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93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93A
KR20150004293A KR1020140082250A KR20140082250A KR20150004293A KR 20150004293 A KR20150004293 A KR 20150004293A KR 1020140082250 A KR1020140082250 A KR 1020140082250A KR 20140082250 A KR20140082250 A KR 20140082250A KR 20150004293 A KR20150004293 A KR 2015000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relay
access point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640B1 (ko
Inventor
정양석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5000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은,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채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5GHz 대역에서 최대 54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b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2.4GHz 대역에서 최대 11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g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OFDM 방식 또는 DSSS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2.4GHz 대역에서 최대 54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OFDM 방식을 기반으로 2.4GHz 대역과 5GHz 대역에서 동작하며,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4개의 공간적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최대 3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MHz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대 6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랜 기술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는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이다. 그 중, IEEE 802.11ac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6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고, IEEE 802.11ad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60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이 규정되었고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IEEE 802.11af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TV 유휴 대역(white space)에서 무선랜의 동작을 위해 규정된 기술이고, IEEE 802.11ah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1GHz 이하 대역에서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많은 수의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 규정된 기술이고, IEEE 802.11ai 표준에 따른 무선랜 기술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빠른 초기 링크 설정(fast initial link setup, FILS)을 위해 규정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다수의 기지국과 단말이 존재하는 밀집된 환경에서 주파수 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IEEE 802.11 HEW(high efficiency WLAN)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단말은 주-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종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릴레이(relay)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주-액세스 포인트가 구성하는 마스터(master) BSS(basic service set)와 릴레이 장치가 구성하는 릴레이 BSS는 동일한 채널을 사용한다. 그러나 각 BSS에 속한 단말들은 서로 다른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을 참조하기 때문에 주-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RAW(restricted access window) parameter set)에 의해 릴레이 BSS에 속한 단말들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릴레이 BSS에 속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릴레이 BSS에 속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은,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는,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상기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 및 상기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은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은,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는,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상기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 및 상기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상기 종단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단말은 릴레이 장치를 통해 양호한 품질의 링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릴레이 장치가 사용됨으로써 무선 채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단말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장치가 포함된 무선랜 시스템에서 마스터 BSS에 속한 단말의 채널 접속 구간이 할당된 경우 상기 채널 접속 구간에서 릴레이 BSS에 속한 단말의 채널 접속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채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널 접속 구간이 할당될 수 있고, 상기 채널 접속 구간에서 마스터 BSS에 속한 단말과 릴레이 BSS에 속한 단말의 채널 접속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릴레이 장치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BSS에 속한 단말의 채널 접속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채널의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계층적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TIM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릴레이 장치의 논리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한된 접속 윈도우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연속된 RAW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스테이션(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frame)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 B(node B), 고도화 노드 B(evolved node B), 릴레이(relay), MMR(mobile multihop relay)-BS,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즉, 비-액세스 포인트)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 메모리(12) 및 네트워크(2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10)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 저장 장치(16)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1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들은 버스(bus)(17)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메모리(12) 및/또는 저장 장치(16)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와 저장 장치(16)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되며,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 네트워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 네트워크,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와 같은 4G 이동통신 네트워크,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할 수 있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 STA 6, STA 7, STA 8)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하고, BSS 3은 IBSS를 의미한다.
BSS 1은 제1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제1 단말(STA 1)을 관리할 수 있다.
BSS 2는 제3 단말(STA 3), 제4 단말(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제3 단말(STA 3)과 제4 단말(STA 4)을 관리할 수 있다.
