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829B1 -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829B1
KR102103829B1 KR1020190160191A KR20190160191A KR102103829B1 KR 102103829 B1 KR102103829 B1 KR 102103829B1 KR 1020190160191 A KR1020190160191 A KR 1020190160191A KR 20190160191 A KR20190160191 A KR 20190160191A KR 102103829 B1 KR102103829 B1 KR 10210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teel fibers
steel
vertic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Priority to KR102019016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0Mixing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mixtures contain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34Mixing on or by conveyors, e.g. by belts or chains provided with mix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섬유의 수직방향 이송을 통해 공간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이송 과정에서 강섬유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강섬유의 뭉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강섬유를 저장하며 저장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강섬유저장조; 상기 강섬유저장조에서 배출되는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전달지점으로 이송하는 제 1이송분산부; 및 상기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이송분산부에 전달되는 강섬유를 상부로 이송시킨 후 배출하는 수직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Vertical type transporting apparatus of steel fiber}
본 발명은 강섬유의 수직 방향 이송을 통해 공간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이송 과정에서 강섬유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강섬유의 뭉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숏크리트는 시멘트, 굵은 골재, 모래, 강섬유(steel fiber), 물 및 급결제 등을 압축 공기로 불어 넣는 모르타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숏크리트 층은 매우 작은 틈새에도 들어가며 시공면도 확실히 밀착하여 밀도 강도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방수용 모르타르 마감, 암반의 보호, 콘크리트의 수리 및 강재의 녹 방지 등에 이용된다.
특히, 터널공사현장에서는 터널을 구축하기 위한 라이닝 등에서 숏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다. 터널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숏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는 확실하게 구별되도록 제조되어 터널공사 시 분사되는 숏크리트가 천정에 잘 부착되면서 빠른 시간 안에 경화(양생)되어야 하며, 또 경화된 후에는 물기를 차단할 수 있어야하고 어느 정도 고강도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숏크리트는 1 배치(batch)에 필요한 시멘트, 자갈 등과 같은 굵은 골재, 모래, 강섬유 및 물과 경화제 등과 같은 유동화를 믹서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배출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24550호(2013. 1. 15. 등록)에 기재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배치 플랜트는 모래 등과 같은 잔골재를 저장하는 잔골재 저장부, 광물질 저장부, 자갈 등과 같은 굵은 골재 저장부가 콘크리트 믹서를 향하여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 시멘트를 저장하는 시멘트 사일로 및 광물질 사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저장부들에서 배출되는 잔골재, 광물질 및 굵은 골재 등은 그 하부에 직렬로 배치된 컨베이어의 상부로 낙하되어 콘크리트 믹서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배치 플랜트는 직렬 배치된 형태로써 골재별 또는 강섬유와 같은 기타 첨가재별로 개별 이송을 위한 이송수단으로서 수평 구조물들이 적용되어 있는 바, 넓은 대지 면적이 확보되어야 함으로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협소한 장소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55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섬유의 수직 방향 이송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합 플랜트를 구축할 수 있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강섬유를 저장하며 저장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강섬유저장조; 상기 강섬유저장조에서 배출되는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전달지점으로 이송하는 제 1이송분산부; 및 상기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이송분산부에 전달되는 강섬유를 상부로 이송시킨 후 배출하는 수직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로부터 이격된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상기 전달지점에서 전달되는 강섬유가 적재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승강롤러가 양측면에 장착되어 연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구; 및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윈치; 상기 가이드레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적재함을 대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인양풀리; 및 일측이 상기 와이어윈치에 귄취되고 타측이 상기 인양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적재함에 연결되어 와이어윈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이 상승하도록 인양하는 인양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전달지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고정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강섬유저장조에서 배출되는 강섬유가 안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안치된 강섬유를 상기 전달지점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의 수평 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개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C형강;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C형강의 개방면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C형강의 개방면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의 일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C형강의 내측에 위치하여 C형상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주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복수의 측벽이 구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되 상기 전달지점을 향하는 일 측벽이 개방되는 가이드박스; 및 상기 가이드박스의 개방된 일 측벽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분산날;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분산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이송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강섬유를 전달받고 전달된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배출지점으로 이송하되 상기 제 1이송분산부와 동일한 수평 이동 구조를 갖는 제 2이송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강섬유의 수직 방향 이송을 통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함으로써 수평형 이송 구조에 의해 충분한 대지 면적을 확보되어야하는 종래 배합 플랜트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합 