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90U - 기능성 타올 - Google Patents

기능성 타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390U
KR20150004390U KR2020140004116U KR20140004116U KR20150004390U KR 20150004390 U KR20150004390 U KR 20150004390U KR 2020140004116 U KR2020140004116 U KR 2020140004116U KR 20140004116 U KR20140004116 U KR 20140004116U KR 20150004390 U KR20150004390 U KR 201500043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unctional
cold
towel
cold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Original Assignee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숙 filed Critical 박미숙
Priority to KR202014000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390U/ko
Publication of KR20150004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타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냉감성 원단; 및 상기 냉감성 원단의 전면이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가장자리 끝단은 냉감성 원단의 가장자리 끝단과 박음질 처리되는 기능성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냉각기능과 함께 UV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항상 쾌적성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타올{Functional towel}
본 고안은 기능성 타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냉각기능과 UV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타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서서히 부각되면서 이제는 웰빙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정신적인 건강은 다분히 심리적인 영향이 많은 것이지만 육체적인 건강은 음식과 운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운동은 헬스클럽 등과 같이 실내 장소에서 하는 운동이 있으나 이는 육체적인 면이 강조되는 반면, 야외 장소에서 하는 등산의 경우에는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상당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여기서 등산을 할 경우에 특히 여름철에는 상당히 많은 땀을 배출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많은 사람이 타올을 휴대하면서 땀을 닦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여름철의 등산이나 바캉스 또는 야유회 때 통상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타올을 목에 걸친 다음 사용자가 수시로 상기 타올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타올을 착용하고 활동이 많아지거나 여름철에는 착용시간이 오래될수록 타올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서 상기 타올에 의해 수분(땀)이 더욱 많이 발생하여 타올의 착용감이 저하되어 불쾌감이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물을 흡수한 타올을 냉동고에 장시간 보관하거나 물에 담갔다가 냉기를 흡수한 후 착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착용자가 느끼는 타올의 냉기는 저하되고 냉동고에 얼리는 시간 또한 오래 걸려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74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35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냉각기능과 함께 UV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능성 타올의 박음질 부분에 원단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기능성 타올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냉감성 원단; 및 상기 냉감성 원단의 전면이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가장자리 끝단은 냉감성 원단의 가장자리 끝단과 박음질 처리되는 기능성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의 고정되는 측면 박음질 부분에는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감성 원단이나 기능성 원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의 내면에는 절개부를 통해 물건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원단에는 신축성 향상을 위하여 스판덱스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의 박음질 부분에는 세척시 고정을 위하여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세척 지지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냉각기능과 함께 UV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항상 쾌적성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타올의 박음질 부분에 원단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기능성 타올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연출이 가능하므로 장신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원고안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타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고안인 기능성 타올(1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냉감성 원단(20)과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기능성 원단(30)으로 대별된다.
상기 냉감성 원단(20)은 소정의 크기와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감성 원단(20)은 디자인의 형상 및 용도 등에 따라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고안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냉감성 원단(20)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감성 원단(20)은 수분을 흡수하여 흡열반응(반응물질의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작고 생성물질의 에너지가 큰 경우)으로 냉감시키는 냉감성 원단이나 수분과 반응하여 기화현상을 촉진시키는 냉감성 성분인 자일리톨 또는 에리스톨이 포함되는 냉감성 원단 이외에도 공지된 냉감성 원단을 택일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감성 원단(20)에 포함되는 자일리톨(xylitol)과 에리스리톨(Erythritol)은 당알코올로 수분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켜 주변의 열기를 빼앗아 냉감성을 느끼게 하는 성분으로서 용해되면서 흡열반응을 일으켜 강한 청량감(시원한 느낌)을 주게 된다.
즉 상기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은 시원한 느낌의 청량감 및 피부 냉감 작용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감성 원단(20)에 포함되는 자일리톨 또는 에리스리톨은 원단에 1 % o.w.f. 미만 포함되는 경우 냉감성 발현이 어렵게 되고, 10%o.w.f를 초과한 경우 피부 표면에 끈적거리는 촉감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1 내지 10 % o.w.f (on the weight of fiber)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감성 원단(20)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고분자 사슬간에 가교결합을 통한 3차원 망상구조 또는 단일 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에 따른 유체의 흡수현상을 나타내는 폴리머로 물을 짧은 시간에 흡수하였다가 장시간에 걸쳐 방출하는 특성으로 기저귀나 위생 내프킨 등의 위생용품이나 토목 및 건축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냉감성 원단(20)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인체에 무해한 고흡수성 폴리머는 모두 사용가능하며, 비제한적인 예로 합성수지로는 폴리아크릴 아마이드(Polyacryl am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 메타크릴산((Polymethacrylic acid),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등이 있으며, 천연고분자로는 젤라틴(Gelatin),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arides), 셀롤로오스계(Sodium carboxylmehtyl cellulose), 키토산(Chitos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감성 원단(20)에는 가려움이나 홍반 현상 등의 피부질환에 영향을 주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전사가 선택적으로 혼입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결합되는 기능성 원단(30)은 냉감성 원단(20)의 전면이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가장자리 끝단(32)은 냉감성 원단(20)의 가장자리 끝단(22)과 박음질(40) 처리된다.
즉 상기 기능성 원단(30)은 냉감성 원단(2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상기 원단(20, 30)의 가장자리 끝단(22, 32)을 박음질(40)로 마감 처리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능성 원단(30)에는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본원고안에서는 자외선(V) 차단기능과 더불어 신축성 향상을 위하여 스판덱스가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성 타올(10)은 도시된 도 3 내지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3의 기능성 타올(10)은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이 고정되는 측면 박음질 부분(42)에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단 고정구(5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원단 고정구(50)는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이 고정되는 측면 박음질 부분(42)에 장착되어 목 등에 걸리는 기능성 타올(10)의 한 곳이나 여러 곳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원단 고정구(50)는 측면 박음질 부분(4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양측에 분산되어 있는 기능성 타올(10)의 양측을 고정하여 넥타이나 스카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4의 기능성 타올(10)은 냉감성 원단(20)이나 기능성 원단(30) 또는 냉감성 원단(20) 및 기능성 원단(30)에 선택적으로 절개부(60)를 형성하고, 상기 기능성 원단(30) 또는 냉감성 원단(20)의 내면에는 절개부(60)를 통해 물건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부(62)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기능성 타올(10)은 원단(20, 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부(62)를 이용하여 지갑, 수첩, 돈 등을 선택적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기능성 타올(10)은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이 고정되는 박음질 부분(40)에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세척 지지부(7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세척 지지부(70)는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의 고정되는 측면 박음질 부분(42)이나 전면 박음질 부분(44)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기능성 타올(10)의 사용 후나 세탁 후 옷걸이나 건조대 등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의 기능성 타올(10)은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의 표면에 문자(80)나 도형 등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기능성 타올(10)은 원단(20, 30)의 외면에 상호나 도형 등을 선택적으로 표기하여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능성 타올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냉감성 원단(20)과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UV 차단기능이 구비되는 기능성 원단(30)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을 맞댄 후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의 가장자리 부분을 박음질(40) 처리하면 기능성 타올(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감성 원단(20)과 기능성 원단(30)의 측면 박음질 부분(42)에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원단 고정구(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능성 타올(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산이나 낚시 및 레저 등에서 목에 착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 타올(10)을 물에 적신 후 사용자의 목 부분에 냉감성 원단(20) 부분이 접촉하도록 착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감성 원단(20)은 수분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켜 주변의 열기를 빼앗아 강한 청량감(시원한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타올(10)을 목에 둘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기능성 타올(10)을 물에 적신 후, 사용자의 목 부분에 냉감성 원단(20) 부분이 접촉하도록 한 다음,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원단 고정구(50)에 기능성 타올(10)의 일측을 삽입한 후, 기능성 타올(10)의 반대 측을 원단 고정구(50)에 삽입한 후 위치를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고안인 기능성 타올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이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냉각기능과 함께 UV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함과 동시에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인 기능성 타올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능성 타올,
20 : 냉감성 원단,
30 : 기능성 원단,
40 : 박음질,
50 : 원단 고정구,
60 : 절개부,
70 : 세척 지지부.