BSS 3은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IBSS를 의미한다. BSS 3에는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인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BSS 3에서 단말들(STA 6, STA 7, STA 8)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BSS 3에서 모든 단말들(STA 6, STA 7, STA 8)은 이동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해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개체들(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임의의 단말(STA 1, STA 3, STA 4)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된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인트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association)될 수 있다.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된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의 연결 절차는 크게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하는 단계(probe step),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 단계(authentication step), 인증 절차를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 단계(association step)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STA)은 먼저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 또는 능동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을 사용하여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수동 스캐닝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들(APs)이 전송하는 비컨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능동 스캐닝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STA)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들(APs)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단말(STA)은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한 경우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STA)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과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algorithm)은 두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오픈 시스템(open system) 알고리즘, 네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공유 키(shared key) 알고리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단말(STA)은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인증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단말(STA)은 인증을 완료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STA)은 자신과 인증 단계를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들(APs)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STA)은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복수의 통신 개체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복수의 단말(STA 1, STA 2)로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고유의 식별자인 SSID(service set ID)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비컨 프레임은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되지 않은 단말들에게 액세스 포인트(AP)의 존재와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된 단말들에게 특정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존재를 알려줄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되지 않은 단말은 수동 스캐닝 방법 또는 능동 스캐닝 방법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하고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동 스캐닝 방법의 경우,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비컨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할 수 있다. 능동 스캐닝 방법의 경우, 단말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되지 않은 단말은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인증에 성공한 단말은 해당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단말의 AID를 포함한 연결 응답 프레임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계층적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EEE 802.11 표준에서는 복수의 단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AID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부여되는 AID는 페이지(page) ID, 블록 인덱스(block index), 서브-블록 인덱스(sub-block index), 단말 인덱스(STA index)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속한 그룹(즉, 페이지 그룹, 블록 그룹, 서브-블록 그룹)은 각 필드의 정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도 6은 TIM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TIM IE는 요소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DTIM 카운트(count) 필드, DTIM 기간(period) 필드,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TIM IE는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buffering)되어 있는 경우 해당 단말의 AID에 대응하는 비트(bit)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비트맵 제어 필드와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로 인코딩(encoding)될 수 있다.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IEEE 802.11 표준에서 TIM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될 수 있다. 하나의 인코딩 블록은 블록 제어(block control) 필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필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필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sub-block)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제어 필드는 TIM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블록 제어 필드는 블록 비트맵 모드, 단일(single) AID 모드, OLB(오프셋(offset)+길이(length)+비트맵(bitmap)) 모드, 역(inverse) 비트맵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블록 오프셋 필드는 인코딩된 블록의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다. 블록 비트맵 필드는 AID 비트가 설정된 서브-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의미할 수 있다. 서브-블록 비트맵 필드는 서브-블록 내에서 AID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TIM IE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STA)은 DTIM 카운트가 0이 되는 비컨 주기마다 깨어나서 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STA)은 수신된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TIM에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PS-Poll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단말(STA)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 개체(즉, 액세스 포인트, 단말 등)는 무선 채널을 공유하며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A(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기반으로 무선 채널 접속 경쟁을 한다. 먼저, 통신 개체는 무선 채널에 접근하기 전에 물리적인 채널 센싱(sensing) 방식과 가상 채널 센싱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의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물리적인 채널 센싱 방식은 무선 채널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에너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채널 센싱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물리적인 채널 센싱 방식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에너지가 검출된 경우, 단말은 무선 채널이 다른 단말에 의해 이미 점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시간을 기다린 후에 다시 채널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물리적인 채널 센싱 방식에 의해 일정 수준 미만의 에너지가 검출된 경우, 단말은 무선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무선 채널에 접근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채널 센싱 방식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타이머(timer)를 기반으로 채널 점유 예상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 개체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프레임 헤더(header)의 기간(duration) 필드에 기입할 수 있다. 통신 개체는 무선 채널을 통해 임의의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수신된 프레임 헤더의 기간 필드 값을 기반으로 자신의 NAV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통신 개체는 NAV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새로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새로운 프레임 헤더의 기간 필드 값을 기반으로 NAV 타이머를 갱신할 수 있다. 통신 개체는 NAV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무선 채널 점유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채널 접근 경쟁을 할 수 있다.
통신 개체는 다양한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율에 따라 복수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는 짧은 무선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높은 신호 품질을 요구한다. 반면, 저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는 낮은 신호 품질에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긴 무선 채널 점유 시간을 요구한다.
무선 채널 자원은 통신 개체들 간에 공유되므로, 무선랜 시스템 전체 용량은 특정 통신 개체가 무선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시간 동안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증가될 수 있다. 즉, 무선랜 시스템 전체 용량은 단말이 가능한 고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증가될 수 있다. 고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는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신호 품질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만약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물리계층 전송 속도는 낮아지게 되고 결국 무선랜 시스템 전체 용량은 감소하게 된다.
