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98B1 -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298B1
KR102036298B1 KR1020130006533A KR20130006533A KR102036298B1 KR 102036298 B1 KR102036298 B1 KR 102036298B1 KR 1020130006533 A KR1020130006533 A KR 1020130006533A KR 20130006533 A KR20130006533 A KR 20130006533A KR 102036298 B1 KR102036298 B1 KR 10203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d
subframe
terminal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166A (ko
Inventor
김상범
김성훈
정경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0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9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62,398 priority patent/US9591665B2/en
Priority to CN201910703578.6A priority patent/CN110380840B/zh
Priority to PCT/KR2014/000594 priority patent/WO2014112850A1/ko
Priority to CN201480014205.3A priority patent/CN105075148B/zh
Priority to EP14740380.2A priority patent/EP2947791B1/en
Priority to EP18200771.6A priority patent/EP3447937B1/en
Priority to EP21168110.1A priority patent/EP3905548A1/en
Publication of KR2014009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66A/ko
Priority to US15/451,395 priority patent/US9949254B2/en
Priority to US15/954,261 priority patent/US10652873B2/en
Priority to KR1020190130076A priority patent/KR102258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98B1/ko
Priority to US16/835,048 priority patent/US1145208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33Correction by delay
    • H04L7/0037Delay of clock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33Correction by delay
    • H04L7/0041Delay of dat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04L7/0337Selecting between two or more discretely delayed clocks or selecting between two or more discretely delayed received cod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TDD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에 따라 제2 TDD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그랜트(Uplink gran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수신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를 지원하는 단말에TDD 설정시 보다 짧은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통신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보다 신속히 단말에 TDD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to efficiently provide TDD configuration to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에서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A는 2012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이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LTE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무선 전송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한다.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 시스템 (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IMTA (Interference Mitigation and Traffic adaptation) 기술은 LTE-A에서 연구 중인 여러 기술들 중 하나이다. IMTA 기술은 TDD 에 적용되는 기술로, 상, 하향링크에서 발생하는 트래픽량, 간섭량 제어등을 목적으로 짧은 사이클을 가지고, 상, 하향링크에 할당된 자원량의 비율을 변경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IMTA 기술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LTE-A 시스템을 개선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TDD를 가변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과 상기 기지국 및 단말의 운용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TDD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에 따라 제2 TDD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그랜트(Uplink gran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수신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TDD 설정을 수진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에 따라 제2 TDD 설정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그랜트(Uplink grant)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수신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 방법은 단말에 제1 TDD 설정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TDD 설정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적 TDD 동작 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에 따라 제2 TDD 설정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에 따라 역방향 그랜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수신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제1 TDD 설정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TDD 설정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적 TDD 동작 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전송한 동적 TDD 설정관련 정보에 따라 제2 TDD 설정을 송신하고,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에 따라 역방향 그랜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수신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TDD 설정 또는 상기 제2 TDD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를 지원하는 단말에TDD 설정시 보다 짧은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통신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보다 신속히 단말에 TDD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에서 Modification period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일반적인 SIB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 예 1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실시 예 1에서의 단말 동작 블록도,
도 8은 실시 예 1에서의 기지국 동작 블록도,
도 9는 실시 예 2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실시 예 2에서의 단말 동작 블록도,
도 11은 실시 예 2에서의 기지국 동작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 동작 블록도,
도 13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지국 동작 블록도,
도 14는 TDD에서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는 단말 동작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8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서브 프레임 n에서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9는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또 다른 동작을 나타낸 나타낸 흐름도,
도 21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제 2 TDD 설정을 일시적으로 획득하지 못한 단말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23은 제 2 TDD 설정을 일시적으로 획득하지 못한 단말이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는 짧은 사이클을 가지고 변경되는 TDD 설정 정보를 효과적으로 단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제 3 실시 예는 이러한 상황에서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IMTA 기술에서 짧은 사이클을 가지고, 상, 하향링크에 할당된 자원량의 비율을 변경하기 위해, TDD 설정 정보를 빠르게 변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에 상기 적용되는 TDD 설정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빠르게 변경되는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과 TDD 설정 정보, TDD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LTE 표준에서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TDD (Time Division Duplex)의 두 가지 듀블렉스 (Duplex)을 지원한다. FDD는 상, 하향링크가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TDD는 상,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따라서, TDD에서는 특정 서브프레임 동안에는 상향링크로, 또 다른 서브프레임 동안 동안에는 하향링크로 교대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야 한다. 단말은 각 상, 하향링크가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기지국은 미리 이러한 서브프레임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해준다. 상,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정보를 TDD configuration로 칭하며, 표 1에서와 같이 기지국에서는 총 7 가지의 TDD configuration 중 하나를 제공해줄 수 있다. TDD configuration에 따라, 각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special 서브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표 1에서 'D'로 표기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며, 'U'로 표기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할당된다. Special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서브프레임에 해당된다. 상기 special 서브프레임을 두는 이유는 단말의 위치에 단말이 따라, 각 단말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완전히 수신하는 타이밍과 각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더 늦게 수신하게 된다. 반대로,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지국이 특정 시간 이내에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이 더 이른 시간에 데이터 송신을 시작해야 한다. 반대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는 special 서브프레임이 필요가 없다. 아래 표 1은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을 나타낸다.
Uplink - downlink
configuration
Downlink - to - Uplink
Switch - point periodicity
Subframe number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도 14은 TDD에서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ms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radio frame, 14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서브프레임은 1 ms이며, 두 개의 slot으로 구성된다. 도 14은 서브프레임 1405와 서브프레임 1415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1410과 서브프레임 1435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상황, 즉, TDD configuration 0, 1, 2, 6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그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special 서브프레임이 된다. Special 서브프레임은 DwPTS (Downlink Pilot TimeSlot, 1420), GP (Guard Period, 1425), UpPTS (Uplink pilot Timeslot, 1430)으로 지시되는 3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DwPTS는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시간 구간이며, UpPTS는 상향링크 송신을 위한 시간 구간이다. GP는 어떠한 송수신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적의 DwPTS와 UpPTS 값은 전파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적절한 DwPTS와 UpPTS 값을 미리 단말에게 알려주며, 표 2와 같다. 표1에서의 TDD configuration과 표2의 DwPTS와 UpPTS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broadcast되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SIB1)의 IE Tdd-Config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다. 아래 표 2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Configuration of special subframe (lengths of DwPTS/GP/UpPTS))을 타나낸다.
Figure 112013005744413-pat00001
LTE 표준에서는 표 3과 같이 주파수 밴드 개념을 가지고 있다. LTE 반송파는 하나의 주파수 밴드에 속하게 되며, 주파수 밴드에 따라 단말 송신 전력 등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파라미터값들이 달라진다. 반송파 집적 기술에서는 동일한 밴드 또는 다른 밴드에 속한 반송파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파 직접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 구현 상, 복수 개의 RF (Radio Frequency) 모듈을 가질 것이다. 단말이 사용할 반송파들이 주파수 상 인접해 있는 밴드들에 속해 있다면, 동일한 RF 모듈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 주파수 상 멀리 떨어진 밴드들에 속해 있다면, 다른 RF 모듈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이는 적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RF 모듈의 성능 특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 단말이 사용할 반송파들이 주파수 상 인접해 있는 밴드들에 속해 동일한 RF 모듈을 사용한다면, 동일한 TDD 설정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이는 한 RF 모듈에 속한 반송파들을 분리하여 각기 다른 TDD 설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말이 사용할 반송파들이 주파수 상 멀리 떨어진 밴드들에 속해 있어, 복수 개의 RF 모듈을 이용한다면, 각 반송파에 다른 TDD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IMTA 기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기지국에 알릴 때, 주파수 밴드별로 구분하여 알려줄 필요가 있다. 아래 표 3은 E-UTRA operating bands을 나타낸다.
