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666A -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666A
KR20150008666A KR1020130082892A KR20130082892A KR20150008666A KR 20150008666 A KR20150008666 A KR 20150008666A KR 1020130082892 A KR1020130082892 A KR 1020130082892A KR 20130082892 A KR20130082892 A KR 20130082892A KR 20150008666 A KR20150008666 A KR 2015000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
frame
region
len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586B1 (ko
Inventor
정찬성
박상태
허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86B1/ko
Priority to US14/033,946 priority patent/US9398274B2/en
Publication of KR2015000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Abstract

화면 분할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lens bar)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바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를 마주보는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렌즈 바의 측부(side)에서 중심부(center)로 갈수록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바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MULTIVISION DEVICE AND LENS BAR ATTACH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비전 디바이스에서 화면 분할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형 전광판 또는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비용, 공정 또는 기술적 제약으로 인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멀티비전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멀티비전에 포함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기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합쳐져서 하나의 대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비전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비전 디바이스(1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10i)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10i) 각각은 디스플레이부(11)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1)의 외곽을 감싸는 프레임부(1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10i)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형 영상을 만들어내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2)로 인하여 화면이 분할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시청자로 하여금 영상의 몰입도를 떨어뜨리며, 화면이 분할됨으로써 정보 전달 능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멀티비젼 디바이스(10)에서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10i) 각각에서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화면 분할로 인하여 영상의 몰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은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프레임부에 렌즈 바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의 폭을 줄이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의 폭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렌즈의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lens bar)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바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를 마주보는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렌즈 바의 측부(side)에서 중심부(center)로 갈수록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바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상기 제1 영역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면은 상기 제2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측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면 상에서 상기 렌즈 바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에 두께가 일정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에어갭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은 각각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프레임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각각은 상기 곡면을 적어도 두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2면과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제1 서브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다른 일측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렌즈 바의 제2면 및 제1면에서 각각 굴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바디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면 상에서 상기 바디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하며, 상기 체결부의 폭이 상기 바디의 폭보다 좁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프레임부에 렌즈 바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의 폭을 줄이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의 폭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렌즈의 형태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비전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렌즈 바와 프레임부 사이의 에어갭의 폭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렌즈 바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가 각기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주변에 프레임부(120)가 배치된다. 프레임부(120)는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에 배치된다. 물론, 멀티비전 디바이스(100)의 외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감싸는 프레임부(120)의 경우에는, 프레임부(120)가,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멀티비젼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형 스크린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프레임부(120)로 인하여 화면 분할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부(120)의 상부에 렌즈 바(Lens Bar)가 배치된다. 프레임부(120)의 에지(edge)에서 반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 바에 의해 굴절되어 사용자의 눈에 입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레임부(120)의 폭이 실질적으로 줄어든 것처럼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의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레임부(120)의 폭이 실질적으로 좁아진 것처럼 느끼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레임부(120)의 존재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렌즈 바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120)로 인해 유발되는 화면 분할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멀티비전 디바이스(100)의 정보 전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도 2의 (a) 및 (b)에서 A 부분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20), 및 상기 프레임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2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를 편의상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12)라 칭하기로 한다.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200)의 체결 형태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200)의 체결 형태가 도 13 내지 도 15의 구체적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바(200)는 제1면(210) 및 상기 제1면(210)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와 마주보는 제2면(220)을 갖는다.