광역에 걸쳐 위치하는 다수의 센서 단말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출력만으로 전체 영역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통신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는 센서 단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저전력 센서 단말은 낮은 신호 출력을 가지므로, 무선랜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가능 영역은 더 좁아질 수 있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은 열악한 신호 품질을 가지기 때문에 저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랜 시스템 전체 용량은 심각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저전력 단말은 저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더욱 오랜 시간동안 깨어 있어야 하므로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도 9는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액세스 포인트(M(master)-AP), 제1 릴레이 장치(R1), 제2 릴레이 장치(R2) 및 제5 단말(STA 5)은 마스터(master) BSS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릴레이 장치(R1), 제1 단말(STA 1) 및 제2 단말(STA 2)은 제1 릴레이 BSS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릴레이 장치(R2), 제3 단말(STA 3) 및 제4 단말(STA 4)은 제2 릴레이 BSS를 구성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들(R1, R2)은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단말들(STA 1, STA 2, STA 3, STA 4) 간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릴레이 장치(R1)는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제1, 2 단말(STA 1, STA 2)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제2 릴레이 장치(R2)는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제3, 4 단말(STA 3, STA 4)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즉, 주-액세스 포인트(M-AP)의 물리적 영역은 릴레이 장치들(R1, R2)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도 10은 릴레이 장치의 논리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릴레이 장치는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대해 단말로 동작하는 중계-단말(R-STA), 확장된 영역의 단말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계-단말(R-STA)은 일반 단말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주-액세스 포인트(M-AP)를 검색할 수 있다. 그 후에 중계-단말(R-STA)은 검색된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인증 절차, 연결 절차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중계-단말(R-STA)은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종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단말(R-STA)은 4-주소 필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4-주소 필드는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DA(destination address)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 주소를 나타내는 SA(source address) 필드,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을 물리적으로 전송하는 통신 개체의 주소를 나타내는 TA(transmitter address), 및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을 물리적으로 수신하는 통신 개체의 주소를 나타내는 RA(receiver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릴레이 장치를 경유하여 종단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주소 필드를 아래와 같이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 DA 필드: 종단 단말의 주소
- SA 필드: 주-액세스 포인트(M-AP)의 주소
- TA 필드: 주-액세스 포인트(M-AP)의 주소
- RA 필드: 릴레이 장치의 주소
중계-단말(R-STA)은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달할 수 있고,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액세스 포인트(R-AP)에 전달할 수 있다.
중계-단말(R-STA)과 주-액세스 포인트(M-AP)가 연결되어 전송 경로가 확보된 경우,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동일한 식별자(SSID)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종단 단말의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종단 단말의 인증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종단 단말의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종단 단말은 주-액세스 포인트(M-AP)보다 가까운 중계-액세스 포인트(R-AP)에 연결되어 높은 신호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속의 물리계층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자신이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종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통신 개체임을 알리는 표시자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자는 비컨 프레임 내의 1비트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거나 주-액세스 포인트(M-AP)의 주소 필드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중계-단말(R-STA)과 동일하게 4-주소 필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중계-액세스 포인트(R-AP)는 SA 필드와 TA 필드가 동일한 경우 3-주소 필드(SA=TA, RA, DA)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광역에 걸쳐 다수의 단말의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은 DTIM 비컨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채널 접속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과도한 채널 접속 경쟁에 의해 프레임들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른 프레임 재전송, 백오프 시간 증가 등으로 인해 단말의 소모 전력이 증가된다. 결국, 무선 채널의 사용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 단말에 대해 일정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채널 접속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스케줄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도 11은 제한된 접속 윈도우(restricted access window, RAW)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의 스케줄링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는 RPS(RAW parameter set) 정보를 포함한 비컨을 생성할 수 있다. RPS는 동일 그룹 지시(same group indication) 필드, PRAW(periodic RAW) 지시 필드, 페이지(page) ID 필드, RAW 시작(start) AID 필드, RAW 종료(end) AID 필드, RAW 시작 시간(start time) 필드, RAW 기간(duration) 필드, 페이지된 STA을 위한 제한된 접속(access restricted to paged STA only) 필드,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 지시(group/resource allocation frame indication) 필드, 사운딩(sounding) RAW 필드, 슬롯 정의(slot definition)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PS는 숨겨진 노드 검출(hidden node detecting) RAW 필드, 숨겨진 노드 보고(hidden node reporting) RAW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RAW 구간을 RAW 시작 시간부터 RAW 기간 동안 정의할 수 있으며, 페이지 ID 내에서 RAW 시작 AID부터 RAW 종료 AID 사이에 지정된 단말 그룹에 대해 채널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RAW 구간을 슬롯 정의 필드에 따라 다수의 타임 슬롯으로 나눌 수 있고, 해당 RAW에 지정된 그룹에 속한 단말을 각 타임 슬롯에 할당할 수 있다.
