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24A -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24A
KR20150005224A KR20130078831A KR20130078831A KR20150005224A KR 20150005224 A KR20150005224 A KR 20150005224A KR 20130078831 A KR20130078831 A KR 20130078831A KR 20130078831 A KR20130078831 A KR 20130078831A KR 20150005224 A KR20150005224 A KR 2015000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pe
link
mar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657B1 (ko
Inventor
이주현
김대영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6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05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f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는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축과 제2축, 제1축과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끝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축, 제1축과 제2축 중 다른 하나와 제3축의 끝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배관의 내측에 삽입된 후 배관의 반경방향 전후로 이동되어 배관 내면에 지지되는 클램핑유닛과, 제1축과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배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여 절단을 위한 표시선을 마킹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MEASURING ADJUSTABLE PIPE}
본 발명은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정관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과정은 블록 단위로 제작 및 설치되는데, 각 부재들이 조립되어 소블록을 형성하고, 소블록은 다시 중블록 및 대블록으로 조립되어 도크로 운반된 후 탑재 조립되게 된다. 이러한 건조과정을 거치는 선박에는 다수의 배관라인이 설치되며, 다수의 배관라인은 블록단위로 의장 및 탑재되나 각 블록에 장착된 배관라인을 연결하는 이음용 배관인 조정관(adjustable pipe)은 후작업을 통해 제작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조정관은 두 배관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가 상이하게 배치된 두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 형상에 따라 직관과 엘보관으로 구분되며 엘보관의 굽은 각도는 90도 또는 135도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각 블록에 장착된 배관라인은 블록이 조립되는 경우 두 배관간의 높이차이 및 두 배관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가 틀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 배관 사이에 조정관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조정관의 양단과 맞닿게 되는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여유를 두어 조정관에 맞게 양측을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맞대기 용접을 통하여 조정관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 경우 두 배관이 3차원적으로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조정관의 사이즈에 맞게 두 배관을 절단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워 지게 되고, 현장에서는 반복적인 계측 및 절단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정관이 정확히 설치되는지 확인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절단시수 초과에 따른 설치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3차원적으로 틀어져 있는 두 배관 사이에 조정관을 설치하는 경우 정확한 계측 및 용접을 위한 절단선 제시를 구현할 수 있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축과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끝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3축의 끝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배관의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배관의 반경방향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배관 내면에 지지되는 클램핑유닛 및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배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여 절단을 위한 표시선을 마킹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하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연결조인트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도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며 끝 부분에 마킹부재가 장착되는 제2부분을 구비한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다수의 볼트체결홀 중 적어도 하나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되 마킹펜이 설치되는 마킹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펜은 상기 배관의 외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탄성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일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에 각각 힌지 연결되되 중앙회전축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된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 중 다른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3차원적으로 틀어져 있는 두 배관 사이에 조정관을 설치시 조정관이 맞닿는 두 배관의 절단부위를 정확히 계측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절단시수를 절감하고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킹유닛의 회전바디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마킹유닛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100)는 각도가 상이하게 미리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 두 배관(10,11) 사이에 삽입되는 엘보우 형태의 조정관(13)을 용접에 의하여 결합 전 두 배관(10,11)과 조정관(13)의 끝 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맞춤작업을 수행하여 두 배관(10,11)의 끝 부분 외주면에 절단선을 표시하기 위한 지그장치이다. 즉 두 배관(10,11)의 설치 정도가 우수하더라도 설치 환경에 따라 두 배관(10,11)은 3차원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지게 되므로 두 배관(10,11)의 끝 부분을 단순히 배관(10,11) 길이방향의 직각(예로서, 원형단면형상)으로 절단하는 것 만으로는 조정관(13)과 두 배관(10,11)의 끝 부분 용접면을 일치시키기는 어렵다. 