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923A - 모듈형 의료 기구 - Google Patents

모듈형 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923A
KR20150005923A KR1020147028979A KR20147028979A KR20150005923A KR 20150005923 A KR20150005923 A KR 20150005923A KR 1020147028979 A KR1020147028979 A KR 1020147028979A KR 20147028979 A KR20147028979 A KR 20147028979A KR 20150005923 A KR20150005923 A KR 2015000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intensive care
bas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이겐 카간
Original Assignee
오이겐 카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겐 카간 filed Critical 오이겐 카간
Publication of KR2015000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11Device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16/101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using an oxygen concent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9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 console, e.g. a control panel with a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01Vehicles provided with medical equipment to perform operations or examin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2016/102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전방면(100)과 후방면(101)을 갖는 베이스 모듈(10); 및 이 베이스 모듈(10)과 작용 연결될 수 있고 치명적인 작용을 갖는 급성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집중 의료 치료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 모듈(11)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102)이 베이스 모듈(10)의 전방면(10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기능 모듈(11)을 위한 수용 장치가 베이스 모듈(10)의 후방면(10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용 장치에 의해 기능 모듈(11)이 베이스 모듈(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집중 치료 장치(1)는 손으로 휴대가능한 컴팩트한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모듈형 의료 기구{MODULAR MEDICAL APPLIANCE}
본 발명은 예컨대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듈형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는 베이스 모듈, 및 이 베이스 모듈과 작용 연결될 수 있고 치명적인 작용을 갖는 급성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집중 의료 치료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예컨대 US5590648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에 따르면, 개별 환자에 요구되는 관리 및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모듈이 환자에 필요한 기능 모듈(예컨대,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 공급 모듈 및 세동 제거기(defibrillator))과 결합되므로, 환자를 개별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류의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이점은, 각각의 환자에 필요한 장비가 하나의 유닛으로 컴팩트하게 조립될 수 있고 치료 요건이 변경되면 추가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또한 개별적인 기능 모듈에 결함이 생기면 그 기능 모듈을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공지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그의 큰 치수 때문에 주로 정치식(stationary) 사용에 적합하다는 단점을 갖는데, 이는 예컨대 응급 의사 차량을 위한 장비로서 응급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EP 0673223 B1 및 기업 간행물 "Sino-Hero (Shenzen)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China: AcuitSign M8 - Modular Patient Monitor; 24.01.2011" 에는, 모듈형 구조의 휴대용 환자 모니터링 유닛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모니터링 유닛은 컴팩트하고, 예컨대 병원 내에서 환자를 옮기는 것과 같은 단기간 작용을 위한 비상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장치는 환자 치료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어떤 기능 모듈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응급 사용 후에 있는 환자의 정치식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로 인한 단점으로, 병원에 도착한 후에 환자는 그 병원에 정치식으로 제공되어 있는 집중 치료 장치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다시 말해 이전에 응급 치료 중에 배치된 모든 환자용 입력부 및 프로브가 재배선 및 재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마찬가지로, US 2012/0029304 에는 모듈형 구조의 환자 모니터링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듈형 구조의 모니터링 장치는 실제 임상에서는 일반적인 것이 아닌데, 하지만 대신에 산소 공급 장치, 세동 제거기, 환자 모니터링 장치, 다단계 주입 장치 등과 같은 복수의 개별적인 장치가 환자에 대한 치료와 모니터링에 필요하게 되며, 그 결과 많은 단점들이 생기게 된다.
a) 이들 장치는 집중 치료 병실에 있는 환자 침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방해한다.
b) 상기 장치들은 환자 침대의 모든 측에서 별도의 모니터링 제어를 필요로 한다.
c) 상기 장치들은 서로 연통하지 않으며, 상호 의존적인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없다. 측정된 파라미터는 치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컨대, 환자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CO2 양을 측정하고 의사가 산소 공급 장치에서 산소 공급을 변경하게 된다.
