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205B1 -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205B1 KR101836205B1 KR1020170140110A KR20170140110A KR101836205B1 KR 101836205 B1 KR101836205 B1 KR 101836205B1 KR 1020170140110 A KR1020170140110 A KR 1020170140110A KR 20170140110 A KR20170140110 A KR 20170140110A KR 101836205 B1 KR101836205 B1 KR 101836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light emitting
- bracket
- flange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3 Optic Dis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417524 Pomacanth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광각 조절이 자유로은 LED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을 스윙운동시키기 위한 제1 모터 및 제1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하여 360도 원하는 위치로 광각을 조절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각 조절이 자유로은 LED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을 스윙운동시키기 위한 제1 모터 및 제1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하여 360도 원하는 위치로 광각을 조절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등의 조사각이 고정되어 사용의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조사각(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53506호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조명장치에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마련되는 커버플레이트;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 장착되며, 틸팅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의 타측면에 인접하는 일면이 상기 조명부의 틸팅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면에는 가상의 수평선 상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각 종단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의 타측면이 상기 일면을 따라 상기 가상의 수평선 상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틸팅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상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조사각의 회전 반경이 제한적이어서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사각을 변경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53506호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엘이디 조명장치로서, 복수 개의 엘이디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엘이디들로부터의 광을 조사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환형으로 형성된 제1 홈(210)과 상기 제1 홈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제1 홈과 연결되게 상기 제1 홈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홈들(220)을 갖는, 브라켓(200); 및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고정 대상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조사각이 힌지운동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나,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각도를 움직여 거치해야 하는 것으로서, 설치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조사각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97619호 『조사각도 조절타입 LED 조명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과, 상기 방열유닛의 전방에 장착되어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하는 조사각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LED 모듈이 장착되는 LED 장착판과, 상기 LED 장착판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방열핀과, 상기 LED 장착판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방열핀과, 상기 제1방열핀의 외면에 연결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 역할을 하는 제1케이싱부와, 상기 제2방열핀의 외면에 연결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 역할을 하는 제2케이싱부와, 상기 제1방열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사각도 조절유닛에 직접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히트싱크가 조명장치의 케이스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축하며, 나아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고정프레임에 의해 그 반경방향의 회전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5-0009804호 『광각 조절 조명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조명 광원(4)이
내장되는 램프 바디(10); 상기 램프 바디(10)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램프 바디(10)의 양단부에 구비된 앵글 로테이터(20); 상기 앵글 로테이터(20)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 바디(10)에 내장된 조명 광원(4)의 사이드 위치에 배치된 리플렉트 패널(30); 상기 앵글 로테이터(20)와 상기 리플렉트 패널(30)이 상기 램프 바디(10)의 상기 광원(4)의 사이드 위치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광각 조절 상태를 지지하는 앵글 리테이닝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 리테이닝 유닛(40)은, 상기 램프 바디(10)의 양단부 내측면에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의 로테이션 가이드부(42)와,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부(4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 앵글 리테이닝 돌편(44)과, 상기 앵글 로테이터(20)가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부(42)에 끼워지도록 상기 앵글 로테이터(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환형 블록 형태의 커넥트부(46)와, 상기 커넥트부(46)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앵글 리테이닝 돌편(44)에 걸려지는 앵글 리테이닝 걸림 돌편(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또한 광각을 조절함에 있어, 램프바디에 의해 광각의 조절각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LED로 이루어진 조명부재가 구비된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와 제2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발광수단의 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에는 무선수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 및 발광수단의 광량을 무선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부재와, 상기 조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반사갓, 상기 반사갓 후단에 구비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스윙운동을 하도록 제1 구동축이 구비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축이 구비된 제2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는
LED로 구성된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을 자유롭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발광수단을 스윙운동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 및 발광수단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로 구성하여 360도 모든 각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발광수단에는 무선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리모콘 등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 및 발광수단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빛의 광량 및 각도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의 변형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수단(10)과, 상기 발광수단(10)을 회전시켜 빛의 조사각, 즉 광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은 발광수단(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발광수단(10)은 조명부재(11)와 상기 조명부재(11)의 빛을 모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갓(13) 및 방열판(15)으로 구성된다.
