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851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851A
KR20140023851A KR1020130063670A KR20130063670A KR20140023851A KR 20140023851 A KR20140023851 A KR 20140023851A KR 1020130063670 A KR1020130063670 A KR 1020130063670A KR 20130063670 A KR20130063670 A KR 20130063670A KR 20140023851 A KR20140023851 A KR 2014002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terminal
channel access
slot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857B1 (ko
Inventor
정양석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4/422,309 priority Critical patent/US9591566B2/en
Priority to PCT/KR2013/006671 priority patent/WO2014027765A1/ko
Publication of KR2014002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857B1/ko
Priority to US15/407,843 priority patent/US103214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 비컨에 기초하여 할당된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단계,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액세스 포인트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채널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간의 채널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2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 중, IEEE 802.11ac는 5 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ing mode, PSM)로 동작하는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버퍼링(buffering)된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PS(power save)-Poll 프레임(frame)을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단말이 PS-Poll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단말들 간의 채널 접속 경쟁 및 PS-Poll 프레임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AP로부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깨어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충돌에 의해 전송되지 못한 PS-Poll 프레임의 재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쥴링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케쥴링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컨에 기초하여 할당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컨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지정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컨에 포함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내의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은 PS-Poll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SIFS(Short Interframe Space) 및 ACK 수신 시간을 합한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ACK 프레임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NDP(Null Data Packet)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NDP 프레임의 SIG 필드의 소정 비트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비컨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컨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컨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지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컨에 포함된 DTIM 정보 내의 상기 단말의 AID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은 PS-Poll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SIFS 및 ACK 수신 시간을 합한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ACK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NDP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NDP 프레임의 SIG 필드의 소정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액세스 시점을 스케쥴링함으로써 단말들 간의 채널 액세스 경쟁 및 PS-Poll 프레임들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 액세스 경쟁에 따른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PS-Poll 프레임 재전송에 따른 불필요한 채널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즉, ACK)의 수신 시점과 데이터의 전송 시점 사이에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슬롯 할당을 통한 채널 액세스 스케쥴링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NDP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NDP 프레임 내의 SIG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채널 액세스 슬롯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채널 액세스 슬롯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ACK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NDP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ACK을 대신하는 NDP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스테이션(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한다. BSS 1은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단말(STA 1)을 관리한다.
BSS 2는 단말(STA 3, 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단말(STA 3, STA 4)을 관리한다.
한편, 독립 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IBSS에서 단말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 모든 단말은 이동 단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한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단말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 절감 상태(doze state)에 있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컨(beacon frame) 내의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사용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단말에 알려준다.
도 2를 참조하면, TIM은 요소 ID(element ID) 필드(field), 길이(length) 필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카운트(count) 필드, DTIM 기간(period) 필드,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및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ritual bitmap) 필드를 포함한다.
길이 필드는 정보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DTIM 카운트 필드는 DTIM이 나타나기 전에 나타나는 비컨의 개수를 나타내며, DTIM 카운트가 0 인 경우 현재 TIM이 DTIM에 해당함을 알려준다. DTIM 카운트 필드는 1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DTIM 기간 필드는 연속되는 DTIM들 간의 비컨 인터벌(interval)의 개수를 나타낸다. 만일 모든 TIM이 DTIM인 경우에 DTIM 기간 필드의 값은 1 이다. DTIM 기간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비트맵 제어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비트(bit) 번호 0 은 AID(association ID) 0 과 연관되는 트래픽 인디케이터 비트(traffic indicator bit)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가 1 로 설정되고 DTIM 카운트 필드의 값이 0 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buffering)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나머지 7 비트들은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을 형성한다.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는 1 ~ 25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 번호 N 은 0 ~ 20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는 특정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traffic)과 대응한다. 임의의 단말의 AID가 N 인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0 으로 설정되고,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1 로 설정된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하며, 3개의 비컨 간격(interval)으로 DTIM이 포함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 PSM)를 지원하는 단말(STA 1, STA 2)은 주기적으로 깨어나(awake) 비컨을 수신하고, 비컨에 포함된 TIM 또는 DTIM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절력 절감 상태(즉, doze 상태)로 돌아간다.
