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799A -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799A
KR20150007799A KR1020130082287A KR20130082287A KR20150007799A KR 20150007799 A KR20150007799 A KR 20150007799A KR 1020130082287 A KR1020130082287 A KR 1020130082287A KR 20130082287 A KR20130082287 A KR 20130082287A KR 20150007799 A KR20150007799 A KR 2015000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electronic device
screen
acqu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142B1 (ko
Inventor
김문수
정진홍
강화영
윤영권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42B1/ko
Priority to US14/294,284 priority patent/US9578246B2/en
Publication of KR2015000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99A/ko
Priority to US15/435,448 priority patent/US100213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된다.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고, 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음성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앞면 및 뒷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해 자신의 얼굴 또는 모습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를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자신의 얼굴 또는 모습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 범위를 정한 후, 스크린 상의 촬영 메뉴를 터치하여 촬영한다.
그런데, 종래 전자 장치는 자신의 얼굴 또는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촬영 메뉴를 터치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가 흔들리게 되어 결국 초점이 맞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전자 장치에 탑재된 카메라의 화각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또한 사용자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전자 장치는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으며 피사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각의 한계점이 존재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를 전자 장치에 탑재하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복수의 카메라가 탑재된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획득된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움직임을 인식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과정과, 상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제어하는 명령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상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영상 통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장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유사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비슷한 애용의 데이터의 작성을 방지할 수 있고 입력되는 데이터와 관련있는 내용의 데이터를 쉽게 찾아 병합할 수 있어 메모장과 같은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과 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각각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예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시 상대방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 휴대 가능하고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3D-TV, 스마트 TV, LED TV, LCD TV등을 포함하며 이외도 주변 기기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 스크린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과 같은 비접속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에 명령 또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펜,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유닛은 스크린 상의 터치 또는 호버링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손가락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전자 장치의 일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입력 유닛에 의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입력 유닛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정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동 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 즉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a), 제2 카메라(151b) 및 제3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카메라(151a) 내지 제3 카메라(152)는 화각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영상 촬영뿐만 아니라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의 주 용도에 따라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한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해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촬영을 위해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스크린(190), 및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 등의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168)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에 근접함에 따른 호버링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호버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입력 유닛까지의 높이와, 높이에 따른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입력 유닛에 형성된 버튼 눌림, 입력 유닛에 대한 두드림, 입력 유닛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객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제2 영상을 병합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탑재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영상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사용자의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등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에 대응하여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영상 위에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스크린 상에 오버레이하거나 또는 제2 영상 위에 제1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스크린 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크린에 오버레이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한 제1 영상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통한 제2 영상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경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명령을 추출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사전에 약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핀 상태에서 오므리는 제스처는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가락을 하나씩 오므리는 제스처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스처 이외에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통해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촬영하기 위해 플래시를 제공하거나 촬영하는 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50)을 제어하여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2 영상을 병합하여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카메라는 다른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영상 통화의 감지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다른 카메라에서 획득되지 못하는 객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송수신부라 칭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스크린(19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a), 제2 카메라(151b) 및 제3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3 카메라(152)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a)와 제3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a)와 제3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51b)와 제3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2 카메라(151b)와 제3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10)와의 통신 상기 스크린(19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제어부(110)로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직간접적으로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이나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스크린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메모장, 다이어리, S-노트 및 워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상기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 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해당 스크린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스크린 별로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스크린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크린은 힌지의 연결을 통한 복수의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스크린들이 힌지 연결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하나의 스크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펜과 같은 펜을 통해서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191)을 포함하며, 이러한 펜 인식 패널(191)은 펜과 스크린(190)간의 거리를 자기장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 접촉하지 않고 검출가능한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스크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스크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크린(190)은 입력 유닛(168)을 통한 입력을 유도 기전력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패널과, 스크린(190)에 핑거를 통한 접촉을 감지하는 패널이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일부 이격되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190)은 다수의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스크린(19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LED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표면에 입력 유닛(168)이 닿거나, 스크린(190)의 일정 거리에 놓이게 되면, 놓인 위치를 파악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센서들 각각은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로 형성되는 센서층은 각각의 센서들이 기 설정된 패턴들을 가지며, 복수의 전극 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스크린(190)은 입력 유닛(168)을 통해 스크린(190)에 접촉 또는 호버링 입력이 발생되면, 센서층과 입력 유닛 사이의 자기장에 기인하여 파형이 변경된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데, 스크린(190)은 발생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스크린(190)은 핑거를 통해 스크린(190)에 접촉이 발생되면, 정전용량에 기인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입력 유닛(168)과 스크린(190)간의 일정 거리는 코일(43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151a, 151b, 15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후 병합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위에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위에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위에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위에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위치가 조절되는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각각의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터치되면,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상기 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 중 적어도 하나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3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과 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90)은 제1 터치 패널(440), 표시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포함한다. 또한, 스크린(190)은 표시 패널(450)만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표시 패널(450)만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터치 패널(440), 표시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450)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과,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한다.
