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60A -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60A
KR20150004660A KR1020130077939A KR20130077939A KR20150004660A KR 20150004660 A KR20150004660 A KR 20150004660A KR 1020130077939 A KR1020130077939 A KR 1020130077939A KR 20130077939 A KR20130077939 A KR 20130077939A KR 20150004660 A KR20150004660 A KR 2015000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house wrap
film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560B1 (ko
Inventor
김경민
신동필
김성훈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to KR102013007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5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25Sheets or foils allowing passage of water vapor but impervious to liquid water; house w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열반사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투습방수성의 하우스랩에 관한 것으로, 미세천공된 열반사표면층(1)과 강도보강용 유기 또는 무기섬유 직물층(2),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층(3)을 기본구조로 하는 하우스랩이며, 통기성필름의 보다 나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구조에 통기성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층(4)을 위치시키는 구조의 하우스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스랩에서 투습방수 기본성능의 발휘를 통기성필름이 담당하는데, 이 통기성필름의 제조 시 산화방지제와 자외선안정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투습방수쉬트의 내구성평가 방법을 통한 시험에서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도록 제조하여, 주택의 건축 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하우스랩의 기본성능이 보다 장기간 유지되어, 장기간 건축물의 단열성능 유지와 결로에 의한 건축물의 내구성 감소가 적은 우수한 건축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표면에 존재하는 열반사층은 하절기에는 높은 반사율로 인해 외부로 부터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냉방부하를 줄이고, 동절기에는 낮은 방사율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양을 줄여 난방부하를 하는 줄여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 기능성의 하우스랩의 제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알루미늄 하부의 섬유직물층과 추가로 사용가능한 부직포층으로 인해 강도가 보강되어져 시공 시외력이나 고정핀에 의한 파손이 감소하여 시공품질을 개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내구성이 우수한 복사열 차단성 투습방수재{Reflective house wrap with good durability}
본 발명은 주로 건축용에 사용되는 투습방수 쉬트인 하우스랩에 관한 것으로, 최근 하우스랩은 단열성능에 대한 요구의 강화와 결로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부패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목조나 스틸하우스를 중심으로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건축자재이다. 그리고 이런 하우스랩은 해외업체에서 제조되어져 국내에 많은 양이 수입되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많은 업체에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제품이며, 최근 들어 높은 수준의 단열성능을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기능까지 포함하는 단열재 제품으로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복합기능화 하우스랩은 철근 콘크리트조 이외에도 목조, 스틸조 건축구조의 건물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건축 이외의 산업용, 기기용, 자동차용, 선박용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스랩은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쉬트상 재료로 건축 구조물의 최외곽 마감재 안쪽에 시공되어져 외부로 부터의 수분유입을 방지하고, 결로에 의해 생성되는 구조물과 단열재층과 같은 내부자재로부터 습기는 외부로 배출하여 건축구조믈의 성능유지와 부폐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자재로서, 세계적으로 이 하우스랩 용도에는 타이벡이라는 자재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고 일반적인 통기성필름과 부직포를 합지한 자재도 상당한 시장을 가지고 있다.
타이벡은 폴리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섬유상 부직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이미 공지되어있는데, 미국 특허 제3,081,519호에는 플랙시필라멘트상 폴리에틸렌 필름-피브릴의 플래쉬 방사에 의해 제조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3,169,899호에서는 플래쉬 방사된 폴리에틸렌 플랙시필라멘트상 필름-피브릴 웹을 가동벨트 상에 쌓고, 쌓아진 웹을 압축시켜 약하게 압착된 부직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플랙시필라멘트상"이란 용어는 약 20 미크론 미만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서로 다른 길이의 얇은 리본형인 필름-피브릴 성분 다수개의 3차원 일체형 망상구조를 의미하며, 플랙시필라멘트상 구조물에서 필름-피브릴 성분은 대개 구조물의 장축을 따라 동일한 공간에 배열되며 간헐적으로 결합하고, 구조물의 길이, 넓이 및 두께 전체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불규칙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3차원적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투습방수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폴리에틸렌의 플래시 방사에 의한 투습방수성의 하우스랩은 강도특성이 우수하지 못하고, 첨가제의 첨가가 용이하지 않아 우수한 내구성의 제품을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통기성필름과 부직포를 합지한 형태의 하우스랩은 투습방수성은 통기성 필름을 통해 얻고, 시공이나 사용 상에 필요한 강도는 통기성필름과 합지되는 부직포층에서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통기성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기입자를 특정 배율로 첨가한 후 공지의 방법으로 용융제막하여 얻어진 원판 쉬이트를 1축 또는 2축 연신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입자 사이에 미세한 다공을 형성케 함으로써 통기성 필름을 얻는 방법이 일본특허공개소58-149303호, 일본특허공개소60-185803호, 일본특허공개소59-69906호 등에 다수가 제안되어 왔는데,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기입자 중 가령 매우 값싼 평균입경 수㎛의 탄산칼슘이 약40~60중량% 수준으로 과량 혼합된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얻어진 원판 쉬이트를 유리전이점 이상 용융점 미만의 온도 하에서 약 1.5~3배의 연신비로 1축 연신하여 얻어진 두께 30~50㎛ 수준의 통기성 필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통기성필름은 강도와 내구성이 부족하여 하우스랩용으로 장기간 내구성을 요하는 용도에는 안정적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01-0036707호에서는 용융지수가 낮은 결정성의 선형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계 저결정성 수지성분을 혼합사용 함으로써, 고속생산에서 생산성과 성능이 우수한 통기성필름을 제안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0718674호에서는 1∼500nm의 미세한 무기입자를 사용하여 강도가 우수한 통기성필름을 제안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0867931호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에 변성폴리에틸렌을 소량혼합하는 통기성필름을 제안하고 있으나, 내구성의 개선에 대한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통기성필름을 하우스랩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30미크론 전후의 통기성 필름과 부직포와 같은 강도보강층을 합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합지장치는 통기성 필름과 강도보강층의 공급장치와 접착제 도포장치 및 압착, 건조, 권취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한국등록특허 0411835호와 등에서 잘 예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0889249호, 0918946호, 0933026호에서는 통기성필름의 제조 시 난연제 및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개선하고, 통기성필름과 부직포 등과 같은 강도보강층의 합지구조로 투습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하우스랩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 발명들에 나타난 안정제의 조성이 확실한 내구성의 