두 배관(10,11)이 3차원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조정관(13)의 끝 부분은 원형단면을 가지므로 조정관(13)의 단부와 용접 접합되는 배관의 끝 부분은 다소 원형단면에 가까운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져야 하므로 대응하는 배관(10,11)의 끝 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두 배관(10,11)의 사이에 연결되는 조정관(13)의 형상 및 길이와 대응하는 지그장치(100)를 두 배관(10,11)에 부착한 후 두 배관(10,11)의 끝 부분에 지그장치(100)를 통해 절단선을 표시하고, 작업자는 마킹된 절단선을 따라 두 배관(10,11)의 끝 부분을 절단한 후 조정관(13)과 두 배관(10,11)의 끝 부분을 용접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절단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100)는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축(110) 및 제2축(120), 제1축(110)의 끝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축(130), 제1축(110) 및 제2축(120)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결합되는 마킹유닛(140)과, 제1축(120)과 제3축(130)의 끝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클램핑유닛(160)을 포함한다.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축(110)과 제2축(120)은 서로 이웃하는 끝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111)에 의해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연결조인트(111)는 조정관(13)의 굽은 정도에 따라 90도 또는 135도(도면부호 111a) 각도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두 축(110,120)의 끝 부분이 각각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두 축(110,120)은 결합홀(112)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분리 또는 결합되거나 압입 방식에 의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연결조인트(111)에 의해 결합되는 두 축(110,120)은 조정관(13)과 대응하는 굽은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연결조인트(111)와 인접한 두 축(110,120)은 양단이 두 축(110,120)의 외면에 지지되는 고정판(113)에 의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더욱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113)은 서로 분할되어 개폐 가능한 두 부재(113a,113b)로 구성되고, 양 단부에는 대응하는 축(110,120)의 외면을 감싸는 단면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에 의하여 두 부재(113a,113b)는 결합될 수 있다.
마킹유닛(140)은 제1축(110)과 제2축(12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마킹유닛(140)이 두 축(110,120)에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나, 마킹유닛(140)은 제1축(110) 또는 제2축(120)의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킹유닛의 회전바디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킹유닛(140)은 대응하는 축(110,120)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바디(141)와, 회전바디(1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42)과, 제1프레임(142)에 결합되며 배관의 외주면에 표시를 위한 마킹부재(150)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143)을 포함한다.
회전바디(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축이 관통하는 중공의 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내통(141a)과, 내통(141a)과 이격되어 내통(141a) 외면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회전바디(141)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통(141b)을 구비할 수 있고, 내통(141a)과 외통(141b) 사이에는 외통(141b)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롤러베어링부재(141c)가 설치되고, 내통(141a)과 축 사이에는 축 외면과 점접촉을 통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볼을 안내하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리니어 볼 부쉬(141d)가 설치될 수 있다. 또 회전바디(141)의 일측에는 축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바디(141)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레버(146)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레버(146)를 회전시키면 고정레버(146)와 연결된 가압돌기가 축 외면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바디(141)는 구속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142)은 외통(141b) 즉 회전바디(141)의 외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볼트체결홀(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볼트체결홀(142a)은 배관의 외경에 따라 제2프레임(14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프레임(143)은 다수의 볼트체결홀(142a) 중 적어도 하나에 볼트 결합되는 다수의 관통홀(144a)이 형성된 제1부분(144)과, 제1부분(144)의 끝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부분(145)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부분(145)의 끝 부분에는 배관의 외면에 표시를 위한 마킹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프레임(142)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143)은 볼트 체결에 의해 제2프레임(143)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2프레임(143)의 제1부분(144)이 제1프레임(1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킹부재(150)는 제2프레임(143)의 제2부분(145)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킹하우징(151)을 구비하고, 마킹하우징(151)의 하측에는 배관의 외면에 절단선의 표시를 위한 마킹펜(152)이 탄성부재(153)에 의해 가압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마킹펜(152)은 회전바디(141)가 축 외면에서 회전되는 경우 배관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배관의 외면에 절단선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펜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킹펜(152)은 탄성부재(153)에 가압된 상태로 배관의 외면에 밀착되게 되므로 마킹펜(152)이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 마킹펜(152)에 의해 표시되는 절단선이 끊김 없이 그려지게 된다.
