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111U -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 Google Patents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111U
KR20150003111U KR2020140000885U KR20140000885U KR20150003111U KR 20150003111 U KR20150003111 U KR 20150003111U KR 2020140000885 U KR2020140000885 U KR 2020140000885U KR 20140000885 U KR20140000885 U KR 20140000885U KR 20150003111 U KR20150003111 U KR 20150003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hole
wat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010Y1 (ko
Inventor
심왕섭
Original Assignee
심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왕섭 filed Critical 심왕섭
Priority to KR2020140000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1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과 연결되는 분기관으로의 용수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로관과 분기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게이트의 고장발생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신속한 설치 및 개폐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Water channels gate tolerance}
본 고안은 수로관과 연결되는 분기관으로의 용수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로관과 분기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게이트의 고장발생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신속한 설치 및 개폐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27431호(등록일: 2011년 03월 30일) 페달식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는,
개거수로 내벽에 설치되며, 전면 양측부에는 수직되게 가이드레일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된 수로부착본체판과,
상기 수로부착본체판의 배면에 유입구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용수배출관과;
상기 수로부착본체판의 가이드레일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량조절개폐판과,
상기 수량조절개폐판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개폐판승강로드와,
상기 개폐판승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수량조절개폐판을 개방시키는 개방수단과,
상기 개방수단에 의해 개방된 수량조절개폐판을 하강시키도록 하는 폐쇄수단과,
사용자의 발에 의해 상기 개방수단 및 폐쇄수단이 조작되도록 하는 각각의 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배경기술로써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184608호(등록일: 2012년 09월 14일)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11)과 바닥면(12)을 구비하여 유체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수로관(10)의 내부에 형성된 개폐판(32)은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38)와 측면에 형성된 걸림판(39)에 의하여 일측으로 회전되게 조립되며 상기 수로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측에 고정체(37)와 타측에 원치(33)가 형성되어 회전되게 형성되는 샤프트(34) 및 상기 샤프트(34)와 개폐판(32)을 연결하는 와이어(35)로 구성된 개폐수단(30)에 의하여 개폐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수로와 연통되게 조립되는 분기관(20)이 측면 내측에 형성되며 수로관의 분기관(20) 연결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41)와,
상기 가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일측면이 수로관(10) 내면에 밀착되고 상부에 손잡이(421)가 형성된 개폐판(42)과, 상기 수로관(10)의 상부에 형성하고 개폐판(42)과 와이어(44)로 연결하여 수월하게 개폐판(4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원치(43) 및 상기 개폐판(42)의 이동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21) 하부에 형성되는 볼트(423)와 너트(422)로 구성된 제어수단(40)에 의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개폐장치는 개폐판과 이를 인양하는 윈치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계절의 변화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끈어지거나 또는 길게 늘어지는 경우 와이어가 엉켜 개폐판이 원활하게 개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로관으로 이동하는 용수를 분기관을 통하여 논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 게이트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고장율을 저하시키고 개폐판의 개폐과정을 달리하여 고장 없이 쉽고 적은힘으로도 개폐판을 개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관에 조립되어 분기관으로의 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 게이트를 제공함에 있어 구성을 단순화하여 고장발생을 최소화하고 게이트 자체를 슬림화하여 수로관 내부를 흐르는 용수와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개폐판을 회전시켜 개방과 폐쇄하는 과정을 수로관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폐판을 회전시킬 수 있어 노약자도 쉽게 분가관을 통한 용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수로관(1) 내벽에 설치되며 분기관(2)을 통하여 분기되는 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분기관(2)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의 내벽에 형성된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1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 일측에 끼움홈(13)이 일체로 형성된 후면판(10);
상기 후면판(1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11)과 연통되도록 동선상에 위치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한 쌍의 보강판(20);
상기 보강판(20)의 전면에 형성되며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3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일측에 끼움공(33)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30);
상기 한 쌍의 보강판(20)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공(41)이 형성된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40);
상기 후면판(10)의 끼움홈(13)에 일측이 끼움되며 개폐판(40)의 연결공(41)이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전면판(30)의 끼움공(33)을 관통하여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핀(50);
상기 전면판(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핀(50)에 끼움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핀(50)의 양측의 원통부(51, 53)와 중앙부분의 각형부(52)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판(40)의 연결공(41)에 각형부(52)가 끼움되어 연결핀(50)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판(40)이 회전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40)의 지름은 관통공(12, 32)의 지름보다 1.2배 내지 1.5배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는 수로관의 내면에 조립되는 급수게이트의 구조가 단순하여 현장조립에 문제가 없으며 비 숙련자라 하더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단순함은 게이트의 고장율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급수 게이트를 슬림화하여 수로관 내부를 흐르는 용수와의 마찰로 인한 게이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패판을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수로관 외부로 돌출되어 쉽게 개폐판을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개폐판을 들어올리는 구성이 아닌 회전하여 개폐하는 구성으로 노약자도 쉽게 분기관을 통한 용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중 개폐판과 손잡이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중 개폐판과 손잡이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100)는 수로관(1)의 내면에 부착되는 후면판(10)과 상기 후면판(10)의 전방으로 한 쌍의 보강판(20)과, 상기 보강판(20)의 전방으로 전면판(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판(20) 사이로 개폐판(40)이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로관(1)의 내벽에 형성된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1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 일측에 끼움홈(13)이 일체로 형성된 후면판(10)과, 상기 후면판(1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11)과 연통되도록 동선상에 위치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한 쌍의 보강판(20)과, 상기 보강판(20)의 전면에 형성되며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3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일측에 끼움공(33)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30)과, 상기 한 쌍의 보강판(20)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공(41)이 형성된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40)과, 상기 후면판(10)의 끼움홈(13)에 일측이 끼움되며 개폐판(40)의 연결공(41)이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전면판(30)의 끼움공(33)을 관통하여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핀(50) 및 상기 전면판(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핀(50)에 끼움되는 손잡이(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50)의 양측의 원통부(51, 53)와 중앙부분의 각형부(52)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판(40)의 연결공(41)에 각형부(52)가 끼움되어 연결핀(50)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판(40)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핀(50)의 일측 원통부(51)가 후면판(10)의 끼움홈(13)에 끼움된 상태에서 각형부(53)에 개폐판(40)의 각형 연결공(41)이 끼움되고 이어서 전면판(30)의 끼움공(33)에 원통부(53)이 관통되어 끝부분이 전면판(30)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된 원통부(53)에 손잡이(60)를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손잡이(6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핀(50)의 원통부(51, 53)가 억지회전하고 중앙의 각형부(52)에 끼움된 개폐판(40)이 미끄러짐 없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판(40)의 지름은 관통공(12, 32)의 지름보다 1.2배 내지 1.5배 크게 형성하여 개폐판(40)의 전면과 후면이 후면판(10)과 전면판(30)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관통공(12, 32)를 밀폐시키고 개폐판(40)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100)를 구성하는 후면판(10)과 보강판(20), 개폐판(40) 및 전면판(30)의 구성은 수로관(10의 내면에 형성된 앙카볼트(3)에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조립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급수 게이트 제작공장에서 후면판(10)과 보강판(20) 및 전면판(30)을 견고하게 부착하여 일체화하고 내부에 개폐판(40)을 회전가능하게 조립한 상태에서 각각에 형성된 조립공(11, 21, 31)을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후 수로관(1) 내면에 형성된 앙카볼트(3)에 조립공(11, 21, 31)을 끼움하고 너트로 고정하여 급수 게이트(100)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노지에 설치되는 급수 게이트가 계절에 변화에 따라 주변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변형 및 고장 없이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개폐판의 회전이 용이하여 노약자도 쉽게 수로관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개폐판을 회전시킬 수 있어 비숙련자도 쉽게 게이트의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후면판 11 : 조립공
12 : 관통공 20 : 보강판
21 : 연통공 30 : 전면판
31 : 조립공 32 : 관통공
33 : 끼움공 40 : 개폐판
41 : 연결공 42 : 돌출부
50 : 연결핀 51, 53 : 원통부
52 : 각형부 60 : 손잡이