제1 터치 패널(440)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44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440)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터치 패널(440)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다.
제2 터치 패널(460)은 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460)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입력 유닛(168)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입력 유닛(168)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류를 기초로 하여, 입력 유닛(168)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미도시)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460)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입력 유닛(168)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터치 패널(440)로부터 입력 유닛(168)의 펜촉(430)까지의 높이(h)를 감지한다. 이러한, 스크린(190)의 제1 터치 패널(440)에서 펜촉(430)까지의 높이(h)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460)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유닛이라면 호버링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제2 터치 패널(460)은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 전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입력 유닛(168)은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168)은 상기 제1 터치 패널(440)을 통해 감지되는 공진회로가 포함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펜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은 펜촉(43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터치 패널(440)로부터 핑거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컨대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2 터치 패널(460)로부터 입력 유닛(168)의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패널(440), 표시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 또는 입력 유닛(168) 등의 호버링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450)에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입력 유닛(168)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단지 하나의 스크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스크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크린은 각각 하우징에 구비되어 힌지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의 하우징이 복수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크린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유닛(예: 터치용 펜)은 펜대와, 펜대 끝에 배치된 펜촉(430), 펜촉(43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510)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420), 호버링 입력 효과 발생시 진동하는 진동 소자(520), 전자 장치(100)와의 호버링으로 인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입력 유닛(168)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진동 소자(520)의 진동 세기, 진동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530),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540) 및 입력 유닛(168)의 진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유닛(168)은 입력 유닛(168)의 진동 주기 및/또는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5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입력 유닛(168)은 정전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코일(510)에 의하여 스크린(190)의 일정 지점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스크린(190)은 해당 자기장 위치를 검출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피커(56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140)로부터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또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560)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유닛(168)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가 탑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의 앞면과 뒷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들은 영상을 촬영할 뿐만 아니라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해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스크린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예: 프리뷰 이미지)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한 제2 영상을 획득한다(S612).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은 제2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전자 장치의 동일한 면에 탑재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전자 장치의 서로 다른 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는 제1 카메라에 비해 큰 화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 또는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은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과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을 오버레이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 위에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 위에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제2 영상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한다(S614).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제2 영상은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카메라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포착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사용자의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 등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러한 움직임이 포착되면,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에 대응하여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경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명령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사전에 약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통해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촬영하기 위해 플래시를 제공하거나 촬영하는 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핀 상태에서 오므리는 제스처는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가락을 하나씩 오므리는 제스처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스처 이외에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예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예시도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전자 장치를 통해 자신의 얼굴 또는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전면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또는 뒷면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a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를 파지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왼손뿐만 아니라 오른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적용됨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를 파지하지 않고 고정시킨 후,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151a, 151b)는 화각(θ1, θ2)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는 제1 화각(θ1)을 가지고, 제2 카메라(151b)는 제2 화각(θ2)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카메라(151a)는 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고, 제2 카메라(151b)는 움직임을 포착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의 화각들은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경통부(155)의 조절에 의해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1 화각(θ1)을 갖는 제1 카메라(151a)는 사용자(720)의 오른 팔을 제외한 머리와 몸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제2 화각(θ2)을 갖는 제2 카메라(151b)는 사용자(720)의 오른 팔까지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711)은 스크린(710)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이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7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720)는 제1 카메라(151a)의 화각을 벗어나고 제2 카메라(151b)의 화각 내에 존재하는 손을 움직여 전자 장치(100)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720)가 제1 카메라(151a)의 화각을 벗어나고 제2 카메라(151b)의 화각 내에 존재하는 오른손을 오므리는 제스처를 취하면, 제2 카메라(151b)는 이러한 제스처를 인식하여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식된 