플랜트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강섬유의 이송 과정에서 적어도 1회 이상 강섬유의 물리적인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합장치를 통해 배합 생산되는 숏크리트에 있어 강섬유의 뭉침 현상으로 인한 결과물의 내구성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이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과 개폐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이송분산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강섬유저장조(10)와 제 1이송분산부(20) 및 수직이송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강섬유저장조(10)는 숏크리트 배합에 일 조성으로 활용되는 강섬유를 저장하며 저장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강섬유저장조(10)의 저장 및 배출 구조는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강섬유저장조(10)는 진동기에 의해 내부 저장된 강섬유를 상부로 배출하는 도징머신(Dosing Machine)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강섬유저장조(10)의 배출구는 이송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이송분산부(20)의 이송컨베이어(220)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강섬유저장조(10)에서 배출되는 강섬유가 안치되며 안치되는 강섬유를 선택된 전달지점으로 이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강섬유를 선택된 전달지점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강섬유가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숏크리트 조성물의 보강 목적으로 배합되는 강섬유의 경우 입자의 특성 상 강섬유 간 뭉침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를 통해 강섬유가 배합플랜트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강섬유의 뭉침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1회 이상 물리적인 분산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이송분산부(20)의 상세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수직이송부(30)는 상기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에 전달되는 강섬유를 상부로 이송시킨 후 배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에서 배출되는 강섬유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종래 배합 플랜트의 수평 이송 방식에 비하여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이송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과 적재함(310)과 개폐구(320) 및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은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로부터 이격된 전달지점에서 상호 일정 간격을 유치한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310)이 승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300)은 상호 대면하는 내측에 홈부가 구성되는 통상의 레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재함(31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개구부(311)가 마련되어 상기 전달지점에서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강섬유가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31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이 갖는 홈부를 따라 각각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승강롤러(312)가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에 의해 형성되는 승강 공간 내에서 연직방향으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310)은 승강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 강섬유를 전달받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강섬유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구(320)는 상기 적재함(3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310)에 적재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일 예로 상기 적재함(310)의 하부면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310)의 하부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321)와 상기 적재함(310)의 하부면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321)의 일면에 밀착 설치되는 유동구(322) 및 일측이 상기 유동구(322)에 연결되고 실린더로드가 마련된 타측이 상기 적재함(310)의 일면에 연결되며 실린더로부터 실린더로드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는 유압실린더(3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320)는 상기 유압실린더(323)의 작동에 실린더로드가 인장 또는 압축됨에 따라 상기 유동구(322)를 고정구(321)로부터 이격되게하거나 또는 밀착되게 힌지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적재함(310)에 적재 및 수용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적재함(320)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윈치(33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상기 적재함(320)을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정 설치되는 인양풀리(340) 및 일측이 상기 와이어윈치(330)에 귄취되고 타측이 상기 인양풀리(340)를 경유하여 상기 적재함(320)에 연결되어 와이어윈치(3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320)이 상승하도록 인양하거나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인양와이어(3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이송분산부(20)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이송분산부(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지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고정된 지지프레임(200)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강섬유저장조(10)에서 배출되는 강섬유가 안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안치된 강섬유를 상기 전달지점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2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수단(230) 및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의 수평 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수단(2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복수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직립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되면서 지지프레임(200)으로부터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고 개방면(251)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C형강(250)과,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C형강(250)의 개방면(251)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260) 및 상기 C형강(250)의 개방면(251)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250)의 일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C형강(250)의 내측에 위치하여 C형상(250)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주행롤러(2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동프레임(210)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안정적인 수평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는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이동프레임(210)의 수평 이동에 함께 연동된다.