E- UTRA Operating Band Uplink ( UL ) operating band
BS receive
UE transmit
Downlink ( DL ) operating band
BS transmit
UE receive
Duplex Mode
F UL _ low - F UL _ high F DL _ low - F DL _ high
1 1920 MHz 1980 MHz 2110 MHz 2170 MHz FDD
2 1850 MHz 1910 MHz 1930 MHz 1990 MHz FDD
3 1710 MHz 1785 MHz 1805 MHz 1880 MHz FDD
4 1710 MHz 1755 MHz 2110 MHz 2155 MHz FDD
5 824 MHz 849 MHz 869 MHz 894MHz FDD
61 830 MHz 840 MHz 875 MHz 885 MHz FDD
7 2500 MHz 2570 MHz 2620 MHz 2690 MHz FDD
8 880 MHz 915 MHz 925 MHz 960 MHz FDD
9 1749.9 MHz 1784.9 MHz 1844.9 MHz 1879.9 MHz FDD
10 1710 MHz 1770 MHz 2110 MHz 2170 MHz FDD
11 1427.9 MHz 1447.9 MHz 1475.9 MHz 1495.9 MHz FDD
12 699 MHz 716 MHz 729 MHz 746 MHz FDD
13 777 MHz 787 MHz 746 MHz 756 MHz FDD
14 788 MHz 798 MHz 758 MHz 768 MHz FDD
15 Reserved Reserved FDD
16 Reserved Reserved FDD
17 704 MHz 716 MHz 734 MHz 746 MHz FDD
18 815 MHz 830 MHz 860 MHz 875 MHz FDD
19 830 MHz 845 MHz 875 MHz 890 MHz FDD
20 832 MHz 862 MHz 791 MHz 821 MHz FDD
21 1447.9 MHz 1462.9 MHz 1495.9 MHz 1510.9 MHz FDD
22 3410 MHz 3490 MHz 3510 MHz 3590 MHz FDD
23 2000 MHz 2020 MHz 2180 MHz 2200 MHz FDD
24 1626.5 MHz 1660.5 MHz 1525 MHz 1559 MHz FDD
25 1850 MHz 1915 MHz 1930 MHz 1995 MHz FDD
26 814 MHz 849 MHz 859 MHz 894 MHz FDD
...
33 1900 MHz 1920 MHz 1900 MHz 1920 MHz TDD
34 2010 MHz 2025 MHz 2010 MHz 2025 MHz TDD
35 1850 MHz 1910 MHz 1850 MHz 1910 MHz TDD
36 1930 MHz 1990 MHz 1930 MHz 1990 MHz TDD
37 1910 MHz 1930 MHz 1910 MHz 1930 MHz TDD
38 2570 MHz 2620 MHz 2570 MHz 2620 MHz TDD
39 1880 MHz 1920 MHz 1880 MHz 1920 MHz TDD
40 2300 MHz 2400 MHz 2300 MHz 2400 MHz TDD
41 2496 MHz 2690 MHz 2496 MHz 2690 MHz TDD
42 3400 MHz 3600 MHz 3400 MHz 3600 MHz TDD
43 3600 MHz 3800 MHz 3600 MHz 3800 MHz TDD
NOTE 1: Band 6 is not applicable
<<실시 예 1>>
실시 예 1에서는 기지국에서 broadcast되는 공통 정보 중 하나인 SIB1을 사용하여,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한다.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에서 Modification period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에서는 Modification period (310)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즉, SI update 전, Modification period 동안 paging 메시지 을 통해 SI (300) 가 update됨을 알린다. Paging 메시지에 systemInfoModification IE가 존재한다면, 다음 Modification period부터 update된 SI (305)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 SI 메시지 중, 하나만 변경되는 경우에도, paging 메시지에서 이를 표시한다. 예외적으로 ETWS을 전달하는 SIB10와 SIN11의 경우엔, modification period의 경계와 상관없이 update 된다. Paging 메시지에 etws-Indication IE와 함께 ETWS가 있다고 표시되면, 단말은 바로, SIB10, 11 수신을 시도한다. Modification period의 길이는 SIB2로 알려지는데, 최대값은 10.24 초이다.
도 4는 일반적인 SIB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400 단계에서 SIB 정보를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한다. 405 단계에서 기지국은 Paging 메시지에 SystemInfoModification IE을 포함시켜 단말에 전달한다. 상기 paging 메시지는 다음 modification period부터 새로 업데이트된 SIB정보가 전송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410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 Paging 메시지를 수신하여 다음 modification period에서 SIB 정보가 변경되는지를 인지한다. 다음 modification period (420)이 도래하면, 단말은 우선 SIB1 디코딩을 425 단계에서 시도한다. SIB1은 다른 SIB의 스케줄링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말은 430 단계에서 새로 업데이트된 SIB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은 435 단계에서 변경된 SIB정보를 적용한다.
도 5는 일반적인 SIB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broadcast되는 공통 정보는 MIB (MasterInformationBlock, 545)과 SIB1~SIB13까지 존재하며, 새로운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SIB14등이 논의되고 있다. MIB은 SFN (System Frame Number), 주파수 대역폭 등 가장 essential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MIB는 매 라디오 프레임 (535)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4 라디오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정보를 가진 MIB가 전송되기 때문에, 주기는 40 ms이다. SIB1 (550)은 셀 엑세스와 SIB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SIB2는 매 짝수번째 라디오 프레임의 5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나머지 SIB2~SIB13들은 복수 개의 SI message 들 (555, 560, 565)중 하나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다수의 SIB 정보로 구성된 SI message는 Si-WindowLength (525)로 정의된 시간 구간인 SI window 동안 전송되며, 상기 시간 구간 동안에는 다른 SI message가 중복하여 전송될 수 없다. Si-WindowLength는 SIB1으로 단말에게 알려지며, 모든 SI message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값이다. 하나의 SI message에 포함된 다수의 SIB 정보들은 SIB1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순서대로, SI window 내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SI window 내의 서브프레임들 중, MBSFN 서브프레임, TDD일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IB1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짝수 번째 라디오 프레임의 5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SIB 전송이 제한된다. 또한, 첫번째 SI message의 첫번째로 전송되어야 하는 SIB정보는 SIB2 (530)으로 고정된다. 첫번째 SI message (555)는 특정 주기 (505)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즉, 첫번째 SI message (555)가 첫번째 SI window (515)에서 전송되면, 특정 주기 (505)가 지난 후, 재전송된다. 두번째 SI message (560)은 두번째 SI window (520)에서 전송된 후, 다른 주기 (510)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각 SI message에 대한 상기 주기 정보는 SIB1으로 단말에게 알려진다.