즉,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1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자신이 깨어 있고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PS(Power Save)-Poll 프레임(또는,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단말(STA 1, STA 2)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하고, 단말(STA 1, STA 2)에 데이터 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다. ACK을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적절한 시점에 데이터를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다. 한편,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0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전력 절감 상태로 돌아간다.
비컨에 포함된 TIM(또는, DTIM)은 동시에 다수의 단말 AID를 위한 비트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한 후,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은 동시에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단말들 간에 PS-Poll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채널 액세스(access) 경쟁이 심해지고, 더불어 무선랜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에 의해 단말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 천대의 저전력 센서(sensor) 단말을 지원하는 무선랜 서비스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기 위해 깨어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충돌로 인해 전송되지 못한 PS-Poll 프레임의 재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 많은 수의 단말이 존재하고 이러한 단말들을 유사한 특징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의 AID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ID 구조는 페이지 ID(page ID) 필드, 블록 인덱스(block index) 필드, 서브-블록 인덱스(sub-block index) 필드 및 STA 비트 인덱스(STA bit index) 필드를 포함한다. 즉, AID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 단위로 계층화된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접속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에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을 지정하고, 이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은 저전력 단말 타입, 채널 접속 우선 순위를 가지는 단말 타입, 일반적인 단말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비스 타입이 지정된 접속 요청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타입에 맞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으로 그룹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그룹에 따라 AID를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encoding)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block L, block M, … , block P) 필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블록 필드는 블록 제어(block control) 필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필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필드 및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서브-블록(sub-block) 필드를 포함한다. 서브-블록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1, sub-block bitmap2, … , sub-block bitmap M) 필드를 포함한다.
블록 제어 필드는 TIM 의 인코딩 모드(즉, 블록 비트맵 모드, 싱글(single) AID 모드, OLB(오프셋(offset) + 길이(length) + 비트맵(bitmap)) 모드, 인버스(inverse) 모드)를 나타낸다. 블록 오프셋 필드는 인코딩된 블록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블록 비트맵 필드는 블록 오프셋이 가르키는 블록 내의 서브-블록들 중에서 AID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서브-블록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나타낸다. 서브-블록 필드는 서브-블록 내의 AID에 대한 비트맵을 나타낸다.
도 7은 슬롯 할당을 통한 채널 액세스 스케쥴링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STA 1, STA 2)이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1) 비컨 수신 후 액세스 포인트(AP)에 PS-Poll(또는,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고,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에 따른 응답(즉, ACK)을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2)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즉, ACK)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S-Poll/Trigger 전송 구간에서, 액세스 포인트(AP)는 각각의 단말(STA 1, STA 2)을 위한 TP 시간 간격의 타임 슬롯(time slot)을 할당할 수 있다. TP 는 하나의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며,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short inter frame space) + ACK 수신 시간'을 고려하여 TP 를 설정할 수 있다. PS-Poll/Trigger 전송 구간 동안에는 DTIM(또는, TIM) 내의 정보(즉, 비트맵)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STA 1, STA 2) 이외의 다른 단말의 채널 액세스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구간에서, 액세스 포인트(AP)는 각각의 단말(STA 1, STA 2)을 위한 TD 시간 간격의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하나의 최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인 '데이터 수신 시간 + SIFS + ACK 수신 시간'을 고려하여 TD 를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하나의 단말(STA 1, STA 2)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하나의 TD 구간 내에서 전송되도록 제한할 수 있고, 다수의 TD 구간 내에서 전송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PS-Poll/Trigger 전송 구간의 길이와 데이터 전송 구간의 길이는 비컨에 포함된 DTIM(또는, TIM) 정보(즉, 비트맵)에 설정된 전송 대상 단말의 수와 데이터의 양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10) 측면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고(S100), 비컨에 기초하여 단말(20)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을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S120),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20)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 정보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고(S130),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S140).