개선을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통기성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 고분자 재료들은 열이나 광과 같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으면 산소에 의한 열산화반응에 의해 잘 알려진 연쇄반응을 하면서 저분자량의 사슬로 분해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열산화분해 연쇄반응은 수지들의 구조에 따라 그 발생가능성이 상이한데, 이러한 구조의 차이로 인해 열안정성의 차이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주변의 열이나 광 등과 같은 촉진분위기는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진 통기성필름의 사용환경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동일한 고분자 재료일지라도 용도나 사용환경에 따라 안정성의 부여가 더 요구되는 경우도 있는데,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이런 하우스랩은 건축물의 수명과 유사한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면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성능이 저하하여 시공초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의 성능과 수명이 동시에 저하하는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리고 다양한 방법의 성형기기를 이용해 고분자 재료를 제품으로 성형하는 과정은 이러한 안정성의 필요성을 좌우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데, 성형 후의 제품은 사용되어지는 환경이 생활환경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과격하지 않은 환경이지만, 성형공정 중의 고분자재료는 일반적으로 융점이상의 가혹한 조건에서 압력과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그 고분자재료에 안정성의 부여가 필수적인 것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동일한 고분자 재료일지라도 가공온도나 조건에 따라 용융온도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가혹한 조건에 노출되면 고분자재료의 안정한 분자쇄가 분해반응에 의해 불안정한 구조로 변하고, 이 불안정한 구조는 최종 성형물의 내부에 그대로 남아 본 발명에서의 통기성필름과 같은 최종제품에서 사용 중의 노출조건에 따라 더 빠르게 분해반응이 진해되어 통기성필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성형 중의 안정성 또한 매우 중요한 내구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제품은 그 성분이 가지는 구조에서 오는 안정성 이외에 기타 첨가제에 의한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많은 참가제들이 개발되어져 왔는데, 현재까지 개발되어진 안정제들은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내가수분해안정제, 내정전기안정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용도나 접촉하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지의 가공이나 사용 시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는 매체가 열이므로, 수지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지의 분자구조 변종이나 외부 첨가제 투입 등의 여러 가지 방안들이 오래 전부터 연구되고 제안되어져 왔으며, 동일 성분의 첨가제일지라도 사용하는 타 조성과의 혼합방법에 따라서도 그 효과가 상승하거나 저하하는 혼용효과가 매우 커서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재료가 사용된 이미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723,427호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입체장해형 페놀계(hindered phenol type) 1차 내열제인 트리스(하이드록시벤질)시아눌레이트형의 안정제를 제안하였고, 미국특허 제3,758,549호에서는 티오에스테르 형태의 2차 내열제를 제안하면서 페놀계의 1차 내열제와 혼용하는 방법을 언급하였다. 그 후 이러한 1차형과 2차형의 안정제를 혼합사용하여 상승효과(synergism effect)를 유발시켜 안정성의 개선을 도모한 기술들은 미국특허 제3,966,675호와, 제4,414,408호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중 미국특허 제4,069,200호에서는 6-t-부틸-2,3-디메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 6-t-옥틸-2,3-디메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 6-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나프톨, 5-t-부틸-2,3-디메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등과 같은 입체장해형 페놀계 1차 내열제 단독이나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나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티오에스테르형 2차 내열제를 혼용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의 내열안정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입체장해형 페놀계 1차 내열제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충분한 열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입체장해형 페놀계 1차 내열제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나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티오에스테르형 2차 내열제를 혼용하는 방법은 단독사용에 비해 내열성의 상승은 가능하나, 티오에스테르형 2차 내열제의 석출현상으로 성형 후 제품표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4,185,003호에서는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 N,N'-트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 등과 같은 페놀계 내열제와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n-부틸-(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등의 입체장해형 아민 광안정제를 혼합해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안정성을 개선코자 하였고, 미국특허 제4,405,749호에서는 1,3,5-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과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믹산의 에스테르화물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안정성을 개선하려고 시도하였고, 일본공고특허 제88-38371호에서는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이량체(dimer)함량이 많은 안정제를 제조하는데 대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일본공고특허 제88-40817호에서는 상기의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형의 화합물과 페노티아딘형의 화합물을 혼합 사용하는 방법을, 그리고 일본공고특허 제88-40819호에서는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형의 화합물에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이나 2-메르캅토메틸벤조이미다졸 등의 메르캅토화합물을 혼합 사용하여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런 안정제 조성은 대부분 사용온도가 70℃ 이상인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단기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어서 하우스랩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장기간 필요한 안정성과 내구성을 개선하는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공고특허 1997-0006905호에서는 환상이미노에테르 화합물 또는 환상이미노에스테르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과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혼합사용하여 고분자재료의 내열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 내열안정화 첨가제조성은 폴리에스테르 구조에서 우수한 내구성효과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하우스랩을 구성하는 통기성필름의 폴리올레핀 성분에 대해서는 우수한 내구성 개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주로 건축용 투습방수 쉬트인 하우스랩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하우스랩은 폴리에틸렌을 플래쉬방사 공정으로 제조한 제품보다 우수한 투습방수성을 나타내면서도 장기간사용에 따른 성능저하가 거의 없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표면에 열반사층을 동시에 보유하여 복사열의 흐름을 차단하고 낮은 열방사율로 건축물의 단열성능도 동시에 개선 가능한 열반사성 고강성의 하우스랩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열반사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투습방수성의 하우스랩에 관한 것으로, 미세천공된 열반사표면층(1)과 강도보강용 유기 또는 무기섬유 직물층(2),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층(3)을 기본구조로 하는 하우스랩이며, 통기성필름의 보다 나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구조에 통기성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층(4)을 위치시키는 구조의 하우스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스랩에서 투습방수 기본성능의 발휘를 통기성필름이 담당하는데, 이 통기성필름의 제조 시 산화방지제와 