짧게는 수십 ms 또는 수백 ms 내에서 변경되는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SIB들 중 SIB1이 가장 적합하다. MIB는 가장 essential한 정보만을 포함시키며, 여유 비트가 많지가 않다. 이에 비해, SIB1은 MIB보단 길지만 비교적 긴 주기를 가지고 전송되지만, 타 SIB에 비해 짧다. 또한,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므로, 따로, 스케줄링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다른 SIB정보들은 SIB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SIB1을 사용할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은 modification period을 기반으로 한 SIB 전달 과정이다. SIB1에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때,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SIB1을 전송하는 시점의 이전 modification period에서 paging으로 SIB이 변경될 것임을 미리 알려야 한다. 상기 modification period가 지난 후, 기지국은 변경된 SIB1을 전송할 것이다. 이는 dynamic TDD configuration의 변경 주기를 고려할 때,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제때에 단말에게 알려줄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SIB1에 포함시키되, 종래의 modification period을 따르지 않고, 단말은 지속적으로 SIB1을 수신, 디코딩하고,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정보를 바로 포함하여 SIB1을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6은 실시 예 1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0 단계에서 단말은 TDD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한다. 605 단계에서 단말은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수행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capability 비트를 기지국에게 제공한다. 주파수 밴드별로 capability 비트가 필요한 이유는 서두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610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특정 밴드에 속한 특정 반송파에 대해,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61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dynamic TDD 을 트리거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620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SIB1 정보를 수신, 디코딩한다. 630 단계에서 SIB1으로부터 dynamic TDD configuration정보를 수신한다. 635 단계에서 단말은 다음 SIB1에서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가장 최근에 수신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적용하여, dynamic TDD을 수행한다. 640 단계에서 단말은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은 dynamic TDD 동작을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도 7은 실시 예 1에서의 단말 동작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단말은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에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capability 지시자를 포함시킨다. 7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7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서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한다면 720 단계에서 단말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SIB1으로부터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획득한다. 725 단계에서 단말은 가장 최근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적용하여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730 단계에서 종래의 일반적으로 TDD 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은 실시 예 1에서의 기지국 동작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 단계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로부터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capability 지시자를 포함한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8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에서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한다면, 81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한다. 8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 825 단계에서 기지국은 SIB1에 가장 최근의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실시 예 2>>
실시 예 2에서는 Paging을 사용하여,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한다.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paging 전달 방법을 설명한다.
Paging 메시지는 아무때나 전송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마다 미리 정해진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상기 전송 시점은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단말은 상기 전송 시점에서만 paging 메시지 수신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Paging 메시지가 전송되는 라디오 프레임을 PF (Paging Frame)이라고 하며, 상기 PF내에서 Paging 메시지가 실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PO (Paging Occasion)이라고 칭한다. PF와 PO는 아래의 두 수학식에 의해 도출된다.
Figure 112013005744413-pat00002
Figure 112013005744413-pat00003
Ns PO when i_s=0 PO when i_s=1 PO when i_s=2 PO when i_s=3
1 0 N/A N/A N/A
2 0 5 N/A N/A
4 0 1 5 6
본 실시 예에서는 Paging 메시지에, 적용해야 할 TDD 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3 비트를 추가시킨다. 또한, PDCCH에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위한 paging 메시지는 고정된 PF, PO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위한 paging 메시지는 모든 단말이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들 중,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만 수신하면 된다. 먼저 기지국은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수행할 단말에게 dedicated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전송한다. PagingCycle-dynamic-TDD은 상기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 Paging 메시지가 전송되는 라디오 프레임 (PF) 주기를 나타낸다. i_s-dynamic-TDD은 PO 를 나타낸다. i_s-dynamic-TDD은 표4에서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15는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PagingCycle-dynamic-TDD (1500)은 상기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포함한 paging 메시지의 전송 주기이다. PF (1505)는 상기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 Paging 메시지가 전송되는 라디오 프레임을 나타낸다. PO (1510)은 i_s-dynamic-TDD가 지시하는 Paging 메시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상기 Paging으로부터 수신한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는 다음 Paging을 수신할 때까지 적용된다 (1515).
도 9은 실시 예 2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0 단계에서 단말은 TDD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한다. 905 단계에서 단말은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수행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capability 비트를 기지국에게 제공한다. 주파수 밴드별로 capability 비트가 필요한 이유는 서두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910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특정 밴드에 속한 특정 반송파에 대해,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91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920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Paging 정보를 수신, 디코딩한다. 930 단계에서 Paging으로부터 dynamic TDD configuration정보를 수신한다. 935 단계에서 단말은 다음 Paging에서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가장 최근에 수신한 dynamic TDD configuration을 적용하여, dynamic TDD을 수행한다. 940 단계에서 단말은 업데이트된 dynamic TDD configuration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은 dynamic TDD 동작을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도 10은 실시 예 2에서의 단말 동작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1000 단계에서 단말은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에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capability 지시자를 포함시킨다. 10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101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10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서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하고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한다면 1020 단계에서 단말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paging으로부터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획득한다. 1025 단계에서 단말은 가장 최근 dynamic TDD configuration 정보를 적용하여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1030 단계에서 종래의 일반적으로 TDD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실시 예 2에서의 기지국 동작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0 단계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로부터 각 주파수 밴드별로 dynamic TDD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capability 지시자를 포함한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11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에서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dynamic TDD 동작을 configure한다면, 1110 단계에서 기지국은 PagingCycle-dynamic-TDD와 i_s-dynamic-TDD 정보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11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 1125 단계에서 기지국은 Paging에 가장 최근의 dynamic TDD configuration 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실시 예 3>
단말이 PUSCH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송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로 아래 두 가지가 있다.
1. 순방향 제어 채널 (PDCCH)을 통해 최초 전송 혹은 재전송을 지시하는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
2.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유효한 RAR (valid random access response)에 수납되어 있는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
단말이 임의의 서브 프레임 n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단말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예컨대 서브 프레임 (n+k)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k는 단말이 MAC PDU를 생성하고 역방향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의 전처리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과 관련된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이 동일한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서는 단말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역방향 그랜트를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였는지 RAR을 통해 수신하였는지에 따라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달리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특히 단말에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경우, PDCCH를 통해 수신한 역방향 그랜트에 대해서는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결정하고, RAR를 통해 수신한 역방향 그랜트에 대해서는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결정한다.
도 16에 본 발명의 단말 동작을 도시하였다.
