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41A -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 Google Patents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41A
KR20150003441A KR20130076244A KR20130076244A KR20150003441A KR 20150003441 A KR20150003441 A KR 20150003441A KR 20130076244 A KR20130076244 A KR 20130076244A KR 20130076244 A KR20130076244 A KR 20130076244A KR 20150003441 A KR20150003441 A KR 2015000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utting blade
cutting
scissor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경
Original Assignee
이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경 filed Critical 이숙경
Priority to KR2013007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41A/ko
Publication of KR2015000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잘라 주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곶감을 생산하는데 있어 잎이나 줄기를 가위날로 잘라 내는 동시에 곶감에 묻은 먼지나 잡티 등은 가위날의 측면부에 구비된 브러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털어 내도록 구성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곶감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작업하여 곶감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a multipurpose scissors}
본 발명은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잘라 주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곶감을 생산하는데 있어 잎이나 줄기를 가위날로 잘라 내는 동시에 곶감에 묻은 먼지나 잡티 등은 가위날의 측면부에 구비된 브러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털어 내도록 구성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곶감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작업하여 곶감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2개의 블레이드를 선단부에 구비하고 중간부위에 블레이드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힌지부를 설치하고 그 후방에 손잡이를 구성하여, 상기 회동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를 벌리고 오므리는 작동에 따라 선단부에 구성된 2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여 그 사이에 놓여지는 대상물을 잘라 절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위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하는 가위, 옷 수선 등에 사용하는 가위, 나뭇가지 등을 잘라 내는 전지가위, 이미용을 위한 가위 등등 그 목적이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위가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 나뭇가지나 꽃나무 등을 다듬기 위한 정지 작업용으로는 주로 전지가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가위는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수단을 더 구비하여 절단작업 시에는 손잡이를 눌러 주면서 스프링수단을 탄성적으로 압축시켜 절단작업을 시행하고 악력을 해제하면 스프링수단의 반발력으로 손잡이가 벌려져 다음 작업을 위한 준비가 되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지치기 작업 등을 실시하기 위한 전지가위로는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 편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다목적 가위 들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목적 가위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29684호의 '개량 전지가위'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06539호의 '다기능 가위', 등록실용신안 제20-0342263호의 '피망과 같은 작은 열매의 줄기를 자른 즉시 줄기를 잡아주는 수확가위' 등과 같이 여러 형태의 가위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상기 '개량 전지가위'는 전지가위 대응날의 일부분만을 톱날로 구성하고, 굵은 가지 및 부드러운 잔가지 모두를 손쉽게 절단되도록 하여 전지작업의 능률을 높힐 수 있도록 한 구성한 것이고,
상기 '다기능 가위'는 블레이드 날 선이 대칭블레이드의 비 날선 바깥에 위치시켜 가위와 칼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피망과 같은 작은 열매의 줄기를 자른 즉시 줄기를 잡아주는 수확가위'는 일반 열매수확가위 윗날의 날끝쪽에 날과 나란하게 직각으로 철판을 세워 붙이고 아랫날의 날등쪽에 등과 나란하게 직각으로 철판을 세워 붙인 다음 윗날 철판의 안쪽에 탄력철판을 붙여주어 피망과 같은 작은 열매를 자르고 줄기를 잡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KR 20-0329684 (등록번호) 2003.09.30. KR 20-0406539 (등록번호) 2006.01.12. KR 20-0342263 (등록번호) 2004.02.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위는 나뭇가지를 용이하게 잘를 수 있도록 잡아주거나 피망의 줄기을 잡아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곶감이나 사과 등의 과알 작업 시에 그 잎이나 줄기를 잘라주고 동시에 곶감 등의 과일 몸체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털어 내어 깨끗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은 전혀 할 수 없어 곶감 작업 시에 많은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곶감 등과 같은 과일 작업 시에 그 잎이나 줄기를 일반가위를 이용하여 잘라주고, 다시 솔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곶감 등의 과일 몸체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털어 내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개의 절단 블레이드를 선단부에 구비하고 중간부위에 블레이드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힌지부를 설치하여 그 후방에 손잡이를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2개의 절단블레이드의 어느 하나에 곶감털이용 브러쉬수단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블레이드로는 곶감 생산을 위해 감꼭지에 남아 있는 잎이나 줄기 등을 잘라내는 작업을 실시하고 상기 브러쉬수단으로는 곶감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털어내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곶감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곶감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가위에 있어서,
선단부에 구비되어 나뭇가지나 잎줄기의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절단부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절단블레이드와, 선단부에 구비되어 나뭇가지나 잎줄기의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절단부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절단블레이드, 상기 제1,2절단부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에서 작업대상물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가 2중으로 겹쳐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수단, 작업자의 악력에 의해 상기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절단부가 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작동손잡이, 및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과일농산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불순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브러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브러쉬탈부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는 곶감의 꼭지 작업 시 가위를 사용하여 줄기나 잎의 절단작업을 하고 난 후 다시 브러쉬수단을 사용하여 비위생적인 먼지 등을 털어내도록 하는 세정작업을 한 번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위 몸체에 브러쉬수단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절단작업을 실시하는 가위로만 사용할 수도 있고 세정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위로도 사용할 수도 있어 가위의 활용성을 다변화하는데 매우 편리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에 설치된 브러쉬수단이 탈부착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를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구비되어 곶감이나 사과의 나뭇가지나 잎줄기 등과 같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절단부(111)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선단부에 구비되어 곶감이나 사과의 나뭇가지나 잎줄기 등과 같은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절단부(121)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절단블레이드(120),
상기 제1,2절단부(111,121)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에서 작업대상물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가 2중으로 겹쳐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수단(130),
작업자의 악력에 의해 상기 힌지수단(1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절단부(111,121)가 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작동손잡이(140), 및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과일농산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불순물 등을 털어낼 수 있도록 브러쉬(151)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브러쉬탈부착수단(15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손잡이(140) 사이에는 작업자의 악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가 탄력적으로 벌어져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160)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151)는 다수개의 미세한 섬모들로 구성되면서 이들을 고정하는 몸체(151a)에 부착되어 먼지나 불순물 등을 털어내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쉬탈부착수단(150)은 본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150a)와 상기 바닥부(150a)의 모서리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가 삽설되면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150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50b)에는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150c)가 더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50b)의 상단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도록 된 이탈방지절곡부(150ba)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절곡부(150ba)는 상기 돌기부(150b)의 상단부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가 삽설되었을 때 그 상부면을 탄력적으로 압박하여 주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151)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50b)는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가 삽설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150)은 본드 등과 같은 접착수단 이외에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이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는 그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150)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수단(130)과 상기 작동손잡이(140)의 단부 사이에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150)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과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양쪽 외주 표면에 모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어느 일측의 상기 브러쉬(151)가 손상되었을 경우 타측의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100)는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150)을 설치 고정한 다음 상기 입구부(150c)를 통해 상기 브러쉬(151)의 몸체(151a)를 삽설한다.
이로써, 상기 몸체(151a)는 상기 입구부(150c)부에 탄력적으로 끼워 장착 고정되면서 이에 구비된 상기 브러쉬(151)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쉬(151)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곶감의 잎이나 줄기를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110)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120)로 잘라 내는 동시에 곶감에 묻은 먼지나 잡티 불순물 등은 상기 브러쉬(15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털어 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151)가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 그 몸체(151a)를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150)에 형성된 상기 입구부(150c)를 통해 탄력적으로 탈착시켜 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는 2개의 절단 블레이드를 선단부에 구비하고 중간부위에 블레이드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힌지부를 설치하여 그 후방에 손잡이를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2개의 절단블레이드의 어느 하나에 곶감털이용 브러쉬수단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블레이드로는 곶감 생산을 위해 감꼭지에 남아 있는 잎이나 줄기 등을 잘라내는 작업을 실시하고 상기 브러쉬수단으로는 곶감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털어내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곶감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100: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110:제1절단블레이드 111;제1절단부
120:제2절단블레이드 121;제2절단부
130:힌지수단
140;작동손잡이
150:브러쉬탈부칙수단 151:브러쉬 151a:몸체
150a:바닥부 150b:돌기부 150c:입구부
160:탄성수단