자외선안정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투습방수쉬트의 내구성평가 방법을 통한 시험에서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도록 제조하여, 주택의 건축 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하우스랩의 기본성능이 보다 장기간 유지되어, 장기간 건축물의 단열성능 유지와 결로에 의한 건축물의 내구성 감소가 적은 우수한 건축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표면에 존재하는 열반사층은 하절기에는 높은 반사율로 인해 외부로 부터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냉방부하를 줄이고, 동절기에는 낮은 방사율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양을 줄여 난방부하를 하는 줄여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하우스랩의 제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알루미늄 하부의 섬유직물층과 추가로 사용가능한 부직포층으로 인해 강도가 보강되어져 시공 시외력이나 고정핀에 의한 파손이나 감소하여 시공품질을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우스랩의 기본구조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열반사층(1)은 통기성 기공이 가공된 알루미늄 반사층으로 두께가 1μm 이상인 순수 알루미늄 호일이거나 알루미늄 분말도포, 알루미늄 증착층 등이 사용가능하며, 그 하부에는 하우스랩의 강도를 유지하는 강도보강층(2)으로, 유리섬유직물 또는 부직포, 유기섬유 스크림 등이 사용가능하고, 그 하부에는 안정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3)이 존재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통기성필름의 보호와 우수한 투습성을 위해 통기성필름(3)의 단면 또는 양면에 중량이 10∼200g/m2 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의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층의 접착은 접착층(5,61,62,63)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최상부의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 사이에는 접착에는 일반유기용제형 접착제, 일반 스프레이 접착제, 아크릴이나 우레탄수지의 수분산성 접착제, 핫멜트 분말, 핫멜트 필름, 핫멜트 스프레이 등 접착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는데, 이는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을 가공한 후 미세기공(7)을 가공하기 때문에 접착층이 하우스랩의 투습경로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이외의 접착층(61, 62, 63)은 접착가공 한 후 하우스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필름형이나 전면 도포형의 연속상의 층이 형성되는 접착층은 사용이 불가능하고, 핫멜트 분말이나 스프레이 등과 같은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접착층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반사층(1)은 주로 열반사기능과 투습이 가능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며, 표면에 미세기공(7)이 형성되어져 있다. 열반사기능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금속성분이 사용가능하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 선택되어 지는데, 그 두께가 1μm 이상이면 열반사 기능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층, 얇은 알루미늄과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가 합지된 복합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유기필름이나 부직포 위에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도포된 반사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강도보강층(2)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유리 섬유의 직물이나 메쉬 등이 사용가능한데, 강도를 위해서 유리섬유 직물이 가장 효과적이며, 강도보강층(2)의 중량은 10∼300g/m2 정도가 적당한데, 중량이 10g/m2 미만인 경우는 강도보강효과가 미미하고, 300g/m2 을 초과할 경우는 재질에 따라 투습성의 저하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통기성필름층(3)은 폴리에틸렌계이나 폴리프로필렌계의 폴리올레핀 성분이면 대부분 사용가능한데, 폴리프로필렌계는 분자구조 내에 3차 탄소를 가지고 있어서 열이나 자외선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라디칼 형성이 용이하여 융점이 높은 특징이 있지만, 내구성 면에서는 폴리에틸렌계가 내구성 면에서는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의 수지 100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5μm 이하인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칼슘, 염화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아스베스토스,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입자를 50∼150중량부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무기입자의 투입량이 수지성분 100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기공형성이 어려워 하우스랩의 투습성을 낮아지고,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출이나 연신공정에서 가공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5μm 이상이 되면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고, 평균입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통기성필름에 형성되는 기공이 작아져 투습성이 낮아지지만 이 투습성은 연신비의 조절로 극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필름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용융지수(190℃, 2.16Kg)가 1~10g/10min 범위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과 통기성을 유지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의 하우스랩의 내구성 개선은 통기성필름의 내구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문제로 이 통기성필름의 가공이나, 하우스랩 상태로 사용기간 중에 성능이 변화하지 않게 하기 위해 통기성필름의 제조 시 안정성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는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이미노에테르 화합물과 이미노에스테르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 0.02~1.0중량부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0중량부,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0.1∼2.0중량부,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0.01∼0.1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2.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는데, 이미노에테르 화합물과 이미노에스테르 화합물의 총량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0.02중량부 미만이면 분해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량의 체인을 분해반응을 중단시키고, 체인을 연결해 주는 효과가 적어 내구성 개선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 를 초과할 경우에는 통기성필름의 가공 중의 용융점도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 가공조건이 변하여 필름형성성이 저하하는 문제를 나타낸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0.1중량부,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0.01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내구성의 개선효과가 불량해 질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1.0중량부,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2.0중량부,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0.1중량부, 자외선안정제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하면 투입량 대비 내구성의 개선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과도한 첨가제의 투입으로 인해 연신공정 중의 불량발생율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0.3중량 부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최종 통기성필름의 표면에 첨가제가 석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서, 사용량을 0.1중량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노에테르 화합물은 비스옥사졸린계 또는 비스(5,6-디하이드로-옥사진)계 화합물인데, 예를 들면 2,2'-비스(2-옥사졸린), 2,2'-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비스(4-에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에틸-2-옥사졸린), 2,2'-비스(4-프로필-2-옥사졸린), 2,2'-비스(4-부틸-2-옥사졸린), 2,2'-비스(4-헥실-2-옥사졸린), 2,2'-비스(4-페닐-2-옥사졸린), 2,2'-비스(4-사이클로헥실-2-옥사졸린), 2,2'-비스(4-벤질-2-옥사졸린), 