상기 제1면(210)은 렌즈 바(200)의 측부(side)에서 중심부(center)로 갈수록 상기 제2면(220)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2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211)은 렌즈 바(20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200)의 측부(side)란 렌즈 바(200)의 에지뿐만 아니라, 렌즈 바(200)의 중심을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1)은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211)은 전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만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역(211)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렌즈 바(20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곡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1)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곡면은 상기 제2면(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렌즈 바(200)는 측부가 디스플레이부(11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즉, 렌즈 바(200)의 일 측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11)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200)의 타 측부는 제2 디스플레이부(112)와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렌즈 바(200)는 상기 제1 영역(211)이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바(200)의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211)은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200)의 다른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211)은 제2 디스플레이부(112)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렌즈 바(200)의 양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211)의 사이에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230)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두께가 일정한 부분(230)은 렌즈 바(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두께가 일정한 부분(230)의 폭이 상기 제1 영역(211)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일부 영역에 에어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에어갭은 렌즈 바(200)의 양 측면부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갭은 상기 제1 영역(21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0)와 접하는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200)의 제2면(220) 및 제1면(210)에서 굴절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200)의 제1 영역(211)에서 굴절되어, 사용자는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에어갭에 맺히는 프레임부(120)의 허상을 보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허상은 프레임부(120)의 실제 에지보다 안쪽에서 맺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120)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프레임부(120)의 에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200)에서 굴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렌즈 바(200)에서 굴절된 빛의 경로를 역추적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부(120)의 에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200)의 제2면(220)에서 1차 굴절되고, 제1면(210)에서 2차 굴절된다. 이와 같이 렌즈 바(200)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빛의 경로를 역추적하여 도시한 것이 도 5의 (b)의 R1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역추적된 빛의 경로(R1)가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임의의 지점(I)에 주로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점(I)에서 프레임부(120)의 에지의 허상이 맺히게 된다.
렌즈 바(2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프레임부(120)의 폭을 있는 그대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렌즈 바(200)에 의해 맺히는 프레임부(120)의 허상을 보게 되기 때문에, 프레임부(120)의 폭이 도 5의 (b)에 나타난 D 거리만큼 양 측부에서 각각 좁아진 것처럼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렌즈 바와 프레임부 사이의 에어갭의 폭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에어갭의 폭이 1mm인 경우 렌즈 바(200)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빛의 경로를 역추적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에어갭의 폭이 2mm인 경우 렌즈 바(200)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빛의 경로를 역추적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c)는 에어갭의 폭이 3mm인 경우 렌즈 바(200)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빛의 경로를 역추적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에어갭의 폭이 1mm에서 2mm 및 3mm로 넓어질수록, 프레임부(120)의 에지의 허상이 실제보다 더 안쪽에 맺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렌즈 바(2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에어갭의 폭이 소정 범위 내에서 넓어질수록 프레임부(120)의 에지의 허상이 맺히는 지점(D)이 렌즈 바(200)에서 멀어지면서, 결과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120)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도 2의 (a) 및 (b)에서 A 부분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20), 및 상기 프레임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3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를 편의상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12)라 칭하기로 한다.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300)의 체결 형태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300)의 체결 형태가 도 13 내지 도 15의 구체적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바(300)는 제1면(310) 및 상기 제1면(310)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와 마주보는 제2면(320)을 갖는다.
상기 제1면(310)은 렌즈 바(30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320)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3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311)은 렌즈 바(30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300)의 측부란 렌즈 바(300)의 에지뿐만 아니라, 렌즈 바(300)의 중심을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11)은 평면 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11)은 전 영역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렌즈 바(300)는 측부가 디스플레이부(11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즉, 렌즈 바(300)의 일 측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11)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300)의 타 측부는 제2 디스플레이부(112)와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렌즈 바(300)는 상기 제1 영역(311)이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바(300)의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311)은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300)의 다른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311)은 제2 디스플레이부(112)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렌즈 바(300)의 양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311)의 사이에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330)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두께가 일정한 부분(330)은 렌즈 바(3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면(320)은 상기 제1면(3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322)은 평면 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322)은 전 영역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역(322)은 상기 제1 영역(31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32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영역(311)과 오버랩될 수 있다.
렌즈 바(30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렌즈 바(3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일부 영역에 에어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에어갭은 렌즈 바(300)의 양 측면부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갭은 상기 제1 영역(31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311)이 상기 에어갭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은 상기 제2 영역(322)과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0)와 접하는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300)의 제2면(320) 및 제1면(310)에서 굴절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300)의 제2 영역(322) 및 제1 영역(311)에서 굴절되어, 사용자는 렌즈 바(3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에어갭에 맺히는 프레임부(120)의 허상을 보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허상은 프레임부(120)의 실제 에지보다 안쪽에서 맺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120)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2의 (a) 및 (b)에서 A 부분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20), 및 상기 프레임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4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111, 112)를 편의상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12)라 칭하기로 한다.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400)의 체결 형태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프레임부(120)와 렌즈 바(400)의 체결 형태가 도 13 내지 도 15의 구체적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바(400)는 제1면(410) 및 상기 제1면(410)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와 마주보는 제2면(420)을 갖는다.