제스처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추출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된 명령이 촬영하는 명령인 경우, 제1 카메라(151a)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촬영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도 7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720)와 떨어진 상태에서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자 장치가 파지된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와 떨어진 경우에도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을 오므림으로써 촬영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 등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핀 상태에서 오므리는 제스처는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가락을 하나씩 오므리는 제스처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스처 이외에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7b에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인식된 객체(예: 손)(730) 또는 이러한 객체에 대응되는 이모티콘 또는 아이콘을 스크린(7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한다(S8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가 탑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의 앞면과 뒷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들은 영상을 촬영할 뿐만 아니라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해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스크린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예: 프리뷰 이미지)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되는 영상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병합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12, S814).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은 제2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제2 카메라는 제2 카메라는 제1 카메라에 비해 큰 화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 또는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은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과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을 오버레이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1 영상의 측면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 위에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 위에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오버레이되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사용자의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 등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여 이러한 객체가 움직이는 제스처를 포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예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각각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병합하는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부에 두 개의 카메라(151a, 151b)가 탑재되어 있다.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151a, 151b)는 화각(θ1, θ2)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는 제1 화각(θ1)을 가지고, 제2 카메라(151b)는 제2 화각(θ2)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카메라(151a)는 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고, 제2 카메라(151b)는 움직임을 포착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의 화각들은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경통부(155)의 조절에 의해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1 화각(θ1)을 갖는 제1 카메라(151a)는 제1 사용자(920)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제2 화각(θ2)을 갖는 제2 카메라(151b)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930, 940)를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911)은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912, 913)은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911)과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912, 913)을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920)의 영상(911)을 스크린(910)의 중앙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930)의 영상(912) 및 제3 사용자(940)의 영상(913)을 스크린(91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영상들(911 내지 913)의 위치는 스크린(910) 상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터치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스크린(91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또는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920)가 제1 카메라(151a)의 화각 내에 존재하고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제1 카메라(151a)의 화각 외에 존재하지만, 제2 카메라(151b)의 화각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중 어느 사용자가 오른손을 오므리는 제스처를 취하면, 제1 또는 제2 카메라(151a, 151b)는 이러한 제스처를 인식하여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식된 제스처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추출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된 명령이 촬영하는 명령인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스크린(9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도 9a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들과 떨어진 상태에서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자 장치가 파지된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와 떨어진 경우에도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을 오므림으로써 촬영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등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핀 상태에서 오므리는 제스처는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가락을 하나씩 오므리는 제스처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스처 이외에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에 제1 카메라(151a)가 탑재되어 있고, 후면에 제3 카메라(152)가 탑재되어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는 화각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영상을 촬영할 뿐만 아니라 움직임을 포착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전면에 위치한 제1 카메라는 제1 사용자(960)를 촬영할 수 있으며, 후면에 위치한 제3 카메라(151b)는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한 사용자(970)를 촬영할 수 있다. 전면에 위치한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951)은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후면에 위치한 제3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952)은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960)의 영상(951)을 스크린(950)의 중앙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970)의 영상(952)을 스크린(95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영상들(951 내지 952)의 위치는 스크린(950) 상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터치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스크린(95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10)는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또는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960)가 오른손을 오므리는 제스처를 취하면, 제1 및 제2 카메라는 이러한 제스처를 인식하여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식된 제스처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추출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된 명령이 촬영하는 명령인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스크린(95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제어하고, 각각의 카메라는 기 설정된 화각에 대응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들과 떨어진 상태에서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960)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자 장치가 파지된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와 떨어진 경우에도 움직임 또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을 오므림으로써 촬영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손 동작, 얼굴 표정, 몸짓등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핀 상태에서 오므리는 제스처는 획득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가락을 하나씩 오므리는 제스처는 타이머를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설정한 후 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스처 이외에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S1010).