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58A -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 - Google Patents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58A
KR20150003358A KR1020147032590A KR20147032590A KR20150003358A KR 20150003358 A KR20150003358 A KR 20150003358A KR 1020147032590 A KR1020147032590 A KR 1020147032590A KR 20147032590 A KR20147032590 A KR 20147032590A KR 20150003358 A KR20150003358 A KR 20150003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ich
pcfich
sequence
network element
new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088B1 (ko
Inventor
이핑 왕
지안펭 웽
준 리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07Artificial lines or their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에 관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요소(element)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의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의 리소스 요소 상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여기에서 사용되듯이, "사용자 장비"(다른 표현으로는, "UE")라는 용어는 일부의 경우에, 휴대폰, 휴대 정보 단말기, 핸드헬드 또는 랩탑 컴퓨터, 및 통신(telecommunications) 능력을 가진 유사한 장치들과 같은, 모바일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UE는 장치, 및 그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와 같은, 연관된 분리형(removable) 메모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UE는 그러한 모듈 없이 장치 자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UE"라는 용어는 데스크탑 컴퓨터, 셋톱(set-top) 박스,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같은, 이동 가능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능력을 가진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UE"라는 용어는 또한, 사용자를 위한 통신 세션을 종료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 "UE", "사용자 에이전트", "UA", "사용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라는 용어들은 여기에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보다 고급의 네트워크 액세스 장비가 도입되었다. 이 네트워크 액세스 장비는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등가 장비의 개량인 시스템과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급 또는 차세대 장비는 LTE(long-term evolution)와 같은 발전하는 무선 통신 표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은, 종래의 기지국보다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eNB),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컴포넌트는 여기에서 eNB라고 언급될 것이지만, 그러한 컴포넌트가 반드시 eNB인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그러한 컴포넌트는 여기에서 또한 액세스 노드라고도 언급될 것이다.
LTE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Release) 8(Rel-8 또는 R8) 및 릴리즈 9(Rel-9 또는 R9)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면, LTE-A(LTE Advanced)는 릴리즈 10(Rel-10 또는 R10), 아마도 또한 릴리즈 11(Rel-11 또는 R11), 및 릴리즈 11 이후의 다른 릴리즈들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듯이, "레거시(legacy)", "레거시 UE"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릴리즈 10 이후의 릴리즈들을 완전히 따르지는 않지만 LTE 릴리즈 10 및/또는 그 이전의 릴리즈들을 따르는 신호, UE, 및/또는 다른 엔티티들을 의미할 수 있다. "고급의", "고급 UE"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LTE 릴리즈 11 및/또는 그 이후의 릴리즈들을 따르는 신호, UE, 및/또는 다른 엔티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설명은 LTE 시스템을 다루지만, 그 개념은 다른 무선 시스템에도 또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간단한 설명이 이하에서 언급되며,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모드 및 시 분할 듀플렉스 모드에 관한 도이다.
도 2는 LTE 시 분할 듀플렉스 업링크/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PHICH 변조 프로세스에 관한 도이다.
도 4는 PCFICH 변조 프로세스에 관한 도이다.
도 5는 PHICH 및 PCFICH의 생성 및 검출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PCell 상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1 및 SCell 상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0을 가진 대역간(inter-band)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에서의 업링크 HARQ 연결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단순화된 블럭도이다.
도 8은 여기에 예시하는 실시예들에서의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가 포함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 및 관련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개시에 관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구현이 제공되지만, 개시되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또는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몇몇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우선 알아야 한다. 본 개시는, 여기에서 설명하고 기술하는 모범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여, 이하에서 기술하는,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들에 제한되지 않으나,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그 등가물의 전반적인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들은 LTE 무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맥락에서 기술되지만, 다른 무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은 두 개의 듀플렉스 모드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모드 및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모드 중 하나로 체계화된다. FDD 모드는, 업링크(uplink; UL) 및 다운링크(downlink; DL) 송신을 분리하는 데에 주파수 도메인이 이용되는 페어(paired) 스펙트럼을 이용한다. 반면에, TDD 시스템에서는, UL 및 DL 양자 모두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송신되는 페어 아닌(unpaired) 스펙트럼이 이용된다. UL 및 DL는 시간 도메인에서 분리된다. 도 1은 두 듀플렉스 모드들을 나타낸다.
3GPP LTE TDD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업링크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로부터 업링크로의 전환을 위한 보호 주기(guard period)에 의해 분리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시간 영역들을 포함한다.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36.211은 LTE TDD 동작에 있어서의 7개의 상이한 UL/DL 구성 방식들을 정의한다. 이 방식들은 도 2에 열거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3개의 부분들, 즉,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업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 및 보호 주기(guard period; GP)를 포함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상의 다운링크 송신은 DL 서브프레임에서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의 DwPTS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LTE 표준에 명시된 5 ms(millisecond) 및 10 ms의 2개의 전환점 주기(periodicity)가 있다. 5 ms 전환점 주기는 LTE와 낮은 칩 속도 UTRA TDD 시스템 간의 공존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고, 10 ms 전환점 주기는 LTE와 높은 칩 속도 UTRA TDD 시스템 간의 공존을 위한 것이다. 지원되는 구성들은 DL이 많은(DL-heavy) 1:9 비율로부터 UL이 많은(UL-heavy) 3:2 비율까지의 UL/DL 할당에 관한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 이러한 비율에서의 DL 할당은, DL 서브프레임, 및 DwPTS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또한 전달할 수 있는 특수 서브프레임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FDD와 비교하여, TDD 시스템은, 주어진 스펙트럼 할당 내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에 할당 가능한 리소스들의 비율 면에서 더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특히,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간에 동등하지 않게 무선 리소스들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분배는, DL 및 UL에서의 간섭 상황 및 상이한 트래픽 특성에 기초한 적절한 UL/DL 구성의 선택을 통해, 무선 리소스들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게끔 할 수 있다.