하나의 타임 슬롯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하나의 타임 슬롯에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을 타임 슬롯에 할당하는 방법은 슬롯 정의 필드에서 별도로 정의하거나, 단말의 AID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단말이 스스로 유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연속된 RAW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RPS(즉, RPS 1, RPS 2)를 포함한 비컨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RPS 1과 RPS 2를 사용하여 연속된 RAW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RPS 2에 포함된 동일 그룹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RPS 2의 단말 그룹이 이전 RPS 1에 의해 지정된 단말 그룹과 동일함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해 RAW 시작 AID, RAW 종료 AID 등이 생략된 RPS 2를 생성할 수 있다.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 지시 필드는 RAW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별도의 타임 슬롯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즉, RA 프레임)을 수신할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RAW 설정 방식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는 RAW 1 구간에서 PS-Poll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타임 슬롯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고, RAW 2 구간에서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PS-Poll 프레임을 전송한 단말에게만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들이 임의의 타임 슬롯 내에서 채널에 접근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경우, 비컨 프레임의 수신 직후에 채널에 동시에 접근하는 단말들은 시간적으로 분산되고 이를 통해 채널 접속 경쟁 및 프레임 충돌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주-액세스 포인트(M-AP)가 구성하는 마스터 BSS와 릴레이 장치가 구성하는 릴레이 BSS는 동일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 BSS에 속한 단말들이 참조하는 비컨 프레임이 다르기 때문에,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에 의해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단말들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레이 장치를 포함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만으로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채널 접속 동작은 효과적으로 제어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주-액세스 포인트(M-AP), 릴레이 장치(R) 및 제1 단말(STA 1)은 M-BSS를 구성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R), 제2 단말(STA 2) 및 제3 단말(STA 3)은 R-BS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장치(R)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즉, 제2 단말(STA 2), 제3 단말(STA 3))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접속 제한 구간 정보는 주-비컨 프레임의 RPS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복수의 접속 제한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접속 제한 구간에서 채널 접속은 독립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릴레이 장치(R)가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이후부터 접속 제한 구간이 시작되도록 접속 제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RPS는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 동일 그룹 지시 필드, PRAW 지시 필드, 페이지 ID 필드, RAW 시작 AID 필드, RAW 종료 AID 필드, RAW 시작 시간 필드, RAW 지속 시간 필드, 페이지된 STA을 위한 제한된 접속 필드,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 지시 필드, 사운딩 RAW 필드, 슬롯 정의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주-비컨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제1 단말(STA 1)은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가 나타내는 구간에서 채널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릴레이 장치(R)는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를 기반으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주-비컨 프레임의 RPS에 접속 제한 구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릴레이 장치(R)는 자신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 RPS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RPS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는 도 15에 도시된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은 도 15에 도시된 RAW 시작 시간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은 도 15에 도시된 RAW 지속 시간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RPS는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 RAW 시작 시간 필드, RAW 지속 시간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BSS 접속 제한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고, RAW 시작 시간 필드는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을 의미할 수 있고, RAW 지속 시간은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릴레이 장치(R)는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110). 여기서, 릴레이 장치(R)는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직후에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R-BSS에 속한 제2 단말(STA 2)과 제3 단말(STA 3)은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릴레이-비컨 프레임의 RPS에 접속 제한 구간 정보(즉,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접속 제한 구간 정보가 나타내는 구간에서 채널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릴레이 장치(R)는 접속 제한 구간에서 주-액세스 포인트(M-AP)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장치(R)는 PS-Poll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120).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130). 릴레이 장치(R)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고(S140),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150).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160).