클램핑유닛(160)은 대응하는 배관의 내측공간에 삽입된 후 배관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씨저스 형태의 링크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배관의 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클램핑유닛(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61,162)와,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61,16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61,162)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축을 따라 이동시 수축 및 확장되도록 구성된 씨저스 형태의 링크조립체(163)를 포함한다. 링크조립체(163)는 슬라이딩바디(161,16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3쌍을 구비할 수 있고, 각 링크조립체(163)는 한쪽 끝 부분이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61,162)의 외면에서 연장된 러그(164)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중앙회전축(169)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되는 제1링크(165)와 제2링크(166) 및 제1링크(165)와 제2링크(166)의 다른 쪽 끝 부분을 연결하는 제3링크(167)를 포함한다. 제3링크(167)는 한쪽 끝 부분이 제1링크(165)와 제2링크(166)의 다른 쪽 끝 부분 중 어느 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링크(165)의 다른 쪽 끝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 부분에는 제2링크(166)의 끝 부분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제3링크(167)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길이가 긴 슬롯(16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바디(164)의 안쪽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축을 따라 이동시 축 외면과 점접촉을 통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볼을 안내하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리니어 볼 부쉬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바디(164)의 일측에는 축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바디(164)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레버(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클랭핑유닛(160)을 배관의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70)를 축을 따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바디(170)에 연결된 링크조립체(163)는 확장되거나 수축되어 배관의 내측면에 제3링크(167)가 접촉하게 되고, 고정레버(170)를 작동시켜 슬라이딩바디(164)의 이동을 구속함에 따라 클램핑유닛(160)은 배관의 내측에 견고히 지지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축(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110)의 끝 부분에 볼 조인트(ball joint)(1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두 배관(10,11)의 각도 및 높이가 틀어진 경우라도 클램핑유닛(160)에 의해 축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제1축(110)의 끝 부분에 3축(13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조인트의 구조는 공지, 공용된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볼 조인트(131)에 의해 제3축(130)이 3차원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두 배관의 틀어진 각도에 따라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장치를 통하여 회전 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된 두 배관(10,11) 사이에 삽입되는 조정관(13)에 대한 정보(사이즈, 굽은 각도, 직경 등)를 파악한 후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100)를 조정관(13)의 정보와 일치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조정관(13)의 굽은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는 연결조인트(111)를 통하여 두 축(110,120)을 연결함에 의해 조정관(13)의 굽은 각도를 일치시키고, 마킹유닛(140)을 두 축(110,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의해 조정관(13)의 크기와 일치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이 경우 마킹유닛(140)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두 축(110,12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눈금자가 새겨질 수 있다. 또 마킹유닛(140)의 마킹부재(150)가 배관(10,1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제2프레임(143)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지그장치(100)의 양단에 배치된 클램핑유닛(160)을 각각 두 배관(10,11)의 내측공간에 삽입시킨 후 클램핑유닛(160)의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161)를 이동하여 링크조립체(163)를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100)는 두 배관(10,11) 사이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마킹유닛(140)의 마킹펜(152)은 탄성부재(153)에 의해 가압되어 배관(10,11)의 외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배관(10,11)이 공간상에서 소정 각도(θ) 틀어진 상태에 위치하더라도 제3축(13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틀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정렬되게 된다. 그 후 마킹유닛(140)을 회전시키게 되면 마킹펜(152)은 배관(10,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단선(CL)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지그장치(100)를 분리시킨 후 작업자는 배관(10,11)의 외주면에 표시된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고, 조정관(13)을 두 배관(10,11) 사이에 삽입시킨 후 서로 맞닿은 용접면을 용접 접합함에 의해 조정관(13)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11: 배관, 13: 조정관,
100: 지그장치, 110: 제1축,
111: 연결조인트, 120: 제2축,
130: 제3축, 131: 볼 조인트,
140: 마킹유닛, 141: 회전바디,
142: 제1프레임, 143: 제2프레임,
144: 제1부분, 145: 제2부분,
150: 마킹부재, 151: 마킹하우징,
152: 마킹펜, 153: 탄성부재,
160: 클램핑유닛, 161,162: 슬라이딩바디,
163: 링크조립체, 165: 제1링크,
166: 제2링크, 167: 제3링크,
168: 슬롯.

