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493A -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493A
KR20150007493A KR1020130081489A KR20130081489A KR20150007493A KR 20150007493 A KR20150007493 A KR 20150007493A KR 1020130081489 A KR1020130081489 A KR 1020130081489A KR 20130081489 A KR20130081489 A KR 20130081489A KR 20150007493 A KR20150007493 A KR 2015000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gn
bph
prostate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586B1 (ko
Inventor
안효진
양갑식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6Morin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 - 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은 50세 이상의 대부분의 남성에게 나타나는 병리현상이다. 근래에 들어서 양성 전립선 비대증치료를 위하여 약물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다양한 부작용 없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완전히 치료하는 화학약품은 없다. 약물요법에서 나타나는 원치 않는 많은 종류의 부작용 때문에 사람들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진전 저해에 효과적이면서도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전한 생약제제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은 선(gland) 안쪽이 비(非)암적인 성장에 기인하여 전립선이 커진 병적인 상태로 알려져 있다 (de Lourdes Arruzazabala et al., 2007). 50세 이상의 남자 50% 이상에서 BPH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2020년까지 약 4500만의 남자가 BPH로 고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Flannery et al., 2006; Napalkov et al., 1995). 비록 BPH가 나이 든 남자에게 일반적인 병이기는 해도 BPH의 원인과 병리에 대해 완전히 규정되지 않았고 완전한 치료 해법 또한 없다. (Djavan et al., 2010; Lepor, 1995; Thorpe and Neal, 2003).
BPH치료를 위한 방법은 약물치료와 수술이 있으나 요즈음은 약물 치료 선호로 인하여 여러 가지 수술적인 방법은 줄어들었다 (Bosch et al., 1995; de la Rosette et al., 2001). BPH의 특성상 장기간 지속적인 약물투여를 요한다. 그래서 장기지속성에 견딘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점이다. 5α-reductase inhibitor (finasteride and dutasteride), 및 α-adrenoceptor antagonist (alfuzosin, terazosin, doxazosin, tamsulosin) 같은 다양한 약물제제가 BPH 치료에 사용되어져 왔다 (Lepor, 2011; Untergasser et al., 2005). 중요한 BPH약물치료제인 5α-reductase inhibitor는 5α-dihydrotestosterone과 α-adrenergic blockers의 수준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iwari et al., 2005). 비록 이러한 약물제제가 BPH의 진전을 억제하는 큰 효과가 있다고 고려되지만 많은 연구가 이들의 부작용을 보고하고 있다 (Patel and Chapple, 2006). 예를 들면 피나스테라이드는 현기증, 손상된 근육성장,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구조적으로 비슷함에 기인한 심각한 근육병(myopathy)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McConnell et al., 2003; Uygur et al., 1998). 그러한 약물제제의 원치 않는 부작용 때문에 BPH의 생약적인 치료를 찾아 연구가 상당한 의약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조선시대 어의인 허준에 의해 쓰여졌으며 또한 유네스코의 2009년 Memory of World Program에 포함된 한국의 전통의학서 동의보감에 많은 생약치료법이 소개되어 있다. GGN 역시 동의보감에 소개되어 있다. 그것은 9개의 약초로 구성되어 있다. 파극의 뿌리, 육종용의 꽃자루, 산수유 열매, 갯실새삼 종자, 보골지 종자, 석곡초, 호로파 종자, 회향 열매와 부자 뿌리이다. GGN은 동의보감에 발기부전과 같은 성기능 장애에 큰 효과가 있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 GGN이 BPH 억제 효과나 성기능 향상을 증명하는 생물학적인 연구는 없었다. 그러나 이미 파극의 뿌리, 육종나무의 뿌리, 부자 뿌리 같은 GGN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생약이 포함된 다른 생약치료에 관한 몇 종류의 연구를 이룩했다. 연구는 그러한 생약이 BPH 억제효과가 있음을 제시했다 (Huang et al., 2009; Shin et al., 2012).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자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BPH 진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자료를 얻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GGN에 포함되는 생약들의 복합적인 상승효과에 기인하여 BPH의 진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가설을 정했다. 본 발명에서는 테스테스테론으로 유도된 BPH 모델 쥐를 사용하여 GGN의 BPH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가 나타내는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생약 복합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가감내고환(GGN)의 효과를 입증하는 생물학적인 연구는 되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 연구는 GGN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억제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GGN의 BPH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총 24마리의 쥐를 6마리씩, 대조군 그룹, BPH모델 그룹, 피나스테라이드 그룹, GGN그룹으로 나누었다. 