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72U - 참호 위장천막 - Google Patents

참호 위장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72U
KR20150004172U KR2020140003641U KR20140003641U KR20150004172U KR 20150004172 U KR20150004172 U KR 20150004172U KR 2020140003641 U KR2020140003641 U KR 2020140003641U KR 20140003641 U KR20140003641 U KR 20140003641U KR 20150004172 U KR20150004172 U KR 20150004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pole
blocking
inclined surfac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정
Original Assignee
김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정 filed Critical 김선정
Priority to KR2020140003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72U/ko
Publication of KR20150004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3/00Camouflage, i.e. means or methods for concealment or disguise

Abstract

본 고안은 참호를 적절히 위장함은 물론 햇빛이나 비를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활동하기에 적정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참호 위장천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중앙부에 위치되며, 양측 선단부에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이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참호의 지붕을 형성하는 4각 형상의 후방 경사면;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직각 절곡되고, 일변이 폴에 각각 고정되어 참호의 측방을 차단해주는 삼각형상의 측방 차단면;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참호의 전방 상부를 차단해주는 직사각형상의 전방 차단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참호 위장천막{Tent to disguise trench}
본 고안은 참호 위장천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호를 적절히 위장함은 물론 햇빛이나 비를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활동하기에 적정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호는 야전에서 적의 공격에 대비해 구덩이를 파고 앞을 막아 가린 방어시설로써 적의 총포탄으로부터 보호하는 제방 구실을 하며 땅을 팔 수 없을 때는 흙, 모래주머니 등을 쌓아 올려 축조되기도 한다. 또한 현재의 일선 군부대나 향토예비군 부대에서 관리중인 참호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축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참호는 주변의 다른 축성물보다 그 형태가 뚜렷하므로 공중관측에 의해서 발견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흙 빛깔의 변화 등으로 인해서 지상관측으로도 용이하게 식별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통상 풀이나 위장망 등으로 위장하게 되는데, 장시간 주둔하는 장소에서는 참호에 고정형의 위장망을 설치해두면 되지만 진지를 신속하게 이동하고 옮겨야하는 경우 참호를 구축하고 위장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특히, 군용 위장막은 격자상으로 엮은 끈과 위장용 천이 서로 결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위장막을 접거나 펼칠 때 서로 엉키기 쉬운 관계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위장막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의 큰 부피를 유지하게 되어 개인적으로 휴대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단점도 있게 된다.
한편, 천막은 야외에 설치하는 간이 구조물로서, 특허출원 제 2002-0058130 호, 특허출원 제 2005-0107552 호 등 대부분의 천막은 햇빛을 차단하거나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부의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목적으로만 활용될 뿐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참호를 적절히 위장함은 물론 햇빛이나 비를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활동하기에 적정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참호 위장천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부에 위치되며, 양측 선단부에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이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참호의 지붕을 형성하는 4각 형상의 후방 경사면; 상기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직각 절곡되고, 일변이 상기 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참호의 측방을 차단해주는 삼각형상의 측방 차단면; 및 상기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상기 참호의 전방 상부를 차단해주는 직사각형상의 전방 차단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폴에 연결되는 폴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측방 차단면의 폴 고정변에는 다수의 폴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 차단면의 꼭지점 부위 중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꼭지점에는 팩이 고정되는 팩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폴 연결구에는 대각 방향으로 폴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끈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경사면의 중간부에는 상기 후방 경사면의 중간부를 연결끈을 통해 상방으로 견인하여 빗물고임 또는 눈쌓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경사면과 상기 측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 내외면에는 상기 측방 차단면을 말아 상기 후방경사면과 상기 측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차단면의 선단부 양측에는 폴에 연결되는 폴 연결고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 차단면을 차양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경사면의 후단부 중간부에는, 상기 참호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팩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팩 고정고리가 대칭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일면은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되고, 타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계절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로 보여지는 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후방 경사면, 측방 차단면, 전방 차단면으로 이루어진 천막천, 2개의 폴 및 다수의 팩만 휴대하면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참호 위쪽에 천막천을 위치시킨 후 폴을 세우고 팩을 박아주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설치도 매우 간편하여 진지를 이동하고 옮길 때 보다 빠른 시간내에 참호를 위장할 수 있음은 물론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햇빛, 눈, 비 등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경계 및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해체 후 천막천을 손쉽게 접어줄 수 있어 해체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측방 차단면을 말아 고정하여 환기를 도모하거나 측방의 경계를 할 수도 있고, 전방 차단면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차양 또는 위장 면적을 넓혀줄 수도 있는 것이므로 다양한 사용이 가능한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일면은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고, 반대면은 흰색으로 형성하여 계절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폴과 천막천의 고정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견인고리 사용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측방 차단면을 말아 고정시키는 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측방 차단면을 말아 고정시킨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전방 차단면을 수평방향으로 설치시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후방 경사면에 형성된 팩 고정고리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을 카무플라주 무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을 희색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따른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막천(10), 2개의 폴(20), 다수의 팩(30)으로 구성된다.