즉 본 실시 예의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를 통해 안치된 강섬유를 어느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20)가 이송 대상이 되는 강섬유을 전달받거나 또는 배출하기에 적합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는 벨트컨베이어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길이방향의 최외측에는 각각 구동롤러(221-1)와 피동롤러(221-2)가 결합되고 구동롤러(221-1)와 피동롤러(221-2) 간을 둘러싸는 벨트(22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는 벨트(223)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구동롤러(221-1)와 피동롤러(221-2) 사이에 복수의 지지롤러(222)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는 상기 벨트(223)를 통해 일 방향 이송되는 강섬유가 전달지점에서 자연스럽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향의 경사구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벨트(223)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222)의 높이가 상기 구동롤러(221-1)와 피동롤러(221-2) 보다 높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벨트(223)의 상부에 안치되는 강섬유가 이송 과정에서 전달지점 이전에 낙하하지 않도록 하나의 지지롤러(222)를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단위 롤러로 구성하면서, 상호 인접하는 단위 롤러의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배치시켜 벨트(223)가 지지롤러(222)에 지지되는 평행 구간에서 골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구동수단(23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프레임(210)과 함께 일체 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롤러(221-1)에 전달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력(회전력)을 상기 구동롤러(221-1)로 전달한다.
상기 제 2구동수단(240)은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이동프레임(210)이나 또는 연결프레임(260)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의 인장 또는 압축에 의해 지지프레임(200)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상기 이동프레임(210)이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제 1이송분산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섬유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산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강섬유의 뭉침 현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10)에 결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복수의 측벽(281)이 구성되어 내부에 공간부(282)가 마련되되 상기 전달지점을 향하는 일 측벽(281)이 개방되는 가이드박스(280) 및 상기 가이드박스(280)의 개방된 일 측벽(281)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분산날(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박스(28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10)의 수평 이동을 통해 강섬유저장조(10)의 배출구에 인접하여 배출되는 강섬유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이를 공간부(282)가 가이드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20)로 강섬유가 안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282)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측벽(281)이 구성되어 공간부(282)에 의한 강섬유의 하부 이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가이드박스(280)의 공간부(282)로 투입되는 강섬유는 그 일부가 공간부(282)의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이송컨베이어(220)에 안치되므로, 이송컨베이어(220)의 일방향 이송에 따라 공간부(282)에 수용된 강섬유 역시 일방향으로 다시 말해 전달지점을 향하여 이송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강섬유는 복수의 분산날(290)이 설치된 측벽(281)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결국 분산날(290)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강섬유가 분산날(290)의 수직 또는 수평 결 방향으로 분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달지점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이송부(3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강섬유를 전달받고 전달된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배출지점으로 이송하는 제 2이송분산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와 동일한 수평 이동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이송분산부(20)에 의해 1차적으로 분산된 상태로 전달지점으로 이동된 강섬유는 상기 수직이송부(30)를 통해 상부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상부로 이송된 강섬유를 전달받아 한번 더 분산 처리한 후 선택된 배출지점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지점은 수직형 구조를 갖는 배합 플랜트의 배합설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 역시 제 1이송분산부(20)와 마찬가지로 수평 방향 유동이 가능한 바, 상기 수직이송부(30)에 의해 상승한 적재함(310)의 위치와, 그에 따라 강섬유를 전달받게 되는 위치 및 전달받은 강섬유를 분산시킨 후 이송해야할 배출지점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 2이송분산부(40)의 수평 방향 유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강섬유저장조(10)에 저장된 강섬유는 강섬유저장조(10)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배합 중량 또는 설정된 배출 중량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의 가이드박스(280)로 낙하 및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박스(28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전 제어를 통해 상기 강섬유저장조(10)의 배출구와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의 이동프레임(210)은 