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27A
KR20150003627A KR20130076747A KR20130076747A KR20150003627A KR 20150003627 A KR20150003627 A KR 20150003627A KR 20130076747 A KR20130076747 A KR 20130076747A KR 20130076747 A KR20130076747 A KR 20130076747A KR 20150003627 A KR20150003627 A KR 2015000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elf
hanger bracket
refrigerat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985B1 (ko
Inventor
임억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3007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행거브라켓과, 상기 행거브라켓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선반과,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는 스토퍼가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상기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 제한을 보다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가 체결되는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가 걸림턱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 등을 저온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며,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선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8760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선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132)이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130) 및 가이드 레일(13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슬라이딩부(146)가 형성되어 서포트 프레임(13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선반(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슬라이딩 선반(140)의 인출시 슬라이딩 선반(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34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달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큰 힘을 가하여 선반을 인출할 때 스토퍼가 걸리는 부분을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충격에 의한 스토퍼의 파손시, 스토퍼의 보수 및 교체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스토퍼 및 스토퍼가 걸리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스토퍼 및 스토퍼가 걸리는 부분의 파손 또는 형상의 변화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가 체결되는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가 걸림턱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행거브라켓과, 상기 행거브라켓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선반과,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는 스토퍼가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어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에 형성되는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행거브라켓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절곡부가 위치하고,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후크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상기 스토퍼가 체결되는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으로 함으로써, 스토퍼가 걸림턱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스토퍼가 걸림턱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의 크기 및 형상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큰 힘을 가하여 선반을 인출할 때에도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스토퍼가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므로, 충격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파손시, 상기 스토퍼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스토퍼를 탄성재질로 제작하거나, 걸림턱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 및 상기 걸림턱의 파손 또는 형상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선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인출 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인출 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스토퍼가 결합부에 결합 되기 전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스토퍼가 결합부에 결합 된 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15)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15)의 인출 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15)의 인출 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스토퍼(420)가 결합부(440)에 결합 되기 전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스토퍼(420)가 결합부(440)에 결합 된 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350)의 벽면에 설치되는 행거브라켓(410)과, 행거브라켓(410)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선반(415)과, 행거브라켓(410) 또는 선반(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413)과, 행거브라켓(410) 또는 선반(415)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440)와, 결합부(440)에는 스토퍼(420)가 체결되어 스토퍼(420)가 걸림턱(413)에 걸리는 것에 의해 선반(415)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되, 스토퍼(420)는 결합부(440)와 별도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실(350)은 본체(300) 내부에 형성된다.
저장실(350)은 식품 등을 저온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곳이다.
저장실(350)의 후벽면 좌측에는 좌측브라켓홀더(360)가 설치되고, 저장실(350)의 후벽면 우측에는 우측브라켓홀더(380)가 설치되며, 저장실(350)의 후벽면 중앙에는 중앙브라켓홀더(370)가 설치된다.
좌측,중앙,우측브라켓홀더(360,370,380)의 상부에는 2개의 행거브라켓(410)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좌측,중앙,우측브라켓홀더의 하부에는 접이식선반브라켓(450)과 행거브라켓(410)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브라켓(410)의 후방 좌측은 좌측브라켓홀더(360)의 상부에 결합 되고, 후방 우측은 중앙브라켓홀더(370)의 상부에 결합 된다.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브라켓(410)의 후방 좌측은 중앙브라켓홀더(370)의 상부에 결합 되고, 후방 우측은 우측브라켓홀더(380)의 상부에 결합 된다.
좌측에 하부에 위치하는 접이식선반브라켓(450)의 후방 좌측은 좌측브라켓홀더(360)의 하부에 결합 되고, 후방 우측은 중앙브라켓홀더(370)의 하부에 결합된다.
우측에 하부에 위치하는 행거브라켓(410)의 후방 좌측은 중앙브라켓홀더(370)의 하부에 결합 되고, 후방 우측은 우측브라켓홀더(380)의 하부에 결합 된다.