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는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탑재될 수 있다. 화상 통화시 제1 카메라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활성화되고, 전자 장치의 사용자 얼굴 또는 모습을 촬영하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영상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전자 장치로 전송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획득한다(S1012).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전면에 화각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카메라가 탑재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화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카메라를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모습이 촬영되는 경우, 제2 카메라는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촬영하거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대방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1014). 제1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과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대방의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10)는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수신되는 음성을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 11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예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1110)은 자신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151a, 151b)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과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151a, 151b)는 화각(θ1, θ2)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카메라(151a)는 제1 화각(θ1)을 가지고, 제2 카메라(151b)는 제2 화각(θ2)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카메라(151a)는 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고, 제2 카메라(151b)는 움직임을 포착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카메라(151a)는 움직임을 포착하는 카메라일 수 있고, 제2 카메라(151b)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카메라(151a) 및 제2 카메라(151b)의 화각들은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경통부(155)의 조절에 의해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1 화각(θ1)을 갖는 제1 카메라(151a)는 제1 사용자(1120)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제2 화각(θ2)을 갖는 제2 카메라(151b)는 제2 사용자(1130)를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영상 통화시,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1111)과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1112)은 스크린(1110)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1111)과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1112)을 스크린(1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1113)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1120)의 영상(1111)과 제2 카메라(151b)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1130)의 영상(1112)을 스크린(1110)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1113)을 스크린(910)의 상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영상들(1111 내지 1113)의 위치는 스크린(1110) 상의 드래그, 제스처 또는 터치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영상(1113)을 스크린에서 가장 크고 윗 부분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들(1111, 1112)을 스크린에서 상기 영상(1113)보다 작고 아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대방의 영상(1113)을 스크린에서 아래 부분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들(1111, 1112)을 스크린에서 상기 영상(1113)보다 크고 윗 부분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한 카메라 전환(1114), 대체 영상(1115) 및 종료(1116)는 화상 통화에 적용되기 위한 메뉴이다. 카메라 전환(1114)은 화상 통화에 이용되는 카메라를 다른 카메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면에 탑재된 제1 카메라(151a)가 제1 사용자(1120)를 촬영하고 있으나 상기 카메라 전환(1114)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카메라(151b)가 활성화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후면에 탑재된 제3 카메라(미도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대체 영상(1115)은 자신의 모습 대신에 다른 영상을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꺼려하거나 싫은 경우 이러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료(1116)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1111, 1112)은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 전자 장치로 전송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시 상대방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100) 역시 전면에 제1 및 제2 카메라(151a, 151b)가 탑재될 수 있다. 스크린(1140)은 자신에 구비된 제1 및 제2 카메라(151a, 151b)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과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100)는 제1 카메라(151a)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1113)을 스크린(1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대방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1111, 1112)을 스크린(1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0)는 상대방의 영상(1111, 1112)을 스크린에서 가장 크고 윗 부분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1113)을 스크린에서 상기 영상들(1111, 1112)보다 작고 아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와 마찬가지로, 스크린(1140)의 하단에 위치한 카메라 전환(1114), 대체 영상(1115) 및 종료(1116)는 화상 통화에 적용되기 위한 메뉴이다. 카메라 전환(1114)은 화상 통화에 이용되는 카메라를 다른 카메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대체 영상(1115)은 자신의 모습 대신에 다른 영상을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종료(1116)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는 저장부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20: 이동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8: 입력 수단 170: 센서 모듈
180: 전원 공급부 190: 스크린

Claims (19)

  1.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된 아이콘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6.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동작과,
    상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제어하는 명령을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획득 방법.
  12.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동일한 면에 탑재되거나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1 카메라보다 큰 화각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상기 포착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명령은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촬영, 플래시, 타이머 및 연속 촬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1 영상 위에 상기 제2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82287A 2013-07-12 2013-07-12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3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87A KR102031142B1 (ko) 2013-07-12 2013-07-12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294,284 US9578246B2 (en) 2013-07-12 2014-06-0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US15/435,448 US10021319B2 (en) 2013-07-12 2017-02-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87A KR102031142B1 (ko) 2013-07-12 2013-07-12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99A true KR20150007799A (ko) 2015-01-21
KR102031142B1 KR102031142B1 (ko) 2019-10-11

Family

ID=5227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287A KR102031142B1 (ko) 2013-07-12 2013-07-12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578246B2 (ko)
KR (1) KR102031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096A1 (en) * 2015-07-07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8444B2 (en) * 2013-06-25 2018-09-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9351239B2 (en) * 2014-04-30 2016-05-2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ommunication device, near-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at facilitate operation as control terminal
