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767A -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767A
KR20150004767A KR1020140083220A KR20140083220A KR20150004767A KR 20150004767 A KR20150004767 A KR 20150004767A KR 1020140083220 A KR1020140083220 A KR 1020140083220A KR 20140083220 A KR20140083220 A KR 20140083220A KR 20150004767 A KR20150004767 A KR 2015000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elt
collar
tightening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드리봉
파브리스 쁘레보
니꼴라 리골레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15000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16L59/18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램핑 장치는 조여질 수 있는 벨트(12)를 갖는 클램핑 칼라(10)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칼라(1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벨트 주위에 배치되는 외부의 슬리브(16)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벨트의 양쪽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A CLAMPING DEVICE COMPRISING A COLLAR AND A SLEEVE}
본 발명은 조여지기에 적합한 벨트를 갖는 클램핑 칼라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벨트가 2개의 물품들을 하나 상에 다른 하나를 클램핑 함으로써 또는 하나에 대항하여 다른 하나를 클램핑 함으로써 상호연결하도록 기능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물품들은 튜브에 의해 그리고 이 튜브가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부-편(end-piece)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끝과 끝이 맞닿도록 배치되는 튜브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접촉 단부들은 칼라의 벨트의 내주면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수용되도록 플레어 방식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문헌 EP 1 451 498 호 및 US 3 064 773 호는 끝과 끝이 맞닿도록 배치되는 그러한 튜브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이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클램핑되는 물품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물품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상에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끝과 끝이 맞닿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2개의 튜브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튜브, 특히 차량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예를 들어 내연기관용 배기-파이프 튜브들을 통하여 고온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외측을 향한 열전달을 제한할 것이 종종 요구된다. 클램핑된 물품들의 외측 벽면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열은 그 벽과 접촉되는 것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장치가 상호연결되도록 기능하는 물품들은 열 보호 외피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클램핑 장치가 위치되는 구역에 있어서, 그 구역 내에서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피는 중단된다. 클램핑 장치가 일단 조여지고 난 다음에 또 다른 외피가 클램핑 장치 주위에 위치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이것은 클램핑의 분해 및 재조정 양자 모두를 방해한다. 그러므로, 장치에 의해서 상호연결되는 물품들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열 전달을 제한할 수 있긴 하지만, 그러한 열 전달의 제한은 클램핑 장치가 위치되는 구역에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적어도 상당한 범위에서 처리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클램핑 장치가 칼라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벨트 주위에 배치되는 외부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가 벨트의 양쪽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실에 의해 성취된다.
따라서, 슬리브는, 칼라가 위치되는 구역에 있어서, 국부적인 보호 슬리브로서 기능하지만, 열 보호를 제공하도록, 즉 외측에 대한 열 전달을 제한하도록, 벨트의 양쪽에서 축선방향으로 돌출하여, 외피 등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고, 상호연결된 물품들 상에 배치된다. 슬리브는, 클램핑 장치가 배치되는 클램핑 즉 상호연결 구역에서, 열 보호에 있어서의 중단을 넘어서는 일종의 브리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클램핑은 벨트에 의해 성취되며, 이것은 제한된 축선방향 치수를 갖는다(벨트의 폭에 상응함). 결과적으로, 상호연결된 물품들은, 벨트의 직전과 직후(예를 들어 각각의 자유단부들에 형성되는 튜브들 내의 플레어부 직전)의 제한된 축선방향 길이에 걸쳐서만 중단되는 보호 외피로 덮일 수 있다. 그렇지만, 칼라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는 벨트의 양측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며, 그에 따라 보호 외피 등과 중첩되어, 연속적인 열 보호의 제공을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본 장치가 물품을 클램핑 할 때, 벨트는 상기 물품과 직접 접한다. 따라서, 열적 보호가 벨트의 구역에서 중단되기 때문에, 물품이 뜨겁다면, 물품으로부터의 열이 벨트에 전도됨으로서 전달된다. 벨트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준비됨으로써, 간극이 존재하는 구역을 통틀어서 전도에 의한 열의 전달을 회피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는, 예컨대 벨트를 통하여 칼라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간극이, 작은 치수를 가지는 고정 구역을 제외하고, 벨트 및 슬리브의 마주하는 표면들 전체에 걸쳐서 존재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은 극도로 저감된다.