d) 데이타(예컨대, 중요 파라미터)를 전달하거나 경보를 발하기 위해 환자 모니터링 장치만 간호사실의 중앙 모니터링부(예컨대, 집중 치료실에 있는)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모든 장치(예컨대, 산소 공급 장치, 세동 제거기, 주입 장치 등)는 이러한 옵션이 없다. 또한 환자 모니터링 장치들이 다른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면, 어떤 경우에는 병원의 중앙 모니터링부 하고만 연통하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서로 다른 제조사들은 상이한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갖기 때문이다.
e) 상기 장치들은 보고서 발생 및 모니터링을 위해 병원 내에서(예컨대, 병원 내에서 환자 이동) 또는 병원 외부에서(예컨대, 병원 외부에서의 이동) 항상 원격 환자 데이타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f) 서로 다른 제조사들은 상이한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연결은 호환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장치들은 어떤 경우에는 병원의 파일 보관 네트워크(예컨대, PACS 통신 시스템) 하고만 연통하게 된다.
g) 상기 장치들은 정치식 또는 이동 장치로서 제공된다. 정치식 장치는 이동에 적합하지 않고, 이동 장치는 제한을 많이 받으며 또한 장기간 치료에는 사용될 수 없다.
h) 상기 장치들은, 현장에서, 이동 중에(구급차, 헬기, 비행기 등에서) 및 병원 입원실과 집중 치료 병실(수술실 및 마취 회복실)에서 응급용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환자는 동일한 종류의 장치에 항상 반복적으로 재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병원은 모든 병실에 동일한 종류의 장치를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로서, 베이스 모듈에 부착될 수 있는 기능 모듈들에 대한 최대의 유연성을 보장하고 또한 응급 치료시 이동식 사용에 적합하고 또한 병원 등에서의 집중 치료시 정치식 사용에도 적합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 및 상세점들은 종속 청구항의 내용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이 베이스 모듈의 전방면의 영역에 제공되고 또한 기능 모듈을 위한 수용 장치가 베이스 모듈의 후방면의 영역에 제공되며, 그 수용 장치에 의해 기능 모듈이 베이스 모듈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중 치료 장치는 손으로 휴대가능한 컴팩트한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유닛은 예컨대 응급 개입 중에 사람에 의해 환자에 보내져 거기서 작용 세팅되며, 환자가 병원으로 이송되는 중에 연속적인 작동이 유지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환자를 치료하게 되는데, 예컨대 산소를 공급하고/산소를 공급하거나 환자의 심장 기능을 위한 세동 제거기 또는 맥박 조정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집중 치료가 중단됨이 없이 계속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모든 기능 모듈들이 베이스 모듈과 작용 연결되어 있고 또한 환자에 대한 치료 요건에 따라 다른 기능 모듈이 추가되거나 또는 더 이상 필요 없는 기능 모듈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플레이(plug-and-play)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상이한 모듈들이 또한 필요한 경우에 병원 전체에서 개별적인 베이스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컴팩트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후에 환자에 대한 배선을 다시 하거나 또는 그 병원에서 제공되는 집중 치료 장치에 환자를 연결할 필요가 더 이상 없게 된다.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다양한 기능 모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산소 공급 장치 → 산소 공급 모듈
세동 제거기 → 세동 제거기 모듈
주입 장치 → 주입 모듈
뇌파계 → 뇌파계 모듈
초음파 진단 장치 → 초음파 진단 모듈
고주파 수술 장치 → 고주파 수술 모듈
그리고 집중 치료 및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치료 장치(응급 치료에 사용됨)는 집중적인 의료 치료 동안을 포함하여 환자가 병원에 있는 기간 전체에 걸쳐 그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병원 내에서 또는 병원 외부에서 이동하는 동안을 포함하여 병원 내에서 WLAN, GPS GMS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통한 원격 환자 데이타 전달(보고서 발생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이 언제 든지 가능하다.
