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04U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04U
KR20150004604U KR2020140004550U KR20140004550U KR20150004604U KR 20150004604 U KR20150004604 U KR 20150004604U KR 2020140004550 U KR2020140004550 U KR 2020140004550U KR 20140004550 U KR20140004550 U KR 20140004550U KR 20150004604 U KR20150004604 U KR 20150004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ght source
main body
plat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813Y1 (ko
Inventor
윤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
Priority to KR2020140004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1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설치가 간단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6단계의 이상의 각도조절 가능하며 방열판을 구비하면서도 각도조절에 필요한 부품을 최소화 하는 조명기구가 개시된다. 벽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와,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부와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이 상기 브라켓부에 수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를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본체부의 기울기 조절시 본체부가 수납부 내부로 수용되며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도조절을 위한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틈새나 천장에 브라켓부만 설치할 공간이 확보되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외 공간에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LIGHTING UNIT}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외에 설치되어 주변을 밝히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품이다. 근래에 들어 조명기구는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도구가 아닌 공연, 예술 및 실내의 인테리어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실내에 사용되는 조명기구는 실내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와 실내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로 나눌 수 있다.
상술한 실내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는 광원이 사람의 시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천장 또는 벽체의 틈새에 설치되며, 벽체나 반사갓에 광원을 반사시켜 간접적으로 빛을 실내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 등을 통해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게 꾸밀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광원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는 등의 효과로 최근 들어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기구는 천장 또는 벽체의 좁은 틈새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특성상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해야 하며, 설치 후 각도조절을 통해 빛이 실내에 조사되는 방향과 실내에 조사되는 광량 등을 조절해야 한다.
종래의 조명기구는 간단하게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체결구를 통해 직접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여 빛이 실내에 조사되는 방향과 실내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각도조절을 가능하도록 고정구와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을 추가로 설치한 뒤 브라켓의 끝단에 조명기구를 설치해 각도조절을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부품의 수가 많아져 생산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천장 또는 벽체의 좁은 틈새에 설치하기에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방식은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축과 조명기구의 광원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반경이 필요하게 되므로, 천장 또는 벽체의 좁은 틈새에 설치되는 특성상 각도조절 가능한 범위가 작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천장 또는 벽체의 좁은 틈새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광원의 크기가 작고 수명이 긴 led 광원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led 광원은 열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led 광원에 접하는 방열판을 통해 열을 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기구는 설치되는 위치가 협소하므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판과 각도조절을 위한 고정구와 브라켓을 모두 구비하기에 장소가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9374호(2012.03.14.)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함과 동시에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며 각도조절에 필요한 부품을 최소화 하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벽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와,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부와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이 상기 브라켓부에 수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를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가 탈부착 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납부에 수용되어 기울어질 때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광원이 실장되는 실장홈,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브라켓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전도되는 열이 대기에 신속히 방출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이 대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브라켓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는 본체부의 일측을 가압하여 제1 결합부재에 형성된 슬롯들과 제2 결합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의 결합되는 단계를 조절하면 다양한 각도로 본체부의 기울기를 설정할 수 있어 간단하게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의 기울기 조절시 본체부가 수납부 내부로 수용되며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도조절을 위한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틈새나 천장에 브라켓부만 설치할 공간이 확보되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외 공간에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결합부재의 핀부재는 몸체가 대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본체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재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하여 광원이 열에 의한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1000)는 브라켓부(100), 본체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부(100)는,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200)를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부(10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3 플레이트(130) 및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판 형태로 이뤄지며 벽체에 고정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는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일부가 관통되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6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양측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브라켓부(100)는 사출, 압연, 주조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브라켓부(100)에 탈부착 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눌리며 변형되었다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눌리며 변형되었던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가 가지는 탄성력으로 상기 브라켓부(100)는 추가적인 체결수단 없이 상기 본체부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본체부(200)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40)는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0)가 수용된다. 상기 수납부(140)는 상기 본체부(2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이동되는 범위보다 넓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에는 상기 본체부(200)가 수납부(140)에 수용되어 기울어질 때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 플레이트(150)는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120)(130)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광원(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몸체(210), 실장홈(220), 방열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광원(1)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21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홈(220)은 상기 몸체(21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장홈(220)은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실장홈(220)은 광원(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10)에 형성되는 홈이다.
상기 방열부재(230)는,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광원(1)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광원(1)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열부재(230)는 열을 신속하게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해 대기와의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브라켓부(100)와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이 상기 브라켓부(100)에 수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광원(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브라켓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300)는 제1 결합부재(310) 및 제2 결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310)는,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재(320)와 결합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310)는 상기 제2 결합부재(320)와 결합될 수 있는 슬롯(310b)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는 핀부재(310a)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핀부재(310a)는 상기 광원(1)에서 전도되는 열이 대기에 신속히 방출되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면이 대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320)는, 상기 브라켓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310)와 결합한다. 상기 제2 결합부재(320)는 상기 슬롯(310b)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턱(32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320a)은 상기 브라켓부(100)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의 상기 핀부재(310a)들로 형성되는 상기 슬롯(310b)과 상기 제2 결합부재(32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320a)이 결합되는 조합에 따라 상기 본체부(20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와 제2 결합부재(320)가 결합되는 조합에 따라 상기 본체부(200)는 7단계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와 제2 결합부재(320)가 결합되는 조합에 따라 0°, 8°, 15°, 22°, 32°, 38° 및 45°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와 제2 결합부재(320)가 결합되는 조합에 따라 상기 본체부(200)는 6단계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와 제2 결합부재(320)가 결합되는 조합에 따라 5°, 15°, 25°, 35°및 42°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10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따른 조명기구(1000)는 우선 조명기구(10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한 뒤 브라켓부(100)를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벽면에 고정한다. 이때, 브라켓부(100)는 본체부(200)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브라켓부(100)는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체부(200)를 브라켓부(100)가 설치된 측으로 이동시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세팅한다. 그런 다음, 본체부(200)의 일측을 가압하면 본체부(200)는 브라켓부(100)에 형성된 수납부(140)로 일부가 수용되기 시작한다. 가압이 진행됨에 따라 제1 결합부재(310)가 제2 결합부재(320)를 가압하게 되고 제2 결합부재(320)에 가해지는 압력은 탄성체로 이뤄진 제2 플레이트(120)와 제3 플레이트(130)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며 벌어지다 제1 결합부재(310)의 슬롯이 형성된 부분에 다다르면 제2 플레이트(120)와 제3 플레이트(130)가 가진 탄성력이 상기 제2 결합부재(320)를 슬롯에 끼워지도록 복원되며 본체부(200)를 브라켓부(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본체부(200)는 브라켓부(100)에 형성된 수납부(140)로 일부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본체부(200)의 일측을 가압하여 제1 결합부재(310)에 형성된 슬롯(310b)들과 제2 결합부재(320)에 형성된 걸림턱(320a)의 결합을 조합하면 다양한 각도로 본체부(200)의 기울기를 설정할 수 있어 간단하게 광원(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200)의 각도조절 시 본체부(200)가 수납부(140) 내부로 수용되며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도조절을 위한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틈새나 천장에 브라켓부(100)만 설치할 공간이 확보되면 광원(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외 공간에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결합부재(310)의 핀부재(310a)는 몸체(210)가 대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본체부(20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광원(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재(230)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하여 광원(1)이 열에 의한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조명기구
(100) : 브라켓부 (110) : 제1 플레이트
(120) : 제2 플레이트 (130) : 제3 플레이트
(140) : 수납부 (150) : 간섭방지 플레이트
(160) : 결합홈
(200) : 본체부 (210) : 몸체
(220) : 실장홈 (230) : 방열부재
(240) : 투광창 결합홈
(300) : 결합부 (310) : 제1 결합부재
(320) : 제2 결합부재