2,2'-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비스(4-메틸-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비스(4-에틸-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비스(4,4-디메틸-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에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트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테트라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헥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옥타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데카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페닐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에틸렌비스(2-카르바모일-4-메틸-2-옥사졸린), N,N'-테트라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4,4-디메틸-2-옥사졸린), N,N'-디메틸-N,N'-에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N,N'-디메틸-N,N'-테트라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2-옥사졸린), 2,2'-오르소-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메타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파라-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파라-페닐렌-(4,4-디메틸-2-옥사졸린), 2,2'-메타-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메타-페닐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테트라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헥사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옥타메틸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데카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테트라메틸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9,9'-디페녹시에탄비스(2-옥사졸린), 2,2'-디사이클헥실렌비스(2-옥사졸린), 2,2'-디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N,N'-에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트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테트라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헥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옥타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데카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페닐렌비스(2-카르바모일-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에틸렌비스(2-카르바모일-4-메틸-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헥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4,4-디메틸-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N,N'-디메틸-N,N'-테트라메틸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에틸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프로필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헥사메틸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파라-페닐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메타-페닐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나프틸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2,2'-파라,파라'-디페닐렌비스(5,6-디하이드로-4H-1,3-옥사진) 등이며, 이미노에스테르화합물은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헥사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옥타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데카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파라-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메타-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나프탈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사이클로헥실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비스(4,5-디하이드로-1,3,6H-옥사진-6-온), 2,2'-파라-페닐렌비스(4,5-디하이드로-1,3,6H-옥사진-6-온), 2,2'-파라페닐렌비스(4-메틸-5-하이드로-1,3,6H-옥사진-6-온), 2,2'-파라-페닐렌비스(5(4H)-옥사졸론), 2,2'-테트라메틸렌비스(4-메틸-5(4H)-옥사졸론), 2,2'-헥사메틸렌비스(4-메틸-5(4H)-옥사졸론), 2,2'-테트라메틸렌비스(4,4-디메틸-5(4H)-옥사졸론), 2,2'-헥사메틸렌비스(4,4-디메틸-5(4H)-옥사졸론), 2,2'-파라-페닐렌비스(4,4-디메틸-5(4H)-옥사졸론) 등 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 퀴놀린이나 이들의 중합체상태의 화합물, 페닐-베타-나프틸아민, 페닐-알파-나프틸아민, 알파-나프틸아민, N,N'-디-sec-부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베타-나프틸-파라 페닐렌디아민, 4,4'-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메탄, 알돌-알파-나프틸아민, N,N'-비스(1-메틸-헵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이소-프로폭실디페닐아민,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N-페닐-N'-이소프로필-파라-페닐렌디아민, 4,4'-비스(4-알파,알파-디메틸벤조일) 디페닐아민, 2,6-디-t-부틸-알파-디메틸아미노-파라-크레졸, N-사이클로헥실-N'-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디옥틸-파라-페닐렌디아민, 페닐헥실-파라-페닐렌디아민, 페닐옥틸-파라-페닐렌디아민, 디헵틸-파라-페닐렌디아민, 옥살릴 비스(벤질리덴 하이드라지드), 6-(4-하이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3-(N-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P,P'-디옥틸 디페닐아민, 디카테콜보레이트의 디-오르소-토릴-구아니딘 염, 디-오르소-토릴티오우레아, 티오카르바닐리드, 징크디에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2-메르캅토메틸벤즈이미다졸, 2-메르캅토메틸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N-1,3-디메틸부틸-N'-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1,3-디부틸티오우레아, 1,3-디에틸티오우레아, 페노티아진,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 페놀)옥살릭산디아민, 오르소-토릴-비구아니드, N,N'-디페닐에틸렌디아민, N,N'-디페닐프로필렌디아민, N,N'-디-오르소-토릴-에틸렌디아민, N-라우릴-파라-아미노페놀, N-스테아릴-파라-아미노페놀, 에틸렌티오우레아, P,P-디메톡시 디페닐아민, N-옥틸-N'-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N,N'-디-(1,4-디메틸-펜틸)-파라-펜닐렌디아민 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터셔리-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옥타데실-3-(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럭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터셔리-부틸페닐)-부티릭산]글리콜에스테르, 2,2‘-메틸렌-비스-(4-메틸-6-터셔리-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터셔리-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터셔리-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터셔리-부틸페놀) 과 이에 준하는 산화방지제이며,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는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에틸-4-[[(메틸-페닐아미노)메틸렌]아미노]벤조에이트, 폴리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1,4-부탄디오익 산),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렌-4-피페리딜)이미노]], 2,2‘-티오비스-(4-터셔리-옥틸 페녹시)-부틸아민니켈, 니켈 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모노 에틸레이트 등과 같은 자외선 안정제나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슬포닉산, 옥타벤존-2-하이드록시-4-노르말-옥톡시 벤조페논, 2,4-디하이드록시 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3-터셔리-부틸-2-하이드럭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터셔리-부틸페닐)-5-클로로 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터셔리-펜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하이드럭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럭시-3’,5‘-디-터셔리-부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6-(벤조트리아졸-2-일)-4-터셔리-옥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등과 