다른 모듈이 환자 모니터링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고 환자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기능 모듈들 각각은 개별적인 하우징에 수용되는데, 이 하우징의 크기는 베이스 모듈에의 연결을 위해 그 베이스 모듈의 후방면에 제공되는 공간에 대해 표준화되어 있다. 예컨대, 기능 모듈들의 모든 하우징은 동일한 크기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하우징 크기는 미리 정해진 그리드 크기를 받게 되는데,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구성으로 하우징이 베이스 모듈에 범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모듈의 크기를 공간 요건에 따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능 모듈들은 자기 지지(self-sustain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없는데, 하지만 베이스 모듈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에만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제안에 따르면,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베이스 모듈은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유닛은 상기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전력 공급 유닛과 데이타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전력 공급 유닛은 베이스 모듈 및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능 모듈 둘다를 위한 전력 공급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가 응급용 및 병원에서의 정치식 둘다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전력 공급 유닛은 통상적인 상용 주 전력 연결부(특히 220V 교류) 및 응급 차량에 통상적인 전력 연결부(예컨대, 12 또는 24 V 직류) 둘다를 갖고 있다.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에 대한 이동식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더 제공되는데, 이 배터리는 상기 기능 모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기능 모듈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모듈의 수용 장치에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응급 치료 중에 그리고 환자의 이송 중에 사용될 수 있다.
데이타 처리 유닛은 전체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를 위한 중앙 제어 및 규제 유닛으로서 작용하는데, 다시 말해 베이스 모듈에 제공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과 연통하며 또한 배터리 및 모니터링 모듈과 같은, 그 베이스 모듈에 부착되어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기능 모듈 및 대응 모듈과도 연통하며, 베이스 모듈이 데이타 처리 장치에 연결되어 그 데이타 처리 유닛에 의해 제어되면 상기 모듈은 따라서 정렬된다. 데이타 처리 유닛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인터페이스, RS 232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 카드를 위한 판독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간호사 호출 시스템 또는 중앙 병원 통신을 위한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WLAN, GPS, GMS,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통한 원격 환자 데이타 전달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 모듈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모듈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래서 베이스 모듈은 그의 후방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베이스 유닛 및 베이스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기능 모듈과 함께 이상적으로 결합되어 입방형 하우징 몸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우징은 튼튼하고 컴팩트하며 또한 손으로 쉽게 휴대 가능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은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하측면을 형성하며, 그래서 베이스 유닛은 베이스 모듈과 비교하여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를 위한 확장된 플랫폼을 형성한다.
상기 기능 모듈을 위한 상기 수용 장치는 예컨대 상보적인 형태로 된 기능 모듈의 삽입 돌출부를 위한 복수의 안내 레일을 포함하고, 이들 안내 레일은 베이스 모듈의 후방면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래서 기능 모듈의 삽입 돌출부는 안내 레일 안으로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모듈의 전기적 연결 인터페이스는 부착 비임에 배치되며, 이 부착 비임은 베이스 모듈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안내 레일 안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기 기능 모듈을 위한 엔드 스탑을 형성하며, 그래서 기능 모듈은 안내 레일 안으로의 슬라이딩 결과 상기 엔드 스탑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또한 신뢰적으로 베이스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기능 모듈은 어떤 일반적인 제한도 받지 않으며 치료의 주안점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모듈형 집중 장치로서 사용되기 위해, 예컨대 응급 차량에의 구비를 위해,세동 제거기 및 산소 공급 모듈의 형태로 된 기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능 모듈(1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기능 모듈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모듈의 수용 장치에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 모듈이 환자의 중요한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되며, 그래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를 통해 환자의 중요한 기능에 대한 만족스런 모니터링 및 그에 따른 기능 모듈의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
중요한 기능 또는 파라미터를 위한 이러한 종류의 환자 모니터링은 예컨대 ECG, SpO2, 온도, IBP 및/또는 NIBP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된 파라미터 및 설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관련된 조정가능한 경계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그 경계값이 초과되거나 미달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측정된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문서화할 수 있다. 문서화를 위해 저장 매체 및/또는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치료 장치의 세동 제거기 모듈은 수동, 반자동 및 완전 자동 작동 모드를 줄 수 있고 동기적인 방식 및 비동기적인 방식 모두로 작동될 수 있다. 다른 모드는 측정된 파라미터와 설정, 다른 펄스 형상(이상(biphasic)의 전류 제어 펄스) 및 에컨대 0 내지 360 J 범위의 조정가능한 에너지의 모니터링 그리고 일회용 접착성 전극 또는 재사용가능한 하드 패들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치료 장치의 산소 공급 모듈은 성인, 어린이 및 신생아에 각각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응급 또는 장기간 산소 공급을 위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산소 공급 모듈은 전기식 또한 공압식 모두로 작동될 수 있으며 측정된 파라미터와 설정의 모니터링을 가능케 해준다. 산소 공급 모듈은 칩입식 및 비칩입식 사용 모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용적, 유동 및 압력 보조식 자발적 산소 공급과 같은 산소 공급 모드를 설정할 수 잇다.
