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30A -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530A
KR20150007530A KR1020130081578A KR20130081578A KR20150007530A KR 20150007530 A KR20150007530 A KR 20150007530A KR 1020130081578 A KR1020130081578 A KR 1020130081578A KR 20130081578 A KR20130081578 A KR 20130081578A KR 20150007530 A KR20150007530 A KR 2015000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hwanggi
present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헌용
한용대
Original Assignee
(주)메디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코넷 filed Critical (주)메디코넷
Priority to KR102013008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7530A/ko
Publication of KR2015000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추출물을 통해 HA의 함량 증가에 따른 보습효과의 기전으로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HA 생산과 HYAL 저해를 통해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 부족현상을 개선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Hyaluronic aid synthase(HaCaT) 세포에서 Hyaluronic acid(HA) 생성으로 피부 보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Skin hydration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Astragalus root extract}
본 발명은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기추출물을 통해 HA의 함량 증가에 따른 보습효과의 기전으로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HA 생산과 HYAL 저해를 통해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 부족현상을 개선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의 제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표피에서는 인체 내부의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피부에서 일정 수분을 유지한다는 것은 물분자들이 증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분을 잃지 않기 위한 장벽을 구성한다는 의미가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장벽이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지질, 당, 단백질 등이 관여하고 상호작용한다. 도 1에 도시된 Hyaluronic acid(HA)의 구조식에 따라 이중 Hyaluronic acid (이하 HA)는 세포외 연결 조직에 존재하는 고분자의 glycosaminoglycan으로서 수분 증발을 막는 장벽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HA의 함량이 줄어든다고 보고되었다.
외부의 환경적 요인 중 특히 자외선의 장기 노출은 피부의 일정한 HA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이러한 내재적 혹은 외재적 요인으로 인한 HA의 함량 감소는 피부의 탄력 감소, 거친 피부, 주름의 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피부에서 HA의 함량유지는 피부 보습은 물론 미용상 젊은 피부를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HA는 지속적인 Hyaluronic acid Synthase(HAS)에 의한 합성과 Hyaluronidase (HYAL)에 의한 분해에 의해 함량이 조절된다. 피부에서 HA의 함량을 유지 혹은 증대시키는 방법 중에 하나는 HA의 합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HA의 분해를 억제한다.
따라서, Hyaluronic acid Synthase(HAS)의 유전자 발현의 증가와 Hyaluronidase(HYAL) 활성 감소를 시키는 능력이 있는 약재 혹은 이 두 가지 기능이 있는 약재의 혼합은 피부의 보습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많은 천연물과 물질들이 HAS의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HA의 생산량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Black rice, 인삼에서 분리한 compound K,kaempferol, quercetin, retinoic acid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황기가 보익약으로서 補氣升陽의 효능이 있으며 특히 衛氣가 건실하지 못해서 흘리는 식은땀에 효과가 인지하여 피부와 관련하여 황기의 피부수분함량 측정 시험에서 보습효과를 확인하여 humankeratinocyte인 HaCaT에서 HA 생산과 HYAL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관련기술문헌]
1.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iosture)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83125호)
2.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prepared by using pottery extractor)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23388호)
3. 아스트라갈로사이드를 다량 함유한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Astragali Radix with lots of astragloside) (특허출원번호 10-2009-01167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황기추출물을 통해 HA의 함량 증가에 따른 보습효과의 기전으로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HA 생산과 HYAL 저해를 통해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 부족현상을 개선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Hyaluronic aid synthase(HaCaT) 세포에서 Hyaluronic acid(HA) 생성으로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황기추출물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콜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기추출물을 통해 HA의 함량 증가에 따른 보습효과의 기전으로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HA 생산과 HYAL 저해를 통해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 부족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생체내에서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키고, 랑게르한스섬에서 IRS2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세포 및 동물에서 급성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둥글레, 옥수수수염, 발아현미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Hyaluronic acid(HA)의 분자구조식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황기추출물의 MTT assay(세포독성 검사)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황기추출물의 황기 처리 농도에 따른 Hyaluronidase enzyme assay의 저해율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황기추출물의 HAS2 유전자의 발현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인체에 사용시 피부의 수분보유율의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황기(Astragali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단너삼(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주피를 벗겨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자당, 글루쿠론산, 점액질, 아미노산, 콜린, 베타인, 엽산 등을 함유하고, 외부가 담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내부는 황백색으로 부드럽고 단향기가 있다. 또한 '민간에서 강장제로써 인삼 다음의 보기약으로 쓰이고 있다
황기는 생리활성으로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강장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아스타갈로사이드류(astragalosides)의 사포닌과 아스트라갈란(astragalan) 계통의 다당류, 켐페롤, 퀘르세틴, 이소람네틴(isorhamnetin), 칼리코신, 포르모노네틴, 람노시트린(rhamnocitrin), 쿠마타케닌(kumataken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프롤린, β-아미노뷰티르산, 아르기닌,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실험예>
1. 황기추출물 제조
황기의 수피 및 잎을 건조, 분쇄하여 황기 100g을 80% (v/v) 메탄올 용매에 담가 냉침하였다. 여과하여 Bottle에 포집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이후에 동결건조하여 황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황기추출물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콜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2. 시료준비
Hyaluronidase enzyme assay는 Morgan-Elsonmethod에 따라서, Bovine hyaluronidase 50㎕ (8㎎/㎖, 0.1 M acetate buffer, pH3.6)과 50㎕의 시료를 섞은 후에 37℃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CaCl2 200㎕(12.5mM)를 넣어준 후 다시 37℃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12㎎/5㎖의 농도로 acetate buffer에 녹여 Sodium hyaluronate 250㎕를 투입하고 다시 37℃에서 40분간 방치한 후 NaOH 100㎕(0.4M)와 potassium tetraborate 100㎕ (0.4M)를 혼합하였다.
