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75U -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75U
KR20150003775U KR2020140002818U KR20140002818U KR20150003775U KR 20150003775 U KR20150003775 U KR 20150003775U KR 2020140002818 U KR2020140002818 U KR 2020140002818U KR 20140002818 U KR20140002818 U KR 20140002818U KR 20150003775 U KR20150003775 U KR 201500037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over
mattress
human body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140002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775U/ko
Publication of KR20150003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각 부분별 탄성의 강도를 다르도록 하는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를 구비하여, 인체를 각 부위별로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MATTRESS HAVING BENDED STRUCTURE}
본 고안은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 기구의 일종으로, 생활패턴 및 주거환경의 변화가 서구화되면서 침대의 보급률 또한, 꾸준하게 증가되어 현재는 침대문화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침대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에 올려지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매트리스(10)는 매트리스(10)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부(12)와, 테두리부(12)의 내측 공간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스프링(14)들의 탄성에 의해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줌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을 받쳐 주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매트리스(10)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인체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부분의 스프링(14)들이 다른 부분의 스프링(14)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 또는 탄성이 약화되어 매트리스(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안락함을 주는 라텍스나 메모리폼 등으로 제조된 매트리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라텍스 매트리스는 뛰어난 원형 복구력을 지님은 물론, 내구성이 강하며, 소재의 유연한 특성이 취침시 인체의 굴곡을 감싸주어 척추와 둔부가 받는 체중의 부담감을 덜어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라텍스매트리스는 다수의 공기구멍이 있어 탄력성 및 원상 회복성이 뛰어나며, 상기 공기구멍의 크기를 달리하여 라텍스매트리스의 밀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라텍스매트리스의 경우, 신체부위의 굴곡에 따라 밀도를 다르게 하여, 신체 각 부분에 따라 3존, 7존 등으로 구분하고, 존 별로 탄력성이 다르도록 제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신체의 오목한 부위 즉, 허리를 받쳐주어야 하는 부분은 공기구멍의 크기를 작고 촘촘하게 하여 허리를 단단하게 받쳐주도록 하고, 신체의 돌출된 부위 즉, 어깨나 엉덩이를 받쳐주어야 하는 부분은 공기구멍의 크기를 크게 하여 어깨나 엉덩이를 탄력 있게 받쳐주도록 하여, 인체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텍스매트리스는 천연 라텍스 고무로 제조되므로 소재 자체가 고가이며, 밀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구멍의 크기를 부분별로 달리하는 과정에서 별도 비용이 소요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5445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도록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 1 매트; 및 상기 제 1 매트와 상이한 경도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제 1 매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체 곡선을 따라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매트는 상기 제 2 매트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메모리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매트는 상기 제 1 매트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필터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굴곡부는 제 1 볼록부와, 제 1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는 인체의 볼록한 부위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오목부는 인체의 오목한 부위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굴곡부는 제 2 오목부와, 제 2 볼록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매트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 1 커버; 상기 제 2 매트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 2 커버; 상기 제 1 매트의 측부와 상기 제 2 매트의 측부를 일체로 커버하되, 그 일측은 상기 제 1 커버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 2 커버와 연결되는 측부커버; 및 상기 측부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되도록 지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지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는 면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흡한속건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커버는 매쉬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는 각 부분별 탄성의 강도를 다르도록 하는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를 구비하여, 인체를 각 부위별로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원재료매트를 컷팅시켜서 제 1 매트 또는 제 2 매트를 형성시키면, 그 반대 측에 구비된 남은 매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재료의 낭비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회전시켜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커버부재의 제 1 커버에 눕는 사용자에게 면 특유의 보온성, 흡수성 등을 제공하고, 커버부재의 제 2 커버에 눕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사용촉감을 제공하고 항상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와 제 2 매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와 제 2 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와 제 2 매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와 제 2 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100)는 제 1 매트(110) 및 제 2 매트(120)를 포함한다.
제 1 매트(110)와 제 2 매트(120)는 상호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매트(110)와 제 2 매트(120)는 각각 가로 1,500㎜, 세로 2000㎜ 및 높이 200㎜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매트(120)는 제 1 매트(110)의 하부에 배치된 후 상호 접착된다. 제 1 매트(110)와 제 2 매트(120)의 재질을 살펴보면, 제 1 매트(110)는 제 2 매트(12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메모리폼(Memory Foam) 등으로 구성된다. 제 2 매트(120)는 제 1 매트(1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필터폼 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폼은 저탄성 폴리우레탄폼으로서, 쿠션을 요구하는 침구류, 예를 들면, 베게, 매트리스(100)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나, 탄성이 낮아서, 가해지는 충격의 95% 이상을 흡수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도 높은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필터폼은 내구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을 발포시켜서 제조하는 것으로, 탄성강도와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오랫동안 사용해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스며들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필터폼의 발포 구조는 공기 순환 및 통풍이 원활하므로, 욕창 환자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있다.