Claims (6)

  1.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축과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끝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3축의 끝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배관의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배관의 반경방향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배관 내면에 지지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배관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여 절단을 위한 표시선을 마킹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하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연결조인트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며 끝 부분에 마킹부재가 장착되는 제2부분을 구비한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다수의 볼트체결홀 중 적어도 하나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되 마킹펜이 설치되는 마킹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펜은 상기 배관의 외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일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디에 각각 힌지 연결되되 중앙회전축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된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 중 다른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롯을 구비하는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KR20130078831A 2013-07-05 2013-07-05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KR10148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831A KR101487657B1 (ko) 2013-07-05 2013-07-05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831A KR101487657B1 (ko) 2013-07-05 2013-07-05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24A true KR20150005224A (ko) 2015-01-14
KR101487657B1 KR101487657B1 (ko) 2015-01-29

Family

ID=5247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831A KR101487657B1 (ko) 2013-07-05 2013-07-05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6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371A (zh) * 2019-08-25 2019-11-26 李明渊 一种垂直管道划线器
CN114029878A (zh) * 2021-11-10 2022-02-11 浙江超亿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灭火器筒体生产用夹紧装置
CN114166087A (zh) * 2021-12-07 2022-03-11 福建省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985Y2 (ja) * 1989-04-19 1995-07-26 東芝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格納容器貫通部スリーブの切断部ケガキ治具
JP3594798B2 (ja) * 1998-03-31 2004-12-02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パイプ溶接用固定装置
KR20060116414A (ko) * 2005-05-10 2006-11-1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튜브류 용접용 홀딩장치
KR20120004875U (ko) * 2010-12-27 2012-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애노드 설치위치 표시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371A (zh) * 2019-08-25 2019-11-26 李明渊 一种垂直管道划线器
CN114029878A (zh) * 2021-11-10 2022-02-11 浙江超亿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灭火器筒体生产用夹紧装置
CN114029878B (zh) * 2021-11-10 2024-03-26 浙江超亿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灭火器筒体生产用夹紧装置
CN114166087A (zh) * 2021-12-07 2022-03-11 福建省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4166087B (zh) * 2021-12-07 2024-03-19 福建省二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657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657B1 (ko) 조정관 계측용 지그장치
US11453060B2 (en) Interchangeable cutting insert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the same
US9339903B2 (en) Rotary driving mechanism and holding device using the same
US9518851B2 (en) Probes for inspection system for substantially round hole
CN104540640A (zh) 夹紧设备
US20180056408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machining pipes and/or pipe flanges
CN110756948A (zh) 一种马鞍曲线切割装置
TWI492798B (zh) Pipe bending equipment
JP6003858B2 (ja) 配管挟持装置
US9248560B2 (en) Crimping tool
JP2017030133A (ja) パイプ切断器械
JP2015139850A (ja) マーキングツール及びマーキング方法
US4419828A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the junction contour for intersecting pipes
JP5647592B2 (ja) 溝付け装置
US9658085B2 (en) Measuring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a production part
JP2013194780A (ja) 配管固定具とその使用方法
KR20200059490A (ko) 가스관 절단용 지그
JP2013240823A (ja) 管材芯出し装置
JP2015000430A (ja) カシメ装置
KR20140026754A (ko) 곡관 굽힘길이 및 굽힘각도 측정장치
KR101516398B1 (ko) 파이프계측용 타겟장치
KR102615159B1 (ko) 연결마킹장치
CN219551523U (zh) 圆孔导向运动装置
JP5600701B2 (ja) マーキング冶具
CN216328278U (zh) 管道划线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