KR20160034065A (ko) *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9589B1 (ko) * 2014-11-05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그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9344615B1 (en) * 2015-01-26 2016-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riminating visual recognition program for digital cameras
KR20170006559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49543B2 (en) 2015-07-21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US9936138B2 (en) *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7842B1 (ko) * 2015-08-17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547337A (zh) * 2015-09-17 2017-03-2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使用手势的拍照方法、系统与电子装置
TW201737277A (zh) * 2016-04-14 2017-10-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力回饋功能的電子開關
KR20170143384A (ko) * 2016-06-21 2017-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03021A1 (zh) * 2016-12-07 2018-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充放电的方法和无线充放电设备
KR20180097384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80099026A (ko) * 2017-02-28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9090734A1 (zh) * 2017-11-10 2019-05-1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拍摄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98489B1 (en) * 2018-04-03 2020-06-30 Apple Inc. Compact pivoting input device
WO2020007085A1 (zh) * 2018-07-02 2020-0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电子装置、移动终端以及电子设备
WO2020166911A1 (en) 2019-02-11 2020-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10062167B (zh) * 2019-04-28 2021-11-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联动拍摄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0997A1 (en) * 2005-01-31 2006-08-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79482A1 (en) * 2006-05-31 2007-12-06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dual camera video telephony
US20110058051A1 (en) * 2009-09-08 2011-03-10 Pantech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photographing control function and photographing control system
US20120120186A1 (en) * 2010-11-12 2012-05-17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4180C (en) 1996-01-22 2005-03-01 Memtec America Corporation Highly porous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US6146747A (en) 1997-01-22 2000-11-14 Usf Filtration And Separations Group Inc. Highly porous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JP2001348725A (ja) 2000-06-02 2001-12-21 Japan Vilene Co Ltd 撥水性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撥水性繊維シート
EP1168830A1 (en) * 2000-06-30 2002-01-02 Wells & Verne Investments Ltd Computer aided image capturing system
US6743273B2 (en) 2000-09-05 2004-06-01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polymer microfiber, polymer nanofiber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s
JP2002266219A (ja) 2001-03-05 2002-09-18 Daikin Ind Ltd 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系不織布
US6680114B2 (en) 2001-05-15 2004-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rous films and articles from microlayer substrates
JP3824512B2 (ja) 2001-10-03 2006-09-20 名古屋油化株式会社 撥水性熱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189168A (ja) * 2001-12-21 2003-07-04 Nec Corp 携帯電話用カメラ
WO2003057961A2 (en) 2002-01-03 2003-07-17 Pall Corporation Breathable non-wettable melt-blown non-woven materials and products employing the same
US20040116028A1 (en) 2002-09-17 2004-06-17 Bryner Michael Allen Extremely high liquid barrier fabrics
US20040256310A1 (en) 2003-06-19 2004-12-23 Cheng Dah Yu Method of producing a porous membrane and waterproof, highly breathable fabric including the membrane
JP4209734B2 (ja) 2003-07-08 2009-01-1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2599A (ja) 2004-02-17 2005-09-02 Toray Ind Inc 耐炎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63662B2 (en) * 2005-02-09 2010-02-16 Flir Systems, Inc. High and low resolution camera systems and methods
JP5028047B2 (ja) 2006-08-08 2012-09-19 倉敷繊維加工株式会社 防風性、防水透湿性に優れる積層シート、それを用いた生地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SG177156A1 (en) * 2009-06-16 2012-01-30 Intel Corp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KR101593573B1 (ko) * 2009-06-19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JP2012042805A (ja) 2010-08-20 2012-03-0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KR20120043995A (ko) 2010-10-27 2012-05-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관심영역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04026B2 (en) * 2010-11-01 2015-12-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WO2013175787A1 (ja) * 2012-05-24 2013-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
CN102769775A (zh) * 2012-06-12 2012-11-07 严幸华 覆盖图像提供系统、服务器和方法
US20140063056A1 (en) * 2012-08-29 2014-03-06 Koskar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ly fitting wearable items
US8953079B2 (en) * 2012-12-31 2015-0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60 degree video recording using MVC
US20140240469A1 (en) * 2013-02-28 2014-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Multiview Image Capture and Depth Sen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0997A1 (en) * 2005-01-31 2006-08-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79482A1 (en) * 2006-05-31 2007-12-06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dual camera video telephony
US20110058051A1 (en) * 2009-09-08 2011-03-10 Pantech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photographing control function and photographing control system
US20120120186A1 (en) * 2010-11-12 2012-05-17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096A1 (en) * 2015-07-07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10061B2 (en) 2015-07-07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1319B2 (en) 2018-07-10
KR102031142B1 (ko) 2019-10-11
US20170163872A1 (en) 2017-06-08
US20150015741A1 (en) 2015-01-15
US9578246B2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142B1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KR102160767B1 (ko)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2946265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US201403174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and unlocking of portable terminal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2824905B1 (en) Group recording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048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KR20160028823A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4034033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US9633225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vision of data
US2015000242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20140113757A (ko)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