참고로 TDD 설정 정보는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 대해서 순방향 서브 프레임, 역방향 서브 프레임 특별 서브 프레임 (Special subframe)의 구성을 지시하는 0과 6사이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TDD 설정 정보를 사용한다. 제 1 TDD 설정 정보는 동적인 TDD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을 포함한 모든 단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이며 해당 셀의 모든 단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예를 들어 System Information Block 1이 될 수 있다. SIB1은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1 TDD 설정 정보 외에도 단말이 해당 셀에 캠프 온할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정보들 예를 들어 해당 셀의 사업자 정보 같은 것들도 함께 수납한다. 제 1 TDD 설정 정보는 초기 릴리즈 (release)의 단말을 포함한 모든 단말들이 이해할 수 있는 필드, 즉 레거시 필드(legacy field)에 수납된다. 제 2 TDD 설정 정보는 동적인 TDD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단말에게 전달이 가능하다. 제 2 TDD 설정 정보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송되며 동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기지국은 현재 셀의 로드 상황이나 순방향 트래픽과 역방향 트래픽의 비율 등을 고려해서 소정의 시점에 가장 적합한 TDD 설정을 결정해서 제 2 TDD 설정 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단말들에게 전달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160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소정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거시 필드에 수납된 제 1 TDD 설정 정보를 인지한다. 상기 제 1 TDD 설정 정보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 속성을 가지며, 변경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 변경 절차가 적용된다. 1610 단계에서 단말에게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다.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다는 것은 동적인 TDD 동작을 시작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수납된 제어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인 TDD 동작이란, 셀의 로드 상황에 따라서 단말의 TDD 설정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동적인 TDD 동작은 아래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동적인 TDD 동작 1: 소정의 주기로 TDD 설정이 변경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에게 소정의 방법,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정보를 사용해서 단말에게 주기적으로 현 시점 혹은 가까운 미래에 적용될 TDD 설정을 알려준다. 상기 TDD 설정 정보는 종래의 TDD 설정 정보와 마찬가지로 0과 6 사이의 정수로 지시되는 소정의 역방향 서브 프레임, 순방향 서브 프레임, 특별 서브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동적인 TDD 동작 2: 한 라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10개의 서브 프레임을 고정 서브 프레임과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으로 구분한다. 고정 서브 프레임은 순방향 서브 프레임, 역방향 서브 프레임 혹은 특별 서브 프레임으로 고정되고,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은 상황에 따라 순방향 서브 프레임이 될 수도 있고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순방향 고정 서브 프레임 (fixed downlink subframe) 서브 프레임 #0, #5
역방향 고정 서브 프레임 (fixed uplink subframe) 서브 프레임 #1, #6
특별 고정 서브 프레임 (fixed special subframe) 서브 프레임 #2, #7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flexible subframe) 서브 프레임 #3, #4, #8, #9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적인 TDD 동작 1과 동적인 TDD 동작 2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단말의 동작 측면에서는 일부 동작은 둘 중 하나의 동적인 TDD 동작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1615 단계에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 2 TDD 설정 정보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달된다. 상기 소정의 제어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이거나 RRC 제어 메시지이거나 MAC 제어 메시지이거나 PDCCH를 통해 전달되는 것일 수도 있다. 1615 단계는 동적인 TDD 동작 1에만 적용된다.
1620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n에서 유효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다.
16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유효한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서 수신되었는지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검사한다. RAR (Random Access Response, 이하 RAR)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1630 단계로,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1645 단계로 진행한다. RAR을 통해 유효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RAR은 단말이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해서 기지국이 응답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으로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되며, 헤더에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라는 정보가 수납되고 페이로드에는 역방향 그랜트를 비롯한 각 종 정보가 수납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RAR 수신 여부를 감시하고 RAR이 수신되었을 때 RAR에 수납된 RAPID가 자신이 전송했던 프리앰블에 관한 것이라면 상기 RAR은 유효한 RAR이며 단말은 상기 RAR에 수납된 역방향 그랜트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PDCCH를 통해 유효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PDCCH를 통해 단말의 식별자 (C-RNTI)로 마스크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16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RAR 전송을 유발한 프리앰블이 전용 프리앰블 (dedicate preamble)이었는지 랜덤 프리앰블 (random preamble)이었는지 검사한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통상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RAR을 전송하고 단말이 RAR의 역방향 그랜트에 따라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 (이를 메시지 3을 전송한다고 한다)으로 구성된다.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함에 있어서 단말이 직접 프리앰블을 선택하거나 기지국이 특정 프리앰블을 사용할 것을 지시한다. 전자는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것이라 하고 후자는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것이라 한다.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메시지 3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까지는 어떤 단말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반면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것만으로 단말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단말에 동적인 TDD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랜덤 프리앰블의 경우 메시지 3을 수신한 후에, 전용 프리앰블의 경우 프리앰블을 수신했을 때 알 수 있다.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하는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할당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1635 단계로 진행한다.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한다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할당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1640 단계로 진행한다.
163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1635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다. 임의의 셀에서 동적인 TDD 동작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셀에는 동적인 TDD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동작과 같이 모든 단말이 수행하고 일정 시점까지 기지국이 단말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말에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동적인 TDD 동작에 의해서 결정되는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되지 않은 다른 단말들과 동일한 규칙을 적용해서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63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동작을 의미한다. 단말은 서브 프레임 n에서 수신한 역방향 그랜트에 대해서는 (n+k1)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k1은 6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로 (n+6)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값이다. 임의의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인지 여부는 TDD 설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163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상기 (n+6)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어느 서브 프레임인지 판단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제 1 TDD 설정 정보에 따라서 (n+6)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으로 판단된 서브 프레임이, 제 2 TDD 설정 정보에 따르면 순방향 서브 프레임이거나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이라 하더라도 단말은 상기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을 수행한다. RAR의 역방향 그랜트에는 역방향 전송 자원 정보, 역방향 전송 시 적용할 변조 방식과 코딩 레이트에 관한 정보,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정보, 그리고 역방향 전송 지연 여부를 지시하는 1 비트 정보 (이하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수납된다. 상기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은 상기 k1에 대응되는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은 상기 k1에 대응되는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그 이 후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k1 이 후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역방향 전송 지연은 일종의 로드 분산을 위한 것이다.
1640 단계에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164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단말이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것이다. 기지국은 단말에 동적인 TDD가 설정되었다는 것을 인지한 상태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제공한 것이며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를 적용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말은 (n+k1)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며, k1은 제 2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기준으로 6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수이다. 단말은 상기 RAR 역방향 그랜트의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0이라면 제 2 TDD 설정을 기준으로 k1을 선택하고 서브 프레임 n+k1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RAR 역방향 그랜트의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1이라면 제 2 TDD 설정 기준으로 선택된 k1에 대응되는 서브 프레임 이 후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k1 이 후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을 판단함에 있어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한다.
1645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단말에게 그 사실을 알고 있는 기지국이 역방향 그랜트를 할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PDCCH를 통해 수신한 역방향 그랜트와 그에 대응되는 역방향 전송 사이의 시간 관계는 규격 36.213의 테이블 8-2(표 6)에 TDD 설정 별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 n에서 PDCCH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TDD 설정 1과 TDD 설정 2 중 TDD 설정 2를 적용해서 k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k에 따라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아래의 표 6은 규격 36.213의 테이블 8-2를 나타낸 표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n
0 1 2 3 4 5 6 7 8 9
0 4 6 4 6
1 6 4 6 4
2 4 4
3 4 4 4
4 4 4
5 4
6 7 7 7 7 5
예컨대, 단말이 서브 프레임 0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TDD 설정이 0이라면 k는 4, TDD 설정이 6이라면 k는 7이다.
