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26A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26A
KR20150004126A KR20130077194A KR20130077194A KR20150004126A KR 20150004126 A KR20150004126 A KR 20150004126A KR 20130077194 A KR20130077194 A KR 20130077194A KR 20130077194 A KR20130077194 A KR 20130077194A KR 20150004126 A KR20150004126 A KR 2015000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ower suppl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904B1 (ko
Inventor
황광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9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제1전력공급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력공급선에 연결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뱅크층과; 상기 뱅크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 상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1 및 제2유기발광층과;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층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각각 접촉하는 제2 및 제3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패턴드 리타더 사용시 3D 시야각을 개선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술 중 편광안경을 이용한 3D 영상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편광안경을 사용하는 방식은, 하나의 화면의 화소를 열, 행 또는 화소단위로 2분할하고 좌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표시하고 편광안경의 좌측 안경과 우측 안경이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하여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편광분할 광학매체로서 사용되는 패턴드 리타더는,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화소, 행, 또는 열 단위로 2개의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출사광을 변조하는 광학수단으로 기능한다.
패턴드 리타더를 사용하는 편광안경 방식의 3D 영상 시청 가능 영역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중앙부에서의 법선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 13도이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정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 13도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바라보는 경우, 좌안으로 입사되어야 하는 화상 정보 중 일부가 우안으로 입사되고, 우안으로 입사되어야 하는 화상 정보 중 일부가 좌안으로 입사됨으로써 영상 섞임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3D 화상 시청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3D 영상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3D 수직 크로스토크라 현상이라 칭하고 있다.
각 3D 영상 표시장치 제조사는 3D 영상 시청 가능 영역의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를 늘려 3D 영상 시청 범위를 늘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패턴드 리타더 필름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좌원편광과 우원편광 사이에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을 형성하는 방법과, 광원의 면적을 줄여 상하 시야각 범위에서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야각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을 참조하면, 제 1, 2 기판(10, 9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10) 상부에는 화면을 구현하는 최소 단위영역인 화소 영역별로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는데, 박막트랜지스터(T)는 내부에 게이트전극(35), 게이트절연막(32), 반도체층(30), 소스전극(36), 드레인전극(37) 및 보호층(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 상부에는 평탄화막(50)이 형성되고, 평탄화막(50) 상부에 제1 전극(60), 유기발광층(63) 및 제 2 전극(65)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60) 상부에는 화소영역 마다 개구부를 갖고, 제1 전극(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70)이 형성된다.
이때, 뱅크층(70)이 감싸는 개구부 각각에는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63)이 형성되고, 유기발광층(63) 상부에는 제2 전극(65)이 형성된다.
한편, 제2 기판(90)의 하부에는 각 화소영역의 경계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94)와, 각 화소영역(P)에 순차 대응하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층(92)이 형성되고, 제2 기판(90) 상부에는 패턴드 리타더(96)가 형성된다.
이때, 패턴드 리타더(96)는 제1리타더패턴(97) 및 제2 리타더패턴(98)을 포함하며, 상기 제1리타더패턴(96) 및 제2리타더패턴(97)은 액정패널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패턴드 리타더(96)와 제2 기판(90) 사이에 원편광필름(95)을 형성하여 경면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2차원영상표시상태 및 3차원영상표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D 영상을 표시할 경우 인접한 수평화소열의 화소가 모두 동일한 단일 영상을 표시하고, 3D 영상을 표시할 경우 인접한 수평화소 열의 화소는 각각 서로 상이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3D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소 일부에 블랙을 표시하는 블랙 스트라이프(BS)가 형성되는데, 뱅크층(70)이 블랙스트라이프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블랙 스트라이프의 폭이 작으면, 3D영상의 크로스토크가 증가하고, 블랙 스트라이프의 폭이 넓으면 2D영상의 개구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2D모드에서 개구율 감소에 따른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류밀도를 증가시킬 경우,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서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드 리타더 구조 적용시 개구율이 감소하고,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제1전력공급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력공급선에 연결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뱅크층과; 상기 뱅크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 상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1 및 제2유기발광층과;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층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각각 접촉하는 제2 및 제3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 상기 제1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2전극은 제1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3전극은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전력공급선으로는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2 및 제3전원공급선으로는 각각 제1 및 제2기저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다이오드에 동일한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제1 및 제2기저전압이 결정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3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2기저전압은 상기 전원전압과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이때,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는 동일한 계조를 표시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3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는 블랙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유기발광다이오드의 면적은 상기 제2유기발광다이오드의 면적보다 크고,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기저전압은 상기 제2기저전압보다 큰 값을 갖도록 결정되어,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1기저전압의 차이가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2전원전압의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제1 및 제2리타더패턴을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와; 상기 제2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타더패턴의 경계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드 리타더 구조를 사용하여, 2D 와 3D 모드를 병용하는 경우 3D 모드에서는 충분한 시야각을 얻을 수 있고, 2D 모드에서는 2D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휘도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2차원영상표시상태 및 3차원영상표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신호의파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2D모드와 3D모드에서의 전류의 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2D모드와 3D모드에서의 전압의 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기판(미도시) 상부에 데이터 배선(DL) 및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되는데,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한다.