같은 자외선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 흡수제보다는 자외선 안정제가 하우스랩의 용도에서는 더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통기성 필름은 상기와 같은 폴리올레핀수지와 무기입자, 안정화 첨가제 그리고 기타 가공조제 등을 잘 혼합하여 압출 스크류식 컴파운딩기를 통해 수지조성물을 제조한 후 압출공정에 적용하거나 컴파운딩기를 이용한 압출공정 전에 여러 가지 형태의 믹서공정을 통해 사전 믹싱한 후 컴파운딩공정이나 압출공정 적용하여 통기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믹싱, 컴파운딩, 압출, 연신공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통기성필름 품질에는 유리한데, 본 발명에서는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니더 등에 의해 혼련 분산시켜 마스터뱃치 펠렛을 제조한 후, 얻어진 마스터뱃치 펠렛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펠렛을 드라이 블렌딩 또는 용융 혼합하여 박막 통기성 필름용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조성물 펠렛을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원판 시이트를 성형하게 되는데,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숀 성형, 티-다이에 의한 압출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원판 시이트를 유리전이점 이상, 용융점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1.2배~5.0배 범위로 1축 연신한다. 이 때 유리점 미만의 경우에는 신도가 항복점을 넘기 이전에 필름의 파열이 발생하여 연신할 수 없고, 용융점을 넘게 되는 경우는 분자사슬의 유동에 의해 만족할 만한 통기성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연신배율이 1.2배 미만일 경우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연신배율을 5배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 중 파단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안정하게 필름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상기 1축 연신 때와 동일한 연신온도, 연신율 조건 범위 내에서 2축 연신을 실시하여 2축 연신 통기성 필름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2축 연신을 하지 않고 1축연신만 한 1축 연신필름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필름은 1축 또는 2축 연신 어느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총 면적 연신 배율이 1.5~25배의 범위로 되게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연신배율 1.5배 미만에서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필름이 딱딱해 촉감이 저하되며, 25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통기성은 우수하지만,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나빠질 우려가 있다. 연신 후의 필름은 그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고정을 행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기성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는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첨가제 이외에도 활제,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가공조제나 변성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아세티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라고 지칭되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저분자량 에틸렌계 왁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성분의 특성을 개질할 수 있는 소량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부직포층(4)은 중량이 10∼200g/m2 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의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 등인데, 중량이 10g/m2 미만이면 통기성 필름을 보호하는 기능이 저하하고, 중량이 200g/m2 을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두께가 증가하고, 중량증가에 의한 부직포 사용효과가 개선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하우스랩의 기본 구조에는 부직포가 없지만, 도면-1에서와 같이 부직포를 통기성필름과 보강층 사이에 사용할 경우에는 통기성필름의 보호 및 투습성의 개선효과가 있고, 도면-2와 같이 통기성필름 하부에 사용할 경우에는 통기성필름의 보호효과를 가지고, 도면-3과 같이 통기성필름 양면에 사용할 경우에는 통기성필름의 보호 및 투습성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 상이의 접착층(5)은 일반유기용제형 접착제, 일반 스프레이 접착제, 아크릴이나 우레탄수지의 수분산성 접착제, 핫멜트 분말, 핫멜트 필름, 핫멜트 스프레이 등 접착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는데, 이는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을 가공한 후 미세기공(7)을 가공하기 때문에 접착층이 하우스랩의 투습경로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 상이의 접착층(5) 이외의 접착층(61, 62, 63)은 필름형이나 전면 도포형의 연속상의 층이 형성되는 접착층은 사용이 불가능하고, 핫멜트 분말이나 스프레이 등과 같은 핫멜트형의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접착층이 사용가능한데,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핫멜트형 접착제의 접착층(61, 62, 63)은 투습방수성필름(4)의 투습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필름형태가 아닌 부분접착형태로 사용하여야 하는데, 부분접착형태는 파우더도팅, 파우더스케터링, 용융분사 등의 방법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용융분사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파우더도팅이나 스케터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는 파우더를 용융하여야 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의 편이 상 용융분사 형태가 가장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핫멜트 접착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수지가 50 ~ 55 중량%, 석유계수지, 테르펜계수지, 로진계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증강제가 40 ~ 50중량%, 방향족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연화 오일이 5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핫멜트는 분사를 위한 용융 온도범위가 80~300℃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한데, 만약 80℃ 이하일 경우는 융점이 최소한 60℃이하이거나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점착성만을 보유한 비결정형 수지이므로, 단열재의 사용 시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접착면이 분리되는 단점이 있으며, 용융범위가 300℃이상이면 분사를 위한 온도가 너무 높고, 용융물의 온도도 동시에 상승하므로 투습방수성 필름이 접하는 면에서 투습방수성필름(4)의 용융이나 변형에 의해 투습성과 방수성이 저해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부의 반사층(1)과 보강층(2)의 접착층(5)은 접착하는 형태에 따라 강도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용융분사형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인렬강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낮은 강도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5~30g/m2정도의 핫멜트계 접착제를 용융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융분사보다는 필름형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 핫멜트 필름의 중량은 10~40g/m2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사층(1)은 강도보강층(2)과 접착층(5)에 의해 한구조로 만들어진 후 최종제품인 하우스랩의 투습성을 위해 미세기공(7)이 가공되어지는데, 이 미세기공(7)은 크기가 20~1000μm인 기공을 80개/cm2 이상 형성시키는데, 홀의 크기가 20μm 미만이면 기공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충분한 투습성을 얻기가 어렵고, 1000μ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습방수성에 지장은 주지 않지만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기공의 개수가 80개/cm2 이하이면 투습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이 기공의 갯수는 많을수록 유리하지만 과도하게 많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내구성이 우수한 복사열 차단성 투습방수재 하우스랩은 기존의 투습방수성만을 보유한 하우스랩에 비해 내구성, 강도, 투습성, 단열성이 우수한데, 높은 강도는 시공이나 사용 중 파손이 방지하고, 높은 투습성과 내구성은 장기간 건물의 단열재나 구조물을 결로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하여주고, 표면의 열반사에 의한 단열성은 하절기에는 높은 표면 반사율로 인해 외부로 부터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냉방부하를 줄이고, 동절기에는 낮은 방사율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양을 줄여 난방부하를 하는 줄여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획기적인 하우스랩 자재이다.