상기 동작을 도 17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제 1 TDD 설정은 설정 0이고 (1705), 제 2 TDD 설정은 설정 3 (1710)이다. 단말은 서브 프레임 0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 (1715).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된 것이며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면,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1을 판단한다. 즉, 적어도 6 서브 프레임 이 후의 서브 프레임들 중 TDD 설정 0을 적용했을 때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k1에 대응되며 상기 예에서는 7이다.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0이라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7 (1720)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1에 의해서 지시되는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고, 다시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1725)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된 것이며 단말이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면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k1을 판단한다. 즉, 적어도 6 서브 프레임 이 후의 서브 프레임 들 중 TDD 설정 3을 적용했을 때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k1이며 상기 예에서 12가 된다.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2(1730)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k1에 의해서 지시되는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고 다시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1735)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PDCCH를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결정한다. 테이블 8-2를 참조하면, TDD 설정이 3이고 역방향 그랜트가 서브 프레임 0에서 수신된 경우 k는 4이다. 따라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4(1740)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예시는 동적인 TDD 동작 1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 동작의 차이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1605 단계와 1610 단계는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하는 경우 1615 단계는 필요치 않다.
1620 ~ 1635 단계 역시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164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6 서브 프레임 이 후의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중 첫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즉, k1은 6보다 크면서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첫 번째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중 먼저 발생하는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수이다. 도 17의 예시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7(1720, 역방향 전송 지연정보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혹은 서브 프레임 8(1725, 역방향 전송 지연 정보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1645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에서 4 서브 프레임 이 후의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중 첫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즉 k는 4보다 크면서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첫 번째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중 먼저 발생하는 서브 프레임과 대응되는 정수이다. 도 17의 예시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4(1740)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 n이 시작되기에 앞서 서브 프레임 n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상기 동작은 예를 들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감시할 것인지, 역방향 피드백을 전송할 것인지, 순방향 피드백을 수신할 것인지, PUSCH 전송을 수행할 것인지 등이다. 단말은 순방향 서브 프레임에서는 PDCCH를 감시해서 스케줄링 여부 혹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단말에 동적 TDD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상기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 결정한다. 동적 TDD 동작이 설정되지 않은 단말은 항상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 결정한다.
도 18은 제 1 TDD 설정과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서브 프레임 n에서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단말 동작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1805 단계에서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순방향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지 역방향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지 판단하는 과정을 개시한다.
1810 단계에서 단말은 동적 TDD 동작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동적 TDD 동작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1815 단계로, 설정되어 있다면 1820 단계로 진행한다.
1815 단계에서 단말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서 C-RNTI로 마스크된 스케줄링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감시할지 여부를 판단. 제 1 TDD 설정을 적용했을 때 해당 서브 프레임이 순방향 서브 프레임 혹은 특별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C-RNTI로 마스크된 스케줄링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HARQ 피드백을 수신할 지 여부를 판단. PUSCH 전송과 HARQ 피드백 수신 사이의 시간 관계는 36.213에 TDD 설정 별로 정의되어 있다.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이 순방향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HARQ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이전 소정의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PUSCH가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k 서브 프레임 이 전에 PDCCH를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한다. 상기 k는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HARQ 피드백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TDD 설정 별로 정의되는 소정의 기간 이 전에 PDSCH를 수신하였다면 역방향 HARQ 피드백을 전송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RA-RNTI로 마스크된 RAR 수신 여부를 감시해야 하는지 판단. 단말이 서브 프레임 x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였으며, 해당 서브 프레임이 (x+m)과 (x+m+k) 사이의 서브 프레임이며, 해당 서브 프레임이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순방향 서브 프레임 혹은 특별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RA-RNTI로 마스크된 RAR 수신 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m과 k는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언제부터 언제까지 RAR 수신을 시도할지를 규정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에 대한 파라미터이다. m은 고정된 값이고 k는 시스템 정보로 그 길이가 공지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가 종료될 때까지 유효한 RAR를 수신하지 못하면,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절차에 돌입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RAR 역방향 그랜트에 대한 PUSCH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k1 서브 프레임 이전에 RAR을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면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한다. 상기 k1은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1820 단계에서 단말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요약하자면, 단말은 메시지 3 전송과 RAR 수신을 위해서는 제 1 TDD 설정을 적용하되 나머지 경우에는 제 2 TDD 설정을 적용한다.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서 C-RNTI로 마스크된 스케줄링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감시할지 여부를 판단. 제 2 TDD 설정을 적용했을 때 해당 서브 프레임이 순방향 서브 프레임 혹은 특별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C-RNTI로 마스크된 스케줄링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HARQ 피드백을 수신할 지 여부를 판단. PUSCH 전송과 HARQ 피드백 수신 사이의 시간 관계는 36.213에 TDD 설정 별로 정의되어 있다.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이 순방향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HARQ 피드백을 수신하여야 하는지 판단한다.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k 서브 프레임 이 전에 PDCCH를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한다. 상기 k는 제 2 TDD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HARQ 피드백을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TDD 설정 별로 정의되는 소정의 기간 이 전에 PDSCH를 수신하였다면 역방향 HARQ 피드백을 전송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RA-RNTI로 마스크된 RAR 수신 여부를 감시해야 하는지 판단. 단말이 서브 프레임 x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였으며, 해당 서브 프레임이 (x+n+m)과 (x+m+k) 사이의 서브 프레임이며, 해당 서브 프레임이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순방향 서브 프레임 혹은 특별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RA-RNTI로 마스크된 RAR 수신 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m과 k는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언제부터 언제까지 RAR 수신을 시도할지를 규정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에 대한 파라미터이다. m은 고정된 값이 사용되고 k는 시스템 정보로 그 길이가 공지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가 종료될 때까지 유효한 RAR를 수신하지 못하면,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절차에 돌입한다.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RAR 역방향 그랜트에 대한 PUSCH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 해당 서브 프레임이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고, k1 서브 프레임 이전에 RAR을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다면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한다. 상기 k1은 제 1 TDD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아래에 또 다른 단말 동작을 설명한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하고, 단말이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때 단말은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HARQ 피드백을 수신한다. 만약 단말에게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상기 HARQ 피드백을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 1 TDD 설정이나 제 2 TDD 설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도 19에 관련 단말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19를 참조하면 190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소정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거시 필드에 수납된 제 1 TDD 설정 정보를 인지한다. 상기 제 1 TDD 설정 정보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 속성을 가지며, 변경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 변경 절차가 적용된다. 1910 단계에서 단말에게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다.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다는 것은 동적인 TDD 동작을 시작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수납된 제어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인 TDD 동작이란, 단말의 로드 상황에 따라서 단말의 TDD 설정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1915 단계에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 2 TDD 설정 정보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달된다. 상기 소정의 제어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이거나 RRC 제어 메시지이거나 MAC 제어 메시지이거나 PDCCH를 통해 전달되는 것일 수도 있다. 1915 단계는 동적인 TDD 동작 1에만 적용된다.
1920 단계에서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 i에서 순방향 HARQ 피드백을 수신한다. 상기 순방향 HARQ 피드백은 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을 통해서 송수신되므로, 순방향 HARQ 피드백을 수신한다는 것은 PHICH를 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말은 상기 PHICH가 어느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한 HARQ ACK/NACK 정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1925 단계로 진행한다.