상기 제1면(410)은 렌즈 바(40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420)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4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411)은 렌즈 바(40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바(400)의 측부란 렌즈 바(400)의 에지뿐만 아니라, 렌즈 바(400)의 중심을 벗어난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411)은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411)은 전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만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역(411)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렌즈 바(40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곡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411)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곡면은 상기 제2면(4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렌즈 바(400)는 측부가 디스플레이부(11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즉, 렌즈 바(400)의 일 측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11)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400)의 타 측부는 제2 디스플레이부(112)와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렌즈 바(400)는 상기 제1 영역(411)이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바(400)의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411)은 제1 디스플레이부(111)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되고, 렌즈 바(400)의 다른 일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211)은 제2 디스플레이부(112) 및 프레임부(1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렌즈 바(400)는 상기 제1면(410)과 제2면(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430)과, 상기 제3면(43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면(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3면(430)은 렌즈 바(400)의 일 측면일 수 있고, 상기 제4면(440)은 렌즈 바(400)의 다른 일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은 각각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은 전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만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부(120)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곡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곡면은 렌즈 바(40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오버랩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은 디스플레이부(100)와는 오버랩되고 프레임부(120)와는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면(430)과 제4면(44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렌즈 바(400)는 상기 제3면(430)과 제4면(440) 사이의 간격이 프레임부(120)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상기 렌즈 바(400)는 상기 제3면(430)과 제4면(440) 사이의 간격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렌즈 바(400)의 양 측부에 존재하는 제1 영역(411)의 사이에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450)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두께가 일정한 부분(450)은 렌즈 바(4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두께가 일정한 부분(450)의 폭이 상기 제1 영역(411) 각각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렌즈 바(40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렌즈 바(4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일부 영역에 에어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에어갭은 렌즈 바(400)의 양 측면부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갭은 상기 제1 영역(41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0)와 접하는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400)의 제2면(420) 및 제1면(410)에서 굴절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부(120)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400)의 제1 영역(411)에서 굴절되어, 사용자는 렌즈 바(400)와 프레임부(120) 사이의 에어갭에 맺히는 프레임부(120)의 허상을 보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허상은 프레임부(120)의 실제 에지보다 안쪽에서 맺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부(120)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렌즈 바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렌즈 바의 측면이 프레임부(120)와 직각인 경우 프레임부(120)의 에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에서 굴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렌즈 바(400)의 측면이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부(120)의 에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에서 굴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20)의 에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 바의 측면(B)에서 전반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45°각도에서 스크린을 바라볼 때 렌즈 바의 측면(B) 부분이 뿌옇게 보일 수 있다.
반면,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렌즈 바(400)의 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렌즈 바(400)의 측면에서 전반사되는 빛의 양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45°각도에서 스크린을 바라보더라도 렌즈 바의 측면 부분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1은 도 2의 (a) 및 (b)에서 A 부분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11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렌즈 바(400)는 제1면(410) 및 상기 제1면(410)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120)와 마주보는 제2면(420), 상기 제1면(410)과 제2면(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430), 상기 제3면(43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면(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 각각은 곡면을 적어도 두 개 포함한다. 상기 제3면(430) 및 제4면(440)에 포함되는 곡면 각각은 프레임부(120)에 가까워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질 수도 있고, 프레임부(120)에 가까워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커졌다가 작아질 수도 있다.
그 이외의 특징들은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600)는 바디(610) 및 상기 바디(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부(62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디(610)의 형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바디(61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 12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610)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렌즈 바의 특징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디(610)는 제1면(611) 및 상기 제1면(6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61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면(611)은 상기 바디(61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612)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611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611a)은 상기 제1면(611) 상에서 상기 바디(61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한다.
