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937A -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937A
KR20150007937A KR20140060347A KR20140060347A KR20150007937A KR 20150007937 A KR20150007937 A KR 20150007937A KR 20140060347 A KR20140060347 A KR 20140060347A KR 20140060347 A KR20140060347 A KR 20140060347A KR 20150007937 A KR20150007937 A KR 20150007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time
state information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021B1 (ko
Inventor
다카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87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Abstract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는,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시간대와 대응하여 기억된다. 측정 처리부(26)는,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실행한다. 표시부(37)는,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또는, 측정 처리부(26)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측정 장치{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이 행해졌을 때에 그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를 대상으로 한 측정 장치의 분야에서는, 유저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목료로 만들어진 측정 장치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의 소형 혈당치계에서는, 측정 대상의 혈액이 적하된 센서가 혈당치계에 삽입됨으로써, 센서에 적하되어 있는 혈액 내의 글루코오스에 비례하여 흐르는 전류의 값이 측정되고, 측정된 전류치로부터 혈당치가 산출된다. 그리고, 혈당치계는, 산출한 혈당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휴대형의 소형 혈당치계는,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을 행하여 연산 처리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더불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 구비됨으로써, 측정에 의해 얻어진 결과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측정 장치 이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는, 혈당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더불어, 복수의 기정의 플래그 중 1개를 제시하고, 표시한 혈당치에 관련짖기 위한 기정(旣定)의 플래그를 선택하도록 유저에 대하여 문의하는 혈당치계로서 구성된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유저는, 이 측정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따라, 측정 장치에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 버튼을 조작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에서는, 상기 기정의 플래그로서, 식전 플래그, 식후 플래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래그가 이용됨으로써,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가, 식전인지, 혹은, 식후인지가 특정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에 개시된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장치로부터 제시된 플래그가, 표시된 혈당치에 관련짖기 위한 플래그와 다른한,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버튼을 반복하여 조작하는 작업을 요구받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에 개시된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장치가 제시하는 플래그가 다른한, 유저에 있어서는, 반복 조작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종류가 증가하면, 그 작업의 번잡함이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도 간편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예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시간대와 대응하여 기억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와,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실행하는 측정 처리부와,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기 위한 조작이 실행된 측정 조작 타이밍에서,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당해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또는, 상기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혹은, 측정 처리부에서의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시간대와 대응하여 규정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와 구별된 상태로 표시되어, 특정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가 조작 키를 조작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작업이, 생략 혹은 삭감된다. 이에 따라, 유저에 있어, 반복 조작이 필요한 번잡한 작업이 삭감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혹은, 상기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에 따라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 또는 측정 실행에 따라,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간편하게 결정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전 및 식사후의 측정시 상태를 각각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가 식사전 혹은 식사후인 것을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정부에 있어서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되어 있고,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이, 같은 날에 이미 결정된 식사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대응하는 시간대인 경우,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후의 측정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식사전의 측정이 행해진 타이밍에 따라, 식사후의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유저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한 작업의 간편화가 더욱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조식 전, 조식 후, 중식 전, 중식 후, 석식 전, 석식 후, 취침 전의 측정 상태를 각각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가, 조식, 중식, 및 석식의 각 식사의 전후, 취침 전 중 어느것인지를 특정 가능하게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이 실행될 때마다,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 정보, 및,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측정 정보 기억부와, 상기 측정 정보 기억부에서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대한 빈도를 판정하는 빈도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추가하여, 상기 빈도 판정부에서 빈도가 판정된 결과에도 의거하여, 선택할 측정시 상태 정보를 변경 가능한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과거의 측정 상황에 의거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간대의 빈도가 판정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라,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의 측정 시간대의 패턴을 계속하여 학습할 수 있어, 유저의 시간대의 경향에 유연하게 대응한 작업의 간편화가 더욱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센서가 접속되는 센서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대상으로서의 시료를 포함하는 센서가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된 타이밍을,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하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료가 센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구성의 측정 장치가, 유저에 의한 센서의 접속 조작 시에 측정 조작 타이밍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정 조작 타이밍을 측정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한 유저에 의한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유저에 의한 작업의 간편화가 더욱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대상은 혈액이며, 상기 측정 처리부는, 상기 혈액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고, 혈당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혈당치계로서 구성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 및, 상기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를 기억하는 처리 결과 기억부와, 상기 처리 결과 기억부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하고, 상기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그래프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측정 장치에서의 처리 결과에 대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된 상태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로서,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가,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된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측정 장치에서의 처리 결과와,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의 발명의 측정 장치로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거하여,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을 실행할 때의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 및 특별 측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측정 장치가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의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모드가 상기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측정을 1회 실행하는 통상 모드 처리부와, 상기 측정 모드가 상기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측정을 여러 차례 실행하는 특별 모드 처리부와, 상기 측정 모드가 상기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외부를 향해 경고를 행하는 경고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에는, 측정 대상에 대한 소정의 측정을 유저에 의한 조작에 의거하여 1회만 실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가, 일본국 특허공개 2010-42261호 공보에 개시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측정이 