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745A -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745A
KR20150005745A KR20130078190A KR20130078190A KR20150005745A KR 20150005745 A KR20150005745 A KR 20150005745A KR 20130078190 A KR20130078190 A KR 20130078190A KR 20130078190 A KR20130078190 A KR 20130078190A KR 20150005745 A KR20150005745 A KR 2015000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haped contact
contact portion
switch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희
정락환
박태상
이중길
최순용
이수철
장명수
박민영
문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콘스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745A/ko
Publication of KR2015000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제품의 작동 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킨 돔 스위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돔 스위치는 돔형 접점부,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 및,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으로 구성되는 밴딩부를 포함한다.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는 내측면이 도금되고, 밴딩부 하부에는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브릿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릿지는 접지부와 일체형이고,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돔 스위치는 메탈 소재의 박막을 가압해 환형의 돔형 접점부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 사이에 복수개의 곡률을 형성하여 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의 내측면을 부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딩부 하부에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은 돔 스위치의 밴딩부를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으로 하여, 돔 접점부의 접촉효율을 높임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DOME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제품의 동작 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킨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돔 형태로 이루어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돔 스위치를 단말기의 메인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직접 실장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돔 스위치의 구조와 설치 공정을 단순화하고, 돔 스위치를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착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돔 스위치는 휴대폰은 물론이거니와 다변화되는 전자기기에 의해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인쇄회로기판(PCB)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 단자 중, 사용자의 키패드(Key Pad) 작동에 상응하는 접점 단자를 온(ON)시키기 위한 돔 스위치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돔 스위치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istants)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 키 패드(Key Pad)의 각 키 하부에 조립되어 키 스위치(key switch)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개별 스위치 접점 바로 위에 설치되어 돔을 아래로 누르면 볼록한 상태에서 오목한 상태로 일시적으로 변화되어 눌려지는 촉감과 함께 접점이 되고,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볼록한 상태로 복원되어 접점이 떨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돔 스위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키 입력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이러한 키 입력 수단은 전자기기가 경량화, 소형화, 박형화 되는 추세에 따라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키 패드(Key Pad)와 기기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사이에 회로의 접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돔 배열판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돔 스위치를 가지는 키 패드(Key Pad)는, 복수의 입력키에 해당하는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을 구비하고,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의 외곽 부분의 솔더링(Soldering)부를 메인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표면 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 패키징 방식에 의해 솔더링(Soldering)하고, 솔더링(Soldering)된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 상부에 돔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에는 돔 스위치의 외곽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측단자와, 키 패드(Key Pad)를 눌러 돔 스위치가 눌렸을 때에 돔 스위치의 중심 부분이 접촉하게 되는 내측단자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의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가 인쇄되어 있다. 더하여, 돔 스위치는 별도의 부착시트에 미리 부착된 후 부착시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시킴으로써 돔 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돔 스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돔 스위치 형태는 먼저 별도의 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PCB)을 마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솔더링(Soldering)하여야 하고, 그 위에 돔 스위치를 위치시키는 복잡한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 로스(loss)가 발생됨은 물론 이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생산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다.
또한, 스위치의 통전(전도)을 위해 돔 스위치의 하단부는 은 또는 니켈과 은으로 도금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중심부뿐만 아니라, 돔 스위치의 외곽부까지 도금된다.
따라서, 돔 스위치를 가압 시, 돔 스위치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돔 스위치 전체가 통전되므로, 접촉저항이 낮아지고 통전율(전도율)이 너무 높아 스위치 돔의 키동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돔 스위치를 흡습 방지 구조 또는 고정을 위한 부착 시트 등의 구성 없이, 회로기판 상부에 바로 실장 가능한 원가 절감형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돔 스위치 내 일부에 미솔더링영역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스위치 터치 시, 돔 스위치의 중심부에서만 통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의 신뢰도 및 접촉효율을 향상시킨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돔형 접점부,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 및,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으로 구성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돔형 접점부 및 상기 접지부는 내측면이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딩부 하부에는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브릿지가 더 구비된다.
브릿지는 접지부와 일체형으로, 브릿지는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딩부는 복수개의 곡률로 이루어지며, 돔형 접점부는 중앙부가 오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 제조방법은 메탈 소재의 박막을 가압해 환형의 돔형 접점부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 사이에 복수개의 곡률을 형성하여 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의 내측면을 부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딩부 하부에 돔형 접점부와 접지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또는 각종 전자기기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스위치의 각 접점에, 타 구성부품 등을 요하지 않는 상태에서 돔 스위치를 회로기판 상부에 바로 표면 실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 및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돔 스위치의 밴딩부에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을 추가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스위치 터치 시, 돔 스위치의 중심부에서만 통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작동의 접촉효율을 높이고,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10)는 돔형 접점부(20), 돔형 접점부(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회로기판(80)과 접지되는 접지부(30) 및, 돔형 접점부(20)와 상기 접지부(30) 사이에 구비되고,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으로 구성되는 밴딩부(40)로 구성된다.
돔형 접점부(20)의 중앙부는 일반적으로 볼록형으로 구성되나, 사용자의 스위치 가압 시, 하부의 실장패드(50) 및 회로기판(80)과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목하게도 형성될 수 있다.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 사이의 밴딩부(40)는 복수개의 곡률로 이루어진 굴곡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밴딩부(40)는 돔 스위치(1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돔형 접점부(20)를 누를 때, 가압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가압 후, 밴딩부(40)의 굴곡된 부분의 탄성을 이용해 돔형 접점부(20)가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밴딩부(40)는 바람직하게는 3번 이상의 굴곡을 가진다.
따라서, 밴딩부(40)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절도있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밴딩부(40)는 내측면이 도금되는 돔형 접점부 및 접지부와 달리, 미도금영역(60b)으로 통전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미도금 영역(60b)인 밴딩부(40)는 돔형 접점부(20)의 접촉효율을 상대적으로 높여줌으로써, 사용자의 돔 스위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돔 스위치(10)는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 사이에 위치하는 밴딩부(40)의 하부에 브릿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70)는 밴딩부(40)의 탄성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주는 구성으로, 돔형 접점부(20)가 가압된 후, 다시 복원되는 동작이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브릿지(7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접지부(30)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릿지(70)는 밴딩부(40)와 마찬가지로 미도금영역(60b)으로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브릿지(70)는 밴딩부(40)와 동일하게 돔형 접점부(20)의 스위치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돔형 접점부(20)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돔형 접점부(20)는 원형의 볼록부를 이용해 사용자가 가압 시, 실장패드(50) 및 실장패드(5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80)에 전기적 접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돔형 접점부(20)의 가압으로 인한 돔 스위치(10) 동작을 회로기판(80)에 전기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니켈과 은으로 도금되는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는 통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도금영역(60b)인 밴딩부(40)와 브릿지(70)는 통전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를 누를 시, 도금영역(60a)인 돔형 접점부(20)는 하강하여 실장패드(50)와 맞닿게 되어 통전되지만, 그외의 영역은 미도금영역(60b)이기 때문에 통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돔형 접점부(20)외의 부분의 통전율은 낮추고, 돔형 접점부(20) 영역만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돔 스위치(10) 동작의 신뢰도를 높이는 특징이 있다.
돔형 접점부(20), 접지부(30), 밴딩부(40), 브릿지(70)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 제조방법은 메탈 소재의 박막을 가압해 환형의 돔형 접점부(20)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20)의 외측 테두리에 회로기판(80)과 접지되는 접지부(30)를 형성하는 단계,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 사이에 복수개의 곡률을 형성하여 밴딩부(40)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의 내측면을 부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딩부(40) 하부에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를 연결하는 브릿지(7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돔형 접점부(20), 접지부(30) 및 밴딩부(40)의 모양은 프레스 가압에 의해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브릿지(70)는 접지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나, 접지부(30)는 도금되고 브릿지(70)는 도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의 내측면은 도금되어 통전되고 밴딩부(40)와 브릿지(70)는 도금되지 않아 통전이 되지 않는다.
이 때,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의 도금은 부분 도금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돔형 접점부(20)와 접지부(30) 내측면의 도금영역(60a)은 니켈로 먼저 도금 후, 은으로 도금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돔 스위치(10)가 회로기판(80)과 통전 가능하도록 하는 도금 방법은 모두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돔 스위치 20: 돔형 접점부
30: 접지부 40: 밴딩부
50: 실장패드 60a: 도금영역
60b: 미도금영역 70: 브릿지
80: 회로기판