접속 제한 구간이 종료된 경우, M-BSS에 속한 통신 개체 및 R-BSS에 속한 통신 개체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STA 2)은 PS-Poll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170). 릴레이 장치(R)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제2 단말(STA 2)에 전송할 수 있다(S180). 제2 단말(STA 2)은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190). 제3 단말(STA 3)은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200). 릴레이 장치(R)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제3 단말(STA 3)에 전송할 수 있다(S210).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주-액세스 포인트(M-AP), 릴레이 장치(R) 및 제1 단말(STA 1)은 M-BSS를 구성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R), 제2 단말(STA 2) 및 제3 단말(STA 3)은 R-BS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장치(R)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즉, 제2 단말(STA 2), 제3 단말(STA 3))의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접속 허용 구간 정보는 주-비컨 프레임의 RPS에 포함될 수 있다.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릴레이 장치(R)가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이후부터 접속 허용 구간이 시작되도록 접속 허용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RPS는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 동일 그룹 지시 필드, PRAW 지시 필드, 페이지 ID 필드, RAW 시작 AID 필드, RAW 종료 AID 필드, RAW 시작 시간 필드, RAW 지속 시간 필드, 페이지된 STA을 위한 제한된 접속 필드,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 지시 필드, 사운딩 RAW 필드, 슬롯 정의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M-BSS에 복수의 릴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특정 R-BSS에 속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특정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RPS는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 동일 그룹 지시 필드, PRAW 지시 필드, 페이지 ID 필드, RAW 시작 AID(릴레이 AID) 필드, RAW 종료 AID(릴레이 AID) 필드, RAW 시작 시간 필드, RAW 지속 시간 필드, 페이지된 STA을 위한 제한된 접속 필드, 그룹/자원 할당 프레임 지시 필드, 사운딩 RAW 필드, 슬롯 정의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다. 페이지 ID 필드, RAW 시작 AID(릴레이 AID) 필드 및 RAW 종료 AID(릴레이 AID) 필드는 접속 허용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특정 R-BSS를 나타낼 수 있다. 슬롯 정의 필드는 각 R-BSS 마다 타임 슬롯 단위로 매핑된 접속 허용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주-비컨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0). 제1 단말(STA 1)은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가 나타내는 구간에서 채널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릴레이 장치(R)는 주-액세스 포인트(M-AP)로부터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주-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를 기반으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주-비컨 프레임의 RPS에 접속 허용 구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릴레이 장치(R)는 자신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 RPS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RPS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는 도 19 또는 도 20에 도시된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은 도 19 또는 도 20에 도시된 RAW 시작 시간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은 도 19 또는 도 20에 도시된 RAW 지속 시간 필드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주-버컨 프레임의 RPS가 특정 R-BSS에 속한 종단 단말의 접속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경우(즉, 도 20에 도시된 페이지 ID 필드, RAW 시작 AID(릴레이 AID) 필드 및 RAW 종료 AID(릴레이 AID) 필드가 나타내는 R-BSS), 특정 R-BSS을 구성하는 릴레이 장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으나, 특정 R-BSS가 아닌 다른 R-BSS를 구성하는 릴레이 장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즉, 특정 R-BSS가 아닌 다른 R-BSS를 구성하는 릴레이 장치는 접속 허용 구간 동안 자신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RPS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RPS는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 RAW 시작 시간 필드, RAW 지속 시간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BSS 접속 허용 요구 필드는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고, RAW 시작 시간 필드는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을 의미할 수 있고, RAW 지속 시간은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릴레이 장치(R)는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310). 여기서, 릴레이 장치(R)는 주-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직후에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접속 허용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M-BSS에 속한 통신 개체들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STA 1)은 PS-Poll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320).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제1 단말(STA 1)에 전송할 수 있다(S330). 제1 단말(STA 1)은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340). 또한, 릴레이 장치(R)는 PS-Poll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350). 주-액세스 포인트(M-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360). 릴레이 장치(R)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주-액세스 포인트(M-AP)에 전송할 수 있다(S370).
한편, R-BSS에 속한 제2 단말(STA 2)과 제3 단말(STA 3)은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릴레이-비컨 프레임의 RPS에 접속 허용 구간 정보(즉, 릴레이 장치(R)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접속 허용 구간 정보가 나타내는 구간에서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허용 구간에서 제2 단말(STA 2)은 PS-Poll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380). 릴레이 장치(R)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제2 단말(STA 2)에 전송할 수 있다(S390). 제2 단말(STA 2)은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400). 제3 단말(STA 3)은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릴레이 장치(R)에 전송할 수 있다(S410). 릴레이 장치(R)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제3 단말(STA 3)에 전송할 수 있다(S4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주-액세스 포인트(master-access point)와 종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릴레이(relay) 장치에서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master-beacon frame)을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는,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상기 접속 제한 구간의 시작점 및 상기 접속 제한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한 구간 정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파라미터 세트(RAW(restricted access window) parameter set)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은 상기 접속 제한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7. 주-액세스 포인트(master-access point)와 종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릴레이(relay) 장치에서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주-비컨 프레임(master-beacon frame)을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를 포함한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비컨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는,
    상기 릴레이 장치에 연결된 종단 단말의 채널 접속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지시자, 상기 접속 허용 구간의 시작점 및 상기 접속 허용 구간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허용 구간 정보는,
    제한된 접속 윈도우 파라미터 세트(RAW(restricted access window) parameter set)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상기 종단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접속 허용 구간에서 채널 접속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제어 방법.