전술한 간극은 벨트와 슬리브 사이의 진동 접촉을 회피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진동 소음을 제거하고, 이는 클램핑 장치가 차동차 엔진용의 배기-파이프 튜브를 상호연결하도록 기능할 때 특히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의 폭은, 벨트의 축선(A)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 내지 3배이다.
벨트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호연결되는 물품들 주위에 배치되는 열 보호 외피와의 축선방향 연속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길이에 걸쳐서, 슬리브는 양쪽으로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구역들에서 칼라에 고정된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구역들을 선택함으로써, 슬리브와 클램핑 칼라 사이의 접촉을 지나치게 딱딱하게 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은, 클램핑의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간단하게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구역들을 선택하는 것은, 고정 구역들을 제외하고, 마주하는 표면들 전체에 걸쳐서 슬리브의 내주면과 벨트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슬리브의 내측면에서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벨트와 협력한다.
돌출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고정 구역으로서 기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돌출부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고정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용접에 의해 또는 클린칭에 의해 벨트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칼라와 협력할 수 있는 고정 탭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클립핑, 스냅식 끼워맞춤 또는 래칭에 의해 벨트와 협력한다.
칼라 및 슬리브는 별도로 제작된 후 필요시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는 조임 수단에 의해 서로를 향하여 가까워지기에 적합한 조임 러그들을 가지며, 슬리브는 조임 수단에 의해 그리고 조임 러그들에 의해 구성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칼라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는 벨트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조임 러그들을 구비하며, 슬리브는 조임 러그들이 돌출하는 윈도를 구비한다.
따라서, 슬리브는, 상기 조임 러그들의 양쪽에서 폭방향으로(즉, 벨트의 축선방향으로), 조임 러그들의 구역 내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윈도의 존재는 조임 러그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칼라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윈도의 양쪽에 위치되는 슬리브의 스트립 마진부는 슬리부의 나머지에서처럼 연속적인 보호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슬리브는, 제1 조임 러그의 부근에 위치되는 제1 단부와, 윈도를 구비하며 제1 단부와 협력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는, 1회전 이상 둥글게 형성되며, 조임 러그들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윈도의 구역에서만 중단되는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은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장점들은 더욱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는 벨트의 양측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며, 그에 따라 보호 외피 등과 중첩되어, 연속적인 열 보호의 제공을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클램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클램핑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이해를 돕기 위해, 칼라를 조이기 위한 조임 볼트를 제외한 상태의, 도 5와 동일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클램핑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 VIII-VIII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X를 따라 본 사시도이다.
도 1은 벨트(12)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클램핑 러그 즉 조임 러그(각각 12A 및 12B)들을 갖춘 클램핑 칼라(10)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다. 이들 조임 러그는, 조임 볼트(14)의 몸통부(14B)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이 조임 볼트는 너트(14C)에 의해 조임 러그(12B)에 대항하여 조여지기에 적합하다.