UL 및 DL 송신은 LTE TDD 시스템에서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UL 또는 DL 송신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스케쥴링 그랜트(grant)를 가진 데이터 채널 송신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타이밍 관계는 3GPP 사양에서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에 대한 HARQ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타이밍 관계는 3GPP TS 36.213의 표 10.1.3.1-1에 의해 정의된다. 이 타이밍 관계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은 서브프레임 n에서의 UL ACK/NACK 송신을 서브프레임 n- ki (i는 0부터 M-1까지)에서의 DL PDSCH 송신과 연관시킨다.
Figure pct00001
PUSCH 송신과의 업링크 HARQ ACK/NACK 타이밍 연결은 3GPP TS 36.213의 표 8.3-1에 열거되어 있으며, 아래의 표 2로 제공된다. 표 2는 DL 서브프레임 i에서 수신된 ACK/NACK를 전달하는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이 UL 서브프레임 i-k에서의 UL 데이터 송신과 연결된 것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k는 표 2에서 주어진다. UL/DL 구성 0에 대하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I PHICH = 1이면, k = 6이다. 그렇지 않으면, k = 7이다. 이것은,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HICH 상에 송신되는 UE에 대한 2개의 ACK/NACK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Figure pct00002
UL 그랜트 및/또는 ACK/NACK와 UL 송신/재송신 간의 관계는 3GPP TS 36.213의 표 8.2에 열거되어 있으며, 아래의 표 3으로 제공된다. UE는, UE를 위해 만들어진 서브프레임 n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 0 및/또는 PHICH 송신을 가진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검출하면, 서브프레임 n+k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전송하며, 여기에서 k는 표 3에서 주어진다.
Figure pct00003
TDD UL/DL 구성 0에 있어서, DCI 포맷 0에서의 UL 인덱스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가 서브프레임 n에서 1로 설정되거나, 또는 I PHICH = 1에 대응하는 리소스에서의 서브프레임 n = 0 또는 5에서 PHICH가 수신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 n = 1 또는 6에서 PHICH가 수신되면, UE는 서브프레임 n+7에서 대응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송신을 전송한다. TDD UL/DL 구성 0에 있어서, DCI 포맷 0에서의 UL 인덱스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 및 LSB 양자 모두가 서브프레임 n에서 1로 설정되면, UE는 서브프레임 n+kn+7 양자 모두에서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전송하며, 여기에서 k는 표 3에서 주어진다.
TDD에서의 그랜트 및 HARQ 타이밍 연결 양자 모두가, FDD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타임 연결보다 복잡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DD는 통상적으로 설계에 있어서 보다 주의가 요구된다.
3GPP TS 36.211에 명시된 PHICH는 HARQ-ACK를 송신하는 데에 이용되며, 이는 eNB가 PUSCH 상에서 UL 공유 채널(UL shared channel; UL-SCH)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다수의 PHICH들이 PHICH 그룹으로서 동일한 세트의 리소스 요소(element)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동일한 PHICH 그룹에서, 다수의 PHICH들은 상이한 복소수(complex) 직교 월시(Walsh)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표준 순환 전치(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에, 8개의 PHICH들은 시퀀스의 길이가 4인 하나의 PHICH 그룹 내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으며, PHICH들은 또한 복소수 도메인에서도 멀티플렉싱된다.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yclic prefix)에 있어서, 4개의 PHICH들은 길이 2의 월시 시퀀스를 가진 PHICH 그룹 내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도 3은 eNB에서의 PHICH 변조 흐름을 나타낸다.
PHICH 리소스 구성에 있어서, 2개의 파라미터, 즉, PHICH 기간 및 PHICH 그룹들의 수가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서 시그널링된다. PHICH 기간은, 그 위로 PHICH가 분배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들의 수를 정의한다.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에 대한 의존을 피하기 위해, PHICH 기간은 독립적으로 시그널링되며 PDCCH를 위한 제어 영역과는 상이할 수 있다. PHICH 그룹들의 수는 PHICH 리소스들의 양을 정의하는 데에 이용된다. PHICH 리소스들과 UL-SCH 송신 간의 대응 관계는 암시적이다. 즉, PHICH 리소스 인덱스와 UL-SCH를 송신하는 PUSCH 물리적 리소스 블럭(Physical Resource Block; PRB) 인덱스 간에는 미리 정의된 표현 규칙이 있다. 리소스 비적응(non-adaptive) 재송신의 경우에 PDCCH가 없는 PUSCH 송신이 있기 때문에, PHICH 리소스는 PDCCH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인덱스 대신에 실제 PUSCH PRB 인덱스에 연결된다.
PHICH 리소스는 인덱스 페어(
Figure pct00004
,
Figure pct00005
)에 의해 식별되며, 여기에서
Figure pct00006
는 PHICH 그룹 수이고,
Figure pct00007
는 그룹 내의 직교 시퀀스 인덱스이다. PHICH 리소스가 대응하는 PUSCH를 송신하는 데에 이용되는 PUSCH PRB 인덱스에 암시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UE는 스케쥴링된 PUSCH PRB 인덱스를 가진 할당된 인덱스 페어를 도출할 수 있다. PHICH 리소스가 PUSCH PRB들의 수보다 적거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PUSCH PRB들에 스케쥴링된다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동일한 PHICH 리소스는 다수의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충돌을 피하기 위해, 업링크 DCI 포맷에 표시된 상이한 순환 시프트 값이 할당된 PHICH 리소스를 도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은 PHICH 그룹 수와 그룹 내의 직교 시퀀스 인덱스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Figure pct00008
위의 수학식에서
Figure pct00009
는, 대응하는 PUSCH 송신과 연관된 전송 블럭 또는 블럭들에 대하여 3GPP TS 36.212에 기술되어 있듯이, 업링크 DCI 포맷을 가진 가장 최근의 PDCCH에 따른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필드에 대한 순환 시프트로부터 매핑된다.
Figure pct00010
는, 동일한 전송 블럭에 대해 업링크 DCI 포맷을 가진 PDCCH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전송 블럭에 대한 최초의 PUSCH가 반지속적으로 스케쥴링되는 경우 또는 동일한 전송 블럭에 대한 최초의 PUSCH가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경우에 0으로 설정된다.