KR1020140082250A 2013-07-02 2014-07-02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230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265 2013-07-02
KR1020130077265 2013-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93A true KR20150004293A (ko) 2015-01-12
KR102230640B1 KR102230640B1 (ko) 2021-03-22

Family

ID=5214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50A KR102230640B1 (ko) 2013-07-02 2014-07-02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25860B2 (ko)
KR (1) KR102230640B1 (ko)
CN (1) CN105340350B (ko)
WO (1) WO2015002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7291A1 (en) * 2015-10-12 2017-04-19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relay ro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2701B2 (en) * 2013-12-04 2018-0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986585B2 (en) * 2014-07-31 2018-05-29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Rela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networks
US10271263B2 (en) * 2015-09-04 2019-04-23 Intel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rame addressing in wireless networks
CN108207011A (zh) * 2016-12-20 2018-06-26 阿尔卡特朗讯 用于控制远程ue接入到网络的方法和设备
WO2019167609A1 (ja) * 2018-02-27 2019-09-0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FR3095316B1 (fr) 2019-04-18 2023-12-08 Sigfox Planification d’un instant d’émission d’un message sur un canal de diffu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751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30128798A1 (en) * 2011-11-23 2013-05-23 Marvell World Trade Ltd. 802.11 restricted access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6261B2 (en) * 2003-07-01 2006-07-11 Comsonics, Inc. Synchronization of optical signaling beacons
KR101025085B1 (ko) * 2003-08-06 2011-03-25 파나소닉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마스터 스테이션과 액세스 제어 방법
JP4370944B2 (ja) * 2004-03-08 2009-11-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KR100630355B1 (ko) * 2004-08-04 2006-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에서의 프레임 브리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0407678C (zh) * 2004-09-01 2008-07-30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JP4718242B2 (ja) 2004-09-01 2011-07-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757260B1 (ko) * 2004-12-14 2007-09-11 전자부품연구원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캐터넷 구현 방법
US7856047B2 (en) * 2007-09-21 2010-12-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frequency hopping of radio communications
KR101117683B1 (ko) 2007-12-07 2012-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비콘재전송장치, 비콘재전송방법 및초기접속신청방법
ATE498950T1 (de) * 2007-12-14 2011-03-15 Sony Corp Strahlensteueralgorithmus für nlos- drahtlossysteme mit vordefinierten parametern
WO2011102652A2 (ko) * 2010-02-17 201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US9125105B2 (en) * 2010-03-11 2015-09-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ervation resource for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edia access control based on reservation
US20110310791A1 (en) * 2010-06-22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neighbor relation (anr) functions for relay nodes, home base stations, and related entities
US9137713B2 (en) * 2010-09-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hand-in to a femto node
WO2014137172A1 (ko) * 2013-03-07 201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4053236B (zh) * 2013-03-11 2018-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接入点及中继接入点
WO2014179713A1 (en) * 2013-05-03 2014-1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actional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for wl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751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30128798A1 (en) * 2011-11-23 2013-05-23 Marvell World Trade Ltd. 802.11 restricted access window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7291A1 (en) * 2015-10-12 2017-04-19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relay router
RU2651231C2 (ru) * 2015-10-12 2018-04-18 Сяоми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ом маршрутизаторе
US10057762B2 (en) 2015-10-12 2018-08-21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relay ro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5860B2 (en) 2019-03-05
KR102230640B1 (ko) 2021-03-22
CN105340350A (zh) 2016-02-17
CN105340350B (zh) 2019-03-22
US20160381702A1 (en) 2016-12-29
WO2015002462A1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6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KR102175543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숨겨진 노드 문제의 완화 방법
US10200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US99364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LAN system
KR102213058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30640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US9882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501637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13013976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2014002385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201500527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0798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1878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KR2014002385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102074926B1 (ko) 무선랜에서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70883B1 (ko) 무선랜에서 채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5279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07255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