또한, 산소 공급 모듈은 마취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그 인터페이스는 상기 산소 공급 모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산소 공급 모듈의 제어 시스템이 마취 장치에 연결되고 그 마취 장치에 대한 제어를 하게 되므로, 산소 공급 모듈의 기능은 자체의 제어 시스템이 없이 제공되는 단순한 구성의 마취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산소 공급 및 환자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함)를 마취 장치 트롤리(이 경우 간단한 구성을 가짐)에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완전히 기능적이고 높은 품질의 마취 장치가 얻어지게 된다. 이는 베이스 장치로 제어되며 또한 산소 공급 모듈로 구동된다.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환자에 연결된 채로 수술실에 들어갈 수 있고, 복잡한 결합 없이 마취 장치 트롤리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수술 후에는 마취 회복실까지 계속 있을 수 있다. 환자는 복수의 동일한 장치에 반복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그의 개별적인 모듈(산소 공급 장치, 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마취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파라미터의 평가에 기초하여 자동 조정이 제공된다. 예컨대, 평가된 ECG 데이타에 따라 마취 가스 공급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며, 그래서 마취 의사는 단지 설정만 검사하면 된다.
집중 치료 장치(예컨대, 산소 공급 모듈, 환자 모니터링 모듈 및 마취 장치를 가짐)의 컴팩트한 모듈형 구성의 결과, 수술실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빈 공간은 직원이 환자에게 접근하는 것을 더 쉽게 해주거나 또는 실제로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은 유리하게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데, 그래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간단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에 하나 이상의 제어 버튼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에는 추가적인 범위의 기능이 주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상호 작용의 가능성과 함께 시각적 환자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모듈 또는 기능 모듈에 스피커 및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듈형 구성의 결과 복수의 장치를 조합하고 또한 이동식 및 정치식 사용 모두에 적합한 컴팩트하고 평평한 벽을 갖는 장치를 형성할수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a) 평평한 벽을 갖는 장치에 복수의 장치들을 조합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b)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일원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며, 관련된 모든 파라미터들은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되어, 병원 직원의 업무가 쉽게 되고 개선될 수 있다.
c)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개별적인 모듈(산소 공급 모듈, 환자 모니터링 모듈, 세동 제거기 모듈 등)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그 결과 파라미터의 평가에 기초하여 자동적인 조정이 이루어진다. 측정된 파라미터는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예컨대, 환자 모니터링 모듈은 환자의 CO2 양을 측정하고,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산소 공급 모듈의 산소 공급을 변경하게 된다. 이 경우, 의사는 자동 변경만 확인하거나 그것을 변경할 수 있다.
d)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관련 데이타 및 경보를 각각의 개별 모듈(예컨대, 산소 공급 모듈, 환자 모니터링 모듈, 세동 제거기 모듈, 주입 모듈 등)로부터 간호사실의 중앙 모니터링부(예컨대, 중앙 집중 치료실에 있는)에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중앙 모니터링부에 있는 간호사는 환자 모니터링 장치에서 오는 데이타와 경보 뿐만 아닌, 모든 중요한 데이타 및 경보를 받을 수 있다. 환자 데이타의 전달을 통해, 간호사실의 중앙 모니터링부에 2-단계 경보가 전달되고 관련 파라미터를 갖는 특정 장치가 모니터링 스크린에 표시된다. 또한, 공유되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은 간호사실의 중앙 모니터링부(예컨대, 중앙 집중 치료실에 있는)에의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연결을 크게 개선해주며, WLAN, LAN, GPS, GSM 블루투스, 적외선 등과 같은 다양한 환자 데이타 전달 옵션들이 제공된다. 또한, 내장형 카메라를 사용하여, 환자의 실시간 이미지를 중앙 모니터링부에 전달할 수 있다.