Figure pct00011
는 3GPP TS 36.211의 6.9.1절에 기술되어 있듯이, PHICH 변조에 이용되는 확산 인자 크기이다.
Figure pct00012
는 대응하는 PUSCH 송신의 첫번째 슬롯에서의 가장 낮은 PRB 인덱스이다.
Figure pct00013
는 3GPP TS 36.211의 6.9절에 기술되어 있듯이,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PHICH 그룹들의 수이다. 서브프레임 n = 4 또는 9에서의 PUSCH 송신과 함께 TDD UL/DL 구성 0인 경우
Figure pct00014
= 1 이고, 그 외의 경우
Figure pct00015
= 0이다.
FDD에 있어서, 인덱스
Figure pct00016
는 0부터
Figure pct00017
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TDD에 있어서, PHICH 그룹들의 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고,
Figure pct00018
로 주어지며, 여기에서 m i 는 표 4에서 주어진다. 0이 아닌 PHICH 리소스들을 가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인덱스
Figure pct00019
는 0부터
Figure pct00020
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Figure pct00021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PDCCH들의 송신에 이용되는 OFDM 심볼들의 수를 나타내기 위해 PCFICH가 현재 이용된다. 이러한 수는 제어 포맷 표시자(Control Format Indicator; CFI)라고 불린다. 현재의 LTE 버전에 이용되는 3개의 상이한 CFI 코드워드들이 있으며, 4번째의 것은 향후의 이용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 각각의 코드워드는 32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도 4는 eNB에서의 PCFICH 변조 흐름을 나타낸다.
현재의 LTE 사양에서, PCFICH 및 PHICH는 상이한 리소스 요소들을 이용한다. PCFICH는 4개의 리소스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들을 채택하고, PHICH는 3개의 REG들을 소모한다. 도 5는 eNB에서의 변조 체인 및 UE에서의 복조 체인을 나타낸다.
LTE-A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Rel-10 LTE 사양은 TTD 시스템을 위한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 CA)을 정의한다. 그러나, 대역내(intra-band) CA가 우선순위화되어 있고, 특히 하나의 단일 RF 체인이 이용될 때는, 대역내 CA에서 상이한 UL/DL 구성을 갖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Rel-10 사양은 결합된 캐리어들 상에서 동일한 UL/DL 구성을 갖는 경우에만 CA를 지원한다.
레거시 TDD 시스템과의 대역폭 유연성 및 공존을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대역으로부터의 캐리어들 상에서 상이한 TDD UL/DL 구성을 갖는 대역간 캐리어 결합이 LTE Rel-11에서 제안되었다. 반이중(half duplex) 모드 및 전이중(full duplex) 모드 양자 모두를 지원하는 것, 분리 스케쥴링(s-scheduling) 및 크로스-케리어 스케쥴링(c-scheduling) 양자 모두를 지원하는 것,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셀 상에서 PHICH를 송신하는 것, 및 1차 셀(primary cell) 상에서만 PUCCH를 송신하는 것과 같은, 여러 설계 세부사항들이 합의되었다. 일부 합의는 또한 HARQ 타이밍 결합에도 이르렀다.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는 서빙(serving) 셀 또는 셀로도 또한 알려져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수의 CC들이 스케쥴링될 때, 각각의 UE에 대하여, CC들 중의 하나가 PUCCH 송신, 반지속적 스케쥴링 등에 이용되는 1차 캐리어로 지정되는 반면, 나머지 CC들은 2차 CC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1차 캐리어는 1차 셀(PCell)로도 또한 알려져 있는 반면, 2차 CC는 2차 셀(SCell)로 알려져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TDD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결합은 FDD 시스템에서만큼 단순하지 않다. 상이한 TDD 구성을 가진 CA가 고려될 때 복잡도는 증가한다. 이것은, 상이한 TDD 구성일 경우에, 결합된 CC들 간에 충돌하는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몇몇 타임 인스턴스(instance)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CC1 상의 UL 서브프레임은 CC2가 DL 서브프레임을 갖는 동일한 시간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결합은 각각의 상이한 TDD 구성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제어 신호는 특정 캐리어 상에 있어야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는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셀 상에서 송신되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위 표 4에 따라 구성되는 PHICH 리소스를 갖지 않는 DL 서브프레임에서 PUSCH ACK/NACK를 송신할 필요성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3GPP 설계 합의들 중 하나는, 상이한 UL/DL 구성을 가진 대역내 CA의 경우에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셀 상에서만 PHICH가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PUSCH ACK/NACK는 PHICH 리소스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D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어야 할 수 있다.
예시적인 경우에, 전이중 모드에서, 2개의 TDD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고, PCell이 UL/DL 구성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SCell이 UL/DL 구성 0을 가질 수 있다. 3GPP 설계 원리들에 기초하여, PCell은 고유의 UL HARQ 타이밍 관계인 구성 1을 따르고, SCell UL HARQ는 구성 0의 타이밍을 따른다. 이러한 경우에, UL/DL 구성 1을 가진 PCell은 스케쥴링 셀이며 SCell를 위해 UL 그랜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PUSCH ACK/NACK도 또한 PCell 상에 있어야 한다. 도 6은 위의 시나리오에 관한 UL HARQ 타이밍을 나타낸다. 실선 화살표는 송신/재송신을 위한 SCell UL 그랜트를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SCell의 UL HARQ-ACK 타이밍을 나타낸다.