천막천(10)은, 중앙부에 4각 형상의 후방 경사면(11)이 배치되고, 후방 경사면(11)의 양측에는 3각 형상의 측방 차단면(12)이 각각 연장 형성되며, 후방 경사면(11)의 선단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전방 차단면(13)이 연장 형성된다.
후방 경사면(11)은 그 양측 선단부에 폴(20)이 각각 세워지면서 이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참호의 지붕을 형성해주는 부위로서, 후방 경사면(11)의 중간부에는 후방 경사면(11)의 중간부를 연결끈(40)을 통해 상방으로 견인하여 나뭇가지 등에 고정해줌으로써 빗물 고임 또는 눈 쌓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고리(14)가 구비된다.
측방 차단면(12)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 경사면(1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는 부위이며, 폴(20)이 각각 세워지면서 중력에 의해 후방 경사면(1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일변이 폴(20)에 각각 고정되어 참호(1)의 측방을 차단해주게 된다.
전방 차단면(13)은 후방 경사면(11)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된 직사각형상의 부위로서, 폴(20)이 각각 세워지면서 중력에 의해 후방 경사면(11)의 선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참호(1)의 전방 상부를 차단해주게 된다.
폴(20)이 연결되는 부위는 후방 경사면(11), 측방 차단면(12) 및 전방 차단면(13)의 경계 부위로서, 이를 위해 후방 경사면(11), 측방 차단면(12) 및 전방 차단면(13)의 경계 부위에는 폴(20)에 연결되는 폴 연결구(15)가 구비되고, 폴(20)은 다단의 단위 폴이 조립 및 해체가능토록 구성되며, 폴(20)의 상단부에는 폴 연결구(15)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가 형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천막천(10)의 폴 연결구 고정부위는 타부위에 비해 응력이 집중될 수밖에 없으므로 천막천(10)의 폴 연결구 고정부위 내면에는 삼각형상의 보강천을 덧대어 강성을 보강해줄 수 있다.
측방 차단면(12)의 폴 고정변에는 다수의 폴 고정고리(16)가 각각 구비되어 폴(20)이 세워지면 이러한 다수의 폴 고정고리(16)를 통해 측방 차단면(12)이 폴(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측방 차단면(12)의 꼭지점 부위 중 후방 경사면, 측방 차단면 및 전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꼭지점에는 팩(30)이 고정되는 팩 고정고리(17)가 각각 구비되고, 후방 경사면(11)의 후단부 중간부에도 다수의 팩 고정고리(17)를 대칭으로 구비하여 참호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팩(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폴 연결구(15)에는 대각 방향으로 각각의 폴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끈(40)이 연결되고,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의 경계 부위 내외면에는 측방 차단면(12)을 말아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의 경계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18)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전방 차단면(11)의 선단부 양측에는 폴(20)에 고정하거나 이와는 다른 폴(20')에 연결되는 폴 연결고리(19)가 각각 구비되어 전방 차단면(13)을 차양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럴 경우 폴 연결구(15)에 연결되는 2개의 폴(20) 이외에 다른 2개의 폴(20')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천막천(10)은 계절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로 보여지는 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후방 경사면(11), 측방 차단면(12) 및 전방 차단면(13)의 일면은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되고, 타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참호(10)를 파거나 구축하고, 참호(1) 위쪽에 천막천(10)을 위치시킨 후 폴(20)을 조립하여 세우고, 연결끈(40)을 지면에 고정해줌과 동시에 참호(1)의 크기에 따라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의 경계부위에 구비된 팩 고정고리(17) 또는 후방 경사면(11) 후단부 중간부의 팩 고정고리(17)를 선택하여 팩(30)을 고정해주게 된다. 물론, 참호(1)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의 경계부위에 구비된 팩 고정고리(17)를 선택해주어야 하고, 참호(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후방 경사면(11) 후단부 중간부의 팩 고정고리(17)를 선택해주어야 함은 자명하다.
2개의 폴(20)을 통해 천막천(10)이 세워지게 되면 측방 차단면(12)의 폴 고정고리(16)를 통해 측방 차단면(12)을 폴(20)에 고정시켜주고, 측방 차단면(12)의 꼭지점에 구비된 팩 고정고리(17)를 통해 팩(30)을 지면에 박아주면 모든 설치가 완료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참호(1)의 후방과 측방이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을 통해 가려져 위장이 될 수 있고, 참호(1)의 전방은 전방 차단면(13)이 중간까지 내려와 있어 경계 또는 작전에 필요한 틈만을 남기고 전방도 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천막천(10), 2개의 폴(20), 연결끈(40), 다수의 팩(30)만을 휴대하였다가 참호(1) 위에 간편하게 설치하기만 하면 참호(1)의 사방을 손쉽게 위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참호 위장천막의 내부에 작전 및 경계를 위한 운신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이 설치한 후 후방 경사면(11)의 중간부에 구비된 견인고리(14)에 연결끈(40)을 연결하여 나뭇가지 등에 묶어주면 후방 경사면(11)의 중간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모든 부위가 하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빗물 고임 또는 눈 쌓임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풍 또는 측방 경계가 필요한 경우에는 측방 차단면(12)을 말아서 후방 경사면(11)과 측방 차단면(12)의 경계부위에 고정끈(18)을 통해 고정해줄 수 있으며, 2개의 폴(20')을 더 구비하여 전방 차단면(13)의 폴 연결고리(19)에 끼운 상태로 연결끈(40)을 통해 전방 차단면(13)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해주게 되면 차양 면적 또는 위장면적이 넓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되는바, 작전, 실제 상황,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참호 위장천막의 천막천(10) 일면은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되고, 타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절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녹음이 우거지는 계절 또는 산악 등의 장소에서는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된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해주면 되고, 동절기 설상에서는 희색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해주면 된다.
설치되어 있는 참호 위장천막을 해체할 때에도 팩(30)을 뽑고, 폴(20)을 해체하며, 천막천(10)을 접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참호 위장천막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해지게 된다.
1 : 참호 10: 천막천
11 : 후방 경사면 12 : 측방 차단면
13 : 전방 차단면 14 : 견인고리
15 : 폴 연결구 16 : 폴 고정고리
17 : 팩 고정고리 18 : 고정끈
19 : 폴 연결고리 20,20' : 폴
21 : 끼움돌기 30 : 팩
40 : 연결끈

