유압으로 작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장치(30)와 도어 개폐 부재(8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해당 제어장치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이송장치(30)와 도어 개폐 부재(80)를 작동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어장치를 수동 조작하여 명령하는 경우, 도어 개폐 부재(80)가 유압용 모터와 유압 펌프의 구동에 의해 유압을 제공받아서 피스톤(85)을 구동하여 나셀 후면 도어(40)를 개폐시키며, 이송장치(30)의 모터(32)가 구동되어서 로우프 드럼(31)이 회전함과 아울러 모터(35)가 구동되어서 바퀴(34)를 회전시켜 레일(20)을 따라 이송장치(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30)를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10)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20)을 나셀 후면 도어(40)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30) 구동시에 후면 도어(40)를 개방하여 이송장치(30)를 구동하여서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나셀의 길이를 짧게 제작하더라도 유지보수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을 풍력발전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나셀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풍력발전시스템을 경제성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스템에서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시스템에 구비된 발전기 및 기어박스 등의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해당 장치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풍력발전시스템의 내부에 구비하되, 나셀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해당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나셀 후면 도어에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이송장치 구동시에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 이송장치를 구동하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외부로 이송하여서 나셀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도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나셀을 경량화하여 경제성 있게 제작할 수 있다.
10; 나셀 내부 천장 15, 25; 힌지
18, 43; 걸림턱 20; 레일
30; 이송장치 31; 로우프 드럼
32, 35; 모터 33; 기어박스
34; 바퀴 36, 37, 38; 회전축
40; 나셀 후면 도어 50; 타워
60; 후크 80; 도어 개폐 부재
90; 지지대

Claims (5)

  1. 나셀 내부에 설치된 발전용 장치를 유지 보수를 위해 이송하기 위한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로서,
    나셀 내부 천정과 나셀 후면 도어에 설치하여 이송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되 나셀 후면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레일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유지보수 대상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부재와;
    상기 나셀 후면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 대상 장치의 이송시에 나셀 후면 도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나셀 후면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기 위한 힌지를 구비하고, 해당 힌지 부분의 레일은 절결되어 있고, 레일의 절결 부위에 관통 홀을 구비하여 해당 관통 홀에 볼트를 결합하여서 너트를 체결하여 절결된 레일을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레일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서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레일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각각의 바퀴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 되어서 회전축을 통해 바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1 모터와;
    회전력을 인가받아서 회전되어서 후크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를 감거나 풀도록 작용하여 크레인 기능을 제공하는 로우프 드럼과;
    상기 로우프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력을 로우프 드럼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부재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고, 유압은 유압펌프에 의해 제공되며, 유압펌프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 단이 걸리게 하도록 나셀 후면 도어의 선단 부위에 설치된 제1 걸림턱과;
    상기 지지대의 타 단이 걸리게 하도록 나셀 내부 바닥에 설치된 제2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KR1020130083106A 2013-07-15 2013-07-15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KR20150008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06A KR20150008749A (ko) 2013-07-15 2013-07-15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06A KR20150008749A (ko) 2013-07-15 2013-07-15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49A true KR20150008749A (ko) 2015-01-23

Family

ID=5257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06A KR20150008749A (ko) 2013-07-15 2013-07-15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8749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93B1 (ko) 2015-10-20 2016-07-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나셀 플로어 폴딩장치
KR101641570B1 (ko) 2015-12-22 2016-07-22 (주)대일씨에프티 오버런닝 알터네이터 디커플러용 샤프트를 성형하기 위한 냉간 단조 금형 장치
WO2016204626A1 (en) * 2015-06-18 2016-12-22 Maintech As Portable and modular hoisting assembly for a wind turbine
KR20180021657A (ko) 2016-08-22 2018-03-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28851A (ko) 2017-09-11 2019-03-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2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3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9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7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8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4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5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46118A (ko) 2017-10-25 2019-05-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블레이드
KR20190046117A (ko) 2017-10-25 2019-05-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US10502078B2 (en) 2016-12-20 2019-12-10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Gas turbin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626A1 (en) * 2015-06-18 2016-12-22 Maintech As Portable and modular hoisting assembly for a wind turbine
KR101638293B1 (ko) 2015-10-20 2016-07-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나셀 플로어 폴딩장치
KR101641570B1 (ko) 2015-12-22 2016-07-22 (주)대일씨에프티 오버런닝 알터네이터 디커플러용 샤프트를 성형하기 위한 냉간 단조 금형 장치
KR20180021657A (ko) 2016-08-22 2018-03-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US10502078B2 (en) 2016-12-20 2019-12-10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Gas turbine
KR20190028851A (ko) 2017-09-11 2019-03-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3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9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7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8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36204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5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KR20190036202A (ko) 2017-09-27 2019-04-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블레이드
KR20190046118A (ko) 2017-10-25 2019-05-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블레이드
KR20190046117A (ko) 2017-10-25 2019-05-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터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8749A (ko)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 구조
KR101038641B1 (ko) 풍력터빈설비의 유지 보수 시스템
US9850879B2 (en) Assembly with handling unit for moving a wind turbine component, such as a wind turbine hub, from a transportation position to a wind turbine assembly position in or on the nacelle, the main shaft or the hub
KR102217959B1 (ko) 풍력 터빈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824914B2 (ja) 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方法、及び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搬送システム
US9528492B2 (en) Wind turbine elevator for hoisting a nacelle along a tower and pivoting the nacelle at a top of the tower
AU2003237665B2 (en) Method for assembling/dismounting components of a wind power plant
JP4551491B1 (ja) 風力発電装置のロータヘッド内機器昇降方法
US20100254813A1 (en) Winch servicing of wind turbines
US10982659B2 (en) Method for opening a cover portion of a wind turbine
US20150086367A1 (en) Portable crane for use in wind turbines
US9022739B2 (en) Wind turbine generator with a lifting device
NZ591279A (en) Wind turbine with rail-system within the nachelle
WO2010031528A3 (de) Hubvorrichtung für eine windturbine
JP6242779B2 (ja) 風力発電装置の機器搬送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
EP2865891B1 (en) Equipment lift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20114981A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50019459A (ko) 풍력발전기용 유지 보수 시스템
KR20130081460A (ko) 유지보수 장치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CN205916928U (zh) 攀爬平台和攀爬装置
KR20140039801A (ko) 무대조명 설치설비
CN103928251B (zh) 一种接地操作开关联锁装置
KR20150137132A (ko) 풍력발전기의 나셀의 내부 기계 교체 및 보수 시스템
KR101768796B1 (ko) 부품 이송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및 부품 이송장치를 이용한 부품 교체 방법
CN211038272U (zh) 风力发电机组的机舱罩开门工装及风力发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