SCell의 서브프레임 #3 또는 #4에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ACK/NACK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에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UL/DL 구성 1인 경우에, 위 표 4를 참조하면, PCell 서브프레임 #0의 제어 영역에 제공되는 PHICH 리소스가 없다. SCell의 서브프레임 #8 및 #9에서의 PUSCH 송신에 대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5에 제공되는 PHICH 리소스가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PHICH를 PCFICH 리소스 요소들 상으로 멀티플렉싱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PHICH 리소스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캐리어 결합 UE들에 대한 PHICH를 PCFICH 상으로 멀티플렉싱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 PHICH 리소스들은, PCFICH 리소스 요소들을 이용하여 6개까지의 ACK/NACK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가 PHICH 리소스들은 CA UE들, 즉, 캐리어 결합 시나리오 하에서 작동할 수 있는 UE들에 의해서만 인식된다. 레거시 UE들은 Rel 8/9/10에 정의된 동일한 리소스들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완전히 백워드(backward) 호환 가능하다.
몇몇 경우에, 이러한 실시예들은 적응(adaptive) 재송신 절차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PUSCH 재송신이 필요하면 UL 그랜트에 의해 재송신이 직접적으로 트리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부 DL 서브프레임에 제공되는 PHICH 리소스가 없는 경우에는 ACK/NACK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PCFICH 생성에 있어서, 스크램블링된 비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22
여기에서,
Figure pct00023
는 주어진 CFI 값에 대한 CFI 시퀀스에서의 i번째 비트를 의미하고,
Figure pct00024
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Figure pct00025
로 초기화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의미하며,
Figure pct00026
i번째 스크램블링된 비트이다.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변조는 16개의 복소수 값 심볼들 {d(k), k = 0, 1, …, 15}의 블럭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Figure pct00027
변조된 PCFICH 심볼들은 아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8
일반적인 PCFICH 검출은 아래의 가능한 RxCFI 상관관계의 최대 에너지를 가진 것을 찾기 위한 PCFICH 생성의 역동작이다.
Figure pct00029
여기에서,
Figure pct00030
는 PCFICH RE k에서의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노이즈, 페이딩, 및 위상 회전이 없는) 이상적인 채널에서
Figure pct00031
일 수 있다. 또한, 실수부 및 허수부를 개별적으로 제곱한 후에 더하는 것 대신에, 실수부 및 허수부를 더하고 나서 제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되는 CFI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32
PHICH에 있어서, 채널 코딩은 3개의 반복되는 구획(section)을 가진 총 12개의 코딩된 비트들을 생성할 것이며, 각각의 구획은 4의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PHICH ACK/NACK 비트는 12번 반복되고, 그 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되고, 스크램블되며, PHICH 직교 시퀀스로 커버 코딩될 것이다. 주어진 PHICH 시퀀스에 있어서, 결과적인 심볼들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33
여기에서,
Figure pct00034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를 가진 3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에서의 k번째 요소이고,
Figure pct00035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와 연관된 (ACK/NACK에 대한)HI 비트이고, c(k)는 PCFICH 생성을 위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셀-특유의 스크램블링 시퀀스이다.
3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는 복소수 직교 월시 시퀀스
Figure pct00036
를 3번 반복하고 시퀀스들을 모두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복소수 직교 월시 시퀀스는 아래의 표 6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에서 시퀀스 인덱스 seqIdx =
Figure pct00037
는 PHICH 그룹 내의 PHICH 수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38
송신된 PHICH 심볼들은 하나의 PHICH 그룹의 다수의 PHICH 시퀀스들에 대한 PHICH 심볼들의 합이다.
PHICH 검출은 수신된 채널-균등화된 심볼들로부터 송신된 PHICH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된 심볼들의 세트 {x(k)}가 주어지면, PHICH 시퀀스 RxSeqIdx에 대한 결정 변수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39
여기에서, 어깨 글자 H는 복합공액전치(conjugate transpose)와 동일한, 행렬 에르미트(Hermitian) 연산을 의미한다.
PCFICH 생성 수학식 2와 PHICH 생성 수학식 5를 비교해 보면, 수학식 5로부터 (1+j)의 BPSK 변조 인자를 제거하고, 실수 값
Figure pct00040
에 대해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로 치환하고, 허수 값
Figure pct00043
에 대해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로 치환하며, HARQ 표시자 및 월시 시퀀스를 3번 대신 4번 반복함으로써 PHICH 확산의 길이를 16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 수학식 2에서 PCFICH 심볼들의 시퀀스에 직교하는 PHICH 심볼들의 시퀀스가 표현될 수 있다.
결과적인 PHICH 심볼들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46
수학식 (7)과 수학식 (2)를 비교해 보면, 수학식 (7)은 커버링 코드
Figure pct00047
의 추가 계층이 있는 수학식 (2)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의 일반적인 확장으로 보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수학식 (2)는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인 경우와 결합되어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일 때의 수학식 (7)의 특수한 경우이다. 표준(normal) CP에 대한 시퀀스 번호 0 [1,1,1,1] 및 시퀀스 번호 4 [j,j,j,j] 또는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시퀀스 번호 0 [1,1] 및 시퀀스 번호 2 [j,j]를 제외하고, 표 6에서의 직교 월시 시퀀스가 수학식 (7)에 이용된다면, 그리고, CFI 가정이 올바르다면, 수학식 (7)에서 정의된 PHICH 심볼들의 시퀀스는 수학식 (2)에서 정의된 PCFICH 심볼들의 시퀀스와 직교한다.
결과적으로, PHICH 및 PCFICH가 동일한 세트의 리소스 요소들을 공유하도록, 수학식 (7)에서 정의된 PHICH 심볼들이 수학식 (2)에서 정의된 PCFICH 심볼들의 상단(top) 상에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PHICH를 위해 제공되는 리소스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새롭게 추가되는 PHICH 심볼들이 월시 코드에 의해 구별되고 PCFICH 심볼들과 직교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법은 백워드 호환 가능하다. 레거시 UE들은 여전히 PCFICH를 디코딩할 수 있다. 수학식 (3) 및 (4)와 월시 코드의 직교성을 이용한 CFI 검출에 따르면, CFI 가정이 올바르다면,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에서 또는 채널의 주파수 선택성이 엄격하지 않을 경우에, 오버레이(overlay) PHICH 송신은 PCFICH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오버레이 PHICH 송신은, CFI 가정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 수학식 (3) 및 (4)를 이용한 CFI 검출의 상관관계 값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CFI 검출 성능을 약간 감소시킬 수 있다. 표 6에서 정의된 월시 코드의 직교성이 하나의 REG에서만 유지될 필요가 있고, 하나의 REG의 4개의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들이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의 경우에, 이러한 해법은 플랫 채널의 경우에 비하여 제한적인 성능 감소만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능 감소는 PCFICH 송신 상의 송신 전력을 약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CA UE들은 그들의 PCFICH 검출을 개선시키기 위해 PHICH 송신에 대응하는 추가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PCFICH가 정확히 검출된 이후에, 수학식 (6)과 유사하게, 이하의 수학식 (8)에 의해 PHICH가 검출될 수 있다.