먼저 조명부재(11)는 LED로 구성되어 저전력, 고휘도의 성능을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광판이 더 구비되어, 조명부재(11)를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11)의 후단에는 상기 반사갓(13)이 구비되어 있어, 조명부재(11)에서 발산되는 빛 중 후단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광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반사갓(13)에는 별도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재(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반사갓(13)의 후단에는 복수개의 방열판(15)이 서로 이격되어 방사산의 형상으로 배열되어, 조명부재(11)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광수단(10)에 구동수단(20)을 더 구비함으로서, 상기 발광수단(10)을 전후좌우 360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구동수단(2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반사갓(13)에는 상기 발광수단(1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부재(131)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구동수단(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20)은 다양한 회전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모터(23)와 제2 모터(25)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반사갓(13)의 후단 중앙에는 후단으로 돌출된 결합봉(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봉(111)에는 구동수단(20)의 한 요소인 브라켓(21)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과 결합봉(111)은 후술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고정수다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브라켓(21)에는 제1 모터(23)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브라켓(21)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결합봉(111)에 체결되는 평탄부(211)와, 상기 평탄부(211) 양측에 상향 돌출되는 날개부(213)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날개부(213) 사이에 제1 모터(23)가 위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1 모터(23)는 양측에 제1 구동축(231)이 구비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구동축(231)이 각각의 날개부(213)에 체결되는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 모터(23)가 동작하면, 상기 제1 구동축(231)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1) 및 브라켓(2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발광수단(10)이 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축(231)을 중심으로 스윙(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모터(23)에는 제2 모터(25)가 더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제2 모터(25)에는 제2 구동축(25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모터(23)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제2 구동축(251)이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모터(25)가 동작하면, 상기 제2 구동축(251)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은 수평방향의 회전운동으로서, 제1 모터(23), 브라켓(21) 및 발광수단(1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모터(23)와 제2 모터(25)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광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광각 조절이 제한적이지 않다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선수신부(133)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무선수신부(133)는 상기 반사갓(13)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리모콘 등의 원격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무선수신부(133)는 상기 구동수단(20)의 동작 및 발광수단(10)의 광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으로 광각 및 광량을 필요에 맞게 조절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케이블 등의 각종 전원장치는 생략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과 결합봉(111) 사이를 보다 손쉽게 체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21)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봉(111)이 내삽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P)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P)에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결합봉(111)과 보다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플랜지(P)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P)의 내부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가면서 깊어지는 가이드홈(63)과,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가이드홈(63)이 상방으로 가면서 깊어질 수 있도록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판(66)과,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볼(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깊이조절판(66)의 하단측 내면에는 경사진 경사부(66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66a)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블럭(67)이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홈(63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경사블럭(67)은 상기 이동홈(63a) 내에서 상부면이 스프링(68)으로 탄성지지되어 평상시에는 하강하여 상기 경사부(66a)를 민다. 그리하여 상기 깊이조절판(66)은 아래쪽이 가이드홈(63)의 바닥면에서 들려, 상기 가이드홈(63)은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깊이가 깊어진다.
상기 경사블럭(67)에는 외측을 향해 레버(67a)가 연결되고, 상기 레버(67a)는 상기 플랜지(P)를 관통하여 단부가 노출된다. 노출된 상기 레버(67a)의 단부를 상부방향으로 밀면 상기 경사블럭(67)은 이동홈(63a) 내에서 상승하여 상기 깊이조절판(66)의 아래쪽이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측으로 밀던 상기 레버(67a)의 단부를 놓으면 스프링(68)이 경사블럭(67)을 아래로 밀어 상기 깊이조절판(66)의 아래쪽이 가이드홈(63)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져 원위치된다.
상기 결합볼(64)과 상기 결합봉(111)은 마찰력이 강하도록 하여 결합볼(64)에 의한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결합수단(60)을 통해 상기 상부 결합봉(111)과 플랜지(P)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정과 분리되는 과정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결합봉(111)을 플랜지(P)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도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P)의 내측으로 진입된 결합봉(111)은 상기 플랜지(P)의 아래에서 위를 향해 이동하고, 위로 이동하는 결합봉(111)의 단부는 상기 결합볼(64)을 접촉하여 상부로 밀게되는데, 도2의 [B]를 참조하면, 가이드홈(63)은 상부로 가면서 깊어지기에 결합볼(64)은 별다른 저항 없이 가이드홈(6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결합봉(111)이 플랜지(P)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결합봉(111)의 단부는 상기 결합볼(64)을 지나 상부로 더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결합볼(64)은 상기 가이드홈(63)의 상부면에 막힌다.
도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볼(64)의 양측이 결합봉(111)의 측면과 깊이조절판(66)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111)이 당겨지면, 즉, 상기 결합봉(111)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결합볼(64)은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홈(63)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홈(63)은 아래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게 되어서 아래로 이동하는 결합볼(64)은 상기 결합봉(111)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결합볼(64)이 가이드홈(63)의 아래로 이동할 수록 이 가압력은 강해져 상기 결합봉(111)을 고정시킴으로써 플랜지(P)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불허한다.