이때, 화소에는 전원전압(Vdd)를 공급하는 제1 전력공급선(미도시)과 제1 기저전압(Vss1)을 공급하는 제2 전력공급선 (미도시)과, 제2 기저전압(Vss2)을 공급하는 제3 전력공급선 (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sw)와 스토리지커패시터(CST)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DR)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sw)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되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Tsw)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배선(DL)에 연결되며, 제2 박막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박막트랜지스터(Tsw)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이때, 제2 박막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전극에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고, 제2 박막트랜지스터(TDR)의 소스전극에는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와 제1 및 제2 캐패시터(COLED1, COLED2)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와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에는 각각 제1 기저전압(Vss1), 제2 기저전압(Vss2)이 인가되는데,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와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는 화소를 이분할하며 형성된다.
이때,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와, 제1 캐패시터(COLED1)는 제2 박막트래지스터(TDR)와 제1 기저전압(Vss1)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와 제2 캐패시터(COLED2)는 제2 박막트래지스터(TDR)과 제2 기저전압(Vss2) 사이에 병렬 연결된다.
한편, 센싱트랜지스터(TSEN)는 제2 박막트래지스터(TDR)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변화를 보상하는데, 센싱트랜지스터(TSEN)의 드레인 전극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고, 센싱트랜지스터(TSEN)의 게이트 전극에는 센싱신호(GC)가 입력되고, 센싱트랜지스터(TSEN)의 소스전극은 제2 박막트래지스터(TDR)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영상표시장치는, 예를들어, 3D 모드 동작시 제2 기전전압(Vss2)과 전원전압(Vdd)의 전위차가 0이 되도록 전원전압(Vdd)과 동일한 전압을 제2 기저전압(Vss2)으로 공급하여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가 발광하지 않고 블랙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1 기재전압(Vss1)은 전원전압(Vdd)의 전위차는 0이 아닌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가 발광하여 3D 영상의 계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신호의파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D 모드에서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으로 게이트신호(Scan)와. 데이터 신호(Data)가 인가될 때, 제1 및 제2 기저전압(Vss1, Vss2)은 유사한 전압값을 가지며, 그 결과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는 제1 및 제2 기저전압(Vss1, Vss2)와, 전원전압(Vdd)과의 차이에 따라 모두 발광하여 동일한 계조를 표시한다.
따라서 개구율의 감소없이 2D 영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3D 모드에서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으로 게이트신호(Scan)와. 데이터 신호(Data)가 인가될 때, 제1 및 제2 기저전압(Vss1, Vss2)은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다.
이때, 제1 기저전압(Vss1)은 전원전압(Vdd)과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반면, 제2 기저전압(Vss2)은 전원전압(Vdd)과 동일한 전압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기저전압(Vss1)이 공급되는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는 발광하여 3D 영상의 계조를 표시하고, 제2 기저전압(Vss2)이 공급되는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는 발광하지 않고 블랙을 표시한다.
즉,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MP, SP)를형성하고, 제1 및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MP, SP)에 서로 상이한 제1 및 제2 기저전압(Vss1. Vss2)을 인가하여 제1 및 제 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한다.
한 개의 화소에서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의 온/오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므로, 3D 모드에서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를 블랙 스트라이프로 동작하도록 하여 3D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고, 2D 모드에서는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를 2D 영상표시에 이용하여 개구율이 개선된다.
이에 따라 개구율을 높이기 위해 발광부에 전류가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아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10, 19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110) 상부에는 화면을 구현하는 최소 단위영역인 화소 영역별로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전극(135), 게이트절연막(132), 반도체층(130), 소스전극(136), 드레인전극(137) 및 보호층(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호층(140) 상부에는 평탄화막(150)이 형성되고, 평탄화막(150) 상부에는 제1 전극(160), 제1 유기발광층(163) 및 제 2 전극(165)을 포함하는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가 형성된다.
또한, 평탄화막(150) 상부에는 제1 전극(160)과, 제2 유기발광층(173) 및 제3전극(175)을 포함하는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의 제1 전극(160) 상부에는 화소영역 마다 개구부를 갖고, 제1 전극(1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70)이 형성된다.
뱅크층(170) 상부에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의 제2 전력공급선(168)과 제3 전력공급선(169)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전력공급선(168, 169) 상부에는 격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174)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10)에 유기발광 물질 및 도전물질을 증착함으로써, 격벽(174)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1 및 제2 유기발광층(163, 173)과, 제2 및 제3 전극(165, 175)을 형성한다.
이때, 제2 및 제3 전극(165, 175)은 각각 제2 및 제3 전력공급선(168, 169)에 연결되고, 제2 및 제3 전극(165, 175)에는 각각 제2 및 제3 전력공급선(168, 169)을 통하여 제1 및 제2 기저전압(Vss1, Vss2)이 인가된다.
한편, 제2 기판(190)의 하부에 각 화소영역의 경계와 격벽(174)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194)와, 각 화소영역(P)에 순차 대응하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층(192)이 형성되고, 제2 기판(90) 상부에 컬러필터층(192)을 덮는 패턴드 리타더(196)가 형성된다.