행해진 소정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재측정이 필요할 때에는, 유저는, 스스로 그 소정 시간을 계측할 필요가 있어, 측정을 잊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측정 장치가, 유저의 설정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된 시간의 경과후에 경고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이면, 유저는, 스스로 시간을 계측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그러나, 측정이 행해진 소정의 타이밍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필요한 경우, 유저는, 반복하여, 경고를 행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설정 조작을 측정 장치에 대하여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반복 조작이 필요한 번잡한 작업이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저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여러 차례에 걸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스스로 시간을 계측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유저를 해방 가능함과 더불어 조작도 간편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에서는, 유저가 측정 장치의 측정 모드를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측정이 여러 차례 실행되고,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외부를 향해 경고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는, 스스로 시간을 계측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경고가 행해지므로, 유저는, 경고를 행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설정 조작을 반복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간편해진다. 따라서, 상기의 다른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스스로 시간을 계측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유저를 해방 가능함과 더불어 조작도 간편한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른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는, 센서 접속부에 센서가 접속되고, 상기 측정 대상으로서의 혈액이 센서에 도입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 모드 처리부 또는 상기 특별 모드 처리부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상기 혈액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고, 혈당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측정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특별 측정 모드로서, 식사가 행해지는 타이밍으로 설정되기 위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와, 소정량의 포도당이 섭취되는 타이밍으로 설정되기 위한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가 구별되어 설정 가능한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식후 경과 시간 측정의 경우와, 당 부하 시험 측정의 경우를 구별하여, 특별 측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유저는, 측정 장치에서의 처리 결과와 특별 측정 모드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리스트 상태로 열거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크롤 메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계열 추이 그래프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식후 경과 시간 측정 추이 그래프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있어서,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도 10과는 상이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에 대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측정 장치의 구성]
최초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측정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측정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된 센서(10)에 포함된 혈액을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함과 더불어 그 측정한 전류치로부터 혈당치를 산출하는 혈당치계로서 구성된 측정 장치(1)의 예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양한 측정을 행하는 측정 장치에 관해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1)에는, 외측 가장자리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센서(1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도 2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정 장치(1)에는, 디스플레이(22), 및,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키(23(23a, 23b, 23c))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키(23)로서, 결정 키(23a), 상방 스크롤 키(23b), 및 하방 스크롤 키(23c)가 설치되어 있다. 결정 키(23a)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결정이 행해질 때에,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상방 스크롤 키(23b)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는 스크롤 메뉴 화면의 메뉴 항목에 대하여, 상방으로 스크롤시킬 때에, 즉, 화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표시되는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혹은, 상방 스크롤 키(23b)는, 화면에 있어서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표시되는 선택 위치의 표시에 대하여, 상방으로 스크롤시킬 때에, 즉, 화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동시킬 때에,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는 화면에 있어서, 삽입구(21)측이 상방이 되고, 삽입구(21)와 반대측이 하방이 된다.
한편, 하방 스크롤 키(23c)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는 스크롤 메뉴 화면의 메뉴 항목에 대하여, 하방으로 스크롤시킬 때에, 즉, 화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표시되는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혹은, 하방 스크롤 키(23c)는, 화면에 있어서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표시되는 선택 위치의 표시에 대하여, 하방으로 스크롤시킬 때에, 즉, 화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시킬 때에,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정 장치(1)는, 센서 접속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측정 장치(1)는, 삽입구(21)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접속부(32)에 있어서, 센서(10)가 접속된다. 센서(10)는, 도 4에서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방향을 따라 센서 접속부(32)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측정 장치(1)에 있어서는, 접속된 센서(10)에 대하여 측정 대상으로서의 시료인 혈액이 공급된 상태에서, 그 혈액 내의 글루코오스에 비례하여 흐르는 전류의 값이 측정되고, 혈당치가 산출되어,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다. 또한, 도 2는, 센서(10)가 접속되기 전 상태의 측정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은, 센서(10)가 접속된 후, 혈당치의 산출 처리가 완료하고, 그 산출 처리에 의해 얻어진 혈당치가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상태의 측정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센서(10) 및 측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측정 장치(1)의 측정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기 저항 방식이어도 되고, 광학 방식이어도 된다. 단, 도 1~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기 저항 방식이 채용되어 있고, 이하, 전기 저항 방식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측정 장치(1)의 측정 방식이 전기 저항 방식인 경우, 측정 대상의 시료로는, 혈액, 간질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측정되는 물질로는, 글루코오스, 케톤체, 콜레스테롤, 유산, 요산, 및 빌리루빈 등의 생체 중의 생체 물질을 들 수 있다. 그 외, 측정되는 물질로는, 또한, 불화소다, 아스코르빈산 및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약물 등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 장치(1)가 전기 저항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센서(10)는, 시료 측정부(11 및 12), 시료 측정부(11, 12)의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13a), 단자(13b), 및 단자(13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정 장치(1)는, 센서 접속부(32)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센서(10)의 단자(13a~13c) 각각에 접속되는 3개의 접속 단자(3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센서(10)에 시료가 공급되는 경우, 이 시료는, 예를 들면,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된 상태에서, 센서(10)에 있어서의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는 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대하여 적하된다. 그리고, 적하되는 시료가, 유도로(14)를 통하여 시료 측정부(11, 12)에 공급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정 장치(1)는, 모드 판정 처리부(24)와, 기억부(25)와, 측정 처리부(26)와, 결정부(27)와, 빈도 판정부(28)와, 그래프 표시부(29)와, 경고부(30)와, 시간을 계측하는 시계 기능을 가지는 클록(31)을 더 구비하고 있다.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을 실행할 때에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된 측정 모드를 판정하고, 그 판정한 측정 모드에 의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소정의 측정은,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에 대하여 행해지는 측정이며 혈당치를 산출하기 위한 측정이다. 또한,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후술의 결정부(27) 및 빈도 판정부(28)도, 마찬가지로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센서(10)가 접속되는 조작 또는 조작 키(23)의 조작으로서 실행되는 외부로부터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의거하여,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 및 특별 측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해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삽입되어 접속된 후, 소정 시간의 동안에 걸쳐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된다.