이처럼, 상기 결합봉(111)은 상기 플랜지(P)의 내측으로 별다른 저항 없이 진입되어서 간편하게 결합되고,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결합봉(111)이 플랜지(P)의 내측에서 아래로 조금만 이탈하여도 결합볼(64)이 결합봉(111)의 외면을 강력하게 가압하여 더 이상 분리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봉(111)을 상기 플랜지(P)의 내측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플랜지(P)의 외면으로 노출된 레버(67a)를 상부로 밀고서 상기 결합봉(111)을 잡아당기면 된다.
도2의 [D]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67a)를 상부측으로 밀면 상기 깊이조절판(66)의 아래가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63)의 아래측 깊이가 깊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결합볼(64)이 가이드홈(63)으로 들어가 결합봉(111)의 외면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서 결합봉(111)은 별다른 저항 없이 플랜지(P)의 내측에서 분리이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광각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LED 조명 어셈블리 10 : 발광수단
11 : 조명부재 111 : 결합봉
13 : 반사갓 131 : 손잡이부재
133 : 무선수신부 15 : 방열판
20 : 구동수단 21 : 브라켓
211 : 평탄부 213 : 날개부
23 : 제1 모터 231 : 제1 구동축
25 : 제2 모터 251 : 제2 구동축
11 : 조명부재 111 : 결합봉
13 : 반사갓 131 : 손잡이부재
133 : 무선수신부 15 : 방열판
20 : 구동수단 21 : 브라켓
211 : 평탄부 213 : 날개부
23 : 제1 모터 231 : 제1 구동축
25 : 제2 모터 251 : 제2 구동축
Claims (4)
- LED로 이루어진 조명부재(11)와, 상기 조명부재(11)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반사갓(13), 상기 반사갓(13) 후단에 구비되는 방열판(15)을 포함하는 발광수단(10);
상기 발광수단(10)에 구비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제1 구동축(231)이 구비되는 제1 모터(23)와, 상기 제1 모터(2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23) 및 발광수단(10)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축(251)이 구비된 제2 모터(25)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수단(10)의 후단에는 상기 브라켓(21)과 결합되는 결합봉(1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1)에는 하향 돌출된 플랜지(P)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봉(111)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21)의 플랜지(P)에 체결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플랜지(P)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3)과,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가이드홈(63)이 상방으로 가면서 깊어질 수 있도록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판(66)과,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볼(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0)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133)는 상기 구동수단(20)의 동작 및 발광수단의 조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에는
상기 깊이조절판(66)의 내면에는 경사진 경사부(66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66a)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홈(63a)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경사블럭(6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110A KR101836205B1 (ko) | 2017-10-26 | 2017-10-26 |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110A KR101836205B1 (ko) | 2017-10-26 | 2017-10-26 |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6205B1 true KR101836205B1 (ko) | 2018-03-09 |
Family
ID=6172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0110A KR101836205B1 (ko) | 2017-10-26 | 2017-10-26 |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62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08043A (zh) * | 2018-12-28 | 2019-05-03 | 朱虹斐 | 可调向led景观灯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84371B2 (ja) * | 2014-05-29 | 2017-08-23 |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 照明装置 |
-
2017
- 2017-10-26 KR KR1020170140110A patent/KR1018362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84371B2 (ja) * | 2014-05-29 | 2017-08-23 |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 照明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08043A (zh) * | 2018-12-28 | 2019-05-03 | 朱虹斐 | 可调向led景观灯 |
CN109708043B (zh) * | 2018-12-28 | 2021-04-30 | 常州市凯飞照明科技有限公司 | 可调向led景观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5369B2 (en) | Lighting apparatus | |
RU259720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излучения светового пучка и фара, в частно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0944366B1 (ko) | 엘이디 조명장치 | |
JP2007053065A (ja) | 医用照明装置 | |
US10101011B2 (en) | Light unit | |
KR101575218B1 (ko) |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 |
JP2009289709A (ja) | 天井直付け形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 | |
US9428102B2 (en) | Actuator | |
KR20090017941A (ko) | 조사범위가 조절되는 반사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 |
KR101836205B1 (ko) |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 |
JP5717516B2 (ja) | 照明器具 | |
JP6478235B2 (ja) | 駆動機構 | |
US10458615B2 (en) | Vehicle lamp | |
CA2648433C (en) | Permanently installed light emitting elements for a barrier operator | |
KR200456983Y1 (ko) |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모듈 | |
KR101721544B1 (ko) | 조명장치 | |
KR200479813Y1 (ko) | 조명기구 | |
CN110701520A (zh) | Led挂屏灯 | |
JP2013045709A (ja) | 照明器具 | |
JP7151321B2 (ja) | 照明装置 | |
WO2019176595A1 (ja) | 車輌用前照灯 | |
KR20120011729A (ko) | 투광기 | |
JP6462327B2 (ja) | 照明制御用アタッチメント、照明制御用受信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用送受信装置 | |
JP5177116B2 (ja) | 照明装置 | |
JP2007141642A (ja) | 照明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