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962U - 콘크리트 이송시설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이송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3962U KR20150003962U KR2020140003181U KR20140003181U KR20150003962U KR 20150003962 U KR20150003962 U KR 20150003962U KR 2020140003181 U KR2020140003181 U KR 2020140003181U KR 20140003181 U KR20140003181 U KR 20140003181U KR 20150003962 U KR20150003962 U KR 2015000396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concrete
- rail
- wound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15—Independent stirrer-drive units, e.g. portable or mounted on a wheelbarr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이송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를 레미콘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콘크리트 이송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이동식 믹서기; 지면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의 제 1 서포트, 상기 제 1 서포트 일측에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단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휠,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는 윈치,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윈치의 작동에 의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식 믹서기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레미콘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 이송시설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이동식 믹서기; 지면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의 제 1 서포트, 상기 제 1 서포트 일측에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단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휠,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는 윈치,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윈치의 작동에 의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식 믹서기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레미콘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 이송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이송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를 레미콘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콘크리트 이송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최적의 강도와 내구성 및 미려한 표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 또는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여러 원재로를 혼합하고 공급하기 위해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Batcher Plant)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는 골재공급파트(10)와 본체파트(20)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모래 및 자갈 등의 골재는 골재공급호퍼(11)에 투입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컨베이어 벨트(12)에 의해 이송되어 본체파트(20)의 계량파트(21)로 투입된다.
계량파트(21)에서는 시멘트, 골재, 물과 혼화제가 첨가된 혼합수가 콘크리트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계량되고, 계량된 재료는 믹싱파트(22)로 투입되어 혼합된다.
이렇게 혼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공급호퍼(23)를 통해 콘크리트 공급호퍼(23)의 하부에 대기 중인 레미콘 트럭에 담겨져서 공사현장으로 이송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기에 시설을 갖추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비교적 작은 규모의 단기간에 끝나는 공사에 있어서는 효율성이 떨어져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식 콘크리트 믹서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현장에서 직접 혼합된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공급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식 콘크리트 믹서기의 경우 현장의 사정에 따라 현장까지 이동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워 현장에 직접 콘크리트를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용량이 작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를 간소화시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이동식 믹서기; 지면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의 제 1 서포트, 상기 제 1 서포트 일측에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단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휠,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는 윈치, 상기 휠에 권취된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윈치의 작동에 의해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식 믹서기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레미콘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구비된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휠은, 상기 제 2 레일 상측에 설치되는 파이프에 축이 결합되고, 상기 축 양측으로 와이어가 권취되는 소 휠과; 상기 소 휠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도록 소 휠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W)가 권취되는 대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 휠에 권취된 와이어는 윈치와 연결되고, 소 휠에 권취된 와이어는 이송대차와 연결되어, 윈치의 작동에 의해 대 휠에 권취된 와이어가 윈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대 휠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소 휠이 회전함에 따라 소 휠에 권취된 와이어와 연결된 이송대차가 레일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안쪽으로 제 1 레일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 외측으로 제 2 레일이 설치되되, 상기 제 1 레일은 지면에서 시작되는 제 1 구간과 제 1 구간이 끝단이 절곡된 부분의 제 2 구간으로 형성되어, 이송대차가 절곡된 제 2 구간을 지날 때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는 이송대차의 일측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부분과 이송하는 부분을 각각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이송하는 시설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이송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에 따른 어려움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식 콘크리트 믹서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규모가 작은 공사부터 큰 공사까지 공사 규모에 맞춰 탄력적으로 효율성을 높여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이송대차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호퍼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휠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이송대차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호퍼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휠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사용상태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이송대차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호퍼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휠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시설은 크게, 이동식 믹서기(100), 이송부(200), 공급부(300)로 구성된다.