상기의 경우, 센서 접속부(32)에 센서(10)가 삽입되면, 센서(10)에 있어서의 삽입된 단부가, 센서 접속부(32)에 설치된 한계 스위치(33)에 맞닿고, 한계 스위치(33)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모드 판정 처리부(24)에서 한계 스위치(33)의 작동 신호가 검지된다. 그리고,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클록(31)으로 계측되는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의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한계 스위치(33)의 작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디스플레이(22)에는, 도 5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메뉴 화면(34)이 표시된다. 상기 소정의 조작으로는, 예를 들면, 조작 키(23) 중 결정 키(23a)가 길게 눌러지는 조작(예를 들면, 몇초 이상에 걸쳐 계속 가압되는 조작), 혹은, 상방 스크롤 키(23b)와 하방 스크롤 키(23c)가 동시에 가압되는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메뉴 화면(34)에는, 예를 들면, 「그래프 표시」, 「과거 데이터 표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당 부하 시험 측정」, 「알람 설정」과 같은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5의 예에서는, 메뉴 화면(34)에 있어서의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표시되는 선택 위치(34a)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을 선택한 상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유저는, 선택 위치(34a)를 상방 혹은 하방으로 스크롤시켜 다른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는, 상방 스크롤 키(23b) 혹은 하방 스크롤 키(23c)를 가압 조작하게 된다. 또한, 선택 위치(34a)의 표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배경색의 변경,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메뉴 화면(34)에서, 선택 위치(34a)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또는 「당 부하 시험 측정」을 선택한 상태에서, 유저가 결정 키(23a)를 가압 조작하면,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또는 「당 부하 시험 측정」의 선택이 결정된다. 「식후 경과 시간 측정」또는 「당 부하 시험 측정」의 선택이 결정되면,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특별 측정 모드로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와,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가 구별되어 설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는, 유저에 의해 식사가 행해지는 타이밍에 설정되기 위한 특별 측정 모드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별 측정 모드로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는, 식사 후, 정해진 시간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행해지는 식후 경과 시간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는, 유저에 의해 소정량의 포도당이 섭취되는 타이밍에 설정되기 위한 특별 측정 모드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별 측정 모드로서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는, 소정량의 포도당의 섭취 후, 정해진 시간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행해지는 당 부하 시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및 당 부하 시험 측정에 있어서의 상기의 정해진 시간은, 여러 차례의 측정동안에 있어서 동일해지는 시간이 정해지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차례의 측정동안에 있어서 상이한 시간이 정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모드 판정 처리부(24)에는, 통상 모드 처리부(35)와, 특별 모드 처리부(36)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 모드 처리부(35)는,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후술의 측정 처리부(26)에 대하여 지령함으로써, 측정을 1회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별 모드 처리부(36)는,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후술의 측정 처리부(26)에 대하여 지령함으로써, 측정을 여러 차례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별 측정 모드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특별 모드 처리부(36)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3)의 조작에 의해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가 설정된 시각을 식사 개시 시각으로서 기억부(25)에 기억시킨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측정에 걸친 식후 경과 시간 측정이, 특별 모드 처리부(36)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한편, 특별 측정 모드가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특별 모드 처리부(36)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3)의 조작에 의해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가 설정된 시각을 당 부하 시험 개시 시각으로서 기억부(25)에 기억시킨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측정에 걸친 당 부하 시험 측정이, 특별 모드 처리부(36)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또한, 여러 차례의 측정에 걸친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및 여러 차례의 측정에 걸친 당 부하 시험 측정에 있어서는, 각각, 여러 차례의 타이밍에 걸쳐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각 타이밍에서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는 각 센서(10)로는, 상이한 타이밍에서 유저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포함하는 새로운 센서(10)가 이용된다.
경고부(30)는, 측정 모드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 또는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의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그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외부를 향해 경고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고부(30)는, 알람음을 출력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22)에, 예를 들면, 「측정 시간이 되었습니다.」와 같은 알람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경고부(30)는, 측정 모드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시각으로부터, 예를 들면, 경고 시간으로서 설정된 30분, 60분, 90분, 120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경고를 행한다. 즉, 이 경우, 경고부(30)는,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의 설정 시각의 30분후, 60분후, 90분후, 120분후의 각 시각에 경고를 행한다.
또한, 경고부(30)는, 측정 모드가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시각으로부터, 예를 들면, 경고 시간으로서 설정된 1시간, 2시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경고를 행한다. 즉, 이 경우, 경고부(30)는,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의 설정 시각의 1시간후, 2시간후의 각 시각에, 경고를 행한다.