이후, 끓는 물에 3분간 놓아둔 후 실온에서 식힌 후에 DMAB 용액 (1.5㎖)를 넣고 다시 37℃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aluronidase(HYAL) 저해제로 알려진 glycyrrhizin과 isoliquiritigenin을 함유한 감초 및 항알러지 약물인 disdium cromoglycate(DSCG)와 비교하였다.
저해율은 [(ODc - ODs) / ODc] x 100(%)로 계산하였다. (ODc: control의 흡광도, ODs: 시료의 흡광도)
3. 세포배양
Hyaluronic aid synthase(HaCaT)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Medium (DMEM, Gibco)에 10% Fetal bovineserum (FBS, Gibco)과 1% penicillin-streptomycin(PS, Gibco)이 함유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4. MTT assay(세포독성 검사)
세포를 2 x 105/㎖ 농도로 96 well plate에 seeding 하고, 24시간 후에 serum-free DMEM으로 교체한 후에 황기추출물을 처리해주었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media를 걷어내고 20㎕의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bromide (MTT, 5㎎/㎖)을 넣어주고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100㎕의 DMSO로 결정을 용해시킨 후에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control과 비교하여 %로 표시하였다. 세포에 처리한 샘플에 포함된 DMSO는 최종농도 0.1%에 맞추었다.
5. RT-PCR
세포를 2 x 105/㎖ 농도로 6 well plate에 seeding 하고 24시간 후에 serum-free DMEM으로 교체하여 황기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최종 DMSO의 농도는 0.1%로 맞추어 주었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easyBlue (intron)로 RNA를 추출하였다.
RNA 농도와 순도(OD260 / OD280)를 측정한 후에 2㎍ RNA로 power cDNA synthesis kit (intron)을 이용하여 cDNA 합성을 하였다. PCR은 premix PCR kit(Solgent)을 이용하였다. PCR product는 1.5% agarose gel에 전기영동 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All-trans-retinoic acid (ATRA, sigma) 1μM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고 Primer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quence로 제작하였다.
PCR을 94℃ 15 min, 32~35cycles: 94℃ 30s 50℃ 30s 72℃ 60s 72℃ 10 min 최종 합성의 조건으로 하였다.
Primers Sequence
Gene Direction Sequence(5' -> 3' ) Size(bp)
HAS2
Forward GCT ACC AGT TTA TCC AAA CG (20 mer) 393
Reverse GTG ACT CAT CTG TCT CAC CG (20 mer)
GAPDH
Forward ATT GTT GCC ATC AAT GAC CC (20 mer) 546
Reverse AGT AGA GGC AGG GAT GAT GT (20 mer)
6. ELISA
세포를 2 x 105/㎖ 농도로 6 well plate에 seeding 하고, 24시간 후에 serum-free DMEM으로 2번 washing 한 후에 serum-free DMEM 교체하고 샘플을 처리하여 DMSO는 0.1%로 설정하였다.
24시간 후에 350㎕의 media를 걷어내고 다시 24시간 후에 같은 량 350㎕을 걷어내었다.
15,000 x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걷어내어 ELISA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ELISA는 HA-ELISA kit(echelon)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ATRA 1μM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7. 통계
통계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유의성 기준을 p value가 0.05 미만일 경우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1>
1. MTT assay(세포독성 검사)
상기 80% 메탄올 황기추출물을 10, 50, 100㎍/㎖로 처리하여 먼저 MTT assay를 하였고 다음에 100 ~ 300㎍/㎖ 농도 범위에서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첨부된 도 2a 및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0 ~ 300㎍/㎖에서 독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총 추출물임을 감안하여 최대농도를 200㎍/㎖까지 정하였다.