Claims (5)

  1.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냉감성 원단; 및
    상기 냉감성 원단의 전면이나 후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가장자리 끝단은 냉감성 원단의 가장자리 끝단과 박음질 처리되는 기능성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타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의 고정되는 측면 박음질 부분에는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단 고정구가 장착되는 기능성 타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성 원단이나 기능성 원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의 내면에는 절개부를 통해 물건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부가 형성되는 기능성 타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원단에는 신축성 향상을 위하여 스판덱스가 포함되는 기능성 타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성 원단과 기능성 원단의 박음질 부분에는 세척시 고정을 위하여 고무밴드,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세척 지지부가 장착되는 기능성 타올.
KR2020140004116U 2014-05-29 2014-05-29 기능성 타올 KR201500043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16U KR20150004390U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타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16U KR20150004390U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타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90U true KR20150004390U (ko) 2015-12-09

Family

ID=5502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16U KR20150004390U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타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3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80B1 (ko) * 2018-03-19 2019-03-19 주식회사 지클로 냉감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 섬유 및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80B1 (ko) * 2018-03-19 2019-03-19 주식회사 지클로 냉감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 섬유 및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752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20120180193A1 (en) Interchangeable head assembly
US7827621B2 (en) Hair drying cap
KR101147158B1 (ko) 한지사를 이용한 면 생리대
US20150181958A1 (en) Silkweight High Wicking Circular Scarf
KR20150004390U (ko) 기능성 타올
US9510630B2 (en) Disposable underarm perspiration pad
KR101958412B1 (ko)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CN207969693U (zh) 一种组合式腰带
CN204599352U (zh) 一种女士棉袜
KR101778294B1 (ko) 흡열용 타월
KR20100048750A (ko) 냉감성 스카프
KR20090042357A (ko)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
JP3227056U (ja) 多孔質材料よりなる装身具
CN104244787B (zh) 吸热用毛巾
US20150033443A1 (en) Absorbent Headband Device for Bathing
CN201624862U (zh) 一种具有防暑降温作用的项圈
KR101204278B1 (ko) 냉감성 모자
KR20210011231A (ko) 레깅스
KR101571017B1 (ko) 주름방지 기능성 스카프
CN208192168U (zh) 一种单向导湿婴儿肚兜
JP2011104322A (ja) 汗拭き兼用清涼具
CN201192416Y (zh) 一种眼罩
KR101831711B1 (ko) 건강팬티
ES2299463T3 (es) Articulo absorbente con proteccion contra los flui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