e)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보고서 발생 또는 환자 모니터링(실시간 이미지를 포함하여)을 위해 병원 내에서(예컨대, 병원 내에서 환자 이동) 또는 병원 외부에서(예컨대, 병원 외부에서의 이동) 어제 든지 WLAN, GPS, GMS,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통해 원격 환자 데이타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f) 공유되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의 결과, 병원의 파일 보관 네트워크(예컨대, PACS 통신 시스템)에의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연결이 크게 개선되며, WLAN, LAN, GPS, GSM, 블루투스, 적외선 등과 같은 서로 다른 환자 데이타 전달 옵션들이 제공된다.
g)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환자의 장기간 치료 및 모니터링에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이동용(병원 내외부에서) 및 정치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h) 제안된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현장에서, 이동 중에(구급차, 헬기, 비행기 등에서) 그리고 입원실과 집중 치료 병실(수술실 및 마취 회복실)에서 응급용으로 사용되고 있을 때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으며, 환자에 단지 한번 만 연결하면 된다.
i) 응급 입원 및 집중 치료 병실에는, 필요에 따라 독립적인 장치(산소 공급 장치, 환자 모니터링 장치, 세동 제거기, 주입 장치 등)이 사용되는 복수의 환자 침대가 있다. 제안된 집중 치료 장치의 모듈형 구성의 결과, 베이스 장치가 각 환자 침대 옆에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플러그-플레이 모듈이 병원 전체에서 개별적인 베이스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되며, 그래서 병원에 대해서는 큰 비용적인 이점이 있게 된다.
이하,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과는 반대 방향에서 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대한 확대 상세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베이스 모듈에 완전히 부착되어 있지 않은 기능 모듈들이 나타나 있다.
도 7 은 도 2 의 베이스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능 모듈이 제거되어 있다.
참조 번호 "1"로 표시되어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가 도면에 나타나 있는데, 이는 베이스 모듈(10) 및 복수의 기능 모듈(11)(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모듈(10)과 작용 연결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기능 모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모듈(그의 기능에 따라 참조 번호 "11.1 내지 11.5"로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10)의 정면측(100)(도 1 에 나타나 있음)의 영역에는, 터치스크린과 설정 버튼(102a)의 형태로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102)이 제공되어 있고, 이 유닛에는 스피커를 위한 개구(110) 및 카메라 모듈을 위한 개구(109)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도 7 에서 자세히 볼 수 있듯이, 베이스 모듈(10)은 그의 상측면에서 휴대용 손잡이(108)를 더 포함하는데, 이 손잡이를 사용하여 베이스 모듈을 손으로 휴대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후방측(101)의 영역에서 복수의 안내 레일(106)(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리드식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더 포함하는데, 이 안내 레일에는 도 5 의 확대 상세도에 따른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모듈(10)의 하측면은 베이스 유닛(103)을 형성하는데, 이 베이스 유닛은 대략 L 형으로 후방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를 위한 전력 공급 유닛 및 데이타 처리 유닛 모두를 수용하며 그래서 베이스 모듈(1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103)은 집중 치료 장치(1)를 위한 확대된 플랫폼을 또한 형성하며, 수용되는 부품들을 냉각하기 위한 산소 공급 개구(105), 데이타 처리 유닛(예컨대, USB, HDMI, RS232 및 이더넷)을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104), 및 예컨대 220V 교류와 12 또는 24V 직류를 위한 전력 공급 유닛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 소켓(111)을 구비하고 있다.