상기 체결부(620)를 통해 렌즈 바(610)가 프레임부(120)에 고정된다. 체결부(620)는 상기 바디(6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 바(610)가 체결부(620)를 통해 프레임부(120)에 고정되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바(61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된다.
체결부(620)는 프레임부(120)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체결부(620)는 지지 부재(621)와 접착 부재(622)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621)는 상기 바디(610)와 접하여 바디(610)를 지지하며, 접착 부재(622)는 지지 부재(621)와 프레임부(120)의 사이를 연결하여 렌즈 바(610)가 지지 부재(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 부재(621)는 바디(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600)는 바디(610) 및 상기 바디(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부(620)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디(610)의 형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바디(61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 13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610)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렌즈 바의 특징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디(610)는 제1면(611) 및 상기 제1면(6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61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면(611)은 상기 바디(61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612)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611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611a)은 상기 제1면(611) 상에서 상기 바디(61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한다.
상기 체결부(620)를 통해 렌즈 바(610)가 프레임부(120)에 고정된다. 체결부(620)는 상기 바디(6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 바(610)가 체결부(620)를 통해 프레임부(120)에 고정되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바(61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된다.
체결부(620)는 프레임부(120)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부(111)와 접하는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프레임부(120)의 다른 일측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부(112)와 접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20)는 일부분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부(620)는 지지 부재(621)와 삽입 부재(623)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621)는 상기 바디(610)와 접하여 바디(610)를 지지하며, 삽입 부재(623)는 지지 부재(621)와 프레임부(120)의 사이를 연결하여 렌즈 바(610)가 지지 부재(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 부재(621)는 바디(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 바(610)가 프레임부(120)에 체결되는 경우, 삽입 부재(623)의 일부가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623)는 일 단은 지지 부재(621)에 삽입되고, 타 단은 제1 서브 프레인부(121)와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600)는 바디(610) 및 상기 바디(6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부(620)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디(610)의 형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바디(61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 14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610)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렌즈 바의 특징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디(610)는 제1면(611) 및 상기 제1면(6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61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면(611)은 상기 바디(610)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612)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611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611a)은 상기 제1면(611) 상에서 상기 바디(61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한다.
상기 체결부(620)를 통해 렌즈 바(610)가 프레임부(120)에 고정된다. 체결부(620)는 상기 바디(6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 바(610)가 체결부(620)를 통해 프레임부(120)에 고정되는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바(610)와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된다.
체결부(620)는 프레임부(120)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프레임부(120)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부(111)와 접하는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프레임부(120)의 다른 일측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부(112)와 접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620)는 일부분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620)는 전체 폭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121)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20)는 폭이 일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렌즈 바 및 상기 렌즈 바가 체결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도 14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렌즈 바(600)의 체결부(620)는 돌기(624)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624)는 체결부(62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624)는 렌즈 바(600)를 프레임부(120)에 고정할 때, 체결부(620)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121)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122)의 사이에 어느 정도 삽입되어야 하는지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렌즈 바(600)가 프레임부(120)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6은 도 2의 (a) 및 (b)에서 C 부분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비전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인접한 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멀티비전 디바이스(100)의 외곽 디스플레이부(110)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20)에 해당한다.
렌즈 바(700)는 바디(710) 및 상기 바디(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바(700)는 도 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렌즈 바의 절반 형태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된 렌즈 바(700)의 형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렌즈 바(70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 16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멀티비전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레임부
200~700: 렌즈 바

Claims (20)

  1.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중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바(lens bar);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바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프레임부를 마주보는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렌즈 바의 측부(side)에서 중심부(center)로 갈수록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바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에어갭(air gap)이 존재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멀티비전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상기 제2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멀티비전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측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오버랩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오버랩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면 상에서 상기 렌즈 바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 영역의 사이에 두께가 일정한 부분을 갖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에어갭과 오버랩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은 각각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멀티비전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프레임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부분을 갖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각각은 상기 곡면을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제2면과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인, 멀티비전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바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제1 서브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다른 일측에 인접한 제2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경계선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렌즈 바의 제2면 및 제1면에서 각각 굴절되는, 멀티비전 디바이스.
