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025U -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025U
KR20150004025U KR2020140003307U KR20140003307U KR20150004025U KR 20150004025 U KR20150004025 U KR 20150004025U KR 2020140003307 U KR2020140003307 U KR 2020140003307U KR 20140003307 U KR20140003307 U KR 20140003307U KR 20150004025 U KR20150004025 U KR 201500040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member
stool
bearing
gird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289Y1 (ko
Inventor
김기오
신민수
박찬규
이상복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8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베어링 부재 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은,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와 대응되는 위치의 선체에 마련되어 거더를 지지하는 스툴(stool); 스툴에 마련되어 거더와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 및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스툴에 마련되어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어링 부재 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BEARING PROTECTOT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베어링 부재 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를 지지하는 스툴(stool)에 마련되는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가진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설치 또는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설치된 해상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계류 또는 정박된 상태에서 해저에 매장되어 있는 OIL 또는 GAS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그 종류는 OIL-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으로 주로 Oil 또는 Gas를 생산),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최근에 유가의 상승, 육상에서의 석유자원 고갈 및 청정연료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심해(Deep Sea) 해저에서 석유 및 가스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공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은 심해 해저에 매장되어있는 Gas 또는 Oil을 채굴하여 1차 정제(Oil, Gas, Water를 분리)를 담당하며, 해수면에 떠있는 하부 선체는 상부 모듈에서 생산된 Oil 또는 Gas를 저장하거나 운송선이 접안하면 저장된 Oil 또는 Gas를 운송선에 적재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선체 갑판 상부에 설치된 탑사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스툴(Module Support Stool)은 상부모듈 구조에 걸리는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하중을 하부 선체로 전달 및 분산 시킴과 동시에 선체의 거동에도 상부 모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복수의 스툴은 바람이나 파도, 조류에 의한 선체의 거동에 의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유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과 각각의 스툴은 어느 정도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되 하중이 지지 되도록 특수 장치(Flexible Bearing)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선체의 거동(Hull Motion)에 의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설계에서 요구되는 최적화된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큰 화살표는 선박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항해 중인 선박의 운동은 선체(H)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연한 전후동요(surging, 서징), 선체(H)의 길이 방향의 수평축에 대한 회전동요(rolling, 롤링), 선체(H)의 횡방향 수평축을 따라 움직이는 좌우동요(swaying, 스웨잉), 선체(H)의 횡방향 수평축에 대한 회전운동(pitching, 피칭), 선체(H)의 연직축 방향으로의 상하동요(heaving, 히빙) 및 선체(H)의 연직축 방향으로 한 회전동요(yawing, 요잉) 등의 6방향 운동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선박의 운동에 의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F)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유식 해상 구조물(F)을 지지하는 4 방향 지지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움직임을 갖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 영역은 선박의 종방향(이하 '종방향'이라 함은 선체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방향을 말한다)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되고, "B" 영역은 선박의 종방향 및 횡방향(이하 '횡방향'이라 함은 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말한다)의 움직임에 대한 거동이 없도록 선체(H)에 구속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의 "C" 영역은 선체(H)의 횡방향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되고, "D" 영역은 선체(H)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F)은 선체(H)의 거동으로 인한 변위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선체(H)와 부유식 해상 구조물(F) 간의 모멘트 전달로 인해 발생 되는 응력 변동이 최소화된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도 1의 "A" 영역에서 특수 장치(베어링)에 의해서 스툴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1의 "A" 영역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중형 및 대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F)과 스툴(20, stool)을 연결하는 특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상 구조물(F)과 스툴(20)의 접촉 영역에서 종방향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해서 베어링(E)을 구비한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과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984-0007690호(1984.12.20)에 개시되어 있다.
베어링(E)으로는 일래스토머릭 베어링(Elastomeric Bearing)이 주로 사용된다. 일래스토머릭 베어링은 두께 0.7~2mm의 탄성체(일래스토머)와 이와 거의 같은 두께의 금속 심(shim)을 교대로 밀착 적층시켜 제작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상 구조물(F)의 하부 영역과 스툴(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F)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10)와 스툴(20)의 상부 공간 사이에는 제1 일래스토머(E1,elastomer)가 배치되고, 거더(10)와 스툴(20)의 양 측면 공간 사이에는 제2 일래스토머(E2)가 각각 배치된다.