Figure pct00053
위의 수학식 (8)에서
Figure pct00054
또는
Figure pct00055
는 오버레이 PHICH 송신에 대한 새로운 스크램블링 시퀀스들로 취급될 수 있다.
오버레이 PHICH 송신과 PCFICH 송신 간의 직교성을 달성하기 위해, PHICH 비트들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시퀀스들의 수가 6개에서 8개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은 eNB로 하여금 임의의 추가 리소스 요소들을 이용하지 않고서 PCFICH 채널 상으로 6개의 PUSCH HARQ 표시자들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결합된 PCFICH 및 PHICH에서의 첨두 전력 대 평균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는 기존의 PHICH에서보다 더 나쁘지는 않다.
일 실시예에서, 이 경우에 하나의 PHICH 그룹만이 있고 6개의 PHICH들만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PUSCH와 이러한 새로운 PHICH들 간의 매핑은 아래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56
여기에서, N은 표준 순환 전치에 대해 6이고, 확장 순환 전치에 대해 2이다. 다른 변수들은 위와 동일한 표기법을 이용한다.
PHICH 수에 대응하는 시퀀스 인덱스
Figure pct00057
는 표 7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58
대안으로, PUSCH와 이러한 새로운 PHICH 비트들 간의 매핑을 정의하기 위해 명시적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6개보다 많은 PHICH 비트들이 있다면, 처음 6개의 비트들은 전술한 접근법을 이용할 수 있고, 나머지 비트들은 적응 재송신 절차에 의존할 수 있다. 적응 재송신 절차는 PUSCH 재송신에 관하여 UE들에 지시하기 위해 UL 그랜트를 이용한다. ACK/NACK 정보는 이 절차에서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L 서브프레임에서의 ACK/NACK 송신이 필요하지 않다. 이 절차는 UE-특정적이기 때문에, 레거시 UE들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또한, 레거시 UE들은 필요한 경우에 이러한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UL 그랜트는 PDCCH에서 송신되는 DCI 포맷 0을 이용하고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New Data Indicator; NDI)를 포함한다. 새로운 패킷 송신이 시작될 때마다, 1 비트 NDI가 토글(toggle)된다. 재송신의 표시를 위해,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이전의 DCI 0 그랜트에서의 값과 동일한 값에서 1 비트 NDI가 유지된다. UE는 UL 그랜트를 수신하고 이전에 수신된 그랜트의 NDI와 NDI를 비교한다. NDI가 동일하면, UE는 UL 그랜트가 이전의 PUSCH 상의 UL-SCH 데이터의 재송신을 위한 것임을 인식한다.
적응 재송신과 함께, 재송신 물리적 리소스 블럭(Physical Resource Block; PRB)는 최초의 PUSCH PRB와 상이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보다 바람직한 무선 리소스들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은 성능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UL 그랜트가 UE-특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에 의존하는 상당한 수의 재송신들이 있다면, PDCCH 리소스들에 관하여, 많은 비용이 들게 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들은 고품질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사용자들로 특성을 제한하는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네트워크 요소(element)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순화된 네트워크 요소가 도 7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도 7에서, 네트워크 요소(3110)는 프로세서(3120) 및 통신 서브시스템(3130)을 포함하며, 프로세서(3120) 및 통신 서브시스템(3130)은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한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UE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의 예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UE(3200)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가진 2방향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통신 능력은 선택적이다. UE(320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다른 컴퓨터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제공되는 정확한 기능에 따라, UE(3200)는, 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징 장치, 2방향 무선 호출기, 무선 이메일 장치, 데이터 메시징 능력이 있는 휴대폰, 무선 인터넷 기기, 무선 장치, 스마트폰, 모바일 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UE(3200)가 2방향 통신을 위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수신기(3212) 및 송신기(3214)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3216 및 3218),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LO)(3213),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3220)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 등의 연관된 컴포넌트들을 또한 포함하는, 통신 서브시스템(3211)을 통합시킬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3211)의 특정 설계는, UE(3200)가 작동하도록 만들어진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 요건은 또한 네트워크(3219)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액세스는 UE(3200)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다. UE(3200)는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기 위해, 분리형 사용자 식별 모듈(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RUIM)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SIM/RUIM 인터페이스(3244)는 SIM/RUIM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카드 슬롯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SIM/RUIM 카드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여러 키 구성(3251)과 식별 및 가입자 관련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3253)를 보유할 수 있다.
