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58U -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458U
KR20150004458U KR2020140004236U KR20140004236U KR20150004458U KR 20150004458 U KR20150004458 U KR 20150004458U KR 2020140004236 U KR2020140004236 U KR 2020140004236U KR 20140004236 U KR20140004236 U KR 20140004236U KR 20150004458 U KR20150004458 U KR 20150004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illar
extension
pillar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Original Assignee
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 filed Critical 허진
Priority to KR2020140004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458U/ko
Publication of KR20150004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는 지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기둥;과, 상기 중심기둥의 상부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기둥;과, 상기 중심기둥과 연장기둥 사이와 상기 연장기둥과 다른 연장기둥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둥을 서로 견고히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기둥;과, 상기 연결기둥에 상기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이 간편히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탈착수단을 통해 중심기둥에 다수의 연장기둥을 간편히 조립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상황에 적합하게 지주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울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를 통해서 그물망이나 철조망의 위치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울타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상, 통상 그물망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 중에서 하부 끈은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상부 끈은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게 결속할 수 있어 기둥의 고리에 묶이는 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되어 그물망의 견고할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Versatile prop for self-assembly}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탈착수단을 통해 중심기둥에 다수의 연장기둥을 간편히 조립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상황에 적합하게 지주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울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를 통해서 그물망이나 철조망의 위치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울타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대는 농작물을 재배할 때 농작물을 지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되는 농작물의 주변에 울타리(그물망, 철조망 등)를 설치하여 외부인, 짐승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들이나 야산 등지에서 가축을 사육할 때에도 설치되는 울타리 역시 상기와 같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지주대는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가 첨예한 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지주대는 지면에 설치된 후에 그물망이나 철조망이 상기 지주대를 경유 고정되어 간편히 설치되는데, 상기 지주대에는 그물망이나 철조망을 결속할 별도의 수단이 없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지주대를 경유하는 그물망이나 철조망이 다소 느슨해지면 상기 지주대를 타고 하강하여 울타리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주대는 높낮이를 조절할 별도의 수단이 없어 울퉁불퉁할 수 있는 지면의 특성상 높은 높이의 지주대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물망이나 철조망을 설치하기 곤란하여 울타리를 설치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는 탈착수단을 통해 중심기둥에 다수의 연장기둥을 간편히 조립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상황에 적합하게 지주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울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를 통해서 그물망이나 철조망의 위치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울타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상, 통상 그물망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 중에서 하부 끈은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상부 끈은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게 결속할 수 있어 기둥의 고리에 묶이는 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되어 그물망의 견고할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는 하부는 지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기둥;과, 상기 중심기둥의 상부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기둥;과, 상기 중심기둥과 연장기둥 사이와 상기 연장기둥과 다른 연장기둥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둥을 서로 견고히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기둥;과, 상기 연결기둥에 상기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이 간편히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연결기둥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탈착홈과, 상기 연결기둥의 탈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기둥의 상부와 상기 연장기둥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기와, 상기 연결기둥의 탈착홈과, 그 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과 연장기둥의 탈착돌기를 관통하는 탈착공과, 상기 탈착공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연결기둥의 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과 연장기둥을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기둥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기둥의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설치공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기둥을 지면에 박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흙이 상기 설치공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의 내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하여 상기 중심기둥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중심기둥의 편리한 설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기둥 내부로 유입된 흙으로 인해 상기 중심기둥이 지면에 견고히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에 의하면, 사용자는 탈착수단을 통해 중심기둥에 다수의 연장기둥을 간편히 조립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상황에 적합하게 지주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울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기둥 및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를 통해서 그물망이나 철조망의 위치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울타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상, 통상 그물망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 중에서 하부 끈은 중심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상부 