대조군 그룹을 제외한 모든 그룹의 쥐들은 체중 1kg당 10mg씩 테스토스테론을 피하주사 하였고 대조군 그룹은 같은 양의 소금물을 피하주사 하였다. 피나스테라이드와 GGN은 각각의 그룹의 쥐에게 체중 1Kg당 피나스테라이드 5mg, GGN 200mg을 4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GGN투여는 B 그룹과 비교할 때 전립선의 중량, 상대 전립선 중량비율, 체중 대비 전립선 중량비를 감소시켰다. 첨가하여 GGN은 전립선 조직의 성장을 억제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감내고환(GGN)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도1은 GGN 투여가 전립선 중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각 그룹의 전립선 중량 (B)는 상대 전립선 무게 비율을 나타낸다. 수치는 그룹당 6 마리 쥐의 평균±SEM으로 표시되었다. (### p < 0.001 vs. CON group. *** p < 0.001 vs. B group)
도2는 GGN 투여가 체중 대비 전립선 무게 비율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체중 대비 전립선 무게 비율이고 (B)는 억제율을 나타낸다. 수치는 그룹당 6 마리 쥐의 평균±SEM으로 표시되었다. (### p < 0.001 vs. CON group. *** p < 0.001 vs. B group) (PW/BW ratio, Prostate weight to body weight ratio)
도3은 GGN 투여가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과 DHT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수치는 그룹당 6 마리 쥐의 평균±SEM으로 표시되었다. (### p < 0.001 vs. CON group. *** p < 0.001 vs. B group).
도4는 쥐 전립선 조직의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H&E) 염색 (A)와 전립선 표피조직의 두께 (B)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40배, 400배 확대한 것이다. (### p < 0.001 vs. CON group. *** p < 0.001 vs. B group) (TET, thickness of epithelium tissue from prostate)
본 발명은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부위는 파극의 뿌리(root), 육종용의 꽃자루(pedicle), 산수유의 열매(fruit), 갯실새삼의 종자(semen), 보골지의 종자(semen), 석곡초(herba), 호로파의 종자(semen), 회향의 열매(fruit), 부자의 뿌리(radix)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량은 1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2 내지 1.5 : 0.1 내지 1 : 0.1 내지 1 : 0.05 내지 0.5 : 0.01 내지 0.5, 보다 구체적으로 1 : 0.8 내지 1.2 : 0.8 내지 1.2 : 0.8 내지 1.2 : 0.5 내지 1 : 0.6 내지 0.8 : 0.6 내지 0.8 : 0.1 내지 0.5 : 0.05 내지 0.3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1 : 1 : 1 : 0.8~0.9 : 0.6~0.7 : 0.6~0.7 : 0.3~0.4 : 0.1~0.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각 생약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되거나,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생약은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부위는 파극의 뿌리(root), 육종용의 꽃자루(pedicle), 산수유의 열매(fruit), 갯실새삼의 종자(semen), 보골지의 종자(semen), 석곡초(herba), 호로파의 종자(semen), 회향의 열매(fruit), 부자의 뿌리(radix)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양태에서,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를 물, C1-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여과 및 용매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일 1 내지 2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전립선 비대증 개선, 완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항-전립선 비대 활성을 통해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이미 발병되었거나, 발병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되며, 상기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되, 적절한 식품보조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전립선 비대증을 가진 개체에서 증상의 개선,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료 조성물 중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써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재료 및 시약
가감내고환(GGN)이 포함된 모든 약초는 옴니허브 주식회사 (대구,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피나스테라이드는 머크 앤 컴퍼니 (뉴저지,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다른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 (세인트루이스, MO, 미국)에서 구입했다.
2. GGN 의 제조
GGN은 표1에서 제시된 구성표에 의해 만들어졌다. 모든 약초는 수분량이 중량대비 13% 이하이고 공기 중에서 건조되었다. 약초의 조합은 증류수로 3시간 동안 전탕하였다. 전탕액은 동결 건조하여 이용하였다. 실험을 위한 분말들은 증류수에 용해시켰고 잔류 분말은 섭씨 영하 20도에 보관 하였다.