환자의 집중 치료에 필요한 기능을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및 그의 베이스 모듈(10)에 주기 위해, 베이스 모듈(10)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11)들이 개별적으로 제공되는데, 이들 기능 모듈 각각은 개별적인 하우징 안에 수용되며 전력 공급 장치, 데이타 처리 장치 그리고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을 통해 베이스 모듈에 연결되면 환자 치료에 요망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능 모듈(11)은 베이스 모듈(10)의 안내 레일(106)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삽입 돌출부(112)를 포함하며, 이 삽입 돌출부는 안내 레일(106)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6 및 7 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모듈(10)에는 안내 레일(106)의 일 단부 영역에서 부착 비임(107)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부착 비임은 후방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또한 제공된 그리드 치수에 따라 복수의 인터페이스(107a)를 갖고 있으며, 부착 비임(107)과 대향하는 기능 모듈(11)의 끝면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 비임(107)은 안내 레일(106) 안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기능 모듈(11)를 위한 엔드 스탑을 또한 형성한다.
따라서, 기능 모듈(11)이 부착 비임(107)에 접촉할 때까지 요망되는 종류와 갯수의 기능 모듈(11)을 베이스 모듈의 안내 레일(106) 안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그 부착 비임에서 기능 모듈들은 인터페이스(107a)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이어서 베이스 유닛(103)에 배치되어 있는 전력 공급 유닛에 의해 작동 전력을 공급 받게 되며, 기능 모듈(11)들은 베이스 유닛(103)에 있는 데이타 처리 장치와 자동적으로 정렬되며 이어서 작동 준비가 되고 또한 베이스 모듈의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102)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기능 모듈(11)은 환자에 산소를 공급 하기 위한 산소 공급 모듈(11.2) 및 세동 제거기(defibrillator)(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모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추가적인 모듈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기능 모듈과 동일한 방식으로 베이스 모듈에 부착 및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추가적인 모듈로서는, 예컨대, 주 전력 소켓(111)의 사용 없이 이동식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1), 측정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11.3) 또는 환자의 중요한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모니터링 모듈(11.4)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최대 구성에서, 베이스 모듈(10) 및 상기한 기능 모듈 그리고 대응하는 모듈(11.1, 11.2, 11.3, 11.4, 11.5)로부터 컴팩트한 대략 입방형의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가 형성되는데, 이는 손잡이(108)를 사용하여 사람에 의해 쉽게 휴대될 수 있다.
또한, 요망되는 컴팩트한 입방형을 보장하기 위해, 베이스 모듈(10)에 강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유닛(103)은, 모듈(11.1 ∼ 11.5)의 개별적인 하우징의 폭(B)에 대응하는 길이(L)로 베이스 모듈(10)의 후방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 모듈, 이에 대응하는 다른 모듈 및 베이스 모듈로 조립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는 환자에 대한 응급 치료 중에 그리고 응급 차량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병원으로 후송된 후에 그 환자에 대한 정치식(stationary)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예컨대, 응급 입원시, 집중 치료 병실에서, 수술시에), 이를 위해서는, 220V 교류 네트워크를 위한 주 전력 소켓(111)을 연결하고 선택적으로는 산소 공급 모듈(11.2)을 제공되어 있는 병으로부터의 가스 공급으로부터 압력 라인(예컨대, 병원 산소 공급기)으로 전환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산소 공급 모듈(1.2)은 터빈 구동될 수 있다.