전술한 베어링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므로 스툴(20)의 주변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베어링에 고온의 열에 그대로 노출되어 소실되기 쉽고, 베어링이 소실되면 스툴과 거더의 상호 충돌로 인해 해양 구조물은 데미지(damage)를 입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984-0007690호(브롬운트보스아게) 1984.12.20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시에도 스툴에 마련되는 베어링 부재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스툴(stool);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 보호체는, 상기 스툴에 결합 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 부재가 수용되는 베어링 부재 수용부; 및 상기 베어링 커버부를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 실링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 수용부는, 상기 스툴에 결합 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 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 부재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베어링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리프팅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실링패드는 PFP(Passive Fire Protection) 내화도료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실링패드를 상기 베어링 부재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양 구조물은 FPSO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를 지지하는 스툴(stool)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거더와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스툴에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마련하여 화재 시에도 베어링 부재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 보호체에 의해 화재시에도 베어링 부재의 소실에 걸리는 시간을 연장하여 소화 시간이나 대피 시간을 벌 수 있고, 베어링 부재의 소실로 인한 해양 구조물의 데미지(damage)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선체의 거동(Hull Motion)에 의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응력 변동 및 변위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설계에서 요구되는 최적화된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도 1의 "A" 영역에서 특수 장치(베어링)에 의해서 스툴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재 보호체가 스툴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어링 부재 보호체의 베어링 부재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툴에 고정프레임이 결합 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해양 구조물은 OIL-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으로 주로 Oil 또는 Gas를 생산),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재 보호체가 스툴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어링 부재 보호체의 베어링 부재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재 보호체(1)는, 스툴(20, stool)에 결합 되며 내부에 베어링 부재(30)가 수용되는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와,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의 표면을 둘러싸는 베어링 실링패드(200)와, 베어링 실링패드(200)를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300)를 구비한다.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는, 베어링 부재(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함과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어링 부재(3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툴(2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0)과, 베어링 부재(30)가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프레임(110)에 결합 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에 결합 되며 지지프레임(120)의 개방 부분을 밀폐 또는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의 고정프레임(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툴(20)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20)과 커버 플레이트(130)를 스툴(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프레임(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이며 얇은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를 제외한 영역은 천공되어 지지프레임(120)의 돌출 플레이트(122)가 삽입 결합(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프레임(110)은 스툴(20)에 용접 결합 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의 지지프레임(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30)에 볼트 결합 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베어링 부재(30)가 수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프레임(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홀(121)이 마련되고, 수용홀(121)은 베어링 부재(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에는 수용홀(121)의 테두리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면적을 둘러싸도록 돌출 마련되는 돌출 플레이트(122)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 플레이트(122)의 돌출 체적은 베어링 부재(30)가 돌출 플레이트(122)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베어링 부재(30)의 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돌출 플레이트(122)는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지지프레임(120)의 양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공(123)이 마련될 수 있고, 이 복수의 체결공(123)을 통해 지지프레임(120)은 커버 플레이트(130)에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의 커버 플레이트(130)는, 지지프레임(120)에 결합 된 베어링 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프레임(120)의 수용홀(121)을 개방함과 더불어 지지프레임(12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30)는 거더(10, girder)와 충돌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지지프레임(120)이나 고정프레임(110)과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껍게 제작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 수용부(100)와 거더(10)의 충돌 시 거더(1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은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 되고, 2차적으로 베어링 부재(30)에 의해 완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30)는 다른 부재와 달리 두껍게 제작되므로 커버 플레이트(130)를 크레인이나 다른 리프팅 수단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리프팅(lifting)의 편의를 위해 커버 플레이트(130)에 리프팅 홀(131)을 마련할 수 있고, 리프팅 홀(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부 양측부에 돌출 마련되는 돌기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30)의 양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홀(132)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체결홀(132)은 지지프레임(120)의 체결공(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실링패드(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화재의 발생 시 베어링 부재(30)로 열을 최소로 전달시켜 베어링 부재(30)의 소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 고정프레임(110)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어링 실링패드(200)의 표면에는 PFP(Passive Fire Protection) 내화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PFP 내화도료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유류폭발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돌 철재 구조물(Structural steel, Bulkhead, Deck)에 피복되어 화재시 도막이 급속히 팽창하여 내화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을 보호하여 구조물의 붕괴 방지 및 인명 대피시간을 확보하게 하는 도료이다.