또한, 유저는, 상술한 경고가 행해질때마다, 이들 경고에 촉구되어, 시료를 포함하는 센서(10)를 센서 접속부(32)에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후 경과 시간 측정 혹은 당 부하 시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기억부(25)는, 측정 장치(1)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 측정 장치(1)의 작동에 의해 얻어진 정보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로서 설치되고,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 측정 정보 기억부(25b), 및 처리 결과 기억부(25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 측정 정보 기억부(25b), 및 처리 결과 기억부(25c)는, 기억부(25)를 구성하는 메모리에 있어서의 다른 기억 영역으로서 구성된다.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는,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됨으로써 그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에 대하여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하루 중에 있어서의 시간대의 순서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이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전의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와, 식사후의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조식 전」, 「조식 후」, 「중식 전」, 「중식 후」, 「석식 전」, 「석식 후」, 「취침 전」의 각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6은,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 기억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리스트 상태로 열거한 도면이다. 도 6의 리스트의 순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 있어서는, 「조식 전」, 「조식 후」, 「중식 전」, 「중식 후」, 「석식 전」, 「석식 후」, 「취침 전」의 각 측정시 상태 정보가, 이 순서로, 하루 중에 있어서의 시간대의 순서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서는, 각 측정시 상태 정보가 각각 대응하는 하루 중의 시간대도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식 전」의 시간대로서 오전 5시~오전 8시가, 「조식 후」의 시간대로서 오전 8시부터 오전 11시가, 「중식 전」의 시간대로서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가, 「중식 후」의 시간대로서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가, 「석식 전」의 시간대로서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가, 「석식 후」의 시간대로서 오후 8시부터 오후 10시가, 「취침 전」의 시간대로서 오후 10시부터 오전 2시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또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식 전」, 「조식 후」, 「중식 전」, 「중식 후」, 「석식 전」, 「석식 후」, 「취침 전」, 이외의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미분류」로서의 상태를 특정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도 기억되어 있다. 이 「미분류」의 측정시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유저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에 측정이 행해지는 경우, 혹은, 심야의 시간대에 측정이 행해지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또한, 통상 모드 처리부(35)에는, 표시부(37)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부(37)는, 센서(10)에 포함된 시료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기 위한 조작이 실행된 측정 조작 타이밍에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 기억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그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표시부(37)는, 다시, 그 선택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다.
도 7(a)는, 표시부(37)가 측정 조작 타이밍에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 스크롤 메뉴 화면(38)은, 유저에 의한 상하 스크롤 키(23b, 23c)의 조작에 따라, 측정시 상태 정보의 메뉴 항목이 상하로 스크롤되는 화면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도 7(a)에서는, 측정시 상태 정보의 전 항목(본 실시 형태에서는, 8항목) 중 일부 항목(본 실시 형태에서는, 5항목)이 표시된 스크롤 메뉴 화면(38)이 예시되어 있다. 스크롤 메뉴 화면(38)에서는, 상 스크롤 키(23b)가 연속해 조작되면, 표시되는 메뉴 항목이, 예를 들면, 「조식 전」, 「미분류」, 「취침 전」, 「석식 후」, 「석식 전」, 「중식 후」, 「중식 전」, 「조식 후」, 「조식 전」의 순서로 순회하도록 스크롤하면서 표시된다. 한편, 하방 스크롤 키(23c)가 연속하여 조작되면, 표시되는 메뉴 항목이, 예를 들면, 「조식 전」,「조식 후」,「중식 전」,「중식 후」,「석식 전」,「석식 후」,「취침 전」,「미분류」,「조식 전」의 순서로 순회하도록 스크롤하면서 표시된다.
표시부(37)는,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조식 전」,「조식 후」, 「중식 전」,「중식 후」,「석식 전」,「석식 후」,「취침 전」) 중에서,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클록(31)으로 계측되는 그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이 오후 5시 10분이면, 이 시각은, 「석식 전」의 시간대로서 예시한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의 시간대에 속하기 때문에, 표시부(37)는,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를 초기 상태(디폴트)의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표시부(37)는, 그 선택한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다. 도 7(a)는,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초기 상태로 선택된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스크롤 메뉴 화면(38)에서는,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기 때문에 표시되는 선택 위치(38a)는, 스크롤 메뉴 화면(38)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표시된채로 표시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메뉴 항목이 상하로 스크롤하는 것과 같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37)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초기 상태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되어 표시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배경색의 변경,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7)는, 예를 들면, 시료를 포함하는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된 후, 결정 키(23a)가 길게 눌러지는 조작이 아니라 통상의 짧은 시간만 가압 조작된 타이밍을, 상기의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한다. 이 경우, 센서(10)의 센서 접속부(32)로의 접속 후의 결정 키(23a)의 가압 조작이, 센서(10)에 포함된 시료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기 위한 조작이 된다.
또한, 측정 장치(1)에 있어서, 특별 모드 처리부(36)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이면, 표시부(37)는, 예를 들면, 시료를 포함한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된 타이밍을, 상기의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한다. 이 경우,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어 한계 스위치(33)가 작동하고, 또한, 시료가 센서(10)에 적하되어 시료 측정부(11, 12)로의 통전이 행해진 타이밍이,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된다. 혹은, 시료가 적하된 상태의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어 한계 스위치(33)가 작동한 타이밍이,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된다.
측정 처리부(26)는, 측정 대상으로서의 시료에 대한 측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처리부(26)는, 시료인 혈액을 포함하는 센서(10)가 센서 접속부(32)에 접속되었을 때에, 통상 모드 처리부(35) 또는 특별 모드 처리부(36)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혈액을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한 전류치로부터, 예를 들면, 검량선을 이용하여, 혈당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시료가 공급된 시료 측정부(11, 12)에 흐르는 전류치를 측정하여, 혈당치를 산출한다.