본 설명에서는 행거브라켓(410)이 3개 설치되고, 접이식선반브라켓(450)이 1개 설치되는 유형을 설명하고 있으나, 행거브라켓(410)과 접이식선반브라켓(450)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접이식선반브라켓(450)에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선반(402)과, 고정선반(402)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이동선반(404)이 설치된다.
접이식선반브라켓(450)의 양 측면 사이 중앙과 후방에는 보강부재(405)가 형성되어 있다.
행거브라켓(410)의 좌우측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가이드부(490)가 형성되고, 행거브라켓(410)의 양 측면 사이 전방과 후방에는 보강부재(405)가 형성되어 있다.
행거브라켓(410)과 접이식선반브라켓(450)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보강부(550)가 형성되어 있어서 행거브라켓(410)과 접이식선반브라켓(450)의 강도를 보강해 준다.
행거브라켓(410)의 좌우측 상단 중앙, 즉, 좌우측 가이드부(490)의 중앙에는 결합부(440)가 형성된다.
결합부(440)는 절곡부(442)와 삽입구(444)로 이루어진다.
절곡부(442)는 행거브라켓(410)의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절곡부(442)는 가이드부(49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절곡부(442)와 가이드부(490) 높이 사이에는 후술할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가 위치하게 된다.
이는 행거브라켓(410)에 형성된 가이드부(490)와 후술할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에 형성된 가이드홈(409)의 슬라이딩 시, 절곡부(44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절곡부(442)의 양측에는 이격 된 공간인 삽입구(444)가 형성된다.
결합부(440)에는 스토퍼(420)가 체결된다.
스토퍼(420)는 결합부(440)와 별도의 부품으로써, 스토퍼(420)의 크기 및 형상 등을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스토퍼(420)는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충격에 의한 스토퍼(420)의 파손 또는 형상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420)는 후술할 걸림턱(413)에 걸리는 것에 의해 선반(415)의 최대 인출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20)는 몸체(422)와 후크(424)로 이루어진다.
몸체(42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직육면체 형상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422)의 전방 좌우측 끝에는 후크(424)가 형성된다.
후크(424)는 좌우 외측으로 절곡 된 고리 형상이다.
스토퍼(420)는 결합부(440)에 체결되며, 결합부(440)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된다.
스토퍼(420)의 몸체(422) 내부 공간에는 결합부(440)의 절곡부(442)가 위치한다.
결합부(440)의 절곡부(442)는 스토퍼(4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스토퍼(4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20)의 후크(424)는 결합부(440)의 삽입구(444)에 삽입된다.
스토퍼(420)는 후크(424)를 삽입구(444) 측으로 밀어 넣으면 외측으로 절곡 된 고리 부분이 행거브라켓(410)을 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부(440)와 체결된다.
스토퍼(420)는 결합부(440)에 체결된 양쪽 후크(424)를 내측으로 눌러 삽입구(444)에서 이탈시키면 결합부(440)와 분리된다.
스토퍼(420)는 결합부(440)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므로, 충격에 의해 스토퍼(420)가 파손될 경우,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행거브라켓(410)에는 선반(415)이 장착된다.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에는 행거브라켓(410)에 형성된 가이드부(490)와 대응하는 가이드홈(409)이 형성된다.
가이드부(490)와 가이드홈(409)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선반(415)이 행거브라켓(410)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한다.
선반(415)에 좌우측 테두리(407)에 형성된 가이드홈(409)의 후방 끝 부분에는 하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부(41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7)는 'ㄷ'자 형상이고, 튀어나온 단면이 반원통 형상으로써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돌출부(417)는 저장실(350)의 후벽면 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 선반(415)을 전방으로 인출할 경우, 돌출부(417)가 전방의 가이드부(490)에 걸리게 되므로 일정 힘을 가해야만 선반(415)이 전방으로 인출되게 한다.
이때, 돌출부(417)는 반원통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힘만 가하면 부드럽게 돌출부(417)가 가이드부(490)를 넘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 하면 후방에는 걸림턱(413)이 형성된다.