또한, 조임력을 똑바르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클램핑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페이서(14D)가 너트(14C)와 조임 러그(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는 칼라(collar)(10)에 지지되는 외부 슬리브(16)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벨트의 축선(A)이 도시되어 있으며, 슬리브(16)는 벨트의 양측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동일 축선(A)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16)의 폭(L)은, 축선(A)을 따라 측정될 때, 적어도 벨트의 폭(ℓ)의 3배와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벨트가 슬리브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중심이 맞춰질 때, 결과적으로, 벨트의 양쪽에서, 슬리브는 벨트의 폭(ℓ)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만큼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폭(L)은 폭(ℓ)의 대략 4배이어서, 벨트의 양쪽에서, 슬리브는 폭(ℓ)의 실질적으로 1.5배와 동일한 폭만큼 돌출한다. 용도에 따라서 그리고 클램핑할 물품의 형상에 따라서, 슬리브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벨트가 중심에 맞춰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어, 슬리브가 벨트의 일측에서 타측에서보다 더 큰 범위로 돌출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는 끝과 끝이 맞닿도록 배치되는 튜브들을 클램핑하도록 기능하며, 이 튜브들은 그 자유단부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펴져 플레어부(flare)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문헌 EP 1 451 498호에 설명된 것에 상응한다. 따라서, 벨트(12)의 내주면은, 전술한 플레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단면에서 볼 때, 벨트는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지거나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16)는 칼라(1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16)는 2개의 고정부(각각 18A 및 18B)에서 벨트(12)에 고정된다. 특히, 이러한 고정은 용접에 의해 또는 클린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8A 및 18B)는 그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고정점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 고정점들 즉 고정부들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으며 1밀리미터(㎜) 내지 4㎜의 범위 내에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점들 각각의 표면적은 0.8제곱밀리미터(㎟) 내지 20㎟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 표면적은 2㎟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점(18A 및 18B)들을 제외하고, 2개의 요소 즉 벨트와 슬리브 사이의 마주하는 표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서로 마주하는 벨트(12)의 외주면과 슬리브(16)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j)이 제공된다. 슬리브는 벨트의 초기 직경보다 큰 명목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곡률반경은 고정점(18A 및 18B)들의 구역에서는 더욱 작아서 고정이 가능하다. 간극(j)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가 조여질 때 보존된다.
도 3에 도시된 변형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는 칼라(30) 및 상기 칼라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36)를 포함한다. 칼라(30)는, 조임 수단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칼라와 유사하다. 본 변형예의 클램핑 장치는 칼라(10)의 벨트(12)와 유사한 벨트(32)를 가지지만, 그 조임 수단은, 벨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의 제1 조임 러그(34A)와, 그 반대쪽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외향 탭부(turned-out tab)의 형태를 갖는 제2 조임 러그(34B)를 포함한다. 고정을 위하여, 후크의 자유 에지부(free edge)(34'A)는 조임 러그(34B) 뒤에 걸린다. 도 3은 걸림 전 상태(pre-latching state)에 있는 칼라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후크의 자유 에지부(34'A)는 조임 러그(34B)의 전방에 위치되는 외향 탭부(34C) 뒤에 걸린다. 칼라는 따라서 폐쇄되어 있지만 조여져 있지는 않다.
슬리브(36)는 벨트(32)에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은 3개의 고정 구역(각각 38A, 38B, 및 38C)들에서 수행된다. 고정 구역(38A 및 38B)들은 각각 후크(34A) 및 조임 러그(34B)에 근접해 있다. 고정 구역(38C)은 조임 러그 및 후크를 지지하는 자유단부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반대쪽에 있다. 이전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고정 구역들을 제외하고, 슬리브와 벨트 사이에는 간극(j)이 제공된다. 고정 구역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표면적을 갖는 고정점들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간극(j)을 보존하기 위해서, 고정 구역들은 슬리브(36)의 평면부 상에 형성된다. 고정 구역(38C)의 영역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평면부는, 고정 구역의 부근에서 간극(j)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향 만곡 구역(inwardly curved zones)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칼라와 동일한 칼라(10)(본 변형예에서는 비-조임 상태로 도시됨)를 사용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그렇지만, 슬리브(46)는 도 1의 슬리브(16)와는 다소 상이하다. 고정 구역들은 혀부(tongues)(각각 47A 및 47B)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에서 혀부는 슬리브로부터 절취되고 벨트(12)의 외주면 형상과 정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슬리브(46)의 각각의 단부는 절취부(각각 47'A 및 47'B)들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혀부(47A 및 47B)들은 슬리브로부터 형성된다. 혀부는 벨트(12)의 외주면의 분기부(branches)들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분기부들을 가지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브리지(bridges) 형태를 취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브리지 형태의 분기부들 각각은, 도 4에서 분기부들 상에 부재번호 48A 및 48B로 각각 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점 용접에 의해 또는 클린칭에 의해 벨트에 고정된다. 따라서 절취되어 절첩된 혀부는, 본 예에서와 같이, 벨트에 대해, 또는 칼라에 대해 슬리브가 고정되는 고정 탭부(fastening tabs)로서 기능한다.