한편, 제 1 매트(110)와 제 2 매트(12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체 곡선을 따라 굴곡 구조 즉, 제 1 굴곡부(112)와 제 2 굴곡부(122)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굴곡부(112)는 다수 개의 제 1 볼록부(112a)와 제 1 오목부(112b)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고, 제 2 굴곡부(122)는 다수 개의 제 2 오목부(122a)와 제 2 볼록부(122b)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제 1 볼록부(112a)와 제 1 오목부(112b)에 제 2 오목부(122a)와 제 2 볼록부(122b)가 각각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볼록부(112a)와 제 1 오목부(112b)는 메모리폼으로 구성되므로, 탄성과 경도가 낮으며, 제 2 오목부(122a)와 제 2 볼록부(122b)는 필터폼으로 구성되므로, 탄성과 경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오목부(112b)와 제 2 볼록부(122b)는 인체의 하중을 적게 받아 탄성 대신 지지력을 요하는 인체의 오목한 부분, 예를 들면 허리 등과 대향되고, 제 1 볼록부(112a)와 제 2 오목부(122a)는 인체의 하중을 많이 받아 큰 탄성력을 요하는 인체의 볼록한 부분, 예를 들면 엉덩이 등과 대향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별도의 복잡한 구조나 구성없이, 각 부분별로 탄성의 강도를 다르게 하는 제 1 굴곡부(112)와 제 2 굴곡부(122)를 이용하여, 인체를 각 부위별로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인체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 1 매트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와 같이, 제 1 매트(110)보다 2배 두껍도록 형성되는 원재료매트(M)를 준비한 후, 제 1 매트(110)의 하부에 제 1 굴곡부(112)가 형성되도록 컷팅 처리하여, 도 4의 (b)와 같이, 제 1 매트(110)의 제 1 굴곡부(112)에 제 1 볼록부(112a)와 제 1 오목부(112b)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매트(110)의 하부에는 잔여매트(110')가 구비되는데, 잔여매트(110')의 상부에는 제 1 매트(110)의 제 1 굴곡부(112)와 대칭되도록 제 1 대칭굴곡부(112')가 구비된다. 제 1 대칭굴곡부(112')는 제 1 매트(110)의 제 1 볼록부(112a) 및 제 1 오목부(112b)와 대칭되도록 제 1 대칭오목부(112b') 및 제 1 대칭볼록부(112a')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비된 잔여매트(110')는 도 4의 (c)와 같이 상하 회전시킨 후, 도 4의 (d)와 같이, 좌우로 회전시키면 제 1 매트(110)와 동일해지게 된다. 이처럼 원재료매트(M)를 컷팅시켜서 제 1 매트(110)를 형성하면, 그 하부에 구비된 잔여매트(110')를 제 1 매트(110)로 재활용 수 있어, 재료의 낭비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 1 매트(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2 매트(12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10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볼록부(112a), 제 1 오목부(112b), 제 2 볼록부(122b) 및 제 2 오목부(122a)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100)는 제 1 굴곡부(112)를 구비하는 제 1 매트(110)와, 제 2 굴곡부(122)를 구비하는 제 2 매트(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굴곡부(112)는 제 1 볼록부(112a)와 제 1 오목부(112b)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112a)는 인체의 볼록한 부분, 예를 들면, 머리, 어깨, 엉덩이 및 종아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오목부(112b)는 인체의 오목한 부분, 예를 들면, 허리, 허벅지 및 발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굴곡부(122)는 제 2 오목부(122a)와 제 2 볼록부(122b)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112a) 및 상기 제 1 오목부(112b)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제 2 오목부(122a)는 인체의 머리, 어깨, 엉덩이 및 종아리와 대향되고, 제 2 볼록부(122b)는 인체의 허리, 허벅지 및 발과 대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매트(110)의 상부에 누운 경우, 사용자의 돌출된 부분, 예를 들면, 머리, 어깨, 엉덩이 및 종아리는 제 2 오목부(122a)보다 단면적이 큰 제 1 볼록부(112a)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면, 사용자의 오목한 부분, 예를 들면, 허리, 허벅지 및 발은 제 1 오목부(112a)보다 단면적이 큰 제 2 볼록부(122b)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인체의 곡선에 따라 탄성의 강도를 다르게 하여, 인체의 하중을 균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10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커버부재(1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100)는 일측에 제 1 굴곡부(112)를 구비하는 제 1 매트(110)와, 상기 제 1 매트(110)의 일측과 마주보는 일측에 제 2 굴곡부(122)를 구비하는 제 2 매트(120)와, 이들 제 1 매트(110)와 제 2 매트(120)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30)는 제 1 커버(132), 제 2 커버(134), 측부커버(136) 및 지퍼부재(138)를 포함한다. 제 1 커버(132)는 제 1 매트(11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내구성, 보온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면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된다. 제 2 커버(134)는 제 2 매트(120)의 타측을 커허바도록 형성되며 흡한속건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된다. 흡한속건 원단은 수분 흡수력이 우수하고, 속건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사, 이형단면 나일론사 또는 극세사로 이루어진다. 측부커버(136)는 공기가 잘 통하도록 매쉬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매트(110)의 측부와 상기 제 2 매트(120)의 측부를 일체로 커버하되, 그 일측은 상기 제 1 커버(132)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 2 커버(134)와 연결된다. 지퍼부재(138)는 측부커버(136)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되도록 지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4면 지퍼로 구성된다.