특히 통기성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 투입되는 안정화첨가제 중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주로 고온의 가공 중 발생하는 폴리올레핀수지의 분해라디칼을 안정화물질로 변화시키고, 완제품 상태에서 통기성필름의 표면으로 석출되지 않을 수준의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는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의해 안정화된 물질을 보다 안정한 물질로 환원시킴과 동시에 산화반응을 거친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재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미노에테르나 이미노에스테르 화합물은 분리된 폴리올레핀 분자를 높은 반응성으로 연결시켜 분자량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아민계 산화방지제와 자외선 안정제는 하우스랩의 사용 중 발생하는 통기성필름의 분해반감기를 늘리는 효과로 기존의 통기성 필름에 비해 내구성이 3배 정도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반사층(1) 하부의 강도보강층(2)은 얇은 알루미늄 성분의 반사층(1)을 보호하며, 반사층(1) 표면이 작은 미세기공(7)과 통기성필름(3)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여, 통기성 필름의 전체 면적에서 투습이 일어나게 하여 하우스랩의 투습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시공 시 고정하는 못이나 핀에 의한 고정정을 증가시켜 시공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스랩의 기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스랩의 단면도_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스랩의 단면도_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스랩의 단면도_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이나 기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두께가 10μm인 알루미늄 호일과 중량이 120g/m2 인 유리섬유 평직 직물 사이에 중량이 20g/m2 인 폴리에틸렌계 핫멜트필름을 공급하면서 280℃의 고온압착롤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표면반사층(1)과 유리섬유 직물로 된 강도보강층(2)을 접착층(5)를 이용하여 먼저 합지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반사층(1)과 강도보강층(2)의 합지체를 바늘롤이 장착된 미세천공기에서 미세기공의 평균직경이 80μm, 기공수가 85개/cm2 이 되게 기공가공을 실시하여, 강도가 보강된 미세기공을 가진 표면반사층(1,7,5,2)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하우스랩에 사용할 통기성필름의 제조를 위해 평균입경 1.7μm의 미처리 탄산칼슘과 필름용 고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제조 시 비등 n-헥산에 의해 추출되어 생성된 분자량분포가 매우 넓은 중량평균분자량 8,500, 용융지수(190℃, 2.16Kg) 95g/10min의 에틸렌계 중합체의 미세 분쇄물을 시료로서 준비하고, 헨셀믹서에 미처리 탄산칼슘을 투입하고, 탄산칼슘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계 중합체 3중량부가 첨가되는 배합비로 에틸렌계 중합체를 서서히 투입하고 약120~130℃로 조절하여 30분간 고속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에틸렌계 중합체로 부분 코팅된 구조의 무기충진제 시료를 얻었다. 상기 헨셀믹서에 앞서 제조한 무기충전제 100중량부에 대해 용융지수(190℃, 2.16Kg) 2.7g/10min, 밀도 0.932g/cm3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첨가하고, 안정화첨가제로서 2,2‘-비스(2-옥사졸린) 0.15중량부, 4,4'-비스(4-알파,알파,-디메틸벤조일)디페닐아민 0.2중량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8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0.05중량부, 폴리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1,4-부탄디오익 산) 0.5중량부를 드라이 블랜딩으로 첨가한 후, 이를 스크류 직경 130mm인 2축 스크류 압출기에 주입하고 용융 압출시켜 펠렛상태의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컴파운드 조성물을 호퍼에 투입하여 스크류 직경 130mm인 티-다이 성형기를 사용하여 원판 시이트를 성형하고, 성형된 이 원판 시이트를 연신온도 70℃에서 2.5배로 1축연신하여 중량 30g/m2의 투습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3)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강도가 보강된 미세기공을 가진 표면반사층(1,7,5,2), 총중량 10g/m2의 핫멜트접착제 분사의 접착층(61), 상기에서 제조한 중량 30g/m2의 투습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3), 총중량 10g/m2의 핫멜트접착제 분사의 접착층(63), 중량이 50g/m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부직포(4)를 상부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90℃로 예열된 롤러를 통과시켜 열접착시켜 구조-3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한 복사열 차단성 투습방수재인 하우스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하기 표-2에 나타내었는데, 이 때 방사율을 제외한 모든 물성은 JIS A 6111의 규정에 준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방사율은 물성측정은 미국 디바이스엔서비스사의 방사율측정기인 디지털에미소메터 (모델명 : AE1/RD1-12V)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이다. 이 때 투습도는 염화칼슘을 이용한 드라이컵 방법으로 온도 50℃, 습도 90%에서 측정한 값(단위 : g/m224hr)이며, 방수성은 내수압력(단위 : kPa)으로 표시하였으며, 인장강도는 세로(길이) 300mm, 가로(폭) 50mm의 시편을 이용하여 인장시험속도를 분당 200mm에서 세로방향의 값(단위 : kgf/50mm)으로 표시하였으며, 내구성은 제논아크램프를 이용한 자외선을 63℃에서 44MJ/m2 폭로시킨 다음, 실제 사용기간의 30년 정도에 해당하는 90℃에서 21주간 동안 열처리 한 후, 전술한 방법의 방수성과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 표-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5, 9~12]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동일하게 실시하면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이미노에테르 성분인 2,2‘-비스(2-옥사졸린) 0.15중량부 대신 이미노에스테르 성분인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0.5중량부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동일하게 실시하면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8중량부 대신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0.5중량부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동일하게 실시하면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자외선 안정제인 폴리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1,4-부탄디오익 산) 0.5중량부 대신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s-트리아진-2,4-디일]-[(2,2, 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렌-4-피페리딜)이미노]] 0.9중량부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2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투입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이미노에테르 화합물인 2,2‘-비스(2-옥사졸린) 0.15중량부 대신 0.008중량부로 줄여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투입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8중량부 대신 0.01중량부로 줄여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투입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를 투입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통기성필름을 제조할 때, 투입하는 안정화첨가제 중 자외선안정제인 폴리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1,4-부탄디오익산) 0.5중량부 대신 0.05중량부로 줄여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 중 최상층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반사층 대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알루미늄이 약 0.01μm 두께로 증착된 두께 25μm의 증착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6∼8]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우스랩의 층별구성과 미세기공의 가공을 하기 표-1과 같이 구성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층별 구성(좌측부터 상부층 순서대로 나열)