채널 액세스 방법은 단말(20) 측면에 있어서, 단말(20)은 액세스 포인트(10)가 전송하는 비컨을 수신할 수 있고(S100), 비컨에 기초하여 할당된 자신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고(S110), 자신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고(S120), 액세스 포인트(2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130),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40).
단계 S100에서, 액세스 포인트(10)는 미리 결정된 채널 액세스 슬롯(TP, 도 16 내지 도 18 참조)의 할당 규칙을 비컨에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슬롯의 할당 규칙은 1) 비컨에 별도로 포함되는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규칙(이하,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1'이라 함), 2) 비컨에 포함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또는, TIM(traffic indication bitmap)) 정보(즉, 비트맵) 내의 AID 순서에 따라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규칙(이하,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2'라 함)을 포함한다.
채널 액세스 슬롯은 '데이터 전송 요청 프레임(즉, PS-Poll/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 + ACK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프레임(즉, PS-Poll/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 + NDP(null-data packet) 프레임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프레임(즉, PS-Poll/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 + ACK 수신 시간+ SIFS + NDP 프레임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NDP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1'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각각의 단말(20)에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를 비컨에 별도로 포함할 수 있고,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가 포함된 비컨을 단말(20)에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는 각 슬롯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간(duration) 등)를 이용하여 슬롯을 지정하는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는 각 슬롯에 대한 공통적인 시간 정보(예를 들어, 채널 액세스 구간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각 슬롯의 기간(duration))와 함께 단말마다 슬롯에 대한 순서 정보(index)를 지정하는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절대 시간 정보(예를 들어, TSF(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값), 또는 상대 시간 정보(예를 들어, 상대적인 TSF의 오프셋 값)를 의미한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2'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별도의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비컨을 단말(20)에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는 하나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하나의 단말(20)에 할당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복수의 단말(20)에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AID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하나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하나의 그룹에 할당할 수 있으며, 하나의 그룹은 페이지 단위, 블록 단위, 서브-블록 단위가 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단말(20)은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수신한 비컨을 기반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1'인 경우, 단말(20)은 비컨에 포함된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20)은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에 포함된 각 슬롯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간 등), 또는 슬롯에 대한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규칙 2'인 경우, 단말(20)은 비컨에 포함된 DTIM(또는, TIM) 정보(즉, 비트맵) 내의 AID 순서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TIM(또는, TIM) 정보(즉, 비트맵)에는 단말 1(STA 1)부터 단말 10(STA 10)의 순서로 AID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순서로 채널 액세스 슬롯이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은 비컨에 포함된 DTIM(또는, TIM) 정보(즉, 비트맵) 내의 AID 순서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TIM(또는, TIM) 비트맵에서 단말 1(STA 1)의 AID 순서가 첫 번째 인 경우, 단말 1(STA 1)에 대한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Trigger 전송 구간에서 첫 번째 슬롯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채널 액세스 슬롯의 시작 시점, 종료 시점, 기간(duration)은 액세스 포인트(10)와 단말(20) 간에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에 포함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은 비컨에 포함된 DTIM(또는, TIM) 정보(즉, 비트맵) 내의 AID 순서, 채널 액세스 슬롯의 시작 시점, 종료 시점, 기간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은 비트맵 내의 AID 순서, 채널 액세스 슬롯의 시작 시점, 종료 시점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비트맵 내의 AID 순서, 채널 액세스 슬롯의 시작 시점, 기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비트맵 내의 AID 순서, 채널 액세스 슬롯의 종료 시점, 기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단말(20)은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요청은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20)은 데이터 전송 요청으로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4(STA 4)와 단말 5(STA)는 하나의 채널 액세스 슬롯에 할당되어 있고, 채널 액세스 경쟁에 의해 단말 4(STA 4)는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즉,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에 성공하였고, 단말 5(STA 5)는 데이터 전송 요청의 전송에 실패하였다.