이동식 믹서기(100)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동식 믹서기(100)는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가 수용되는 드럼(110)과 이동을 위한 수단의 바퀴(120)와 혼합된 콘크리트를 배출할 때 콘크리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130)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믹서기(100)는 비교적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동성이 우수하고 현장에서 바로 콘크리트 제조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럼(110) 내부에 원재료가 수용되면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드럼(110)이 회전되면서 드럼(110) 내부에 수용된 원재료가 혼합되면서 콘크리트를 제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부(200)는 상기 이동식 믹서기(100)로부터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후술하는 공급부(300)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송부(200)는 크게, 제 1 서포트(210), 레일(220), 휠(230), 윈치(240), 이송대차(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서포트(210)는 지면에 설치되는 철골구조로써, 일측은 경사지도록 사선 구조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와이어(W)가 걸쳐진 상태로 방향이 전환시키는 걸이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220)은 제 1 서포트(210)의 경사진 일측으로 다수개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220)은 안쪽으로는 제 1 레일(221)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221) 외측으로 제 2 레일(222)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레일(221)은 지면에서 시작되는 제 1 구간(221a)과 제 1 구간(221a)이 끝단이 절곡된 부분의 제 2 구간(221b)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 2 구간(221b)이 절곡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이송대차(250)가 절곡된 제 2 구간(222b)을 지날 때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휠(230)은 다수개의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휠(230)은 상기 제 2 레일(222) 상측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레일(222) 상측에 파이프(231)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231)에 축(232)이 결합되며, 상기 축(232) 양측으로 와이어(W)가 권취되는 소 휠(233) 설치되고, 상기 소 휠(233)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도록 소 휠(223) 일측에 와이어(W)가 권취되는 대 휠(234)이 설치된다.
상기 소 휠(233)과 대 휠(234)에는 각각 와이어(W)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어 있고, 파이프(231)를 기준으로 소 휠(233)과 대 휠(234)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윈치(240)는 휠(230)에 권취된 와이어(W)를 당겨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는 윈치(2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는 제 1 서포트(210)에 설치된 걸이부(211)에 걸쳐진 상태에서 윈치(2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윈치(240)가 작동됨에 따라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는 걸이부(211)에 걸쳐진 상태에서 대 휠(234)을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대차(250)는 이동식 믹서기(100)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대차(250)는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송대차(250)는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몸체(251)와 몸체(251) 하측으로 파이프형태의 관체(252) 2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2개의 관체(252)에는 제 1 축바퀴(253)과 제 2 축바퀴(254)가 결합된다.
상기 제 1 축바퀴(253)과 제 2 축바퀴(254)는 중심은 관체(252)를 관통하고 양측으로는 관체(25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 1 축바퀴(253)과 제 2 축바퀴(254)가 관체(252)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제 1 축바퀴(253)과 제 2 축바퀴(254)의 양측단 부분은 레일(220) 상에 얹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즉, 제 1 축바퀴(253)는 제 1 레일(221)에 제 2 축바퀴(254)는 제 2 레일(222)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는 윈치(240)와 연결되고,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는 이송대차(2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윈치(240)의 작동에 의해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가 윈치(24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대 휠(234)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소 휠(233)이 회전함에 따라서,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와 연결된 이송대차(250)가 경사진 레일(220)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송대차(250)는 윈치(240)의 작동에 의해 레일(220) 상에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300)는 콘크리트를 레미콘(R)에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공급부(3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제 2 서포트(310)가 설치된다.
이때,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간격은 레미콘(R)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포트(310) 상부에는 작업자가 작업 상황을 확인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족장(311)이 설치되고, 상기 족장(311) 테두리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핸드레일(31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족장(311) 중앙에는 이송대차(250)로부터 이송된 콘크리트를 레미콘(R)에 공급하기 위해 상광하협 구조로 하측이 개방된 호퍼(3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320) 일측에는 이송대차(250)의 일측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321)가 형성된다.
즉, 이송대차(250)가 레일(220)을 타고 이동하다가 제 1 레일(221)의 제 2 구간(221b)에 다다르면 앞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개구부(321)를 통해 이송대차(250)는 호퍼(320) 안쪽까지 출입할 수 있어 콘크리트를 호퍼(320)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레일(222)의 상측 부분은 호퍼(320)의 일측에 일부가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레일(2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송대차(250)로부터 이송된 콘크리트는 호퍼(320)를 통해 대기중인 레미콘(R)으로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콘크리트 이송시설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식 믹서기(100)를 이송부(200)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 다음 이동식 믹서기(100)을 작동시켜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한다.