Claims (12)

  1. 벽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부와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이 상기 브라켓부에 수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를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가 탈부착 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가 수납부에 수용되어 기울어질 때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광원이 실장되는 실장홈;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브라켓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전도되는 열이 대기에 신속히 방출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이 대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조명기구.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브라켓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140004550U 2014-06-17 2014-06-17 조명기구 KR200479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0U KR200479813Y1 (ko) 2014-06-17 2014-06-17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0U KR200479813Y1 (ko) 2014-06-17 2014-06-17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04U true KR20150004604U (ko) 2015-12-29
KR200479813Y1 KR200479813Y1 (ko) 2016-03-10

Family

ID=5517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50U KR200479813Y1 (ko) 2014-06-17 2014-06-17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KR102249450B1 (ko) * 2020-11-30 2021-05-07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각도가변식 경관등
KR102565457B1 (ko) * 2022-12-30 2023-08-09 주식회사 우노솔루션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낮은 조명용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74B1 (ko) 2002-06-26 2004-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최적 컷팅된 psaw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43B1 (ko) 2013-04-05 2013-11-01 주식회사 이앤엘이디 조향각 가변형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74B1 (ko) 2002-06-26 2004-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최적 컷팅된 psaw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KR102249450B1 (ko) * 2020-11-30 2021-05-07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각도가변식 경관등
KR102565457B1 (ko) * 2022-12-30 2023-08-09 주식회사 우노솔루션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낮은 조명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13Y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609B2 (en) Light fixture with tilting light and fixed heat sink
US9239149B2 (en) Recessed luminaire
WO2009084664A1 (ja) 照明装置、照明ユニットおよび支持体
US8550669B2 (en) Adjustable slope ceiling recessed light fixture
US9291319B2 (en) Reflectors and reflector orientation feature to prevent non-qualified trim
US884514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for a reflector assembly with one or more connectors
US20110317435A1 (en) Lighting system
CA2880382C (en) Interlaced heat sink for recessed light
US11391448B2 (en) Downlight apparatus
US8740402B2 (en) LED downlight
KR200479813Y1 (ko) 조명기구
JP2012054005A (ja) 照明器具
US11629844B2 (en) Lighting device module trim member
KR200482259Y1 (ko) 기구물 취부장치
TWM466214U (zh) 散熱燈具組合裝置
KR20160129720A (ko)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JP2013041670A (ja) 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20170211800A1 (en) Led lighting system
US11629853B1 (en) Lighting device system with biasing device and driver electronics bracket
KR101781427B1 (ko) Led 조명 장치의 체결 구조
JP4793728B2 (ja) 配線器具
KR101836205B1 (ko)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CN112944244A (zh) 灯具主体与支架的结合结构
JP2015191762A (ja) 照明装置
CN214222824U (zh) 一种天花射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