필요한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된 경우에, UE(3200)는 네트워크(3219)를 통해 통신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3219)는 UE(3200)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219)를 통해 안테나(3216)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은 수신기(3212)로 입력되며, 이 수신기(3212)는 신호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과 같은 일반적인 수신기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analog to digital; A/D) 변환은, DSP(3220)에서 수행될 복조 및 디코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통신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송신될 신호들은 DSP(3220)에 의해, 예를 들어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하여, 프로세싱되고, 디지털-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D/A) 변환, 주파수 상향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3218)를 경유하는 통신 네트워크(3219)를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기(3214)에 입력된다. DSP(3220)는 통신 신호들을 프로세싱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3212) 및 송신기(3214)에서의 통신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gain)은 DSP(3220)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UE(320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238)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들은 통신 서브시스템(3211)을 통해 수행된다. 프로세서(3238)는 또한, 디스플레이(3222), 플래시 메모리(322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3226), 보조 입력/출력(input/output; I/O) 서브시스템(3228), 시리얼 포트(3230), 하나 이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3232), 스피커(3234), 마이크로폰(3236), 단거리(short-range) 통신 서브시스템과 같은 다른 통신 서브시스템(3240), 및 3242로 일반적으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장치 서브시스템과 같은 추가의 장치 서브시스템들과도 상호 작용한다. 시리얼 포트(3230)는 USB 포트 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향후에 개발될 다른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하는 서브시스템들 중 일부는 통신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는 반면에, 다른 서브시스템들은 "레지던트(resident)" 또는 온-디바이스(on-devi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3232) 및 디스플레이(3222)와 같은 일부 서브시스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 및 계산기 또는 업무 목록과 같은 장치-레지던트 기능 양자 모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3238)에 의해 이용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3224)와 같은 영속적 저장소(persistent store)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 플래시 메모리(3224)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유사한 저장 요소(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운영 체제, 특정 장치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분들은 RAM(3226)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로드될 수 있다. 수신되는 통신 신호들은 또한 RAM(3226)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3224)는 컴퓨터 프로그램(3258) 및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소(3250, 3252, 3254 및 3256) 양자 모두에 대하여 상이한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저장소 유형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이 그들의 고유 데이터 저장소 요건들을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3224)의 일부분을 할당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프로세서(3238)는, 운영 체제 기능에 더하여, UE(3200) 상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기본 동작들을 제어하는 미리 결정된 세트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제조하는 동안에 UE(3200) 상에 일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추후에 또는 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광학적(예를 들어, CD, DVD 등), 자기적(예를 들어, 테이프), 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될 다른 메모리와 같은, 유형적이거나 또는 일시적/비일시적인 매체일 수 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그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메일, 달력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및 업무 항목들과 같은 UE(3200)의 사용자와 관련되는 데이터 항목들을 조직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개인 정보 관리자(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IM)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저장소는 PIM 데이터 항목들의 저장을 촉진하기 위해 UE(3200) 상에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3219)를 통해 데이터 항목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또한, 네트워크(3219), 보조 I/O 서브시스템(3228), 시리얼 포트(32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324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서브시스템(3242)을 통해 UE(3200) 상으로 로드되고, 프로세서(3238)에 의한 실행을 위해 RAM(3226) 또는 비휘발성 저장소(미도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있어서의 그러한 유연성은 UE(3200)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개선된 온-디바이스 기능, 통신 관련 기능, 또는 양자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UE(32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전자 상거래 기능 및 다른 그러한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되는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3211)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프로세서(3238)에 입력될 수 있고, 이 프로세서(3238)는 디스플레이(3222) 또는 대안으로 보조 I/O 장치(3228)로의 출력을 위해 수신되는 신호를 더 프로세싱할 수 있다.
UE(3200)의 사용자는 또한, 키보드(3232)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이메일 메시지들과 같은 데이터 항목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키보드(3232)는, 특히 디스플레이(3222) 및 아마도 보조 I/O 장치(3228)와 결합된, 완전한 영숫자 키보드 또는 전화기 유형의 키패드일 수 있다. 그러한 구성된 항목들은 그 후 통신 서브시스템(3211)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음성 통신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가 일반적으로 스피커(3234)로 출력될 수 있고 송신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로폰(3236)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UE(3200)의 전반적인 동작이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녹음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안의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UE(3200) 상에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은 주로 스피커(3234)를 통해 달성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3222)도 또한, 예를 들어, 발신자의 신원, 음성 호출의 지속 시간, 또는 다른 음성 호출 관련 정보의 표시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시리얼 포트(3230)는,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미도시)와의 동기화가 바람직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유형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그러한 포트는 선택적인 장치 컴포넌트이다. 그러한 포트(3230)는 외부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되는 것들을 설정하게끔 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이외에 UE(3200)로의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UE(3200)의 능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직접적이고 그에 따라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통해 UE(3200) 상으로 암호화 키를 로드하는 데에 대안의 다운로드 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 시리얼 포트(3230)는 모뎀으로 동작하기 위해 컴퓨터에 장치를 연결하는 데에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과 같은 다른 통신 서브시스템(3240)은, UE(3200)와, 상이한 시스템들 또는 반드시 유사한 장치들일 필요가 없는 상이한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선택적 컴포넌트들이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3240)은, 유사하게 인에이블된 시스템 및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외선 장치 및 관련 회로와 컴포넌트,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시스템(3240)은, WiFi, WiMAX,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및/또는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와 같은 비-셀룰러(non-cellular) 통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통신 요소(3240)는 태블릿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프로젝터와 같은 보조 장치들과의 통신에 또한 이용될 수 있다.
UE 및 전술한 다른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동작들과 관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싱 컴포넌트(3310)를 포함하는 시스템(3300)의 예시를 나타낸다. (중앙 프로세서 유닛 또는 CPU라고 언급될 수 있는) 프로세서(3310)에 더하여, 시스템(3300)은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3330),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3340), 2차 저장소(3350), 및 입력/출력(I/O) 장치(3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버스(337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컴포넌트들 중의 일부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호 간의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과의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물리적 엔티티 또는 하나보다 많은 물리적 엔티티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33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여기에 기술된 임의의 동작들은, 프로세서(3310)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380)와 같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과 연결된 프로세서(3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SP(3380)가 별개의 컴포넌트로 도시되었지만, DSP(3380)는 프로세서(331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3310)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 RAM(3330), ROM(3340), 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2차 저장소(3350)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명령어,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하나의 CPU(3310)만이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명령어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명령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동시에, 연속적으로,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310)는 하나 이상의 CPU 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는, 모뎀, 모뎀 뱅크, 이더넷(Ethernet) 장치,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 장치, 시리얼 인터페이스, 토큰 링(token ring) 장치,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FDDI) 장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장치,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장치,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무선 트랜시버 장치,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무선 트랜시버 장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트랜시버 장치, 위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장치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한 다른 잘 알려진 장치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는 프로세서(3310)로 하여금 인터넷, 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프로세서(3310)가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3310)가 그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는 또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컴포넌트(3325)를 포함할 수 있다.