콘크리트 제조가 완료되면 이송대차(250)의 몸체(251) 내부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담아놓는다.
그 다음 윈치(240)를 작동시키면 윈치(240)와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대 휠(234)이 회전하고 동시에 소 휠(233)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는 계속해서 소 휠(233)에 권취되게 되고 소 휠(233)에 연결되 와이어(W)와 연결된 이송대차(250)는 점점 지상에서부터 상부까지 레일(22)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대차(250)가 이동하여 제 1 레일(221)의 제 1 구간(221a)을 지나 제 2 구간(221b)에 다다르게 되면 이송대차(250)는 앞쪽으로 기울여지듯 회전하게 되고, 호퍼(320)의 개구부(321)를 통해 이송대차(250)가 호퍼(320) 안쪽까지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이송대차(250)에 수용되어 있던 콘크리트는 호퍼(320)로 공급하고 대기되어 있던 레미콘(R)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식 믹서기(100)는 계속해서 공사에 필요한 만큼의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공급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이송시설은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부분과 이송하는 부분을 각각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이송하는 시설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이송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에 따른 어려움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식 콘크리트 믹서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규모가 작은 공사부터 큰 공사까지 공사 규모에 맞춰 탄력적으로 효율성을 높여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이동식 믹서기
110: 드럼
120: 바퀴 130: 가이드
200: 이송부 210: 제 1 서포트
211: 걸이부 220: 레일
221: 제 1 레일 221a: 제 1 구간
221b: 제 2 구간 222: 제 2 레일
230: 휠 231: 파이프
232: 축 233: 소 휠
234: 대 휠 240: 윈치
250: 이송대차 251: 몸체
252: 관체 253: 제 1 축바퀴
254: 제 2 축바퀴 300: 공급부
310: 제 2 서포트 311: 족장
312: 핸드레일 320: 호퍼
321: 개구부 R: 레미콘
W: 와이어
120: 바퀴 130: 가이드
200: 이송부 210: 제 1 서포트
211: 걸이부 220: 레일
221: 제 1 레일 221a: 제 1 구간
221b: 제 2 구간 222: 제 2 레일
230: 휠 231: 파이프
232: 축 233: 소 휠
234: 대 휠 240: 윈치
250: 이송대차 251: 몸체
252: 관체 253: 제 1 축바퀴
254: 제 2 축바퀴 300: 공급부
310: 제 2 서포트 311: 족장
312: 핸드레일 320: 호퍼
321: 개구부 R: 레미콘
W: 와이어
Claims (5)
- 모래, 자갈, 물, 시멘트, 강 섬유 등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바퀴(120)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이동식 믹서기(100);
지면에 설치되는 철골구조의 제 1 서포트(210), 상기 제 1 서포트(210) 일측에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레일(220), 상기 레일(220) 상단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와이어(W)가 권취되는 휠(230), 상기 휠(230)에 권취된 와이어(W)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W) 끝단과 연결되는 윈치(240), 상기 휠(230)에 권취된 와이어(W)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W)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올려진 상태로 윈치(240)의 작동에 의해 레일(220) 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대차(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식 믹서기(100)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0); 및
상기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콘크리트를 레미콘(R)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320)가 구비된 공급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시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230)은,
상기 제 2 레일(222) 상측에 설치되는 파이프(231)에 축(232)이 결합되고, 상기 축(232) 양측으로 와이어(W)가 권취되는 소 휠(233)과;
상기 소 휠(233)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도록 소 휠(223)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W)가 권취되는 대 휠(2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시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는 윈치(240)와 연결되고,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는 이송대차(250)와 연결되어,