도 5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도 슬리브는 고정 탭부에 의해 칼라에 고정된다.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칼라(10)(본 예에서는 비-조임 상태로 도시됨)는 도 1에 도시된 칼라와 유사하다. 슬리브(56)는 전체적으로 슬리브(16)와 유사하며 벨트에 대해 간극(j)을 갖는 칼라에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슬리브(56)는, 조임 러그(12A 및 12B)들에 의해, 그리고 칼라의 조임 수단(즉 볼트(14))에 의해 구성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협력하는 고정 탭부(각각 56A 및 56B)을 통하여 칼라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슬리브(16)와는 상이하다.
도 6에 좀 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의 단부(ends)들은 고정 탭부를 가지도록 반경방향으로 뒤집혀 절첩되고, 따라서 클램핑 러그 즉 조임 러그(12A 및 12B)들의 배면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탭부(56B)를 도시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고정 탭부는 조임 러그(12A 및 12B)의 내측 윤곽에 정합하도록 스탬핑 가공된다. 또한, 고정 탭부는, 고정 탭부(56A 및 56B)의 폭이 조임 러그(12A 및 12B)의 폭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물론, 슬리브의 폭(L)보다 작은 폭의 혀부(57)의 형태를 갖는다. 고정 탭부(56A 및 56B)를 보강하기 위해서, 각각의 혀부(57)는 절첩 구역에 보강 리브(59)를 가지며, 이 절첩 구역은 혀부(57)가 고정 탭부(56A 또는 56B)를 적절하게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구역이다. 칼라가 조여질 때, 고정 탭부(56A 및 56B)들은, 조임 러그(12A, 12B)들과, 볼트(14)의 머리부(14A) 또는 너트/스페이서(14C/14D)와의 사이에 클램핑된다.
도 7 및 8은 칼라에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방식을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도, 칼라(여기에서는 조임 상태로 도시됨)는 도 1의 칼라(10)와 유사하다. 슬리브(66)는, 칼라에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제외하고, 전술한 슬리브와 유사하다. 도 7 및 8에 있어서,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슬리브(66)는 클립핑 탭부(clipping tabs)(각각 67A 및 67B)들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 클립핑 탭부는 칼라의 벨트(12) 상에 단지 클립핑 된다.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핑 탭부는 V자 형상을 가지며, 이 V자 형상의 선단부는 용접에 의해 또는 클린칭에 의해 68A 또는 68B에서 슬리브에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립핑 탭부(67A)의 가지부(67'A 및 67"A)의 자유단부들은 벨트(12)의 내측 자유 에지부 상에 클립핑되도록 만곡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슬리브 및 벨트와 같이, 클립핑 탭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클립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즉 탄성적으로 복원됨으로써 벨트(12) 상에 클립핑 탭부가 클립핑될 수 있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클립핑 탭부(67A 및 67B)는, 칼라의 조임 러그(12A 및 12B)들 중 하나의 부근에서, 각각, 슬리브의 자유단부들에 위치된다. 물론, 더 많은 클립핑 탭부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임 러그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반대쪽에서 세 번째 클립핑 탭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조임 러그들과, 또는 볼트(14), 특히 그 머리부, 및 몸통부 또는 너트와 각각 협력하는 클립핑 탭부를 갖는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클립핑 탭부는 슬리브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스트립 금속 또는 유사한 스트립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클립핑 탭부가 분리되어 있고 슬리브 상에 장착되는 한, 클립핑 탭부는 슬리브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 특히 더욱 높은 강도를 가져 클립핑 응력을 수용하기에 특별히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클립핑 탭부는 더욱 두꺼운 또는 더욱 양호한 탄성 특성을 가지는 스트립 탭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변경 또는 추가적인 방식으로, 클립핑 탭부는 적절한 가공경화에 의해 더욱 강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도면들에 있어서, 슬리브의 자유단부들은 조임 수단의 양쪽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는 조임 수단의 영역 내에서 중단되고, 그에 따라 연속적인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이하에 설명되는 제2 실시예는 이러한 중단을 실질적으로 회피한다. 도 9 및 10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는 도 1의 칼라(10)(본 실시예에서는 조임 상태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슬리브(76)는, 3개의 고정 구역(각각 78A, 78B, 및 78C)에서 벨트(12)에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클린칭됨으로써 칼라에 지지된다. 슬리브(76)는 칼라의 조임 러그(12A 및 12B)들이 돌출하는 윈도(79)를 갖는다. 따라서, 이 윈도의 양쪽에서, 남아있는 스트립 마진부(marginal strips)(각각 79A 및 79B)들은 칼라의 조임 러그(12A 및 12B)의 양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트립 마진부들에 의해 점유되는 축선방향 에지부 상에서, 슬리브(76)는 폐쇄된 윤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79)는 슬리브(76)의 일단부(76A)에 형성되며 슬리브의 타단부(76B)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다. 조임 동안에, 이들 2개의 단부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어, 슬리브(76)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벨트(12)의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를 동반한다.