또한, 센서(10)는, 단일 시료 측정부만을 구비한 양태여도 되는데, 측정 정밀도의 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시료 측정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료 측정부(11 및 12)의 2개)를 구비하고 있는 양태여도 된다. 센서(10)의 내부에 유도로(14)를 거쳐 도입되는 시료는, 시료 측정부(11, 12)의 각각에 공급된다. 시료 측정부(11, 12)에는, 각각 상이한 시약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료 측정부(11)에는, 측정되는 물질에 반응하는 시약이 배치되고, 시료 측정부(12)에는, 측정되는 물질과 공존하고 있는 다른 물질(생체 물질, 약물 등)에 반응하는 시약, 또는 시료의 성상(점성, 염농도, 헤마토크릿치 등)에 맞추어 반응이 변화하는 시약이 배치된다.
상기 형태의 경우, 측정 처리부(26)는, 측정되는 물질의 정보에 추가하여, 공존하고 있는 별도 물질의 정보(양 등), 시료의 성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료가 혈액이며, 측정되는 물질이 글루코오스라고 하면, 시료 측정부(11)에는 글루코오스와 반응하는 시약이 배치되고, 시료 측정부(12)에는, 헤마토크릿치에 따라 상이한 반응을 나타내는 시약이 배치된다. 이 경우, 측정 처리부(26)는,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특정하는 정보와, 헤마토크릿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처리부(26)는, 취득한 이들 정보에 의거하여, 헤마토크릿치가 글루코오스의 농도 측정에 부여하는 영향을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결정부(27)는, 외부로부터의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전술의 측정 조작 타이밍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표시부(37)에 의해 초기 상태의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선택되어 다른것으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표시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측정 조작 타이밍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결정 키(23a)를 가압 조작한다. 혹은, 유저는, 초기 상태로 표시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측정 조작 타이밍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하 스크롤 키(23b, 23c)를 조작하여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스크롤시킨다. 또한,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스크롤 메뉴 화면(38)의 상태로부터, 유저에 의한 상방 스크롤 키(23b)의 조작이 행해지고, 「중식 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선택 위치(38a)에 표시된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측정 조작 타이밍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면 유저가 판단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선택 위치(38a)에 표시된 상태에서, 유저는, 결정 키(23a)를 가압 조작한다.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의거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의 설정 조작이 행해지면, 측정시 상태 정보 결정부(27)는, 이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측정 조작 타이밍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결정부(27)가, 외부로부터의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측정 조작 타이밍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하는 형태를 설명했는데, 이 예대로가 아니어도 된다. 결정부(27)가, 측정 처리부(26)에서 측정이 실행됨에 따라 설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측정 조작 타이밍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이용한 유저에 의한 결정 키(23a)의 조작이 없어도, 측정 처리부(26)에서의 처리가 완료했을 때에 스크롤 메뉴 화면(38)에서 선택 위치(38a)에 표시되어 있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측정 조작 타이밍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37)는, 결정부(27)에 있어서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되어 있고, 측정 조작 타이밍이, 같은 날에 이미 결정된 식사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대응하는 시간대인 경우,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 후의 측정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전회의 측정 시에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되고, 그 전회의 측정 시에 있어서의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이 오후 6시이고, 또한, 같은 날의 이번 측정이 오후 6시 30분에 행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서는, 「석식 전」의 시간대로서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가, 「석식 후」의 시간대로서 오후 8시부터 오후 10시가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예의 경우는,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25a)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면, 측정이 행해지는 오후 6시 30분이, 「식사 후」의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식사 전」의 시간대에 대응해 버리게 된다.
상기에 대하여, 오후 6시의 전회의 측정 시에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부(27)에서 결정되어 있고, 이번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오후 6시 30분)은, 같은 날에 이미 결정된 「석식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대응하는 시간대(오후 5시부터 오후 8시)로 된다. 이 경우, 표시부(37)는, 이번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석식 후」의 측정시 상태 정보를 선택하고, 스크롤 메뉴 화면(38)의 선택 위치(38a)에 초기 상태의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5)에는, 전술과 같이, 측정 정보 기억부(25b)가 구비되어 있다. 측정 정보 기억부(25b)는, 시료에 대한 측정이 실행될 때마다,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 정보, 및, 결정부(27)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빈도 판정부(28)가 더 구비되어 있다. 빈도 판정부(28)는, 측정 정보 기억부(25b)에서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대한 빈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표시부(37)는,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추가하여, 빈도 판정부(28)에서 빈도가 판정된 결과에도 의거하여, 선택할 측정시 상태 정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측정을 행하는 시간대의 패턴이 계속하여 학습된다. 그리고, 표시부(37)는, 그 학습 결과가 반영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스크롤 메뉴 화면(38)의 선택 위치(38a)에 초기 상태의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5)에는, 전술과 같이, 처리 결과 기억부(25c)가 구비되어 있다. 처리 결과 기억부(25c)는, 결정부(27)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 및, 측정 처리부(26)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에서는, 그래프 표시부(29)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래프 표시부(29)는, 처리 결과 기억부(25c)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하고, 상기의 처리 결과에 대한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다.
도 8은, 그래프 표시부(29)가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 시계열 추이 그래프 화면(39)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래프 표시부(29)는, 예를 들면, 처리 결과 기억부(25c)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가, 식사 전, 식사 후, 취침 전 중 어느것인지를 각각 구별하고, 상기의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칼라 표시기가 이용됨으로써, 시계열 추이 그래프 화면(39)이, 디스플레이(22)에 칼라 표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그래프 표시부(29)는, 혈당치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와 더불어,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하여, 상기의 처리 결과인 혈당치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기억부(25)에 있어서, 특별 모드 처리부(36)에 의해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가 기억되고, 그래프 표시부(29)가, 그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그 처리 결과에 대한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9는, 그래프 표시부(29)가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 식후 경과 시간 측정 추이 그래프 화면(40)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래프 표시부(29)는, 예를 들면, 측정 모드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기억부(25)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특별 모드 처리부(36)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의 식후 경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이 때, 그래프 표시부(29)는, 도 9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이전에(예를 들면, 전회에) 행해진 식후 경과 시간 측정시의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와 비교 가능하도록, 이번의 식후 경과 시간 측정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그래프 표시부(29)는, 측정 모드가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특별 모드 처리부(36)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의 당 부하 시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켜도 된다.