상기 적재함(310)의 수직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수직이송부(30)의 적재함(310)은 개폐부(320)가 닫힌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전달지점에서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보다 낮은 위치에 대기하여 개구부(311)에 강섬유의 적재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송부(30)의 적재함(310)이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보다 낮게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220)에서 분산 및 이송되는 강섬유가 상기 적재함(310)의 개구부(311)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10)을 이동시켜 이송컨베이어(220)의 일측이 상기 적재함(310)에 근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는 상기 가이드박스(280)로 강섬유의 투입이 완전히 완료되면 또는 강섬유의 투입이 시작된 이후가 되면, 제 1구동수단(230)을 작동시켜 이송컨베이어(220)에 의해 강섬유의 일방향 이송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송 과정 중 가이드박스(280)의 일측벽(281)에 마련된 복수의 분산날(290)을 상기 강섬유가 통과하게 되면서 분산이 1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20)의 계속적인 이송에 따라 분산된 강섬유가 상기 적재함(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적재 및 수용된다.
상기 적재함(310)에 대한 강섬유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의 이동프레임(21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적재함(310)이 상승 이동함에 상기 제 1이송분산부(2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수직이송부(30)는 상기 적재함(310)을 상기 제 2이송분산부(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승 이동시키고, 적재함(310)의 수직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의 이동프레임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함(310)의 하부에 제 2이송분산부(40)의 가이드박스가 위치하게 함으로써 개폐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강섬유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구(320)로부터 강섬유가 제 2이송분산부(40)로 전달되면,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는 이송컨베이어를 작동시키면서 이동프레임을 수평 이동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송컨베이어와 이동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의 이송컨베이어 작동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에 안치된 강섬유는 이송과 함께 이송 과정에서 2차적으로 강섬유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송컨베이어의 일 방향 이송을 통해 분산된 강섬유가 선택된 배출지점으로 낙하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지점은 상기 제 2이송분산부(40)의 이송컨베이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배출된 강섬유가 유입되는 배합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에 의한 강섬유의 수직 방향 이송은 수직형 배합 플랜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언급한 수직형 배합 플랜트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탑형 구조물로 하나 이상의 골재저장조와, 골재저장조에서 기설정된 배합비에 따라 배출되는 골재를 배합하여 숏크리트 등을 생산하는 배합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상기 수직형 배합 플랜트의 배합장치의 유입구를 배출지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는 강섬유의 수직 방향 이송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배합 플랜트가 갖는 문제점 즉 수평형 이송 구조에 의해 충분한 대지 면적을 확보해야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배합 플랜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강섬유의 이송 과정에서 적어도 1회 이상 강섬유의 물리적인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합장치를 통해 배합 생산되는 숏크리트 조성물 등에 있어 강섬유의 뭉침 현상으로 인한 결과물의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강섬유저장조 20 : 제 1이송분산부
30 : 수직이송부 40 : 제 2이송분산부
200 : 지지프레임 210 : 이동프레임
220 : 이송컨베이어 230 : 제 1구동수단
240 : 제 2구동수단 250 : C형강
260 : 연결프레임 270 : 주행롤러
280 : 가이드박스 290 : 분산날
300 : 가이드레일 310 : 적재함
320 : 개폐구 330 : 와이어윈치
340 : 인양풀리 350 : 인양와이어

Claims (7)

  1. 강섬유를 저장하며 저장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강섬유저장조;
    상기 강섬유저장조에서 배출되는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전달지점으로 이송하는 제 1이송분산부; 및
    상기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이송분산부에 전달되는 강섬유를 상부로 이송시킨 후 배출하는 수직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전달지점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고정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강섬유저장조에서 배출되는 강섬유가 안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안치된 강섬유를 상기 전달지점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구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의 수평 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과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개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C형강;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C형강의 개방면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C형강의 개방면에 대향하는 연결프레임의 일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C형강의 내측에 위치하여 C형상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주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제 1이송분산부로부터 이격된 전달지점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상기 전달지점에서 전달되는 강섬유가 적재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승강롤러가 양측면에 장착되어 연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강섬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개폐구; 및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윈치;