슬리브의 타단부 즉 제1 단부(76B)는 조임 러그 즉 제1 조임 러그(12A)의 부근에 위치되며, 슬리브의 일단부 즉 제2 단부(76A)는 윈도(79)를 구비하는 단부이고 슬리브의 윤곽이 폐쇄될 수 있도록 제1 단부와 협력하는 자유단부(76'A)를 갖는 단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의 제2 단부(76A)의 자유단부(76'A)는 상기 자유단부 상에서 윈도(79)를 폐쇄하는 브리지의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스트립 마진부(79A 및 79B)들이 축선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브리지를 가지지 않는 스트립 마진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는 복수의 고정 구역(각각 78A, 78B, 및 78C)들에서 칼라의 벨트에 고정된다. 도 10에 더욱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구역들 중 하나, 즉 고정 구역(78A)은 윈도(79)의 내측에 위치된다. 벨트(12)의 외주면과 슬리브(76)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 구역들은 슬리브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벨트와 협력하는 돌출부(각각 77A, 77B, 및 77C)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에서, 상기 돌출부들은 오목한 접시 형태를 가지며, 그 바닥에서 고정 구역들이 형성된다. 내측에서, 전술한 돌출부들은 벨트(12)의 외주면과 슬리브(76)의 내주면 사이에서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물론, 그러한 돌출부들은,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 특히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예와 완전히 호환된다. 단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하거나 도 5 내지 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고정에 참여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및 10의 슬리브(76)는 3개의 돌출부(각각 77A, 77B, 및 77C)들을 구비한다. 그렇지만, 돌출부의 개수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 슬리브 및 칼라의 벨트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장치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클램핑되는 물품들과 슬리브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열의 전달을 제한함으로써, 열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슬리브는 조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특히, 슬리브는 칼라의 벨트보다 훨씬 더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얇은 스트립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의 두께는, 반경방향으로 측정될 때,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대략 0.2㎜ 내지 0.5㎜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고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나이즈강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대략 0.4㎜ 내지 1㎜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나이즈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열을 내측으로 더욱 잘 반사시키기 위해서, 슬리브의 적어도 내측면을 경면 처리할 수 있다.