[측정 장치의 동작]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측정 장치(1)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있어서,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측정 장치(1)에 있어서의 도 10과는 상이한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적절히 도 1~도 9를 참작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우선, 측정 장치(1)는, 센서(10)가 삽입구(21)에 삽입되면, 그에 따라 기동된다(단계 S101). 구체적으로는, 측정 장치(1)의 전원 스위치는 삽입구(2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는, 센서(10)가 삽입되면, 그에 따라 ON 상태로 된다.
다음에,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이 경우, 예를 들면,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한계 스위치(33)의 작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즉, 측정 모드를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2)에 메뉴 화면(34)을 표시시키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한계 스위치(33)의 작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의 소정 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입력이 없다고 판정한다.
단계 S102에서,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입력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판단되고, 통상 모드 처리부(3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고, 혈당치를 산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03). 그리고, 센서(10)에 포함된 시료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기 위한 조작으로서, 유저에 의해 결정 키(23a)의 가압 조작이 행해진다(단계 S104). 이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전술한 것처럼, 표시부(37)는, 측정 조작 타이밍을 판정하고,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의 스크롤 메뉴 화면(38)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시킨다(단계 S105).
단계 S105에서 스크롤 메뉴 화면(38)이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면, 전술과 같이, 유저에 의해, 결정 키(23a)의 조작, 혹은, 상하 스크롤 키(23b, 23c) 및 결정 키(23a)의 조작이 행해진다(단계 S106).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디스플레이(22)에 측정 처리 결과의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107). 이 측정 처리 결과의 화면에는, 측정 조작 타이밍의 일시, 결정부(27)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 측정 처리부(26)에서 측정이 행해짐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본 실시 형태에서는, 혈당치)의 각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측정 모드가 통상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측정이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02에서, 모드 판정 처리부(24)는, 한계 스위치(33)의 작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유저에 의한 상기의 소정 조작이 행해지면,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기 위한 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에서는,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의 동작이 행해진다(단계 108). 도 11은, 단계 S108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이 개시되면, 전술한 것처럼, 디스플레이(22)에, 메뉴 화면(34)이 표시된다(단계 S201). 그리고, 유저에 의해, 상하 스크롤 키(23b, 23c) 및 결정 키(23a)의 조작이 행해지고,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 혹은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서 설정된다(단계 S202). 이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에서, 식사 개시 시각 혹은 당 부하 시험 개시 시각이 기억부(25)에 기억된다.
측정 모드가 식후 경과 시간 측정 모드 또는 당 부하 시험 측정 모드의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되면(단계 S202), 그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1회째의 경고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부(30)가, 1회째의 경고를 외부를 향해 행한다(단계 S203). 그리고, 이 경고에 따라, 유저가 센서(10)를 센서 접속부(32)에 접속함으로써,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의 측정이 실행된다(단계 S204).
또한,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2회째의 경고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부(30)가, 2회째의 경고를 외부를 향해 행한다(단계 S205). 그리고, 이 경고에 따라, 유저가 센서(10)를 센서 접속부(32)에 접속함으로써,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의 측정이 실행된다(단계 S206). 또한, 2회째의 경고 시간은, 1회째의 경고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3회째의 경고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부(30)가, 3회째의 경고를 외부를 향해 행한다(단계 S207). 그리고, 이 경고에 따라, 유저가 센서(10)를 센서 접속부(32)에 접속함으로써, 측정 처리부(26)에 의해, 센서(10)에 포함되는 시료의 측정이 실행된다(단계 S208). 또한, 3회째의 경고 시간은, 2회째의 경고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회째의 측정(단계 S208)이 종료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이 종료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로 돌아가, 측정 모드가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측정이 종료한다. 또한, 상기의 경고 회수는, 2회여도 되고, 또는 4회 이상이어도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에서는, 최초로 센서(10)가 삽입구(21)에 삽입됨으로써 측정 장치(1)가 기동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최초에 센서(10)의 삽입이 행해지지 않고 결정 키(23a)의 가압 조작이 행해지면, 도 12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가 행해지게 된다. 이 경우, 우선, 결정 키(23a)가 가압 조작되고, 그에 따라 측정 장치(1)가 기동된다(단계 S301). 즉, 측정 장치(1)는, 센서(10)가 삽입되지 않고 결정 키(23a)가 조작된 경우에도, 전원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초로 결정 키(23a)가 조작되어 측정 장치(1)가 기동된 경우는, 통상 측정 모드가 아니라 특별 측정 모드에서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기동된 이후는,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와 동일한 동작 플로우가 실행되게 된다. 즉, 단계 S201부터 단계 S208까지의 각 단계가 실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측정 장치(1)에서는,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시간대와 대응하여 규정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와 구별된 상태로 표시되어, 특정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가 조작 키(23)를 조작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작업이 생략 혹은 삭감된다. 이에 따라, 유저에 있어, 반복 조작이 필요한 번잡한 작업이 삭감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가, 조식, 중식, 및 석식의 각 식사의 전후, 취침 전 중 어느 하나를 특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식사 전의 측정이 행해진 타이밍에 따라, 식사 후의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유저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한 작업의 간편화가 한층 더 도모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과거의 측정 상황에 의거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간대의 빈도가 판정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라,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의 측정 시간대의 패턴을 계속하여 학습할 수 있어, 유저의 시간대의 경향에 유연하게 대응한 작업의 간편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는, 측정 장치에서의 처리 결과에 대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된 상태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로 하여, 측정 장치(1)의 디스플레이(22)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가,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별된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측정 