19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한 PHICH에 대응되는 PUSCH 전송을 유발한 역방향 그랜트가 RAR를 통해 전달된 것인지 PDCCH를 통해 전달된 것인지 검사한다. RAR을 통해 전달된 것이라면 1930 단계로, PDCCH를 통해 전달된 것이라면 1940 단계로 진행한다. 19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RAR 전송을 유발한 프리앰블이 (혹은 RAR에 수납된 RAPID에 대응되는 프리앰블이) 전용 프리앰블 (dedicate preamble)이었는지 랜덤 프리앰블 (random preamble)이었는지 검사한다.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하는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전송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1935 단계로 진행한다.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한다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전송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1940 단계로 진행한다.
193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적용해서 PHICH가 어느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 PUSCH에 관한 것인지 판단한다. 요컨대 PHICH는 서브프레임 (i-k)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한 것이며, 상기 k는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TDD 설정과 k의 관계는 규격 36.213의 표 7에 나타낸 테이블 8.3-1에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단말이 서브 프레임 0에서 PHICH를 수신하고 해당 시점의 TDD 설정이 설정 0이라면, k는 7이고 PHICH는 (i-7)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한 HARQ 피드백이다.
아래의 표 7은 규격 36.213의 테이블 8. 3-1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의 테이블은 TDD 설정 0-6에서 k값을 나타낼 수 있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0 7 4 7 4
1 4 6 4 6
2 6 6
3 6 6 6
4 6 6
5 6
6 6 4 7 4 6
1940 단계에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적용해서 PHICH가 어느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 PUSCH에 관한 것인지 판단한다. 요컨대 PHICH는 서브프레임 (i-k)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한 것이며, 상기 k는 제 2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TDD 설정과 k의 관계는 규격 36.213의 테이블 8.3-1에 정의되어 있다.
도 20에 상기 동작과 관련된 단말의 또 다른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동작과 도 19에 도시된 동작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고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2005 ~ 2015는 1905 ~ 1915와 동일하다.
2020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n에서 PUSCH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은 상기 PUSCH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서 2025 단계로 진행한다.
20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PUSCH 전송을 유발한 역방향 그랜트가 RAR를 통해 전달된 것인지 PDCCH를 통해 전달된 것인지 검사한다. RAR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2030 단계로,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2040 단계로 진행한다.
20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RAR과 관련된 프리앰블이 전용 프리앰블 (dedicate preamble)이었는지 랜덤 프리앰블 (random preamble)이었는지 검사한다.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하는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전송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2035 단계로 진행한다. 전용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RAR를 수신한 것이라면, 기지국은 단말이 동적인 TDD 동작을 적용한다는 것을 아는 상태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그랜트를 전송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2040 단계로 진행한다.
2035 단계에서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어느 서브 프레임에서 PHICH를 수신할지 판단한다. 요컨대 단말은 서브 프레임 (n+k)에서 PHICH를 수신한다. 상기 k는 제 1 TDD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TDD 설정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TDD 설정과 k의 관계는 규격 36.213의 테이블 8.3-1에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서브 프레임 2에서 PUSCH를 전송하였으며 TDD 설정 1이라면, PHICH는 서브 프레임 6에서 수신한다.
2040 단계에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어느 서브 프레임에서 PHICH를 수신할지 판단한다. 요컨대 단말은 서브 프레임 (n+k)에서 PHICH를 수신한다.
도 21에 상기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 1 TDD 설정은 설정 0이고 (2105), 제 2 TDD 설정은 설정 3 (2110)이다. 단말은 서브 프레임 3에서 PUSCH를 전송하였다(2115). 상기 PUSCH 전송과 관련된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된 것이며, 단말이 랜덤 프리앰블을 사용하였다면, 단말은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판단한다. 테이블 8.3-1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3에서 PUSCH를 전송하였으며 TDD 설정이 0일 때 서브 프레임 0의 k가 7, 서브 프레임 0과 서브 프레임 3 사이의 거리가 7로 서로 매치되므로, k는 7을 선택하고 단말은 서브 프레임 0 (2120)에서 PHICH를 수신한다.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된 것이며 단말이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였거나, 상기 역방향 그랜트가 PDCCH를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단말은 제 2 TDD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k를 판단한다. 테이블 8.3-1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 3에서 PUSCH를 전송하였으며 TDD 설정이 3일 때 서브 프레임 9의 k는 6이고 서브 프레임 9와 서브 프레임 3의 거리 역시 6 서브 프레임으로 서로 일치하므로 단말은 k를 6으로 선택하고 서브 프레임 9 (2125)에서 PHICH를 수신한다.
상기 예시는 동적인 TDD 동작 1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 동작의 차이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2005 ~ 2010 단계 및 2020 ~ 2035 단계에 대해서는 동적인 TDD 동작 1를 적용하는 경우의 단말 동작과 동적인 TDD 동작 2를 적용한 단말 동작이 동일하다. 동적인 TDD 동작 2를 사용한다면 2015 동작은 필요치 않다.
2040 단계에서 단말은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아래 기준에 맞춰서 결정한다.
[기준]
PUSCH를 전송한 서브 프레임보다 적어도 4 서브 프레임 이 후의 순방향 고정 서브 프레임, 특별 고정 서브 프레임 그리고 변경 가능한 서브 프레임 중 가장 먼저 나타나는 서브 프레임.
도 21의 예시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3에서 PUSCH를 전송하면,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서브 프레임 8 (2130)에서 PHICH를 수신한다.
동적인 TDD 동작이 설정된 단말이 제 2 TDD 설정을 일시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TDD 설정이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에 단말이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 중이거나, 다른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도 22에 상기 제 2 TDD 설정을 일시적으로 인지하지 못한 단말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취하는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22를 참조하면 2205 단계와 2210 단계는1605 단계 및 1610 단계와 동일하다.
2215 단계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한다. 편의상 상기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 수신된 서브 프레임을 서브 프레임 n이라 한다.
2220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 시점에 적용해야 할 제 2 TDD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TDD 설정 정보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전송된다. 예컨대 임의의 (m-1) 번째 시구간의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m 번째 시구간에 적용할 제 2 TDD 설정 정보가 전송되며, 단말은 m 번째 시구간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m 번째 시구간에 적용할 제 2 TDD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가지고 있다면 단말은 2225 단계로 진행한다. 가지고 있지 않다면 2230 단계로 진행한다.
2225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고려해서 제 1 TDD 설정 혹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PUSCH 전송을 수행할 서브 프레임을 판단한다.
223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검사한다.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2240 단계로, RAR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2235 단계로 진행한다.
224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단말이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판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k를 판단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역방향 그랜트가 최초 전송을 지시하더라도 최초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재전송을 지시하더라도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전송 회수를 기록하는 CURRENT_NB_TX나 다음 전송에 사용할 리던던시 버전 (Redundancy Version)과 관련된 CURRENT_IRV는 정상적으로 증가시킨다.