이때, 도 10과 같이 비컨 인터벌 내에 자유 전송 구간(즉, PS-Poll/Trigger 전송 구간, 데이터 전송 구간으로 할당되지 않은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5(STA 5)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 방식(예를 들어, PS-Poll 전송 → 데이터 수신)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자유 전송 구간은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 받은 단말 중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 받지 못한 단말들만이 채널에 액세스 경쟁하고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도 11과 같이 비컨 인터벌 내에 자유 전송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5(STA 5)는 다음 비컨 주기의 PS-Poll/Trigger 전송 구간에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고,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액세스 포인트(10)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전송 슬롯(TD, 도 16 내지 18 참조)의 할당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슬롯의 할당 규칙은 1)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규칙(이하,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1'이라 함), 2)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예를 들어, ACK)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규칙(이하,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2'라 함), 3)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예를 들어, ACK)과는 별도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규칙(이하,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3'이라 함)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슬롯은 '데이터 수신 시간 + SIFS + ACK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슬롯에 대한 시간 정보(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간(duration) 등) 및 슬롯에 대한 순서 정보(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절대 시간 정보(예를 들어, TSF), 또는 상대 시간 정보(예를 들어, 상대적인 TSF의 오프셋 값)를 의미한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1'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별도의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즉,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ACK)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2'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ACK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ACK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3'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프레임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NDP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는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ACK을 단말(20)에 전송한 후 NDP 프레임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 + ACK 수신 시간 + SIFS + NDP 프레임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0)는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ACK을 대신하여 NDP 프레임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 SIFS + NDP 프레임 수신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NDP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3은 NDP 프레임 내의 SIG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NDP 프레임은 STF(short training field), LTF1(long training field) 및 SIG(signal)를 포함하며, 데이터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NDP 프레임은 PHY 프리앰블(preamble) 만을 전송하는 매우 짧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작은 무선 채널을 점유한다.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NDP 프레임의 SIG 내에 존재하는 비트들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NDP 프레임 내의 SIG는 레이트(rate) 필드, 길이(length) 필드, 시그널 테일(signal tail) 필드를 포함한다. SIG 내의 처음 4 비트는 레이트 필드에 관련된 비트로서 모듈레이션 타입(modulation type)과 코딩 레이트(coding rate)를 표현한다. SIG 내의 레이트 필드 중 사용하지 않는 예비의 레이트(reserved rate) 필드를 사용하여 새로운 SIG 메시지 타입임을 나타낼 수 있다. 레이트 필드 이외의 나머지 비트들을 사용하여 수신 주소,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수신 주소는 수신 단말의 전체 AID 또는 부분 AID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에 데이터 전송 슬롯의 순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현재 단말을 위한 데이터 전송 슬롯의 순서 정보를 ACK(또는, NDP 프레임)에 포함하여 현재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그 후 또는 동시에 현재 단말에 전송된 슬롯의 순서 정보 및 현재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슬롯의 개수를 고려하여 다음 단말을 위한 데이터 전송 슬롯의 순서를 미리 갱신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액세스 포인트(10)는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슬릿을 통해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1'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채널 액세스 슬롯 할당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은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채널 액세스 슬롯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5는 채널 액세스 슬롯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Trigger 프레임 전송 구간 내에서 단말 1(STA 1), 단말 2(STA 2), 단말 4(STA 4), 단말 6(STA 6)의 순서로 할당되고, 데이터 전송 슬롯은 채널 액세스 슬롯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 전송 구간 내에서 단말 1(STA 1), 단말 2(STA 2), 단말 4(STA 4), 단말 6(STA 6)의 순서로 할당된다. 이때, 하나의 단말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전송이 완료될 수 있다.