미세기공

반사층
(1)

접착층
(5)

보강층
(2)

접착층
(6)

부직포
(4)

접착층
(6)

통기성필름층
(3)

접착층
(6)

부직포
(4)

평균
직경

기공
갯수
실시예1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실시예2 AL10 HF20 GC100 HS10 NT20 HS5 MF30 - - 152 85
실시예3 AL10 HF20 GC100 HS10 NT20 HS6 MF30 HS10 NT50 54 190
실시예4 AL10 HF20 GC100 - - HS10 MF30 - - 121 145
실시예5 AL10 HF20 GM12 HS10 NT20 HS10 MF30 HS10 NT50 87 190
실시예6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실시예7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실시예8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실시예9 AL10 HF20 GC23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실시예10 AL10 HF20 GC100 HS10 NT20 HS6 MF30 HS10 NT100 54 190
실시예11 AL10 HF20 GC100 HS10 NP40 HS6 MF30 HS10 NT50 54 190
실시예12 AL10 HF20 GC100 HS10 NT20 HS5 MF30 - - 812 85
비교실시예1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2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3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4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5 AM25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6 AL10 - - - - HS10 MF30 HS7 NT50 121 145
비교실시예7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2 145
비교실시예8 AL10 HF20 GC100 - - HS10 MF30 HS7 NT50 109 45
AL : 알루미늄 (뒤 숫자는 μm 단위의 두께)
AM : 증착필름 (뒤 숫자는 μm 단위의 두께)
HF : 핫멜트 필름 접착제 (뒤 숫자는 μm 단위의 두께)
GC : 유리섬유 직물 (뒤 숫자는 g/m2 단위의 중량 값)
GM : 유리섬유 메쉬 (뒤 숫자는 g/m2 단위의 중량 값)
HS : 핫멜트 섬유 분사층 (뒤 숫자는 g/m2 단위의 분사중량 값)
MF : 통기성필름 (뒤 숫자는 g/m2 단위의 중량 값)
NT :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뒤 숫자는 g/m2 단위의 중량 값)
NP :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뒤 숫자는 g/m2 단위의 중량 값)
미세기공 평균직경 : 생성된 기공의 장축과 단축의 평균값(단위:μm)
미세기공갯수 : 개/cm2 단위의 기공 갯수