2235 단계에서 단말은 RAR 수신을 유발한 프리앰블이 전용 프리앰블이었는지 랜던 프리앰블이었는지 검사한다. 랜덤 프리앰블이었다면 2245 단계로 전용 프리앰블이었다면 2250 단계로 진행한다.
2245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랜덤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RAR의 역방향 그랜트에 대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모르더라도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1을 판단하고 서브 프레임 (n+k1)에서 (역방향 지연이 0으로 설정되었다면) 혹은 서브 프레임 (n+k1) 이 후의 첫 번째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역방향 지연이 1로 설정되었다면) 할당된 역방향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PUSCH를 전송한다.
225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전용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RAR의 역방향 그랜트에 대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k1을 판단해야 하지만, 단말이 해당 시구간에서 적용해야 할 제 2 TDD 설정을 모르기 때문에 k1을 판단할 수 없다. 단말은 상기 역방향 그랜트를 무시하고, 즉 역방향 그랜트에서 할당된 역방향 전송 자원을 이용한 PUSCH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앰블 재전송 절차를 개시한다. 즉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역방향 서브 프레임에서 프리앰블을 재전송한다. 상기 소정의 조건이란 제 1 TDD 설정을 적용했을 때 적어도 4 서브 프레임 이 후에 존재하는, 프리앰블 전송 자원이 설정된 역방향 서브 프레임이다.
도 23에 상기 제 2 TDD 설정을 일시적으로 인지하지 못한 단말의 PHICH 수신과 관련된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23을 참조하면, 2305 단계와 2310 단계는 1605 단계 및 1610 단계와 동일하다.
2315 단계에서 단말은 PUSCH 전송을 수행한다. 편의상 상기 PUSCH 전송이 수행된 서브 프레임을서브 프레임 n이라고 한다.
2320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 시점에 적용해야 할 제 2 TDD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TDD 설정 정보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전송된다. 예컨대 임의의 (m-1) 번째 시구간의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m 번째 시구간에 적용할 제 2 TDD 설정 정보가 전송되며, 단말은 m 번째 시구간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했을 때 m 번째 시구간에 적용할 제 2 TDD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가지고 있다면 단말은 2325 단계로 진행한다. 가지고 있지 않다면 2330 단계로 진행한다.
2325 단계에서 단말은 PUSCH 전송을 유발한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고려해서 제 1 TDD 설정 혹은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판단한다.
2330 단계에서 단말은 PUSCH 전송을 유발한 역방향 그랜트가 RAR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검사한다. PDCCH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2340 단계로, RAR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2335 단계로 진행한다.
234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단말이 제 2 TDD 설정을 적용해서 PHICH를 수신할 서브 프레임을 판단하여야 하지만 제 2 TDD 설정을 모르기 때문에 상기 서브프레임을 판단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PHICH 수신을 위한 시도를 중지한다. 그리고 상기 PUSCH에 대한 비적응적 재전송(non-adaptive retransmiss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HARQ_FEEDBACK을 ACK으로 설정한다. 혹은 상기 PUSCH 전송과 관련된 HARQ 프로세스의 버퍼를 플러시(flush)한다. HARQ_FEEDBACK은 소정의 HARQ 프로세스 별로 가장 최근의 HARQ 피드백 정보를 관리하는 변수이며, NACK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비적응적 재전송을 수행하고 ACK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별도의 재전송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HARQ_FEEDBACK은 실제로 수신한 HARQ 피드백에 따라서 설정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2 TDD 설정을 몰라서 PHICH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HARQ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HARQ_FEEDBACK을 ACK으로 설정한다.
2335 단계에서 단말은 RAR 수신을 유발한 프리앰블이 전용 프리앰블이었는지 랜던 프리앰블이었는지 검사한다. 랜덤 프리앰블이었다면 2345 단계로 전용 프리앰블이었다면 2340 단계로 진행한다.
2345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랜덤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RAR를 통해 역방향 그랜트를 수신하였고 이에 따라 PUSCH 전송을 수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 2 TDD 설정을 모르더라도 제 1 TDD 설정을 적용해서 k를 판단하고 서브 프레임 (n+k)에서 PHICH를 (혹은 HARQ 피드백을) 수신한다. 도 12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단말은 상위 계층 (1210)과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제어 메시지 처리부 (1215)를 통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송신 시, 제어부 (1220)의 제어에 따라 다중화 장치 (1205)을 통해 다중화 후 송신기 (120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수신 시, 단말은 제어부 (1220)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 (1200)로 물리신호를 수신한 후, 역다중화 장치 (1205)으로 수신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각각 메시지 정보에 따라 상위 계층 (1210) 혹은 제어메시지 처리부 (1215)로 전달한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도시된 기지국 장치는 송수신부 (1305), 제어부(13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320), 제어 메시지 처리부 (1335),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 (1325, 930), 스케줄러(131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3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3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325, 13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3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325, 13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5), 혹은 제어부 (13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10)는 band-specific measurement gap 을 특정 단말에게 적용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시킬지를 결정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 (1335)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단말에게 전달할 RRCConnectionRecnofiguraiton을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325, 1330)는 단말 별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FTP나 VoIP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3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320)로부터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스케줄러(13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및 단말의 Active Time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 업링크/다운링크 (uplink/downlink, UL/DL)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 (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RAR 메시지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되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는 서브프레임 n+k에서 전송되고, 상기 k는 6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 업링크/다운링크 (uplink/downlink, UL/DL)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 (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RAR 메시지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되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는 서브프레임 n+k에서 전송되고, 상기 k는 6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삭제
  10. 삭제
  11.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제1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 업링크/다운링크 (uplink/downlink, UL/DL)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 (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된 경우, 상기 제2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RAR 메시지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되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는 서브프레임 n+k에서 수신되고, 상기 k는 6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설정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 업링크/다운링크 (uplink/downlink, UL/DL)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제2 TDD UL/DL 설정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 (random access response, RAR)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된 경우, 상기 제2 TDD UL/DL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RAR 메시지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되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는 서브프레임 n+k에서 수신되고, 상기 k는 6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006533A 2013-01-21 2013-01-21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3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33A KR102036298B1 (ko) 2013-01-21 2013-01-21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1168110.1A EP3905548A1 (en) 2013-01-21 2014-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PCT/KR2014/000594 WO2014112850A1 (ko) 2013-01-21 2014-01-21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1480014205.3A CN105075148B (zh) 2013-01-21 2014-01-21 提供tdd配置和确定上行链路传输定时的方法和装置
EP14740380.2A EP2947791B1 (en) 2013-01-21 2014-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EP18200771.6A EP3447937B1 (en) 2013-01-21 2014-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US14/762,398 US9591665B2 (en) 2013-01-21 2014-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CN201910703578.6A CN110380840B (zh) 2013-01-21 2014-01-21 通信系统中的终端、基站及其方法
US15/451,395 US9949254B2 (en) 2013-01-21 2017-03-06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US15/954,261 US10652873B2 (en) 2013-01-21 2018-04-16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KR1020190130076A KR102258129B1 (ko) 2013-01-21 2019-10-18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6/835,048 US11452084B2 (en) 2013-01-21 2020-03-30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33A KR102036298B1 (ko) 2013-01-21 2013-01-21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76A Division KR102258129B1 (ko) 2013-01-21 2019-10-18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66A KR20140094166A (ko) 2014-07-30
KR102036298B1 true KR102036298B1 (ko) 2019-10-24

Family

ID=5120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33A KR102036298B1 (ko) 2013-01-21 2013-01-21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9591665B2 (ko)
EP (3) EP3447937B1 (ko)
KR (1) KR102036298B1 (ko)
CN (2) CN110380840B (ko)
WO (1) WO2014112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298B1 (ko) * 2013-01-21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49464B2 (en) * 2013-04-12 2019-07-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nd method in the user equipment, for monitor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US9923690B2 (en) * 2013-08-06 2018-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signaling of the downlink and uplink subframe allocation for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664688B (zh) * 2014-08-26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设备及系统