단말(STA 1, STA 2, STA 4, STA 6)은 PS-Poll/Trigger 전송 구간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슬롯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간 등), 데이터 전송 구간에 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슬롯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기간 등), 자신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에 대한 순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에게 전송될 데이터가 전달되는 데이터 전송 슬롯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PS-Poll/Trigger 전송 구간 내에 채널 액세스 슬롯이 할당되어 있으나 단말이 PS-Poll(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데이터 전송 슬롯이 사용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 슬롯의 시작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SIFS) 동안 프레임의 전송이 없으면, 해당 데이터 전송 슬롯 내에 다른 단말들의 자유 경쟁을 허용하여 데이터 전송 슬롯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이때,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들의 자유 경쟁을 허용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음)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2'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CK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은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ACK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첫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ACK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1)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1)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ACK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2)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2)은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3'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NDP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은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은 NDP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첫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NDP 프레임(즉, NDP type Timer)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1)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1)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NDP 프레임(즉, NDP type Timer)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2)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2)은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이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규칙 3'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CK을 대신하는 NDP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은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ACK을 대신하는 NDP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첫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NDP 프레임(즉, NDP type Timer)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1)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1)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채널 액세스 슬롯(TP) 내의 NDP 프레임(즉, NDP type Timer)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가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나타내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STA 2)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STA 2)은 세 번째 데이터 전송 슬롯(TD)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액세스 포인트(AP)
20: 단말(STA)

Claims (22)

  1.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beacon)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비컨에 기초하여 할당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단계(b);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c);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d)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컨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지정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컨에 포함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정보 내의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은 PS(Power Save)-Poll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SIFS(Short Interframe Space) 및 ACK 수신 시간을 합한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NDP(Null-Data Packet)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NDP 프레임의 SIG(signal) 필드의 소정 비트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e)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10.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beacon)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비컨에 기초하여 할당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판단하는 단계(b);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c);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미리 정의된 자유 전송 구간 내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d)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자유 전송 구간은 비컨 인터벌(interval) 내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지 않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채널 액세스 방법.
  12. 단말의 채널 액세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으로서,
    비컨(beacon)을 전송하는 단계(a);
    상기 비컨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b);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c)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컨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지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컨에 포함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정보 내의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액세스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은 PS(Power Save)-Poll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은 PS-Poll 프레임 전송 시간, SIFS(Short Interframe Space) 및 ACK 수신 시간을 합한 시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NDP(Null-Data Packet)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 할당 정보는 상기 NDP 프레임의 SIG(signal) 필드의 소정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슬롯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d)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21. 단말의 채널 액세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채널 액세스 슬롯 정보를 포함한 비컨(beacon)을 전송하는 단계(a); 및
    상기 채널 액세스 슬롯에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하는 단계(b)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한 자유 경쟁 허용 프레임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데이터 전송 슬롯을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액세스 방법.