이때, 패턴드 리타더(196)는 제1 리타더패턴(197) 및 제2 리타더패턴(19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타더패턴(196) 및 제2 리타더패턴(197)은 액정패널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패턴드 리타더(196)와 제2 기판(190) 사이에 원편광필름(195)을 형성하여 경면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의 세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2D모드와 3D모드에서의 전류의 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D모드 일때는 제2 및 제3 전력공급선(168, 169)에 동일한 전류가 흐른다. 예를들어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MP)의 면적이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의 면적보다 클 경우, 제1 기저전압(Vss1)이 0V이고, 제2 기저전압(Vss2)이 -1V이고, 전원전압(Vdd)가 5V라면,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에 흐르는 전류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의 면적과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의 면적이 동일할 경우, 제2 기저전압(Vss2)을 제1 기저전압(Vss1)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에 흐르는 전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D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에 동일한 전류가 흐르고, 그 결과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는 동일한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3D모드일때는, 제2 기저전압(Vss2)을 전원전압(Vdd)과 동일하게 하여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도록 하면,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는 발광하지 않고 블랙을 표시한다.
예를들어, 이때의 전원전압(Vdd)이 5V인 경우 제2 기저전압(Vss2)을 5V로 결정함으로써,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가 블랙을 표시하는 블랙 스트라이프 역할을 하여 3D 크로스토크가 감소한다.
이와 같이 2D와 3D에서의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2D에서의 휘도를 확보할 수 있고, 3D에서의 3D수직 크로스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D와 3D일때의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상이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전압의 세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2D모드와 3D모드에서의 전압의 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D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에 흐르는 전류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그 결과 제1 및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MP, SP) 모두 계조를 표시한다.
그리고, 3D 모드에서는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MP)에 흐르는 전류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반면,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무관하게 0이며, 그 결과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SP)는 발광하지 않고 블랙을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제1 기판 120 : 버퍼층
130 : 반도체층 132 : 게이트 절연막
135: 게이트 전극 136: 소스전극
137: 드레인전극 140: 보호층
150: 평탄화막 160: 제1 전극
163: 유기발광층 165: 제2 전극
168 : 제2 전력공급선 169: 제3 전력공급선
170: 뱅크층 190 : 제2 기판
192: 컬러필터층 194 : 블랙 매트릭스
195 : 원편광필름 196 : 패턴드리타더
197: 제1 패턴드리타더 198 : 제2 패턴드리타더
T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Claims (7)

  1.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제1전력공급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전력공급선에 연결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뱅크층과;
    상기 뱅크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 상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제1전극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1 및 제2유기발광층과;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층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제2 및 제3전력공급선과 각각 접촉하는 제2 및 제3전극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기 제1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2전극은 제1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3전극은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전력공급선으로는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제2 및 제3전원공급선으로는 각각 제1 및 제2기저전압이 공급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다이오드에 동일한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제1 및 제2기저전압이 결정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3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2기저전압은 상기 전원전압과 동일하도록 결정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는 동일한 계조를 표시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3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2유기발광다이오드는 블랙을 표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기발광다이오드의 면적은 상기 제2유기발광다이오드의 면적보다 크고,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가 2D 모드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기저전압은 상기 제2기저전압보다 큰 값을 갖도록 결정되어,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1기저전압의 차이가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2전원전압의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제1 및 제2리타더패턴을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와;
    상기 제2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타더패턴의 경계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
    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30077194A 2013-07-02 2013-07-02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94A KR102008904B1 (ko) 2013-07-02 2013-07-02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94A KR102008904B1 (ko) 2013-07-02 2013-07-02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26A true KR20150004126A (ko) 2015-01-12
KR102008904B1 KR102008904B1 (ko) 2019-08-08

Family

ID=5247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194A KR102008904B1 (ko) 2013-07-02 2013-07-02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719A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그를 포함한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US9893285B2 (en) 2015-10-23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52825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594A (ko) * 2010-12-08 2012-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20074916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594A (ko) * 2010-12-08 2012-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20074916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285B2 (en) 2015-10-23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020447B2 (en) 2015-10-23 2018-07-1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03719A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그를 포함한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52825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904B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693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140711B2 (ja) 液晶表示装置
US9626923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30342586A1 (en)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9325979B2 (en) 3D display method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increased viewing angle
KR102353522B1 (ko) 다중 시각 표시 장치
JP2008096549A (ja) カラー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半透過液晶表示装置
KR20130018878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420632B2 (ja) カラー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半透過液晶表示装置
KR20140096877A (ko) 액정표시장치
US1175145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pixel capable of enhancing transparency
WO2017092397A1 (zh) 一种三维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53376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US101767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creen
JP564223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008904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JP2008122473A (ja) 電気光学装置
KR102388478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0002755A (ja) 表示装置
JP662060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706238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WO2012043408A1 (ja) 液晶表示装置、駆動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6634240B2 (ja) 表示装置
KR20120070978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90182476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