윈치(240)의 작동에 의해 대 휠(234)에 권취된 와이어(W)가 윈치(24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대 휠(234)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소 휠(233)이 회전함에 따라 소 휠(233)에 권취된 와이어(W)와 연결된 이송대차(250)가 레일(220)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시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20)은,
안쪽으로 제 1 레일(221)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221) 외측으로 제 2 레일(222)이 설치되되,
상기 제 1 레일(221)은 지면에서 시작되는 제 1 구간(221a)과 제 1 구간(221a)이 끝단이 절곡된 부분의 제 2 구간(221b)으로 형성되어,
이송대차(250)가 절곡된 제 2 구간(222b)을 지날 때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시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320)는 이송대차(250)의 일측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181U KR20150003962U (ko) | 2014-04-21 | 2014-04-21 | 콘크리트 이송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181U KR20150003962U (ko) | 2014-04-21 | 2014-04-21 | 콘크리트 이송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962U true KR20150003962U (ko) | 2015-10-29 |
Family
ID=5443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181U KR20150003962U (ko) | 2014-04-21 | 2014-04-21 | 콘크리트 이송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3962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00531A (zh) * | 2016-02-26 | 2016-04-20 | 安徽理工大学 | 一种混凝土搅拌输送机 |
CN107283644A (zh) * | 2016-03-10 | 2017-10-24 | 甘丽霞 | 一种地下混凝土预制场 |
KR102103829B1 (ko) * | 2019-12-04 | 2020-04-24 |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
CN114425820A (zh) * | 2021-12-29 | 2022-05-03 |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
KR20230093670A (ko) * | 2021-12-20 | 2023-06-27 | 김경식 | 카운터웨이트용 중량조절물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 |
-
2014
- 2014-04-21 KR KR2020140003181U patent/KR2015000396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00531A (zh) * | 2016-02-26 | 2016-04-20 | 安徽理工大学 | 一种混凝土搅拌输送机 |
CN107283644A (zh) * | 2016-03-10 | 2017-10-24 | 甘丽霞 | 一种地下混凝土预制场 |
KR102103829B1 (ko) * | 2019-12-04 | 2020-04-24 |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
KR20230093670A (ko) * | 2021-12-20 | 2023-06-27 | 김경식 | 카운터웨이트용 중량조절물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 |
CN114425820A (zh) * | 2021-12-29 | 2022-05-03 |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
CN114425820B (zh) * | 2021-12-29 | 2024-05-10 |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03962U (ko) | 콘크리트 이송시설 | |
JP6308924B2 (ja) | 積込み装置、積込みシステム、及び堤体の構築方法 | |
KR20120025775A (ko) | 이동식 배쳐플랜트 | |
KR101359929B1 (ko) | 강섬유 공급호퍼가 장착된 이동식 믹서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구조물 | |
CN102390085A (zh) | 一种自动提料的混凝土搅拌机 | |
CN101537928A (zh) | 螺旋筒提升机 | |
CN202753283U (zh) | 一种可移动混凝土搅拌装置 | |
CN216551950U (zh) | 一种斜井混凝土运输系统 | |
CN212927072U (zh) | 混凝土转存上料机构 | |
CN205097366U (zh) | 用于水泥搅拌机自动进料的升降支架 | |
CN206374037U (zh) | 轻骨料混凝土搅拌注装车 | |
CN205636746U (zh) | 一种用于水电站地下厂房混凝土快速入仓的装置 | |
CN111216249B (zh) | 一种混凝土生产系统 | |
CN104802309A (zh) | 建筑材料混合系统 | |
KR200379068Y1 (ko) | 콘크리트용 골재 혼합장치 | |
CN207660286U (zh) | 大跨度厂房混凝土垂直运输装置 | |
CN204322295U (zh) | 一种自动配比输送装置 | |
CN207915761U (zh) | 钢筋混凝土排水管生产流水线的上料智能控制系统 | |
KR20040059628A (ko) |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시스템 | |
CN205735542U (zh) | 一种矿井混凝土搅拌机 | |
CN220110981U (zh) | 多功能混料系统 | |
CN104608252A (zh) | 一种砂浆搅拌机中的砂石送料装置 | |
CN215359142U (zh) | 一种建筑混凝土加工用配置设备 | |
CN213260312U (zh) | 一种混凝土管道拌料设备 | |
CN220482136U (zh) | 一种干混砂浆工地用移动搅拌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