  20.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을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바디의 측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면 상에서 상기 바디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하며, 상기 체결부의 폭이 상기 바디의 폭보다 좁은, 렌즈 바.
KR1020130082892A 2013-07-15 2013-07-15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KR10203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892A KR102034586B1 (ko) 2013-07-15 2013-07-15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US14/033,946 US9398274B2 (en) 2013-07-15 2013-09-23 Multivision device and lens bar attach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892A KR102034586B1 (ko) 2013-07-15 2013-07-15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66A true KR20150008666A (ko) 2015-01-23
KR102034586B1 KR102034586B1 (ko) 2019-10-21

Family

ID=522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892A KR102034586B1 (ko) 2013-07-15 2013-07-15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8274B2 (ko)
KR (1) KR1020345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637A (ko) * 2015-10-30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20170072399A (ko) * 2015-12-16 2017-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WO2019004766A1 (en) * 2017-06-30 2019-01-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563B1 (ko) * 2013-10-31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 가림 부재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7336B1 (ko) * 2016-03-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비전 장치
CN108886633B (zh) * 2016-03-29 2021-06-22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像接收再现方法和装置以及图像生成发送方法和装置
CN106057095B (zh) * 2016-08-18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式显示面板及拼接式显示装置
KR102628093B1 (ko) * 2017-01-31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861251B2 (en) * 2017-12-11 2020-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maintenance operation
US11042056B2 (en) 2019-03-26 2021-06-22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hotonic crystal-enabled display stitching
US11372134B2 (en) 2019-06-04 2022-06-28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eel-and-adhere photonic crystal
US11353627B2 (en) 2019-07-31 2022-06-0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ompact star tracker with photonic crystal poin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WO2008149449A1 (ja) * 2007-06-07 2008-12-11 Telesystems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00259566A1 (en) * 2007-11-22 2010-10-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10059282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157207A1 (ja) * 2011-05-16 2012-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52B1 (ko) * 2008-03-07 2014-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멀티 표시 장치
US9285533B2 (en) * 2011-01-13 2016-03-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US8878123B2 (en) * 2011-03-11 2014-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ens shee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2013068857A (ja) * 2011-09-26 2013-04-18 Sony Corp 光学素子、撮像レンズ群および撮像装置
JP2013254154A (ja) * 2012-06-08 2013-12-19 Toshiba Corp アポダイザ製造方法及び光学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410A (en) * 1995-07-19 1998-10-27 Drapeau; Raoul E. Video-wall viewing-angle enhancement system
WO2008149449A1 (ja) * 2007-06-07 2008-12-11 Telesystems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00259566A1 (en) * 2007-11-22 2010-10-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10059282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157207A1 (ja) * 2011-05-16 2012-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637A (ko) * 2015-10-30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20170072399A (ko) * 2015-12-16 2017-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WO2019004766A1 (en) * 2017-06-30 2019-01-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10739499B2 (en) 2017-06-30 2020-08-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8274B2 (en) 2016-07-19
KR102034586B1 (ko) 2019-10-21
US20150015974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8666A (ko)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CN102508368B (zh) 显示器
US8541934B2 (en) Display device
KR101749728B1 (ko) 곡면표시장치
US9851492B2 (en) Display device
WO2016155419A1 (zh) 显示面板组件和显示装置
EP3096201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EP2851741B1 (en) Prism sheet member and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70003536A1 (en)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uch Display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CN104698634A (zh) 显示面板组件和显示装置
WO201609547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80034832A (ko) 표시장치
US10132966B2 (en) Optical element including strip-shaped prisms, light guide plate, prism,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08070584A (ja) 液晶表示装置
EP2733527A2 (en) Double-visio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544043A1 (en) Building material with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152708B1 (ko) 비디오 월 및 그 고정장치
CN104913240A (zh) 背光模块及液晶显示器
US20150338985A1 (en) Touch display device
CN105405360B (zh) 无缝拼接的显示装置
CN102879935B (zh) 组合式显示模块及其制造方法
US9500892B2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11654169U (zh) 电子设备及其显示模组
CN105807487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2681257B (zh) 3d显示装置及其相位延迟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