사용된 GGN의 구성표
Species Parts used Weights (g)
Morinda officinalis Roots 120
Cistanche salsa Pedicle 120
Cornus officinalis Fruit 120
Cuscuta chinensis Semen 120
Psoralea corylifolia Semen 100
Dendrobium nobile Herba 80
Trigonella foenum - graecum Semen 80
Foeniculum vulgare Fruit 40
Aconitum carmichaeli Radix 20
3. 실험동물
10주 된 위스타 쥐 (무게 200 20g)는 대한 바이오링크 (대전, 한국) 에서 구입하였다. 상지대학의 Institutional Animal Care Committee (규정번호 2013-3)가 적용하여 규정된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에 따라 그 쥐들을 사육하였다. 쥐들은 실험 시작 전 2주 안에 변화된 조건에 적응되도록 했다. 쥐들은 4주 동안 자유롭게 먹이와 물을 취하게 하였고 전 실험 동안 12시간 빛, 12시간 어둠의 주기로 항온 섭씨 22±2도 상대습도 55%±9%을 유지하였다. 쥐들은 6마리씩 콘트롤 그룹, BPH 모델 그룹, 피나스테라이드 투여그룹, GGN처리 그룹의 4그룹이 되도록 임의로 분포시켰다. 쥐들은 기존 연구 (Guo et al, 2004년)에 따라 거세 후 테스토스테론 피하주사방식으로 BPH를 발생시켰다. 4주 마지막에 쥐의 중량이 기록되고 모든 쥐들은 꼼짝 못하도록 12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다음날 쥐들은 졸래틸(Virbac, Carros Cedex, France)로 마취시키고 심장을 찔러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전립선 조직은 절개하여 세척하고 무게를 재고 진행되는 이후 실험을 위하여 섭씨 영하 70도에서 보관하였다.
4. 투여 및 투여량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는 옥수수유로 희석하여 BPH를 유도하기 위하여 BPH 모델그룹, 피나스테라이드 그룹, GGN 그룹 쥐들에게 체중당 10mg을 투여하였다 (Virbac, Carros Cedex, France). 피나스테라이드는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피나스테라이드는 체중당 200 mg와 GGN은 체중당 5mg씩 피나스테라이드 그룹과 GGN 그룹 쥐들에게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5. 체중대비 전립선의 무게 비율
전립선 조직은 절개하여 닦아내고 즉시 무게를 측정하였다. 체중대비 전립선의 무게 비율을 계산하였다. 상대 전립선 무게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상대 전립선 무게 비율 = 실험그룹 (BPH, 피나스테라이드, GGN)의 전립선 무게/
대조군의 전립선 무게
6. 억제율
억제 비율의 수학적인 계산식이 기존 연구 (Veeresh Babu et al., 2010)에 따라 만들어지고 조정하여 계산되었다. 간단히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100-[(피나스테라이드 그룹과 GGN 그룹의 전립선무게/체중 비율 대조군의 전립선무게/체중 비율)/ BPH 그룹의 전립선무게/체중 비율- 대조군의 전립선무게/체중 비율)x100]
7. 혈청분석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케이먼 화학회사 (Ann Arbor, 미시간, 미국)의 테스토스테론 EI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중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HT) 농도는 시판 중인 에세이 Kit (ALPCO Diagnostics, Salem, NH, USA)를 사용하여 효소방법으로 측정하였다.
8. 조직학적 분석
각 그룹의 전립선 조직은 4%의 포르말린에 고정시켜 파라핀 용액에 착상시켜 4m의 두께로 잘랐다. 잘린 부분은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조직적인 분석을 위하여 염색하였다. 염색 이미지는 SZX10 현미경 (Olympus, Tokyo, Japan)을 사용하여 알아냈다.
9. 통계학적 분석
모든 보고된 수치는 6마리 쥐의 평균값 SEM으로 나타냈다. 데이터는 Dunnetts test의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 소프트웨어 (버전 19.0)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실험 결과>
1. 전립선 중량에 대한 GGN 의 효과
BPH 그룹의 전립선의 중량은 다른 어떤 그룹과 비교할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피나스테라이드 그룹과 GGN 그룹의 전립선 중량은 확실히 줄어들었다. (도 1A). BPH 그룹의 상대 전립선 중량 비율은 대조군 대비 2.66배 무거웠다. GGN 그룹은 대조군 대비 1.64 배 무거웠다.