Claims (7)

  1. 중앙부에 위치되며, 양측 선단부에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이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참호의 지붕을 형성하는 4각 형상의 후방 경사면;
    상기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직각 절곡되고, 일변이 상기 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참호의 측방을 차단해주는 삼각형상의 측방 차단면; 및
    상기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폴이 각각 세워지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상기 참호의 전방 상부를 차단해주는 직사각형상의 전방 차단면을 포함하여서 된 참호 위장천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폴에 연결되는 폴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측방 차단면의 폴 고정변에는 다수의 폴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측방 차단면의 꼭지점 부위 중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꼭지점에는 팩이 고정되는 팩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폴 연결구에는 대각 방향으로 폴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천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중간부에는 상기 후방 경사면의 중간부를 연결끈을 통해 상방으로 견인하여 빗물고임 또는 눈쌓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천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과 상기 측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 내외면에는 상기 측방 차단면을 말아 상기 후방경사면과 상기 측방 차단면의 경계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 천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단면의 선단부 양측에는 폴에 연결되는 폴 연결고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방 차단면을 차양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 천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의 후단부 중간부에는, 상기 참호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팩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팩 고정고리가 대칭으로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 천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 상기 측방 차단면 및 상기 전방 차단면의 일면은 카무플라주 무늬가 형성되고, 타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계절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로 보여지는 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호 위장 천막.
KR2020140003641U 2014-05-12 2014-05-12 참호 위장천막 KR201500041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41U KR20150004172U (ko) 2014-05-12 2014-05-12 참호 위장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41U KR20150004172U (ko) 2014-05-12 2014-05-12 참호 위장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72U true KR20150004172U (ko) 2015-11-20

Family

ID=5486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641U KR20150004172U (ko) 2014-05-12 2014-05-12 참호 위장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7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858B1 (ko) 2022-07-26 2023-07-13 장형석 시가전 및 워게임 참호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운영 시스템
KR102555857B1 (ko) 2022-07-26 2023-07-13 장형석 시가전 및 워게임용 멀티 외벽 콘크리트 블록 및 그 감지 제어 시스템
RU2801565C1 (ru) * 2022-09-05 2023-08-11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огатырё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кировки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858B1 (ko) 2022-07-26 2023-07-13 장형석 시가전 및 워게임 참호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운영 시스템
KR102555857B1 (ko) 2022-07-26 2023-07-13 장형석 시가전 및 워게임용 멀티 외벽 콘크리트 블록 및 그 감지 제어 시스템
RU2801565C1 (ru) * 2022-09-05 2023-08-11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огатырё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кировки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986B2 (en) Flexible base structure for portable shelters
AU2017100365A4 (en) Trampolines and trampoline covers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KR200492954Y1 (ko) 텐트
US7938134B2 (en) Protective shelter
KR20150004172U (ko) 참호 위장천막
US11193301B2 (en) One-touch tent flysheet
US20080223425A1 (en) Flexible Base Structure for Portable Shelters
US11102974B2 (en) Pop-up foldable hunting blind
US10914096B1 (en) Tent with transparent top
KR20130004129U (ko) 거실 확장형 텐트
EP2721230B1 (en) Tepee provided with means for rain diverting
US20190071890A1 (en) Wind Resistance
WO2012035320A1 (en) A collapsible habitable structure
JP2014040961A (ja) 遮蔽構造、遮蔽方法および取付部材
KR101625517B1 (ko) 타프 일체형 텐트
KR20180001645U (ko) 낚시 및 캠핑 휴대용 바람막이
KR101236595B1 (ko) 크기와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텐트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KR20120008231U (ko) 후라이 자립형 텐트
KR101290086B1 (ko) 천막 구조물
KR20190027771A (ko) 패브릭 타프
KR200460113Y1 (ko) 빗물 저장조의 구조
KR200472252Y1 (ko) 타프 겸용 차량 보호 커버
KR20120107209A (ko) 행사용 천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