RAM(3330)은 휘발성 데이터, 그리고 아마도 프로세서(33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ROM(3340)은 일반적으로 2차 저장소(3350)의 메모리 용량보다 더 적은 메모리 용량을 가진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다. ROM(3340)은 명령어, 그리고 아마도 명령어의 실행 동안에 판독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RAM(3330) 및 ROM(3340) 양자 모두에 대한 액세스는 일반적으로 2차 저장소(3350)에 대한 액세스보다 빠르다. 2차 저장소(3350)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테이프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RAM(3330)이 모든 작업 데이터를 보유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소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 데이터 저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2차 저장소(3350)는 프로그램이 실행을 위해 선택되었을 때 RAM(3330)에 로드되는 그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I/O 장치(33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키패드, 스위치, 다이얼, 마이스, 트랙 볼, 음석 인식기, 카드 리더기, 종이 테이프 판독기, 프린터, 비디오 모니터, 또는 다른 잘 알려진 입력/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3325)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3320)의 컴포넌트인 것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I/O 장치(3360)의 컴포넌트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PHICH의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PCFICH의 리소소 요소 상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이 네트워크 요소는, PHICH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PCFICH의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요소 상으로 네트워크 요소가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음은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3GPP TS 36.211, 3GPP TS 36.212, 및 3GPP TS 36.213.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술 요소들에 대응하는 요소들을 가진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의 예시들이다. 이 기록 문서는 당업자로 하여금 본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요소들에 유사하게 대응하는 대안의 요소들을 가진 실시예들을 만들고 이용하게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애플리케이션의 의도된 기술 범주는 여기에 기술된 본 애플리케이션의 기술들과 상이하지 않은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포함하고, 여기에 기술된 본 애플리케이션 기술들과 미미한 차이를 가진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여러 실시예들이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다른 특정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예시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그 의도가 여기에 주어진 세부 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다른 시스템에서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으며, 어떤 특성들은 생략되거나 또는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또는 분리된 다양한 실시예들로 기술 및 설명된 기술,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방법들은,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들과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서로 연결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 또는 설명된 다른 항목들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방식으로 몇몇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중개 컴포넌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통신할 수 있다. 변경, 대체, 및 개조에 관한 다른 예시들은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여기에 기술된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내의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에 의해, 물리적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의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요소 상으로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은 적어도 하나의 PCFICH 심볼과 직교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매핑(mapping)되고,
    Figure pct00059

    여기에서, N은 표준 순환 전치(normal cyclic prefix)에 대하여 6이고, 확장(extended) 순환 전치에 대하여 2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데에 명시적 시그널링이 이용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ICH에 대한 채널 코딩은 4개의 반복되는 구획(section)을 가진 총 16개의 코딩된 비트를 생성하고, 각각의 구획은 표준 순환 전치 모드에 대하여 4의 길이를 갖고 확장 순환 전치 모드에 대하여 2의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PHICH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비트는 16번 반복되고, 그 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되고, 스크램블되며, PHICH 직교 시퀀스로 커버 코딩되는(cover-coded)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주어진 PHICH 시퀀스에 대하여, 결과적인 심볼들이 아래와 같이 주어지고,
    Figure pct00060

    여기에서,
    Figure pct00061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를 가진 4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에서의 k번째 요소이고,
    Figure pct00062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와 연관된 (ACK/NACK에 대한) HI 비트이고, i=2k 및 2k+1에 대한
    Figure pct00063
    는 주어진 CFI 값에 대한 CFI 시퀀스에서의 i번째 비트를 의미하며, c(k)는 PCFICH 생성을 위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셀-특유의(cell-specific) 스크램블링 시퀀스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4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는, 복소수(complex) 직교 월시(Walsh) 시퀀스
    Figure pct00064
    를 4번 반복하고 시퀀스들을 모두 연결시키는 것(concatenat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ICH와 상기 PCFICH의 멀티플렉싱으로 인해 발생한 성능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PCFICH 상의 전력이 증가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송신 엔티티로의 업링크 그랜트(grant) 내에, 2개의 상이한 값들 중 하나를 상정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시키고,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요청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의 값을 변경하며,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재송신을 요청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의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송신될 PHICH 비트들의 수가 상기 PCFICH 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PHICH 비트들의 수보다 많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을 채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1차(primary) 셀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에 있어서,
    물리적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의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요소 상으로 네트워크 요소가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은 적어도 하나의 PCFICH 심볼과 직교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매핑(mapping)되고,
    Figure pct00065

    여기에서, N은 표준 순환 전치(normal cyclic prefix)에 대하여 6이고, 확장(extended) 순환 전치에 대하여 2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ICH 심볼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데에 명시적 시그널링이 이용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HICH에 대한 채널 코딩은 4개의 반복되는 구획을 가진 총 16개의 코딩된 비트를 생성하고, 각각의 구획은 표준 순환 전치 모드에 대하여 4의 길이를 갖고 확장 순환 전치 모드에 대하여 2의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PHICH ACK/NACK 비트는 16번 반복되고, 그 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되고, 스크램블되며, PHICH 직교 시퀀스로 커버 코딩되는(cover-coded)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주어진 PHICH 시퀀스에 대하여, 결과적인 심볼들이 아래와 같이 주어지고,
    Figure pct00066

    여기에서,
    Figure pct00067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를 가진 4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에서의 k번째 요소이고,
    Figure pct00068
    는 시퀀스 인덱스 seqIdx와 연관된 (ACK/NACK에 대한) HI 비트이고, i=2k 및 2k+1에 대한
    Figure pct00069
    는 주어진 CFI 값에 대한 CFI 시퀀스에서의 i번째 비트를 의미하며, c(k)는 PCFICH 생성을 위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셀-특유의 스크램블링 시퀀스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8. 제 16 항에 있어서, 4번 반복된 직교 시퀀스는, 복소수(complex) 직교 월시(Walsh) 시퀀스
    Figure pct00070
    를 4번 반복하고 시퀀스들을 모두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HICH와 상기 PCFICH의 멀티플렉싱으로 인해 발생한 성능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PCFICH 상의 전력이 증가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송신 엔티티로의 업링크 그랜트(grant) 내에, 2개의 상이한 값들 중 하나를 상정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시키고,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요청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의 값을 변경하며,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재송신을 요청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의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21. 제 20 항에 있어서, 송신될 PHICH 비트들의 수가 상기 PCFICH 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PHICH 비트들의 수보다 많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을 채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1차 셀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요소.