2. 체중 대비 전립선 중량변화 및 억제율
BPH 그룹의 체중대비 전립선 중량비는 다른 그룹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 GGN 그룹에서는 체중대비 전립선 중량비는 감소하였다 (도 2). GGN 그룹의 체중대비 전립선 중량비 2.54 는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의 체중대비 전립선 중량비 2.71 보다 약간 낮았다. 그러나 두 숫자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다. 각 그룹의 억제율은 표2에 나타내졌다. GGN은 6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냈고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은 약 58%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각 그룹의 전립선 중량 (mg) 과 억제율 (%)
Group Prostate weight ( mg ) Inhibition ratio (%)
CON (sham-operated) 0.50 ± 0.09 -
BPH (BPH model) 1.32 ± 0.15a -
Fina
(finasteride-administrated)
0.84 ± 0.04b 58.32 ± 4.08
GGN
(GGN-administrated)
0.82 ± 0.01b 64.18 ± 6.02
(a p < 0.001 vs. CON group. b p < 0.001 vs. B group)
3. GGN 혈청내 DHT 와 테스토스테론 농도 효과
각 그룹의 혈청내 테스토스테론과 DHT 농도는 도 3에 나타냈다. BPH 그룹의 테스토스테론과 DHT 농도는 다른 그룹의 그것들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의 테스토스테론과 DHT 수치는 감소했다. GGN 투여는 혈청내 테스토스테론과 DHT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GN 그룹의 DHT 농도 수치는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의 수치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다.
4. GGN 의 전립선 형태학적인 효과
GGN의 전립선 형태에 대한 효과가 전립선 조직학적으로 조사되었다 (도 4). BPH그룹의 쥐들은 전형적인 조직학적 변화를 보였다. 전립샘의 표피가 두꺼워지고, 공포가 있는 세포질이 샘 조직 간극으로 향하여졌으며, 샘의 세포간극 부분이 줄어들었다 (도4A). 도 4B는 전립선 표피조직이 두꺼워진 것을 나타낸다. BPH 그룹에서 표피조직이 가장 두꺼워 졌고 GGN 그룹에서 가장 얇았다. 4주 동안 GGN 투여는 이러한 정상적인 조직에서 전립선 비대증으로 변하는 전형적인 조직변화 형태를 억제했다. 즉, 피나스테라이드 그룹과 GGN 그룹의 조직 검사 결과는 비록 사소한 전립선 비대형상을 보인다 할지라도 피나스테라이드나 GGN 투여가 BPH 그룹과 비교해 볼 때 확실히 전립선 비대증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BPH 모델 쥐를 가지고 본 연구를 행하였다. 거세 후 테스토스테론을 대조군 쥐 그룹을 제외한 모든 실험쥐에게 테스토스테론을 체중 1Kg당 10 mg을 피하주사 하였다. BPH그룹은 전립선 조직 진행형 비대증의 결과로 전립선의 확장을 나타냈다. 이것은 BPH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었음을 뜻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BPH에 GGN이 억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GGN을 투여하였다. 또한 현재 BPH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는 피나스테라이드와 GGN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에게는 피나스테라이드를 투여하였다. 최근 BPH에 대한 이해와 치료는 상당히 복잡해 졌다. 그래도 BPH병의 발생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았고 안드로겐과 노화 두 가지가 알려진 위험요소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 두 요소는 BPH 발생에 긴밀하게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Botto et al., 2005; Gann et al., 1995; Meigs et al., 2001). 또한 몇 개의 연구는 테스토스테론과 DHT가 BPH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Carson and Rittmaster, 2003; Gittelman et al., 2006). 특히 5α-reductase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에서 변형된 DHT는 전립선 성장을 자극하고 BPH 발생에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Bartsch et al., 2002; Isaacs and Coffey, 1989).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쥐들은 전립선 조직의 진행성 비대증으로 전립선 확장을 보여주었으나 GGN 투여는 전립선의 중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고 전립선 조직의 확장 억제와 형태학적으로 BPH 발생 억제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것들은 중요치 않은 사소한 부분으로 숫자적으로 덜 의미 있게 보일지라도 GGN 투여가 피나스테라이드 투여보다 전립선 조직의 중량 증가를 더 많이 억제했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추가적으로 GGN 그룹의 혈청 중 DHT 농도가 피나스테라이드 그룹의 농도 보다 낮았다. 이것은 GGN이 피나스테라이드 보다 더 나은 혈청 중 DHT 농도 증가 억제작용으로 BPH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은 GGN이 전립선 조직의 성장을 방해해서 BPH의 발생을 확실히 억제 시킨다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가감내고환(GGN)이 앞으로 BPH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큰 잠재성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수크로즈 100mg
탈크 10mg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전분 100mg
수크로즈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이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결정성 셀룰로오즈 3mg
락토오즈 15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대두 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50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mL를 첨가하여 60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20mg
유당 1,500mg
글리세린 1,500mg
전분 98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한다.