걸림턱(413)은 사각기둥 형상이다.
걸림턱(413)은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행거브라켓(410)의 결합부(440)에 체결된 스토퍼(420)는 선반(415)의 전방 인출 시, 걸림턱(413)에 걸리게 되어 선반(415)의 최대 인출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걸림턱(413)은 스토퍼(420)에 접촉하는 면이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 하면에서 수직으로 위치하여, 스토퍼(420)와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로 인해, 스토퍼(420)는 걸림턱(413)을 더욱 이탈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걸림턱(413)은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 하면 측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 충격에 의해 걸림턱(41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턱(413)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선반(415)의 인출로 인한 스토퍼(420)와 걸림턱(413)의 충돌에 있어서, 스토퍼(420) 및 걸림턱(413)을 보호하여 스토퍼(420) 및 걸림턱(413)의 파손 또는 형상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토퍼(420)가 걸림턱(413)에 걸리는 것에 의해 선반(415)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실(350) 후벽면 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 선반(415)을 잡아당긴다.
선반(415)이 앞으로 인출되다가 선반(415)의 좌우측 테두리(407)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413)이 행거브라켓(410)에 형성된 결합부(440)와 체결되어 있는 스토퍼(420)에 맞닿으면 걸림턱(413)은 스토퍼(420)를 넘어가지 못한다.
이로 인해 선반(415)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그 위치가 선반(415)이 최대로 인출될 수 있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
이상, 선반(415)에 형성되는 걸림턱(413)과 행거브라켓(410)의 결합부(440)에 체결된 스토퍼(420)의 관계에 의해 선반(415)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행거브라켓(410)에 걸림턱(413)이 형성되고, 선반(410)의 결합부(440)에 스토퍼(42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300 : 본체 350 : 저장실
360 : 좌측브라켓홀더 370 : 중앙브라켓홀더
380 : 우측브라켓홀더 402 : 고정선반
404 : 이동선반 405 : 보강부재
407 : 테두리 409 : 가이드홈
410 : 행거브라켓 413 : 걸림턱
415 : 선반 417 : 돌출부
420 : 스토퍼 422 : 몸체
424 : 후크 440 : 결합부
442 : 절곡부 444 : 삽입구
450 : 접이식선반브라켓 490 : 가이드부
550 : 보강부

Claims (5)

  1.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행거브라켓;
    상기 행거브라켓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선반;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행거브라켓 또는 상기 선반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는 스토퍼가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반의 최대 인출 위치가 제한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부와 별도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어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에 형성되는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행거브라켓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절곡부가 위치하고,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후크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30076747A 2013-07-01 2013-07-01 냉장고 KR10205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47A KR102057985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47A KR102057985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27A true KR20150003627A (ko) 2015-01-09
KR102057985B1 KR102057985B1 (ko) 2019-12-20

Family

ID=524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47A KR102057985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58U (ko) * 2019-06-18 2020-12-30 신 차오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981B2 (ja) * 1995-08-03 2000-09-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58U (ko) * 2019-06-18 2020-12-30 신 차오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85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808B1 (ko) 선반 장착용 슬라이딩 레일
US8840205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WO2015103995A1 (zh) 冰箱及其抽屉组件
KR20110010405A (ko) 냉장고
KR20100032178A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47530B1 (ko) 냉장고
KR20160065725A (ko) 슬라이딩 레일 고정장치
JP4833542B2 (ja) 冷蔵庫の収納装置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50003627A (ko) 냉장고
JP2016096912A (ja) 収納部材および該収納部材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JP2015112304A (ja) 収納装置
KR200482716Y1 (ko) 냉장고의 선반 결합식 수납구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CN105333686B (zh) 制冷设备
KR100513681B1 (ko) 냉장고
JP2017029202A (ja) 引出装置
KR102057987B1 (ko) 냉장고
KR102338782B1 (ko) 냉장고
KR20160047852A (ko) 냉장고용 서랍
KR20160002101U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140088382A (ko) 냉장고 선반 조립체
KR100471105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