배터리(11.1)로부터의 이동식 전력 공급(환자의 정치식 치료 중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은 예컨대 약물 투여 등을 위한 기능 모듈을 위해 교체되거나 또는 제거되어 재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환자는 병원에 입원한 후에는 집중 치료 장치에 재연결될 필요가 없고 하지만 대신에 응급 치료 중에 이루어진 이전에 사용된 집중 치료 장치에의 부착 및 연결은 계속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대신에, 더 많거나 더 적은 기능 모듈 또는 다른 범위의 기능을 갖는 많은 다른 변형예가 본 발명에서 또한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로서, 전방면(100)과 후방면(101)을 갖는 베이스 모듈(10); 및 이 베이스 모듈(10)과 작용 연결될 수 있고 치명적인 작용을 갖는 급성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집중 의료 치료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 모듈(11)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102)이 상기 베이스 모듈(10)의 전방면(10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능 모듈(11)을 위한 수용 장치가 베이스 모듈(10)의 후방면(10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장치에 의해 기능 모듈(11)이 베이스 모듈(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집중 치료 장치(1)는 손으로 휴대가능한 컴팩트한 유닛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11)들 각각은 개별적인 하우징에 수용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10)은 베이스 유닛(103)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유닛은 상기 후방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전력 공급 유닛과 데이타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103)은 상기 기능 모듈(11)의 폭(B)에 대응하는 길이(L)로 상기 후방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103)은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11)을 위한 상기 수용 장치는 상보적인 형태로 된 기능 모듈(11)의 삽입 돌출부를 위한 복수의 안내 레일(106)을 포함하고, 이들 안내 레일은 베이스 모듈(10)의 후방면(101)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용 장치는 부착 비임(107)을 포함하고, 이 부착 비임에는 기능 모듈(11)을 위한 전기적 연결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부착 비임은 상기 안내 레일(106) 안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기 기능 모듈(11)를 위한 엔드 스탑을 형성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11)은 세동 제거기(defibrillator) 모듈, 주입 모듈, 뇌파계 모듈, 고주파 수술 모듈 및/또는 산소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 모듈은 마취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그 인터페이스는 상기 산소 공급 모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환자의 중요한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모니터링 모듈 및/또는 초음파 진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기능 모듈(1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기능 모듈(11)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모듈(10)의 수용 장치에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는 이에 대한 이동식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이 배터리는 상기 기능 모듈(1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기능 모듈(11)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모듈(10)의 수용 장치에 부착되고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작동 유닛(102)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1).
KR1020147028979A 2012-04-05 2013-04-05 모듈형 의료 기구 KR201500059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3029A DE102012103029A1 (de) 2012-04-05 2012-04-05 Modulares Intensivtherapiegerät
DE102012103029.4 2012-04-05
PCT/EP2013/057188 WO2013150135A1 (de) 2012-04-05 2013-04-05 Modulares medizinisches 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923A true KR20150005923A (ko) 2015-01-15

Family

ID=4814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979A KR20150005923A (ko) 2012-04-05 2013-04-05 모듈형 의료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33816B1 (ko)
KR (1) KR20150005923A (ko)
CN (1) CN104203138B (ko)
DE (1) DE102012103029A1 (ko)
WO (1) WO2013150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1985A1 (de) * 2013-10-30 2015-04-30 Eugen Kagan Vitaldatenüberwachungsvorrichtung und -system
US11140957B2 (en) 2014-05-29 2021-10-12 Koninklijke Philips N.V. Protective cradle and modular pouches
DE102014220902B4 (de) * 2014-10-15 2018-02-08 Olympus Winter & Ibe Gmbh Anschlussvorrichtung und System zum Anschluss medizintechnischer Geräte
WO2016139234A1 (en) * 2015-03-03 2016-09-09 Koninklijke Philips N.V. Modular medical system for patient monitoring and electrical therapy delivery
WO2016141874A1 (en) * 2015-03-10 2016-09-15 Chison Medical Imaging Co., Lt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with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CN105169537B (zh) * 2015-10-08 2018-09-04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机及其使用方法