슬리브는 클램핑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공헌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어떠한 특정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리고 전체적으로 클램핑 장치의 무게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한, 가능한 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슬리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가 슬리브를 지나치게 쉽게 반경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한다면, 보강 수단을 장비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보강 수단은,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원주 리브(19)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원주 리브" 라는 용어는, 상기 슬리브가 형성되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리브가 연장되도록, 칼라 상에서 슬리브가 정위치되어 있을 때 칼라의 축선(A)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의미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의 길이방향 에지부(상기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즉 장치의 축선(A)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에지부)들이 비스듬하게 되도록 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 슬리브의 에지부(66A 및 66B)들은 작은 범위에서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은, 슬리브의 강성을 증가시켜 지나치게 쉽게 슬리브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동시에 에지부의 날카로움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평한 벨트를 갖는 칼라들에 적용될 수 있긴 하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에 오목부를 구비한 벨트를 가지는 칼라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슬리브는 칼라에 지지될 수 있는데, 물론, 장치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물품들로부터 일정거리에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돌출부는 벨트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슬리브를 유지하기 위해 공헌할 수 있다. 그러한 돌출부는 장치에 의해 상호연결된 물품들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슬리브를 유지하기 위해 공헌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어 문헌 EP 1 451 498 호에 개시된 타입의 사전-끼워맞춤 및 밀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슬리브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원통은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베이스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일정한 길이(축선을 따라 측정했을 때)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슬리브는 장치에 의해 상호연결된 물품들의 형상에 정합되기에 적합한 그리고 열 스크린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슬리브는 둥글지 않게 이루어지거나, 밴드를 구비하거나, 오목부 예를 들어 오프셋 에지부 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는 클램핑 힘을 받는 부품이 아니기 때문에, 그 형상에 관하여 자유도가 크고, 그에 따라 주변환경의 제약에 적합하게 만들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약을 수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슬리브는 얇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크고, 그 형상은 현장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30: (클램핑) 칼라
12, 32: 벨트
12A, 12B, 32A, 32B: 조임 러그(또는 클램핑 러그)
14: 볼트
16, 36, 46, 56, 66, 76: 슬리브
18A, 18B: 고정부(또는 고정점)
38A, 38B, 38C, 78A, 78B, 78C: 고정 구역
58A, 58B: 고정 탭부
67A, 67B: 클립핑 탭부
77A, 77B, 77C: 돌출부
79: 윈도

Claims (13)

  1. 조여질 수 있는 벨트와, 칼라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벨트 주위에 배치되는 외부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슬리브는 벨트의 양쪽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벨트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의 폭은, 벨트의 축선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 내지 3배인,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구역들에서 칼라에 고정되는,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는, 슬리브의 내측면에서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벨트와 협력하는,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돌출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고정 구역으로서 기능하는,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는 용접에 의해 또는 클린칭에 의해 벨트에 고정되는,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는 칼라와 협력할 수 있는 고정 탭부를 가지는,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리브는 클립핑, 스냅식 끼워맞춤 또는 래칭에 의해 벨트와 협력하는, 클램핑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라는, 이 칼라를 조이기 위하여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조임 러그들을 가지며, 슬리브는 조임 러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칼라에 지지되는, 클램핑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벨트는, 이 벨트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조임 러그들을 구비하며, 슬리브는 조임 러그들이 돌출하는 윈도를 구비하는, 클램핑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슬리브는, 제1 조임 러그의 부근에 위치되는 제1 단부와, 윈도를 구비하며 제1 단부와 협력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제2 단부를 가지는, 클램핑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라는 조임 볼트 및 조임 너트를 가지며, 슬리브는 조임 볼트 및 조임 너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칼라에 지지되는, 클램핑 장치.