제조예 6. 주사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0mg
Na2HPO412H2O 30mg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mL)가 되도록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제조예 7. 액제의 제조
가감내고환 10mg
이성화당 10,000mg
만니톨 5,000m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상기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절한 향을 가한 다음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제조한다.

Claims (10)

  1.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 - 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부위는 파극의 뿌리(root), 육종용의 꽃자루(pedicle), 산수유의 열매(fruit), 갯실새삼의 종자(semen), 보골지의 종자(semen), 석곡초(herba), 호로파의 종자(semen), 회향의 열매(fruit), 부자의 뿌리(rad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량은 1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2 내지 1.5 : 0.1 내지 1 : 0.1 내지 1 : 0.05 내지 0.5 : 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은,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은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 - 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생약의 사용부위는 파극의 뿌리(root), 육종용의 꽃자루(pedicle), 산수유의 열매(fruit), 갯실새삼의 종자(semen), 보골지의 종자(semen), 석곡초(herba), 호로파의 종자(semen), 회향의 열매(fruit), 부자의 뿌리(rad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9. 파극(Morinda officinalis), 육종용(Cistanche salsa), 산수유(Cornus officinalis),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석곡초(Dendrobium nobile), 호로파(Trigonella foenum - graecum), 회향(Foeniculum vulgare) 및 부자(Aconitum carmichaeli)를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여과 및 용매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81489A 2013-07-11 2013-07-11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89A KR101523586B1 (ko) 2013-07-11 2013-07-11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89A KR101523586B1 (ko) 2013-07-11 2013-07-11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93A true KR20150007493A (ko) 2015-01-21
KR101523586B1 KR101523586B1 (ko) 2015-05-29

Family

ID=5257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489A KR101523586B1 (ko) 2013-07-11 2013-07-11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82A1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두한바이오 야관문과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상 중 발기능 개선 및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20862A (ko) * 2017-08-21 2019-03-05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산수유, 보골지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용 조성물
CN109985061A (zh) * 2017-12-29 2019-07-09 暨南大学 石斛多糖在制备预防和/或治疗前列腺增生药物中的应用
WO2020045838A1 (ko) * 2018-08-29 2020-03-05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2257A (zh) * 2016-05-11 2017-11-21 黄名玉 一种治疗乳腺增生的药物
KR102167811B1 (ko) * 2017-12-06 2020-10-21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전립선비대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8629A1 (en) * 2001-07-17 2003-06-12 Chou Wen Hsi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state and kidney health and disorders, an herbal preparation
CN100364562C (zh) * 2006-02-14 2008-01-30 郭凯 一种治疗良性前列腺增生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2114194B (zh) * 2011-03-02 2012-09-19 徐海彬 一种治疗前列腺疾病的药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82A1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두한바이오 야관문과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상 중 발기능 개선 및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20862A (ko) * 2017-08-21 2019-03-05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산수유, 보골지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용 조성물
CN109985061A (zh) * 2017-12-29 2019-07-09 暨南大学 石斛多糖在制备预防和/或治疗前列腺增生药物中的应用
WO2020045838A1 (ko) * 2018-08-29 2020-03-05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86B1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enavoli et al. Milk thistle in liver diseases: past, present, future
KR101523586B1 (ko)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lbricht et al. Clinical evidence of herb-drug interactions: a systematic review by the natural standard research collaboration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AU2018203677A1 (en) Modified polyphenol compositions
Shareena et al. Traversing through half a century research timeline on Ginkgo biloba, in transforming a botanical rarity into an active functional food ingredient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TWI679985B (zh) 含有橄欖果實萃取物的Tie2活化劑
KR101522273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Shushunov et al. Determination of acute toxicity of the aqueous extract of Potentilla erecta (Tormentil) rhizomes in rats and mice
KR101507427B1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복합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3456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raphanus, theobroma and passiflora for treating opioid and alcohol abuse
US10377902B2 (en) Crystallized red pigment, method of producing a recrystallized red pigment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or preventing wrinkles
JP7117030B2 (ja) ゴカヒ、ロコン、及びアカマツ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前立腺疾患の予防、治療、又は改善用組成物
KR20180025661A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04455B1 (ko) 성장촉진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818091B1 (ko) 자동 미셀화 약물송달시스템을 이용한 경구용플라보노리그난의 약학적 조성물
KR20150124108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2211313B1 (ko)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34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461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964162B1 (ko) 산수유, 보골지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용 조성물
Agulló García et al. Synergistic interaction in the analgesic-like effects of maqui berry and citrus Is antagonized by sweeteners
KR20220003878A (ko) 산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