DE102015117581A1 (de) 2015-10-15 2017-04-20 Eugen Kagan Modulares Intensivtherapiegerät
CN105395187A (zh) * 2015-11-23 2016-03-16 长江大学 心脏电活动检测除颤仪及操作方法
CN106175968B (zh) * 2016-06-27 2018-02-02 郑州大学 一种便携式麻醉监护一体化动物手术操作台
DE102017102503B4 (de) 2017-02-08 2018-08-16 Eugen Kagan Modulares Gerät
CN108888242A (zh) * 2018-08-09 2018-11-27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插件式监护仪和用于插件式监护仪的插件模块
CN109432561A (zh) * 2018-12-26 2019-03-08 南京舒普思达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麻醉机框架结构
CN112169114A (zh) * 2020-10-31 2021-01-05 湖南万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心肺耦合辅助呼吸器
CN113143598A (zh) * 2021-04-02 2021-07-23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重症患者医生用急救箱
CN118043097A (zh) * 2021-09-27 2024-05-1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通气设备及医疗设备系统
WO2023236138A1 (zh) * 2022-06-09 2023-12-1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除颤功能的医疗设备、用于配置其的方法和介质
WO2024066872A1 (zh) * 2022-09-27 2024-04-0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通气设备主机、通气设备以及医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385A (en) * 1986-09-26 1987-12-29 Marquette Electronics, Inc. Patient monitoring system having transportable data module and display unit
US5590648A (en) 1992-11-30 1997-01-07 Tremont Medical Personal health care system
US5375604A (en) 1992-12-11 1994-12-27 Siemens Medical Electronics, Inc. Transportable modular patient monitor
US5701894A (en) * 1995-11-09 1997-12-30 Del Mar Avionics Modular physiological computer-recorder
DE19922855C1 (de) * 1999-05-19 2001-02-01 Draeger Medizintech Gmbh Patientenüberwachungsvorrichtung
DE10303717A1 (de) * 2003-01-30 2005-07-07 Siemens Ag Patientenmonitor mit integrierten Ultraschallmodulen
ES2382449T3 (es) * 2006-06-13 2012-06-08 Carefusion 303, Inc. Sistema y método para la optimización del control de sistemas PCA y PCEA
CN100399984C (zh) * 2006-08-18 2008-07-09 方祖祥 具有急救及定位功能的便携式远程实时监护仪
CN200977153Y (zh) * 2006-08-24 2007-11-21 方祖祥 针对高危心脏病患者的便携式远程实时监护仪
CN201612757U (zh) * 2010-01-26 2010-10-27 顾亲晨 便携和急救用医疗诊察装置
US8578082B2 (en) * 2010-07-29 2013-11-05 Covidien LLP Configurable patient monitoring system
CN102125423B (zh) * 2010-10-13 2012-09-19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中央监护功能的医用监护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3816B1 (de) 2019-02-27
CN104203138B (zh) 2017-02-22
CN104203138A (zh) 2014-12-10
DE102012103029A1 (de) 2013-10-10
EP2833816A1 (de) 2015-02-11
WO2013150135A1 (de)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5923A (ko) 모듈형 의료 기구
US9591974B2 (en) Configurable health-care equipment apparatus
US7942380B2 (en) Portable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accessori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103858076B (zh) 可配置的患者监测系统
US20170185732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with network of treatment equipment
JP2007510504A (ja) 保健医療処理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04840322B (zh) 一种移动式麻醉操作台
JP2007519431A (ja) 処理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20100010433A1 (en) Medical system which controls delivery of a drug
JP2007521849A (ja) モジュール式医療ケアシステム
JPS6392329A (ja) 患者モニタ装置
MX2014013947A (es) Sistema de monitoreo de pacientes configurable, portatil.
EP3574927A2 (en) Portable telemedicine system with integrated medical imaging and uv sterilization
EP3265174B1 (en) Modular medical system for patient monitoring and electrical therapy delivery
GB2546774A (en) Vital signs monitor
US20220104779A1 (en) Systems, Monitor Mounts and Monitors
US20230064841A1 (en) Mobile integrated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210298991A1 (en) Medical device system and hardware for sensor data acquisition
CN216148434U (zh) 新生儿转运系统
CN216257994U (zh) 新生儿转运系统
US20230108418A1 (en) A modular connector system and a modular connector having two or more detachably secured housings
CN116709974A (zh) 包括多个监测仪的可再定向患者监测系统
CN108209888A (zh) 一种跨平台医疗救护多参数生命体征监护装置
ITFI20080084A1 (it) Sistema mobile per il supporto alla gestione informatizzata della cartella clinica del paz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