2. Hyaluronidase enzyme assay
Hyaluronic acid(HA) 함량 증가는 HA 생성의 증가와 분해의 감소로 발생하는데, HA 감소는 Hyaluronidase(HYAL)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한 HYAL은 피부에서 HYAL 저해와 관련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기의 HYAL 활성저해는 황기 처리 농도를 200㎍/㎖로 했을 때 저해율은 8.73%이었고 감초와 DSCG는 각각 35.78%와 31.17%의 저해율을 보였다.
즉, 메탄올 황기 추출물을 125㎍/㎖로 처리했을 때 7.63% 저해율이 나타났다.
3. 황기의 HAS2 유전자 발현 증가
DMSO(0.1%) 처리군과 80% 메탄올 황기추출물 100㎍/㎖ 처리군의 HAS2 유전자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황기 처리군에서 HAS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가 발생하였다.
80% 메탄올 황기 추출물을 50, 100, 200㎍/㎖ 처리했을 때의 HAS2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RT-PCR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ATRA 1μM 처리했을 때 HAS2의 유전자 발현이 매우 현저하게 늘어남을 확인되었고, 처리 농도 범위 내에서 HAS2의 유전자 발현량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황기추출물을 통해 HAS2 유전자 발현량의 증가는 HA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HA-ELISA assay
황기추출물 50, 100, 200㎍/㎖ 처리했을 때 HA의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해 ELISA ki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8시간 처리가 24시간 처리보다 모든 샘플에서 HA생성량이 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TRA (1μM) 처리했을 때 HA 생성량이 24시간과 48시간에서 각각 598.28 ± 39.36 ng/㎖ 과 915.63 ± 23.33 ng/㎖로 현저히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황기처리군(50 ~ 200㎍/㎖)의 경우 DMSO 0.1% 처리한 vehicle 군과 비교했을 때 24시간에서는 각각 50.55%, 77.2%, 108.33% 증가하였고 48시간에서는 각각 51.67%, 61.59%, 59.19% 증가하였다. 48시간 처리에서 황기 처리농도 100과 200 ㎍/㎖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기추출물의 HA 생성량
Sample Time
24 hours 48 hours
vEHICEL(dmso 0.1%) 91.33 ± 5.24 207.72 ± 12.32
ATRA(1μM) 598.28 ± 39.36*** 915.63 ± 23.33***
A. membranaceus(50 ㎍/㎖) 137.45 ± 8.78** 315.03 ± 17.01**
A. membranaceus(50 ㎍/㎖) 161.83 ± 33.47* 335.67 ± 28.01**
A. membranaceus(50 ㎍/㎖) 190.32 ± 26.27** 330.67 ± 17.41**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D
*** : P < 0.001, ** : P < 0.01, * : P < 0.05
<실험결과 2>
황기는 ononin, calycosin, formononetin등의 isoflavonoids를 함유하고 있는데, 황기에 포함되어 있는 isoflavone인 ononin, calycosin, formononetin의 함량이 발효에 의해 줄어들며 이는 isoflavone들이 aglycone의 형태나 혹은 다른 관련 물질로 대사함으로서 H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Genistein과 daidzein이 HA의 함량을 늘린다는 것은 isoflavone들이 HA 생성에 관여할 수도 판단되며, Isoflavone 천연물을 함유하는 한약재들이 HA 함량증가를 통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보습 관련 화장품의 원료로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양성대조군 ATRA과 비교하여 유사한 HA를 증가를 도출하였고, HAS2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고 H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황기가 갖는 보습효과에 HA 증가에 관여할 수도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3>
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물은 독성이 약하여 50, 100, 200㎍/㎖을 처리 농도로 설정하여 황기추출물 200 ㎍/㎖에서 Hyaluronidase에 대해 8.73%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감초와 DSCG는 각각 35.78%와 31.17%의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HaCaT 세포에서 황기추출물 처리는 HAS2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50, 100, 200 ㎍/㎖ 농도의 황기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DMSO 0.1% 처리한 vehicle 군과 비교하여 24시간에서는 각각 50.55%, 77.2%, 108.33% 증가하였고 48시간에서는 각각 51.67%, 61.59%, 59.19%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크린싱 크림, 젤, 폼, 파우더, 바디워시, 스크럽 삼푸, 마사지 크림 등의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 세안, 목욕, 세발, 피부 마사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피부 보습제용 화장료 조성물
황기추출물 함유 조성비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72.39
보습제(글리세린 5중량% + 피이지 1중량% 6
계면활성제 18.01
방부제 0.1
점증제 0.7
향료 0.8
황기추출물 2
상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점증제, 향료, 황기추출물을 각각 계량한 다음,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 및 첨가 성분으로 분류하여 각기 특성에 따라 용해시킨 후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믹스기를 이용하여 2500rpm으로 78℃를 유지시키면서 10분간 교반 하다가 55℃에서 첨가 성분을 투입한 후 약 5분간 더 교반한 다음, 40℃까지 냉각시켜 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피부 보습제용 화장료 조성물
황기추출물 미포함 조성비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74.39
보습제(글리세린 5중량% + 피이지 1중량% 6
계면활성제 18.01
방부제 0.1
점증제 0.7
향료 0.8
상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점증제, 향료를 각각 계량한 다음, 수상성분과 유상 성분 및 첨가 성분으로 분류하여 각기 특성에 따라 용해시킨 후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믹스기를 이용하여 2500rpm으로 78℃를 유지시키면서 10분간 교반하다가 55℃에서 첨가 성분을 투입한 후 약 5분간 더 교반한 다음, 40℃까지 냉각시켜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결과 1> 관능평가