실시예

물성측정 결과

미세기공

비고


투습성


방수성


인장강도

내구성

방사율

평균
직경

기공
갯수

방수성

인장강도
실시예1 5,414 42.4 89.24 32.1 88.72 0.03 121 145
실시예2 5,734 49.0 90.54 24.6 88.35 0.03 152 85
실시예3 6,120 42.4 86.42 38.4 87.41 0.03 54 190
실시예4 5,706 41.3 88.21 26.4 87.65 0.04 121 145
실시예5 5,427 33.7 28.97 21.8 23.41 0.04 87 190
실시예6 5,515 42.2 85.64 23.8 83.98 0.04 121 145
실시예7 5,328 44.6 83.57 24.9 84.25 0.03 121 145
실시예8 5,602 43.4 87.23 26.7 86.58 0.03 121 145
실시예9 5,578 52.9 134.09 26.4 141.68 0.04 121 145
실시예10 6,751 46.4 88.75 23.8 89.42 0.03 54 190
실시예11 5,576 39.0 76.58 19.4 81.69 0.03 54 190
실시예12 6,724 40.6. 87.63 28.4 82.64 0.05 812 85
비교실시예1 5,542 42.4 92.14 3.5 89.61 0.03 121 145
비교실시예2 5,324 42.0 88.70 4.9 86.54 0.03 121 145
비교실시예3 5,647 43.1 89.90 4.6 86.47 0.03 121 145
비교실시예4 5,591 42.4 92.14 2.8 85.67 0.03 121 145
비교실시예5 4,935 29.8 85.47 19.4 83.59 0.58 121 145
비교실시예6 2,641 9.6 19.20 7.2 12.68 0.03 121 145
비교실시예7 2,348 43.4 90.57 29.4 87.26 0.03 12 145
비교실시예8 2,584 44.8 89.15 31.4 88.20 0.03 109 45
1 : 표면 반사층 2 : 강도보강층
3 : 통기성필름층 4 : 부직포층
5 : 접착층_1 6, 61, 62, 63 : 접착층_2
7 : 미세기공

Claims (6)

  1. 열반사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투습방수성의 하우스랩에 있어서, 미세기공(7)이 형성된 열반사표면층(1), 1차 접착층(5), 유기 또는 무기섬유 직물로 구성된 강도보강층(2), 2차 접착층(6),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층(3)이 상부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기본구조로 하는 하우스랩 또는 통기성필름의 보다 나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의 기본구조에서 통기성필름(3)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층(4)을 위치시키고 이 부직포층(4)의 접착을 위해 2차 접착층(6)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표면층(1)은 두께 1μm이상의 알루미늄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3.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강도보강층은 중량이 10∼300g/m2 인 유리섬유 직물 또는 메쉬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4.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통기성필름층(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에 대하여 무기입자 충진제가 50-150중량부, 이미노에테르 화합물과 이미노에스테르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 0.02~1.0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0중량부, 입체장해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0.1∼2.0중량부,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0.01∼0.1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통기성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용융 성형한 원판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25배 범위로 연신한 통기성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5.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직포층(4)은 중량이 10∼200g/m2 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단독 또는 혼합성분의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6.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기공(7)은 크기가 20~1000μm이고 기공의 개수가 80개/cm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KR1020130077939A 2013-07-03 2013-07-03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KR10151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39A KR101518560B1 (ko) 2013-07-03 2013-07-03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39A KR101518560B1 (ko) 2013-07-03 2013-07-03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60A true KR20150004660A (ko) 2015-01-13
KR101518560B1 KR101518560B1 (ko) 2015-05-07

Family

ID=5247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939A KR101518560B1 (ko) 2013-07-03 2013-07-03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5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406B1 (ko) * 2016-12-20 2017-03-16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열 반사 타입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KR101725402B1 (ko) * 2016-12-20 2017-04-11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KR102076182B1 (ko) * 2018-08-08 2020-02-11 조성태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용 투습방수포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114033040A (zh) * 2021-11-08 2022-02-11 欢颜创新科技(杭州)有限公司 房屋建造方法及房屋
KR20220053727A (ko) * 2020-10-22 2022-05-02 (주)이지켐 폼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복합 면재
CN117863674A (zh) * 2024-02-27 2024-04-12 广东九嘉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复合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92B1 (ko) * 2010-10-27 2011-05-31 주식회사 비 에스 지 열차폐성 및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406B1 (ko) * 2016-12-20 2017-03-16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열 반사 타입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KR101725402B1 (ko) * 2016-12-20 2017-04-11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의 제조장치
KR102076182B1 (ko) * 2018-08-08 2020-02-11 조성태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용 투습방수포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220053727A (ko) * 2020-10-22 2022-05-02 (주)이지켐 폼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복합 면재
CN114033040A (zh) * 2021-11-08 2022-02-11 欢颜创新科技(杭州)有限公司 房屋建造方法及房屋
CN114033040B (zh) * 2021-11-08 2023-11-07 欢颜创新科技(杭州)有限公司 房屋建造方法及房屋
CN117863674A (zh) * 2024-02-27 2024-04-12 广东九嘉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透气复合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560B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56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열반사 하우스랩
US9920515B2 (en) Thermoplastic polyolefin membrane with enhanced thermal resistance
US6720067B2 (en) Polypropylene base porous film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US20070087640A1 (en) Laminate structure
KR20150004676A (ko) 시공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 열반사 단열재
KR101279883B1 (ko) 안정화된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A2925227A1 (en) Film with adjustable water vapor-permeability
KR20160131780A (ko) 데코타일 표층용 친환경수지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데코타일
US6472445B1 (en) Polypropylene base porous film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DE60031567T2 (de) Schichtstoffstruktur zur verwendung als flüssigkeitsundurchlässige feuchtdampfdurchlässige membran
AU2002330452B2 (en) Light shielding sheet
KR102076182B1 (ko) 내구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용 투습방수포
KR102235485B1 (ko) 바이러스 차단성능이 우수한 보호복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286331A (ja) 透湿建材シ−ト
JP4014993B2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JP2004042330A (ja)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EP1650022B1 (en) Laminate structure useful as liquid impermeable moisture vapor permeable membrane
JP200214607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A2806240C (en) Thermoplastic polyolefin membrane with enhanced thermal resistance
JP2006274014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0409567A2 (en) Elastomer film
JP6672633B2 (ja) 反射シート及び反射板
KR20140087603A (ko) 성형성이 향상된 2차전지 셀파우치용 나일론 필름
KR20230032637A (ko) 기능성 통기 반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811502B1 (ja) マスターバッチ、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