Claims (6)

  1. 다목적 가위에 있어서,
    선단부에 구비되어 나뭇가지나 잎줄기의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절단부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절단블레이드와,
    선단부에 구비되어 나뭇가지나 잎줄기의 작업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절단부가 일측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절단블레이드,
    상기 제1,2절단부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에서 작업대상물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가 2중으로 겹쳐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수단,
    작업자의 악력에 의해 상기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절단부가 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작동손잡이, 및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와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과일농산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불순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브러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브러쉬탈부착수단으로 구성되는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의 몸체가 삽설되면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로 구성된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브러쉬에 구비되는 상기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러쉬에 구비된 상기 몸체가 삽설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절단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절단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수단과 상기 작동손잡이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단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브러쉬의 몸체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절곡부가 더 형성 구비된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KR20130076244A 2013-07-01 2013-07-01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KR20150003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244A KR20150003441A (ko) 2013-07-01 2013-07-01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244A KR20150003441A (ko) 2013-07-01 2013-07-01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41A true KR20150003441A (ko) 2015-01-09

Family

ID=5247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244A KR20150003441A (ko) 2013-07-01 2013-07-01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8807A (zh) * 2018-04-30 2018-11-06 中山市贝子洗涤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果树修剪手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8807A (zh) * 2018-04-30 2018-11-06 中山市贝子洗涤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果树修剪手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4115A (en) Floral stem cleaner and method of cleaning floral stems
KR20130059480A (ko) 고추의 포켓식 채집 및 슬라이딩 커터 방식을 갖는 개인 이동식 고추 수확기
CN105474882A (zh) 农果采摘装置
KR100670971B1 (ko) 열매 수확기
KR20150003441A (ko) 브러쉬가 구비된 곶감작업용 다목적 가위
CN2501292Y (zh) 鳄式摘果器
JP5079123B1 (ja) 接ぎ木用把持具
CN109526383B (zh) 一种甘蔗剥叶装置
CN103392520B (zh) 方便高效的甲口环剥钳
TWI632863B (zh) Peeling and seeding method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CN204800587U (zh) 多功能工具钳
CN211458066U (zh) 一种葡萄采摘钳
CN105493751A (zh) 柑橘采摘器
KR101792459B1 (ko)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피절단물받이부가 구비된 음식물 절단용 가위
CN204969969U (zh) 指甲屑收集套
CN220586894U (zh) 自收集花椒采摘器
CN217826003U (zh) 一种断根、剥叶、去尾一体化甘蔗收割工具
CN214257212U (zh) 一种小型果蔬采摘器
CN217434427U (zh) 一种钩藤加工用的切割筛选装置
CN213368742U (zh) 可换采摘头水果采摘器
CN217564219U (zh) 一种可调式桂花高枝嫁接工具
CN218009283U (zh) 一种蒜体表皮剥离器
CN210094023U (zh) 一种手持式园林用弹性剪刀
CN214800963U (zh) 一种茶叶种栽培用枝叶修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