그리고 봄, 가을, 겨울에는 면 재질의 제 1 커버(13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 1 커버(132)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면 특유의 성질, 예를 들면 보온성 및 흡수성을 제공한다. 반면, 여름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는 흡산속건 재질의 제 2 커버(134)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 2 커버(134)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사용촉감을 제공하고 항상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매트리스 110: 제 1 매트
112: 제 1 굴곡부 112a: 제 1 볼록부
112b: 제 1 오목부 120: 제 2 매트
122: 제 2 굴곡부 122a: 제 2 오목부
122b: 제 2 볼록부 130: 커버부재
132: 제 1 커버 134: 제 2 커버
136: 측부커버 138: 지퍼부재

Claims (5)

  1. 제 1 매트; 및
    상기 제 1 매트와 상이한 경도로 제작되며, 그 일측이 상기 제 1 매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인체 곡선을 따라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트는 상기 제 2 매트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메모리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매트는 상기 제 1 매트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필터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는 제 1 볼록부와, 제 1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는 인체의 볼록한 부위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오목부는 인체의 오목한 부위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굴곡부는 제 2 오목부와, 제 2 볼록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매트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 1 커버;
    상기 제 2 매트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 2 커버;
    상기 제 1 매트의 측부와 상기 제 2 매트의 측부를 일체로 커버하되, 그 일측은 상기 제 1 커버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 2 커버와 연결되는 측부커버; 및
    상기 측부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되도록 지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지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면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흡한속건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커버는 매쉬 재질의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KR2020140002818U 2014-04-07 2014-04-07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KR201500037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18U KR20150003775U (ko) 2014-04-07 2014-04-07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18U KR20150003775U (ko) 2014-04-07 2014-04-07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75U true KR20150003775U (ko) 2015-10-15

Family

ID=5434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818U KR20150003775U (ko) 2014-04-07 2014-04-07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7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4355C (en) Mattress with removable insert
EP1576908A2 (en) Mattress with spaced knitted fabric
US4827546A (en) Fluid mattress
JP4680057B2 (ja)
US8528132B2 (en) Mattress carrier and such a mattress carrier provided with mattress
EP0962171A1 (en) Modular mattress with gradually varying heights toward the center, having different rigidities and elastic responses
WO2014194756A1 (zh) 人体重力聚散平衡床垫
JP2005312649A (ja)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KR20150003775U (ko) 굴곡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KR20100095922A (ko) 탄성쿳션부재 침구용 커버
JP4076432B2 (ja) 腰痛予防マット
KR20130026347A (ko) 서로 다른 강도의 탄성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매트
CN208925583U (zh) 一种分区床垫
CN209548276U (zh) 一种充气防褥疮垫
KR20170069620A (ko) 상이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20170020081A (ko) 인체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며 통기성이 향상된 침대 매트리스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KR101653112B1 (ko)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통풍매트
CN213786440U (zh) 一种分区多点支撑的支撑垫
EP2999376A1 (en) A mattress
CN203619779U (zh) 护理用透气床垫
CN218942688U (zh) 一种软硬可调节床垫
US20160081867A1 (en) Modular therapy mattress
CN216416622U (zh) 一种便于拆解更换的可视床垫
CN217137333U (zh) 护肩护腰床垫及具有该护肩护腰床垫的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