끈은 연장기둥에 설치되는 고리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게 결속할 수 있어 기둥의 고리에 묶이는 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되어 그물망의 견고할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는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과, 연결기둥(30)과, 탈착수단(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기둥(10)은 하부는 지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11)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11)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기둥(10)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11)가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는 이유는 상기 고리(11) 내부로 결속할 로프나 끈 등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울타리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그물망(1)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1a,1b) 중에서 하부 끈(1a)이 상기 중심기둥(10)의 고리(11)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고리(11)의 상방이 폐쇄되어 하부 끈(1a)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의 중심기둥(10)에 형성되는 고리(11)는 하나로 구성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기둥(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기둥(10)의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설치공(50)을 형성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기둥(10)을 지면에 박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흙이 상기 설치공(50)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10)의 내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의 편리한 설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기둥(10) 내부로 유입된 흙으로 인해 상기 중심기둥(10)이 지면에 견고히 설치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기둥(20)은 다수가 상기 중심기둥(10)의 상부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21)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21)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기둥(20)은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가 사용되는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둘 이상을 적층 조립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의 적합한 높이를 설정하여 사용하며, 이때 조립되는 상기 연장기둥(20)은 후설될 상기 연결기둥(30) 및 탈착수단(40)을 통해 둘 이상이 안정적으로 적층 조립되어 사용된다.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기둥(20)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21)가 상방으로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는 이유는 상기 고리(21) 내부로 결속할 로프나 끈 등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울타리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그물망(1)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1a,1b) 중에서 상부 끈(1b)이 상기 연장기둥(20)의 고리(21)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고리(21)의 하방이 폐쇄되어 상부 끈(1b)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둥(30)은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 사이와 상기 연장기둥(20)과 다른 연장기둥(20)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기둥(10,20)을 서로 견고히 연결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둥(30)은 상기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 및 상기 연장기둥(20)과 다른 연장기둥(2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되도록 유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40)은 상기 연결기둥(30)에 상기 중심기둥(10) 및 연장기둥(20)이 간편히 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기둥(3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탈착홈(41)과,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기둥(10)의 상부와 상기 연장기둥(20)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기(42)와,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과, 그 탈착홈(41)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의 탈착돌기(42)를 관통하는 탈착공(43)과, 상기 탈착공(43)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을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핀(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중심기둥(10)과 상기 연장기둥(20) 사이에 상기 연결기둥(30)을 위치시켜 상기 연결기둥(30) 상·하부의 탈착홈(41)에 상기 중심기둥(10) 및 상기 연장기둥(20)의 탈착돌기(42)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홈(41) 및 탈착돌기(42)를 관통하는 상기 탈착공(43)으로 상기 결속핀(44)을 삽설하여 상기 중심기둥(10)에 연결기둥(30) 및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연장기둥(20)이 간편히 조립 설치되도록 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중심기둥(10)에 조립 설치된 상기 연장기둥(20)과 다른 연장기둥(20) 사이에 상기 연결기둥(30) 및 탈착수단(40)을 통해 연속적으로 상기 연장기둥(20)을 적층 조립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지지대(100)의 높이를 주변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탈착공(43)에 삽설된 상기 결속핀(44)을 회수하여 상기 연결기둥(30)과 상기 중심기둥(10) 또는 연장기둥(20)의 결속을 해제하면 상기 중심기둥(10) 및 연장기둥(20)을 간편히 분리 회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는 사용자는 상기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10)에 다수의 상기 연장기둥(20)들을 간편히 조립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상황에 적합하게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울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심기둥(10) 및 연장기둥(20)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11,21)를 통해서 그물망(1)이나 철조망(2)의 위치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울타리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중심기둥(10)에 설치되는 고리(11)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연장기둥(20)에 설치되는 고리(21)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상, 통상 그물망(1)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1a,1b) 중에서 하부 끈(1a)은 상기 중심기둥(10)에 설치되는 고리(11)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상부 끈(1b)은 상기 연장기둥(20)에 설치되는 고리(21)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게 결속할 수 있어 상기 기둥(10,20)의 고리(11,21)에 묶이는 끈(1a,1b)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되어 그물망(1)의 견고할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 사이에 연결기둥(30)을 위치시켜 상기 연결기둥(30) 상·하부의 탈착홈(41)에 상기 중심기둥(10) 및 상기 연장기둥(20)의 탈착돌기(42)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홈(41) 및 탈착돌기(42)를 관통하는 탈착공(43)으로 