KR1020140083220A 2013-07-03 2014-07-03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KR20150004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6494A FR3008160B1 (fr) 2013-07-03 2013-07-03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 manchon
FR1356494 2013-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67A true KR20150004767A (ko) 2015-01-13

Family

ID=4923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20A KR20150004767A (ko) 2013-07-03 2014-07-03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08663A1 (ko)
EP (1) EP2821685A1 (ko)
KR (1) KR20150004767A (ko)
FR (1) FR3008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FR3050232A3 (fr) * 2016-04-15 2017-10-20 Renault Sas Ecran de protection de bague de fixation
DE102016111117A1 (de) * 2016-06-17 2017-12-21 Norma Germany Gmbh Schelle mit thermischer Isolationsschicht
GB2559412B (en) 2017-02-06 2019-05-15 Ford Global Tech Llc Heatshield for a band clamp
JP6789405B2 (ja) * 2017-03-07 2020-11-25 ノーマ・ユー・エス・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Norma U. S. Holding Llc 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センサ収容部付きパイプ継手
CN110869623A (zh) * 2017-07-14 2020-03-06 Ihi供应系统国际有限责任公司 用于废气涡轮增压机的连接设备和废气涡轮增压机
CN110914523B (zh) 2017-07-14 2022-03-01 Ihi供应系统国际有限责任公司 用于废气涡轮增压器的连接装置以及废气涡轮增压器
DE102017121994A1 (de) * 2017-09-22 2019-03-2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WO2020037029A1 (en) * 2018-08-14 2020-02-20 Ideal Clamp Products, Inc. Clamp locating system and method
FR3088097B1 (fr) 2018-11-07 2020-11-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doigt de retenue rabattable
FR3098884B1 (fr) *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barre de retenue
FR3098881B1 (fr)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doigts de retenue
FR3098883B1 (fr) 2019-07-15 2021-07-30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organe externe de retenue
FR3098882B1 (fr) 2019-07-15 2021-07-30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boucle de retenue
FR3110210B1 (fr) 2020-05-13 2022-06-17 Caillau Système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e agrafe de pré-montage
GB2608686B (en) 2021-05-28 2024-02-14 Caillau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two end pieces held fitted by a belt
FR3123406B1 (fr) 2021-05-28 2023-06-02 Caillau Ensemble de montage comprenant deux embouts maintenus emmanchés par une ceinture
JP7431416B2 (ja) 2021-06-17 2024-02-1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流体機器連結具及び流体機器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8336A (en) * 1940-06-01 1942-03-31 Benjamin A Tetzlaff Clamp
US2851577A (en) * 1957-03-21 1958-09-09 Wiegand Co Edwin L Electric heater assembly
US2936503A (en) * 1957-11-25 1960-05-17 Aeroquip Corp Safety latch for band clamps
GB1164162A (en) * 1966-10-19 1969-09-17 Raydyo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otor Vehicle Accessories
US3964773A (en) * 1974-09-13 1976-06-22 Mercury Metal Products, Inc. Anti-emission exhaust pipe joint and clamp therefor
US5456784A (en) * 1993-08-31 1995-10-10 Dayco Products, Inc. Hos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2833065B1 (fr) 2001-12-05 2004-09-03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DE102004050302B4 (de) * 2004-10-15 2010-09-30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 zweier Rohre und Dichtring für die Verbindung
PL2285453T3 (pl) * 2008-05-30 2018-08-31 Straub Werke Ag Zabezpieczenie termiczne dla elementów konstrukcyjnych wrażliwych na temperaturę
US20120060703A1 (en) * 2010-09-14 2012-03-15 Band-It-Idex, Inc. Band clamp tension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1685A1 (fr) 2015-01-07
US20150008663A1 (en) 2015-01-08
FR3008160B1 (fr) 2015-10-09
FR3008160A1 (fr)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767A (ko)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US9194523B2 (en) V-band clamp with V-insert segments
US2541205A (en) Clamp
US9145987B2 (en) Fire protection sleeve
KR101553914B1 (ko) 사전 위치 설정부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US6749232B2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EP2932145B1 (en) Jointed bridge for clamp assembly
EP1842001B1 (en) Hose clamp and spring liner
EP2734767B1 (en) Hose clamp with rippled spring liner
US10962156B2 (en) Hose clamp
KR20050044634A (ko)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AU2010357039B2 (en) Hose clamp
KR102285857B1 (ko) 프로파일된 클램프
WO2006041752A2 (en) Pipe lap joint with improved sealing slot for increased circumferential closure
JPH07117182B2 (ja) メタルクランプ
KR20190034099A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JP2003176890A (ja) 高強度クランプ構造体
CA2651664A1 (en) Band clamp
KR101712772B1 (ko)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US11933437B2 (en) Hose clamp
KR102285607B1 (ko) 클로우 고정 장치
JP7429705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23520512A (ja) カラーおよびシールを含む、チューブを連結するための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JP2021519897A (ja) クランプ
KR200421736Y1 (ko) 클램핑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