KR1020130063670A 2012-08-16 2013-06-03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10155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22,309 US9591566B2 (en) 2012-08-16 2013-07-25 Channel access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PCT/KR2013/006671 WO2014027765A1 (ko) 2012-08-16 2013-07-25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US15/407,843 US10321480B2 (en) 2012-08-16 2017-01-17 Channel access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31 2012-08-16
KR20120089531 2012-08-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51A Division KR101962429B1 (ko) 2012-08-16 2014-09-12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51A true KR20140023851A (ko) 2014-02-27
KR101553857B1 KR101553857B1 (ko) 2015-09-17

Family

ID=502691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70A KR101553857B1 (ko) 2012-08-16 2013-06-03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1020140121151A KR101962429B1 (ko) 2012-08-16 2014-09-12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51A KR101962429B1 (ko) 2012-08-16 2014-09-12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591566B2 (ko)
KR (2) KR101553857B1 (ko)
WO (1) WO20140277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89A1 (ko) * 2014-06-02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7086730A1 (ko) * 2015-11-19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전력 저감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1586A (ja) * 2013-02-07 2016-04-1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075950B2 (en) * 2014-12-12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US10820314B2 (en) 2014-12-12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US10827484B2 (en) 2014-12-12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advertisement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path
KR102464053B1 (ko) 2015-11-03 2022-11-07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 세트를 포함하는 고밀도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7087304B (zh) * 2016-02-15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接入点以及站点
CN115379460A (zh) 2016-04-02 2022-11-22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重叠的基本服务集的空间重用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KR102442356B1 (ko) 2016-06-14 2022-09-1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공간적 재사용 동작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10531334B2 (en) * 2016-06-28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a transmission number for a device
US9854389B1 (en) 2016-06-28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mitting notifications using a transmission number
CN116489808A (zh) * 2016-10-19 2023-07-25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使用网络分配矢量的无线通信方法及其无线通信终端
CN108633030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接入方法及装置
US11357042B2 (en) 2018-11-13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operational structures for UWB devices
WO2021133259A1 (en) * 2019-12-27 2021-07-0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yclic traffic flow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658981B1 (en) * 2022-04-29 2023-05-23 Franklin Technology Inc. Internet access management service server capable of providing internet access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erminal group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9927A1 (en) * 2001-01-11 2002-07-11 Fischer Michael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trasnmission across a variable delay interface
US20040165563A1 (en) 2003-02-24 2004-08-26 Hsu Raymond T.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KR100999094B1 (ko) * 2003-06-27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방식의 무선랜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542348B1 (ko) * 2003-09-03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의 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CN101432781B (zh) * 2005-12-20 2011-07-13 佐塞斯特转移股份有限责任公司 附加节能多轮询指示
US20070268867A1 (en) * 2006-05-18 2007-11-22 Conexant Systems, Inc Access Point Polling Systems and Methods
KR100801003B1 (ko) * 2006-06-05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압축 av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구조, 데이터 슬롯 할당 방법, 비압축 av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100871853B1 (ko) 2006-06-05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압축 av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슬롯 할당 방법,비압축 av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장치
KR100866798B1 (ko) * 2008-02-25 2008-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압축 av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슬롯 할당 방법
JP5174624B2 (ja) 2008-11-10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基地局
KR101004841B1 (ko) 2008-11-25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기간 할당 방법
US20100260114A1 (en) 2009-04-10 2010-10-14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for wlans
WO2011005062A2 (ko) * 2009-07-09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8675575B2 (en) * 2009-12-23 2014-03-18 Intel Corporation Scheduling mechanisms for media access control protection and channel sounding
US20130128809A1 (en) * 2011-05-19 2013-05-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edia access control header compression
US9001720B2 (en) * 2011-08-31 2015-04-07 Maarten Menzo Wentink Power save with data fetch time, with end of data indication, and with more data acknowledgement
US9936454B2 (en) * 2012-03-12 2018-04-0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Stations, access point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9942887B2 (en) * 2012-04-12 2018-04-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89A1 (ko) * 2014-06-02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104620B2 (en) 2014-06-02 2018-10-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WO2017086730A1 (ko) * 2015-11-19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전력 저감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09642B2 (en) 2015-11-19 2020-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in power-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method
US10849062B2 (en) 2015-11-19 2020-1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in power-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0170A1 (en) 2015-08-13
US20170127443A1 (en) 2017-05-04
US9591566B2 (en) 2017-03-07
KR20140117336A (ko) 2014-10-07
KR101553857B1 (ko) 2015-09-17
US10321480B2 (en) 2019-06-11
WO2014027765A1 (ko) 2014-02-20
KR101962429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42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US10674537B2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213681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숨겨진 노드 문제의 완화 방법
JP6445104B2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aid変更方法
KR20150020106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0725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527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2385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2014000904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수동 검색 방법
KR20140003340A (ko) 팀 스케줄링 방법 및 팀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5005279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07255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