EP3186995A1 (en) * 2014-08-28 2017-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eceiving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base stations
EP3187014B1 (en) 2014-08-28 2019-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mmunicating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base stations
US10805957B2 (en) * 2014-09-23 2020-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itial acccess procedure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72286B2 (en) 2014-11-21 2018-01-16 Apple Inc. Compressed system information for link budget limited UEs in a radio access network
US11382080B2 (en) * 2015-01-09 2022-07-05 Apple Inc. System information signaling for link budget limited wireless devices
EP3252966B1 (en) * 2015-03-31 2019-04-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in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WO2016163768A1 (ko) * 2015-04-09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징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46376B2 (en) * 2015-04-22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type dependent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US10334617B2 (en) 2015-06-16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10091775B2 (en) 2015-08-18 2018-10-02 Apple Inc. Non-PDCCH signaling of SIB resource assignment
DE112015006733T5 (de) * 2015-08-27 2018-04-19 Intel IP Corporation Angabe der TDD-Uplink- und Downlinkkonfigurationen
US10200164B2 (en) 2015-09-22 2019-02-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activa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US10172124B2 (en) 2015-09-22 2019-01-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selec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WO2017052326A1 (en) * 2015-09-24 2017-03-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various iot network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3000508C (en) 2015-10-17 2019-01-22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partial and full subframes
EP3364559B1 (en) * 2015-10-18 2020-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wireless frame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26713A1 (ko)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48121B2 (en) 2016-02-03 2020-01-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ownlink and uplink channel transmission and monitor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7041003B (zh) * 2016-02-03 2020-04-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下行传输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10880921B2 (en) * 2016-02-0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tection threshold for a wireless network
CN108702746B (zh) * 2016-03-04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子帧配置的切换方法及装置
US10382169B2 (en) * 2016-04-01 2019-08-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RQ systems and methods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CN109314990B (zh) * 2016-04-15 2022-08-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授权多载波动态时分双工(tdd)蜂窝通信系统中的传输的系统和方法
US10200992B2 (en) 2016-05-06 2019-02-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plink signal starting posi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1147062B2 (en) 2016-10-14 2021-10-1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ual connectivity power control fo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20180124831A1 (en) 2016-10-29 2018-05-03 Ofinno Technologies, Llc Dual connectivity scheduling request for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10848977B2 (en) 2016-11-02 2020-1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ual connectivity with licensed assisted access
US10673593B2 (en) 2016-11-03 2020-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RQ signaling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KR102444377B1 (ko) * 2016-11-23 2022-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0396962B2 (en) * 2016-12-15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f-contained subslot bundling
CN109891983A (zh) * 2016-12-30 2019-06-14 富士通株式会社 动态时分双工的设置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JP6913750B2 (ja) * 2017-01-06 2021-08-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情報の送信
US11202279B2 (en) * 2017-01-16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9212B1 (en) * 2018-07-25 2024-03-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1272539B2 (en) 2018-08-09 2022-03-08 Ofinno, Llc Channel access and bandwidth part switching
WO2020029219A1 (en) * 2018-08-10 2020-02-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multiplexing
US11659552B2 (en) * 2019-09-27 2023-05-23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lot format configuration indic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765750B2 (en) * 2020-06-17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switching of uplink configur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949A (zh) * 2010-12-22 2011-05-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ca技术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923B2 (en) 2008-11-14 2011-06-28 Dbsd Satellite Services G.P. Asymmetric TDD in flexible use spectrum
US8948105B2 (en) 2009-04-28 2015-02-03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
WO2011028078A2 (ko) * 2009-09-07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JP5275325B2 (ja) 2010-11-29 2013-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3493556B (zh) 2011-02-21 2020-02-14 安华高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时分双工的动态上行链路/下行链路配置
KR101859594B1 (ko) * 2011-03-1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2128490A2 (ko) 2011-03-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시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200653B (zh) * 2011-04-01 2022-08-02 英特尔公司 上行链路和下行链路比率配置的灵活调整
EP2966800A1 (en) * 2011-04-29 2016-01-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arrier aggregation with subframe restrictions
KR20120123997A (ko)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팬택 랜덤 액세스 장치 및 방법
KR101876230B1 (ko) 2011-06-16 2018-07-1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수신장치 및 방법
KR102031031B1 (ko) 2011-06-20 2019-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복식 프레임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325382B (zh) * 2011-06-30 2016-0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随机接入方法和设备
US20130010706A1 (en) * 2011-07-08 2013-01-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Uplink Power Control Adjustment State In Discontinuos Data Transfer
CN103650394B (zh) * 2011-07-11 2017-03-01 Lg电子株式会社 确定无线通信系统中的前同步码的发送功率的方法和设备
US9686056B2 (en) * 2012-05-11 2017-06-20 Blackberry Limited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CA3067371C (en) * 2012-09-26 2023-01-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dynamic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KR102036298B1 (ko) * 2013-01-21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949A (zh) * 2010-12-22 2011-05-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ca技术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791A1 (en) 2015-11-25
US11452084B2 (en) 2022-09-20
EP2947791A4 (en) 2016-09-21
US9949254B2 (en) 2018-04-17
EP3905548A1 (en) 2021-11-03
US9591665B2 (en) 2017-03-07
EP2947791B1 (en) 2018-10-17
EP3447937A1 (en) 2019-02-27
US20200229167A1 (en) 2020-07-16
CN105075148A (zh) 2015-11-18
US20180234958A1 (en) 2018-08-16
CN105075148B (zh) 2019-08-23
CN110380840B (zh) 2022-07-15
WO2014112850A1 (ko) 2014-07-24
KR20140094166A (ko) 2014-07-30
US20170181143A1 (en) 2017-06-22
US20150365968A1 (en) 2015-12-17
US10652873B2 (en) 2020-05-12
EP3447937B1 (en) 2021-04-14
CN110380840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298B1 (ko)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8297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21170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9900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DD/TDD intra-node and inter-node carrier aggregation
EP3409059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uplink grant of which a resource size is zer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22133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58443B1 (ko) 다수의 캐리어를 가지는 단말이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4568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r reception on basis of LTE an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889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Device−to−Device)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12880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00040253A (ko)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413707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harq feedback and device therefor
JP2017518000A (ja) 搬送波集成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Device−to−Device)信号の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917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ehicle communication
KR102396149B1 (ko)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58129B1 (ko)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83823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receiver bandwidth and device therefor
WO2015037835A1 (en) Random access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tdd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