장치(1)에서의 처리 결과와,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측정 장치(1)의 측정 모드를 특별 측정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측정이 여러 차례 실행되고, 특별 측정 모드의 설정이 행해진 타이밍으로부터,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각각 경과할때마다, 외부를 향해 경고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는, 스스로 시간을 계측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경고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경고가 행해지므로, 유저는, 경고를 행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설정 조작을 반복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간편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여러 차례에 걸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스스로 시간을 계측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유저를 해방 가능함과 더불어 조작도 간편한 측정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후 경과 시간 측정의 경우와, 당 부하 시험 측정의 경우를 구별하여, 특별 측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유저는, 측정 장치(1)에서의 처리 결과와 특별 측정 모드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도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 이외의 측정 대상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체중계, 보수계 등으로서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가 측정 조작 타이밍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메뉴 화면이, 상하로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뉴 화면으로서 표시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 대로가 아니어도 된다. 좌우로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뉴 화면, 혹은, 풀다운 표시되는 풀다운 메뉴 화면이어도 된다. 또한, 조작 키의 형태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지 않고,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측정 장치가 실시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는,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게 된다.
상기의 표시부를 구비한 측정 장치의 경우, 측정 대상이 혈액이면, 예를 들면,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의 값에 의거하여,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선택된다. 이러한 측정시 상태 정보의 선택 처리를 위해서, 예를 들면, 측정 장치의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시간대와 대응하여 기억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또한, 시간대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혈당치의 값의 범위인 시간대 대응 혈당치 범위에도 대응하여 기억된 구성이 실시되어도 된다. 그리고, 표시부는, 상기의 시간대 대응 혈당치 범위 중,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의 값이 포함되는 시간대 대응 혈당치 범위를 특정한다. 또한, 표시부는, 그 특정한 시간대 대응 혈당치 범위가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선택한다.
또한,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의 선택 처리의 다른 형태로서, 과거의 처리 결과의 평균치와 이번의 처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측정시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 처리가 실행됨과 더불어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될 때마다, 지금까지의 과거에 측정 처리가 실행된 처리 결과인 혈당치의 평균치인 과거 평균치를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구하는 연산이 실행된다. 또한, 연산되어 얻어진 과거 평균치가,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측정 장치의 처리 결과 기억부에 기억된다. 그리고,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이번의 처리 결과로서의 혈당치가 얻어졌을 시에는, 표시부는, 예를 들면,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억된 상기의 과거 평균치 중, 이번에 얻어진 혈당치에 가장 가까운 과거 평균치를 특정한다. 또한, 표시부는, 그 특정한 과거 평균치가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이번의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선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의 선택 처리가 행해진 경우, 측정시 상태 정보의 선택이 간편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가 선택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부주의한 입력 조작을 행해 버려, 유저가 의식하지 않은 채, 부적절한 측정시 상태 정보의 결정이 행해져 버릴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처리 결과의 값이,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와의 관계에서 허용되는 값의 범위인 허용 범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측정 장치가,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불적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유저에게 주의를 촉구하는 구성이 실시되어도 된다. 혹은, 상기와 같이,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부적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측정 장치가,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부적절할 가능성을 나중에 유저가 판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구성이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의 허용 범위치는, 예를 들면, 최근의 과거에 있어서의 소정 일수의 복수일간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정시 상태 정보의 처리 결과의 평균치로부터의 소정의 편차 범위 내(예를 들면,±1 표준 편차의 편차 내, 혹은 ±2 표준 편차의 편차 내)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혹은, 상기의 허용 범위치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측정 장치는,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부적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유저에게 주의를 촉구하기 위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고,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고, 혹은, 유저에게 재차 측정시 상태 정보의 확인을 촉구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측정 장치는,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부적절할 가능성을 나중에 유저가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가 부적절할 가능성이 있는 처리 결과에 소정의 마킹을 붙인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측정 처리 결과를 표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이 행해진 측정시 상태를 특정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업을 유저가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정 분야에 유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본 명세서를 읽고 또한 이해함으로써, 변형예 및 응용예가 명확해지는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관련된 변형예 및 응용예, 및 그 균등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Claims (8)

  1. 측정 대상에 대하여 소정의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시 상태를 특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시간대와 대응하여 기억된,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와,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실행하는 측정 처리부와,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기 위한 조작이 실행되는 측정 조작 타이밍에서,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측정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의거하여, 또는, 상기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측정시 상태 정보를 다른 측정시 상태 정보로부터 구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표시부와,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확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확정된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측정시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보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 전 및 식사 후의 측정시 상태를 각각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정부에서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결정되어 있고,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이, 같은 날에 이미 결정된 식사 전의 측정시 상태 정보가 대응하는 시간대인 경우,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식사 후의 측정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시 상태 정보 기억부에는, 측정시 상태 정보로서, 적어도 조식 전, 조식 후, 중식 전, 중식 후, 석식 전, 석식 후의 측정시 상태를 각각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이 실행될 때마다,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의 정보, 및,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측정 정보 기억부와,