본 실시 예에서 베어링 실링패드(200)는 결합의 편리성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부분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실링패드(200)의 외주면에 결합 되어 베어링 실링패드(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갖되 단속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고정부재(310)와, 복수의 단위고정부재(310)의 단부에 돌출 마련되며 홀을 갖는 돌출판(320)과, 돌출판(320)의 홀을 통해 복수의 단위고정부재(310)를 서로 체결시키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00)는 분할된 베어링 실링패드(2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베어링 실링패드(200)를 고정프레임(110)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베어링 부재(30)는 일래스토머릭 베어링(Elastomeric Bearing)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인 베어링 부재 보호체(1)의 설치 방법을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베어링 부재(30)의 장착이 필요한 스툴(20)의 표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을 용접 결합한다.
다음으로 지지프레임(120)과 커버 플레이트(130)를 준비하고, 지지프레임(120)과 커버 플레이트(130)를 서로 결합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프레임(120)과 커버 플레이트(130)는 미리 결합 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에 베어링 부재(30)를 삽입한 후, 베어링 부재(30)가 삽입되고 지지프레임(120)이 결합 된 커버 플레이트(130)를 고정프레임(110)에 삽입 결합시킨다.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돌출 플레이트(122)의 외부 표면이 고정프레임(110)의 내부 표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프레임(110)의 표면에 베어링 실링패드(200)를 씌우고, 고정부재(300)로 베어링 실링패드(200)를 고정프레임(110)에 고정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거더와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스툴에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마련하여 화재 시에도 베어링 부재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 보호체에 의해 화재시에도 베어링 부재의 소실에 걸리는 시간을 연장하여 소화 시간이나 대피 시간을 벌 수 있고, 베어링 부재의 소실로 인한 해양 구조물의 데미지(damage)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베어링 부재 보호체 100 : 베어링 부재 수용부
110 : 고정프레임 120 : 지지프레임
130 : 커버 플레이트 200 : 베어링 실링패드
300 : 고정부재 310 : 단위 고정부재
320 : 돌출판 330 : 체결부재
10 : 스툴 20 : 거더
30 : 베어링 부재

Claims (10)

  1.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스툴(stool);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 보호체는,
    상기 스툴에 결합 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 부재가 수용되는 베어링 부재 수용부; 및
    상기 베어링 부재 수용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는 베어링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 수용부는,
    상기 스툴에 결합 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 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 부재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베어링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끼워 맞춤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리프팅 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실링패드는 PFP(Passive Fire Protection) 내화도료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실링패드를 상기 베어링 부재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양 구조물은 FPS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10. 선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트러스트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는 거더(girder)를 지지하는 스툴(stool)에 마련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스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툴에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재 보호체.
KR2020140003307U 2014-04-24 2014-04-24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0479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7U KR200479289Y1 (ko) 2014-04-24 2014-04-24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7U KR200479289Y1 (ko) 2014-04-24 2014-04-24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25U true KR20150004025U (ko) 2015-11-03
KR200479289Y1 KR200479289Y1 (ko) 2016-01-22

Family

ID=5470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07U KR200479289Y1 (ko) 2014-04-24 2014-04-24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89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005A (ja) 1998-12-25 2000-07-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積層ゴム支承体
JP2002021927A (ja) 2000-07-03 2002-01-23 Ohbayashi Corp 免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89Y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US20030205189A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SG171756A1 (en) Device for floating production of lng and method for converting a lng-carrier to such a device
KR101144712B1 (ko) 액화천연가스 생산용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40026370A (ko) 밸러스트 작용 가능한 회전 대칭형 선체 및 문풀을 갖는 생산 유닛
KR20130024467A (ko) 언더워터 마운팅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평판 형 수밀 장비 및 그 탑재 방법
CN105129047A (zh) 一种船用o型舷外橡胶护舷的固定装置及固定方法
KR200479289Y1 (ko)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60150417A (ko) 선체 상부 데크 상의 구조물 지지장치
KR20100133700A (ko) 개선된 상부갑판 구조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83419Y1 (ko) Fpso 탑사이드 모듈 서포트의 변위방지기구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1549151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140006605A (ko) 반잠수식 선박
EP3439948B1 (en) Turret mooring system arrangement
KR20120119333A (ko)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선박
KR20140129711A (ko) 극지용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보강구조
KR20140032770A (ko) 카고 홀드의 저장탱크 지지구조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CN207791080U (zh) 半潜生产平台
JP2014058274A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KR101358136B1 (ko)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2019013022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593977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