    상기 가이드레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적재함을 대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인양풀리; 및
    일측이 상기 와이어윈치에 귄취되고 타측이 상기 인양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적재함에 연결되어 와이어윈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함이 상승하도록 인양하는 인양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분산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복수의 측벽이 구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되 상기 전달지점을 향하는 일 측벽이 개방되는 가이드박스; 및
    상기 가이드박스의 개방된 일 측벽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분산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분산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이송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강섬유를 전달받고 전달된 강섬유를 분산시키면서 선택된 배출지점으로 이송하되 상기 제 1이송분산부와 동일한 수평 이동 구조를 갖는 제 2이송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KR1020190160191A 2019-12-04 2019-12-04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KR10210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91A KR102103829B1 (ko) 2019-12-04 2019-12-04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91A KR102103829B1 (ko) 2019-12-04 2019-12-04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829B1 true KR102103829B1 (ko) 2020-04-24

Family

ID=7046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191A KR102103829B1 (ko) 2019-12-04 2019-12-04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8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687Y1 (ko) * 2000-12-29 2001-06-01 합자회사 태림산업 아스콘 제조장치의 섬유첨가제 공급장치
KR101224550B1 (ko) 2010-07-23 2013-01-22 한국도로공사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20150003962U (ko) * 2014-04-21 2015-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이송시설
KR20190104658A (ko) * 2018-03-02 2019-09-11 정병인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JP2019151020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北川鉄工所 繊維分散機構および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687Y1 (ko) * 2000-12-29 2001-06-01 합자회사 태림산업 아스콘 제조장치의 섬유첨가제 공급장치
KR101224550B1 (ko) 2010-07-23 2013-01-22 한국도로공사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20150003962U (ko) * 2014-04-21 2015-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이송시설
KR20190104658A (ko) * 2018-03-02 2019-09-11 정병인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JP2019151020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北川鉄工所 繊維分散機構および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oilfield materials
US20240182237A1 (en) 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ulk material containers
ES2812234T3 (es) Una planta de dosificación de hormigón que tiene un tiempo de ciclo reducido y un tiempo de instalación y desmontaje reducido
US10336533B2 (en) Collapsible particulate matter container
US9776813B2 (en) Mobile dry material storage
US10077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oilfield materials
CA3007350C (en) Mull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bulk material released from portable containers
RU264473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ефтепромысл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2103830B1 (ko) 수직형 이송 구조를 갖는 숏크리트 배합 시스템
CN106426566B (zh) 一种矿山井下湿喷混凝土搅拌站制浆装置和方法
KR102103829B1 (ko) 수직형 강섬유 이송장치
WO2013150362A1 (en) Apparatus to feed inert material in a concrete mixing plant or an asphalt production plant
KR101557433B1 (ko) 포터블형 시멘트 하역설비
US20070297883A1 (en)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JP2008302646A (ja) コンクリート製造供給プラント
WO2007143213A2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CN219822974U (zh) 一种砼运输系统
JP7233996B2 (ja) ばら物荷揚げ装置、および、ばら物荷揚げ装置の据付方法
KR102152812B1 (ko) 수직형 골재 이송장치
Дьяченко et al. An overview of the constructions of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s, comparison and study of their parameters
KR20230066996A (ko) 케이슨 갠트리 슬립폼 콘크리트 공급장치
JP2014201983A (ja) アスファルト合材の搬送装置
JPH08260413A (ja) 合材バケットの移送装置
JPH03164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