    상기 측정 정보 기억부에서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별로,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대한 빈도를 판정하는 빈도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의 시각에 추가하여, 상기 빈도 판정부에서 빈도가 판정된 결과에도 의거하여, 선택할 측정시 상태 정보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가 접속되는 센서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대상으로서의 시료를 포함하는 센서가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된 타이밍을, 상기 측정 조작 타이밍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은 혈액이며, 상기 측정 처리부는, 상기 혈액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고, 혈당치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측정시 상태 정보, 및, 상기 측정 처리부에서 측정이 실행됨으로써 얻어진 처리 결과를 기억하는 처리 결과 기억부와,
    상기 처리 결과 기억부에 기억된 내용에 의거하여, 측정시 상태 정보의 종류 별로 구별하여, 상기 처리 결과의 시계열 추이 그래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그래프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KR1020140060347A 2011-06-17 2014-05-20 측정 장치 KR101871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5816 2011-06-17
JP2011135816 2011-06-17
JP2012093716A JP5930823B2 (ja) 2011-06-17 2012-04-17 測定装置
JPJP-P-2012-093716 2012-04-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754A Division KR101426992B1 (ko) 2011-06-17 2012-06-14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37A true KR20150007937A (ko) 2015-01-21
KR101871021B1 KR101871021B1 (ko) 2018-06-25

Family

ID=469823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754A KR101426992B1 (ko) 2011-06-17 2012-06-14 측정 장치
KR1020140060347A KR101871021B1 (ko) 2011-06-17 2014-05-20 측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754A KR101426992B1 (ko) 2011-06-17 2012-06-14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37467B1 (ko)
JP (1) JP5930823B2 (ko)
KR (2) KR101426992B1 (ko)
CN (1) CN102824178B (ko)
TW (1) TWI4791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7536B2 (en) 2015-08-07 2020-01-28 Micro Focus Llc Identifying shortest path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5591A (ja) * 2013-01-25 2014-08-14 Terumo Corp 血糖計
US9965587B2 (en) * 2013-07-08 2018-05-08 Roche Diabetes Care, Inc. Remind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held diabetes management devices
CN103389108B (zh) * 2013-07-30 2016-02-24 邢皓宇 一种电子计步器
EP2851822A1 (en) * 2013-09-20 2015-03-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ata management unit and method operating same
JP2016133890A (ja) * 2015-01-16 2016-07-2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血糖値表示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記録媒体
CN105468894B (zh) * 2015-10-13 2018-1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体征数据显示方法及其设备
JP6538732B2 (ja) * 2017-01-17 2019-07-03 株式会社 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 測定装置、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8843A1 (en) * 2001-02-07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biolobical information processor, biolob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GB2389419B (en) * 2002-06-05 2006-02-22 Diabetes Diagnostics Inc Analyte testing device
US20080235053A1 (en) * 2007-03-20 2008-09-25 Pinaki Ray Communication medium for diabetes management
CN103400028B (zh) * 2008-04-04 2017-04-12 海吉雅有限公司 用于优化患者的胰岛素剂量方案的装置
US10383556B2 (en) * 2008-06-06 2019-08-20 Intuity Medical, Inc. Medical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CA2675227C (en) * 2008-08-15 2017-09-05 Lifescan Scotland Limited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JP2010082009A (ja) * 2008-09-29 2010-04-15 Terumo Corp 血糖値情報処理装置、血糖値情報処理方法及び血糖値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32308B1 (ko) * 2009-09-23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563743B2 (en) * 2010-02-25 2017-02-07 Lifescan Scotland Limited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with high and low blood glucose trends notification
US10330667B2 (en) * 2010-06-25 2019-06-25 Intuity Medical, Inc. Analyte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7536B2 (en) 2015-08-07 2020-01-28 Micro Focus Llc Identifying shortest pa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0823B2 (ja) 2016-06-08
KR20120139572A (ko) 2012-12-27
EP2537467A1 (en) 2012-12-26
JP2013017808A (ja) 2013-01-31
CN102824178A (zh) 2012-12-19
EP2537467B1 (en) 2017-01-04
KR101871021B1 (ko) 2018-06-25
CN102824178B (zh) 2015-03-25
KR101426992B1 (ko) 2014-08-06
TWI479151B (zh) 2015-04-01
TW201307842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021B1 (ko) 측정 장치
JP4594731B2 (ja) 測定値の便利な表示を含む血中グルコースの監視
US8226891B2 (en)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20060099703A1 (en) Dev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s
EP2584964B1 (en) Analyte monitoring devices
KR101119554B1 (ko) 측정 장치
RU2007127254A (ru) Устройство с дисплеем, отображающим тенденцию измерения
KR101141251B1 (ko) 만보기 기능을 가지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
JP2007155732A (ja) 分析システムの情報片を可聴出力するための方法
JP2009210549A (ja) 血糖状態推定方法及び装置
WO2013161796A1 (ja) 血糖計
TWI262308B (en) Measuring method of double-slot biosensor
JPWO2013038826A1 (ja) 報知システム
US9451907B2 (en) Measuring apparatus
US9710604B2 (en) Analyte meter with operational range configuration technique
CN114137218A (zh) 能根据血容比值校正测量值的血糖检测装置
US20180064379A1 (en) Analyte meter with basic and advanced meter preset mode selection based on structured queries
WO2013161797A1 (ja) 血糖計
JP3111449U (ja) バイオセンサ
JP2012163367A (ja) 計測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