KR1020147032590A 2012-05-11 2012-10-24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 KR10167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5939P 2012-05-11 2012-05-11
US61/645,939 2012-05-11
PCT/US2012/061709 WO2013169287A1 (en) 2012-05-11 2012-10-24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on duplex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58A true KR20150003358A (ko) 2015-01-08
KR101671088B1 KR101671088B1 (ko) 2016-10-31

Family

ID=4722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590A KR101671088B1 (ko) 2012-05-11 2012-10-24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686056B2 (ko)
EP (2) EP3462665B1 (ko)
KR (1) KR101671088B1 (ko)
CN (1) CN104272643B (ko)
CA (1) CA2872384C (ko)
TW (1) TWI477175B (ko)
WO (1) WO2013169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6056B2 (en) 2012-05-11 2017-06-20 Blackberry Limited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KR102036298B1 (ko) * 2013-01-21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97800B2 (en) * 2013-03-21 2016-07-19 Broadcom Corporation Duplexing in long term evolution (LTE) cellular networks
US10862658B2 (en) * 2013-03-22 2020-12-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516541B2 (en) * 2013-09-17 2016-12-06 Intel IP Corporation Conges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real-time delay-sensitive applications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WO2015065061A1 (ko) * 2013-10-30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22733A1 (ko) * 2014-02-16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92790B2 (en) *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WO2017076365A1 (zh) * 2015-11-06 2017-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帧调度方法及设备
KR102533829B1 (ko) * 2016-03-04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7217584A1 (ko) 2016-06-12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모드로 동작하는 환경에서의 harq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44842B2 (en) * 2017-09-06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ode block group level and transport block level transmission and new data ind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33B1 (ko) * 2007-10-02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8385360B2 (en) 2007-10-29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 channel formulation in OFDM systems
CN101227739B (zh) 2008-02-02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混合重传指示信道资源的分配方法
US8116271B2 (en) 2008-02-07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acknowledgement channels
KR100925439B1 (ko) 2008-02-19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 채널 매핑 방법
KR20100138948A (ko) * 2008-03-19 2010-12-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8194602B2 (en) 2008-03-19 2012-06-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ontrol signal structure for multi-user MIMO
US8522101B2 (en) * 2008-04-15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 resource assignment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1594215B (zh) 2008-05-26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单元数量确定方法及装置、控制信道管理方法
US7940740B2 (en) * 2009-02-03 2011-05-10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based on identifier associated with a base station
US20120039268A1 (en) * 2009-02-09 2012-02-16 Haekkinen Hannu Tapio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ctrum Exploitation Utilising Overlapping Channel Bandwidths
KR101738162B1 (ko) *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0123286A2 (ko) 2009-04-21 2010-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117045A (ko) 2009-04-23 201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8194603B2 (en) 2009-08-18 2012-06-05 Motorola Mobility, Inc. Subframe component reduction and notification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95887B1 (en) * 2009-10-26 2020-03-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6001A2 (ko) * 2009-11-04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EP2524464A1 (en) * 2010-01-12 2012-11-21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carrier aggregated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a transmit-receive-frequency gap band
JP2012042611A (ja) 2010-08-17 2012-03-01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7147480B (zh) 2011-04-22 2021-02-0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pusch的同步harq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2149673A1 (en) * 2011-05-03 2012-11-08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tdd systems allowing allocation of flexible subframes for uplink or downlink transmission
US9203559B2 (en) 2012-01-27 2015-12-0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with different UL/DL TDD configurations
US9215058B2 (en) * 2012-03-06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nhanced PHICH transmission for LTE-advanced
US9007963B2 (en) 2012-03-16 2015-04-14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mapping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9686056B2 (en) 2012-05-11 2017-06-20 Blackberry Limited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8995377B2 (en) 2012-05-11 2015-03-31 Blackberry Limited PHICH resource provisioning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EP2942888B1 (en) * 2013-01-07 2018-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from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ints by a user equipment and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50846A1 (en) 2017-08-31
WO2013169287A1 (en) 2013-11-14
TW201349911A (zh) 2013-12-01
TWI477175B (zh) 2015-03-11
CA2872384A1 (en) 2013-11-14
EP2850769B1 (en) 2018-12-05
EP3462665B1 (en) 2021-03-31
US20130301401A1 (en) 2013-11-14
CN104272643B (zh) 2018-01-16
US20140169151A9 (en) 2014-06-19
US9686056B2 (en) 2017-06-20
EP2850769A1 (en) 2015-03-25
CA2872384C (en) 2018-10-23
US11128503B2 (en) 2021-09-21
CN104272643A (zh) 2015-01-07
US10355899B2 (en) 2019-07-16
EP3462665A1 (en) 2019-04-03
KR101671088B1 (ko) 2016-10-31
US20190334747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088B1 (ko)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송신
US108928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US20210266114A1 (en) Node and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ing
CN10833707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ack/nack的方法和基站
KR1015419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72138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536329B1 (ko) 시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phich 리소스 공급
KR101737240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수신확인 비트들
WO2016072696A2 (ko) 비직교다중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을 위한 데이터 버퍼링 방법 및 장치
JP201650830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受信確認応答送信方法及び装置
WO2015084070A1 (ko)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 수행방법 및 장치
CN105612708B (zh) 无线通信系统中通过终端发送ack/nack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