피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남녀 각각 10명(남자 평균연령: 33.8세, 여자 평균연령: 37.0세)을 대상으로 실험의 목적과 평가 방법에 대해 충분히 교육을 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에 대하여 사용감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피험자들은 목욕 또는 샤워를 한 후, 실시예의 시료 20g을 1분 동안 전신에 골고루 도포하여 약 3분간 문지르게 한 다음 5분 후 따뜻한 물로 씻어내도록 한 후 사용감을 평가하고, 약 1시간 정도의 휴식 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의 사용감을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관능검사 점수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피부 개선효과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5점-매우 매끄럽다, 4점-매끄럽다, 3점-보통이다, 2점-거칠다, 1점-매우 거칠다)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평가에 대한 항목별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항목
평균값
실시예 비교예
피부개선 4.7 3.3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값이 4.7의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비교예는 3.3의 낮은 만족도 보였다.
<비교결과 2> 보습력 평가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실험군)의 보습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여기서, 보습력은 각질층의 수분보유량을 의미한다.
피험자의 팔 안쪽 5cm×5cm 부위에 각 시료를 도포한 후 1분간 문지른 다음 약 30초 후에 흐르는 물에 약 10초간 씻었다. 1일 4시간 간격으로 2회 실시한 후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기는 Corneometer CM 825(Courage + Khazaka 사, 독일)를 이용하였고, 시험은 25℃,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15, 30, 60, 120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대조군은 피험자의 팔 안쪽 5cm×5cm 부위를 흐르는 물에 약 10초간 씻은 다음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보습력 평가 결과표
구분 0분 15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대조군 0 0.77 0.52 0.76 1.27
실험군(실시예) 0 -15.63 -18.81 -15.09 -13.74
상기 표 6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수분보유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특정하게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Hyaluronic aid synthase(HaCaT) 세포에서 Hyaluronic acid(HA) 생성으로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81578A 2013-07-11 2013-07-11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78A KR20150007530A (ko) 2013-07-11 2013-07-11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78A KR20150007530A (ko) 2013-07-11 2013-07-11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30A true KR20150007530A (ko) 2015-01-21

Family

ID=5257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578A KR20150007530A (ko) 2013-07-11 2013-07-11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75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0796A1 (de) * 2016-06-24 2017-12-28 Fach Dr Christian Glykosaminoglykan enthaltenes stoffgemisch sowie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KR20180097968A (ko) * 2017-02-24 2018-09-03 동구안 쫑찌 지안스 리미티드 꿀을 함유하는 보습 얼굴 마스크
CN114767550A (zh) * 2022-03-30 2022-07-22 仁和全域(上海)大健康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复合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0796A1 (de) * 2016-06-24 2017-12-28 Fach Dr Christian Glykosaminoglykan enthaltenes stoffgemisch sowie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KR20180097968A (ko) * 2017-02-24 2018-09-03 동구안 쫑찌 지안스 리미티드 꿀을 함유하는 보습 얼굴 마스크
CN114767550A (zh) * 2022-03-30 2022-07-22 仁和全域(上海)大健康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复合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767550B (zh) * 2022-03-30 2023-06-23 仁和全域(上海)大健康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复合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4208B2 (es) Extractos de planta estimulante del has2.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160964B2 (ja) スイートピー抽出物含有化粧料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2409A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522162A (zh) 与抗坏血酸组合的c-糖苷衍生物的美容用途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644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7530A (ko) 황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1149B1 (ko) 천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086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689330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669A (ko) 노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JP6779627B2 (ja) 月下美人のカルス作出方法及び、そ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など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160054681A (ko) 원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CN112584820A (zh)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9295B1 (ko) 호장근, 보골지(바쿠치올) 및 뽕나무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1999B1 (ko) 피부 활력 증진 및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