Claims (9)

  1. 돔형 접점부;
    상기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 및
    상기 돔형 접점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으로 구성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접점부 및 상기 접지부는 내측면이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 하부에는 상기 돔형 접점부와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브릿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접지부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도금되지 않은 미솔더링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복수개의 곡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접점부는 중앙부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8. 메탈 소재의 박막을 가압해 환형의 돔형 접점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돔형 접점부의 외측 테두리에 회로기판과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돔형 접점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복수개의 곡률을 형성하여 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돔형 접점부와 상기 접지부의 내측면을 부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 하부에 상기 돔형 접점부와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돔 스위치 제조방법.
KR20130078190A 2013-07-04 2013-07-04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5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190A KR20150005745A (ko) 2013-07-04 2013-07-04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190A KR20150005745A (ko) 2013-07-04 2013-07-04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745A true KR20150005745A (ko) 2015-01-15

Family

ID=5247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190A KR20150005745A (ko) 2013-07-04 2013-07-04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6474A (zh) * 2018-10-10 2019-02-12 深圳市瑞展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片式轻触开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6474A (zh) * 2018-10-10 2019-02-12 深圳市瑞展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片式轻触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0388A (ko) 푸쉬 스위치 및 스위치 모듈
US10354815B2 (en) Push switch
EP2819138A1 (en) Pushbutton switch
JP3105282U (ja) 板ばね及び板ばね付き回路板
US6518527B2 (en) Push switch having reduced size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CN106415763A (zh) 防水用基板开关以及防水用基板开关制造方法
CN107112156B (zh) 电子部件用轻触开关
KR10083789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20150005745A (ko)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1065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097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JP2011040320A (ja) キー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1197285B1 (ko) 사이드 스위치 모듈
JP5249650B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4047B1 (ko) 메탈 돔 스위치가 장착된 전자부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6759A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JP2015095331A (ja) タクトスイッチ
KR100607043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101029345B1 (ko) 러버돔 방식의 키패드용 도전성 전극
JP2007294246A (ja) キー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キーユニット
KR200404428Y1 (ko) 터치감을 개선한 휴대장치용 키패드
CN100421197C (zh) 印刷电路板触摸开关
KR100631653B1 (ko) 돔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568898A (zh) 具有Dome导电弹片的薄膜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