결속핀(44)을 삽설하여 상기 중심기둥(10)에 연결기둥(30) 및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연장기둥(20)이 간편히 조립 설치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중심기둥(10)에 조립 설치된 상기 연장기둥(20)과 다른 연장기둥(20) 사이에 상기 연결기둥(30) 및 탈착수단(40)을 통해 연속적으로 상기 연장기둥(20)을 적층 조립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지지대(100)의 높이를 주변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를 지면에 박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흙이 상기 중심기둥(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공(50)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10)의 내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상기 중심기둥(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을 편리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기둥(10) 내부로 유입된 흙과 상기 중심기둥(10)의 외부에 존재하는 흙으로 인해 상기 중심기둥(10)이 흙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어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가 지면에 견고히 설치 고정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 끝단의 상·하부에서 연장되는 끈(1a,1b) 중에서 상기 하부 끈(1a)은 상기 중심기둥(10)에 설치되는 고리(11)에 묶여 상방으로 당겨지게 하고, 상기 상부 끈(1b)은 상기 연장기둥(20)에 설치되는 고리(21)에 묶여 하방으로 당겨지게 결속하여 상기 그물망(1)을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에 견고히 결합 결속한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에 통상의 철조망(2) 역시 상기 중심기둥(10) 및 연장기둥(20)에 형성되는 고리(11,21)에 간편히 결속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100)를 울타리가 설치되는 용도로 설명하였으나, 농작물을 재배할 때 농작물을 지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그물망 1a. 하부 끈
1b. 상부 끈 2. 철조망
10. 중심기둥 11, 21. 고리
20. 연장기둥 30. 연결기둥
40. 탈착수단 41. 탈착홈
42. 탈착돌기 43. 탈착공
44. 결속핀 50. 설치공
100.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Claims (3)

  1. 지주대에 있어서,
    하부는 지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11)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11)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기둥(10);
    상기 중심기둥(10)의 상부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고리(21)가 하나 이상 연결되되, 그 고리(21)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기둥(20);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 사이와 상기 연장기둥(20)과 다른 연장기둥(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둥(10,20)을 서로 견고히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기둥(30); 및
    상기 연결기둥(30)에 상기 중심기둥(10) 및 연장기둥(20)이 간편히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40)은,
    상기 연결기둥(3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탈착홈(41)과,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기둥(10)의 상부와 상기 연장기둥(20)의 하부 또는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기(42)와,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과, 그 탈착홈(41)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의 탈착돌기(42)를 관통하는 탈착공(43)과,
    상기 탈착공(43)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연결기둥(30)의 탈착홈(41)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기둥(10)과 연장기둥(20)을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기둥(10)의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설치공(50)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을 지면에 박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흙이 상기 설치공(50)을 통해 상기 중심기둥(10)의 내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중심기둥(10)의 편리한 설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기둥(10) 내부로 유입된 흙으로 인해 상기 중심기둥(10)이 지면에 견고히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KR2020140004236U 2014-06-03 2014-06-03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KR201500044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6U KR20150004458U (ko) 2014-06-03 2014-06-03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6U KR20150004458U (ko) 2014-06-03 2014-06-03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8U true KR20150004458U (ko) 2015-12-11

Family

ID=5502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36U KR20150004458U (ko) 2014-06-03 2014-06-03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45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4897A1 (fr) * 2019-12-19 2021-06-25 DP PâtureSens Armature pou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pousses d’arbre
KR20220081652A (ko) * 2020-12-09 2022-06-16 대진휀스(주) 비구 방지 휀스
EP4066626A1 (de) * 2021-03-31 2022-10-05 WITASEK Pflanzenschutz GmbH Haken zum halten von pflanzenschutzhüll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4897A1 (fr) * 2019-12-19 2021-06-25 DP PâtureSens Armature pou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pousses d’arbre
KR20220081652A (ko) * 2020-12-09 2022-06-16 대진휀스(주) 비구 방지 휀스
EP4066626A1 (de) * 2021-03-31 2022-10-05 WITASEK Pflanzenschutz GmbH Haken zum halten von pflanzenschutzhüll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6878B (fi) Teltta ja menetelmä sen pystyttämiseksi
KR20150004458U (ko) 다용도 조립식 지주대
US20100252209A1 (en) Safety structure of roman shade
US20140261600A1 (en) Quick camp frame system
US9215860B2 (en) Fence for use by infants or pets
KR20180007838A (ko) 건축용 안전망의 안전 설치 및 해체장치
CN109252803A (zh) 用于运输和安装纱网组件的系统和方法
KR101535604B1 (ko)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JP2017532002A5 (ko)
KR20130096169A (ko) 사이드 보호 시스템
US3095069A (en) Tent structure
CN201598879U (zh) 固定式伸缩围栏网
KR101493513B1 (ko) 조립식 천막장치
US20070079857A1 (en) Tent assembly having a curtain
JP2016125194A (ja) 仮設囲い
KR101852366B1 (ko) 낚시가방 결합형 낚싯대 지지장치
JP6222826B2 (ja) 立坑構造
KR101493512B1 (ko) 조립식 천막장치
KR20150130697A (ko) Diy 다용도 말뚝
KR200325894Y1 (ko) 트램펄린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200466062Y1 (ko) 해먹 설치용 구조물
KR101873435B1 (ko) 시공이 용이하고 지지력이 보강된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KR20150090575A (ko) 조립식 천막장치
JP4504780B2 (ja) 養生シートの張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