Claims (3)

  1. 수로관(1) 내벽에 설치되며 분기관(2)을 통하여 분기되는 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분기관(2)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의 내벽에 형성된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1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 일측에 끼움홈(13)이 일체로 형성된 후면판(10);
    상기 후면판(1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11)과 연통되도록 동선상에 위치하는 연통공(21)이 형성된 한 쌍의 보강판(20);
    상기 보강판(20)의 전면에 형성되며 여러 개의 앙카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조립공(3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일측에 끼움공(33)이 일체로 형성된 전면판(30);
    상기 한 쌍의 보강판(20)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공(41)이 형성된 돌출부(42)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판(40);
    상기 후면판(10)의 끼움홈(13)에 일측이 끼움되며 개폐판(40)의 연결공(41)이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전면판(30)의 끼움공(33)을 관통하여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핀(50);
    상기 전면판(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핀(50)에 끼움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50)의 양측의 원통부(51, 53)와 중앙부분의 각형부(52)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판(40)의 연결공(41)에 각형부(52)가 끼움되어 연결핀(50)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판(40)이 회전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의 지름은 관통공(12, 32)의 지름보다 1.2배 내지 1.5배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KR2020140000885U 2014-02-07 2014-02-07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KR200486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885U KR200486010Y1 (ko) 2014-02-07 2014-02-07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885U KR200486010Y1 (ko) 2014-02-07 2014-02-07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11U true KR20150003111U (ko) 2015-08-18
KR200486010Y1 KR200486010Y1 (ko) 2018-03-22

Family

ID=5433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885U KR200486010Y1 (ko) 2014-02-07 2014-02-07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866B1 (ko) 2022-10-28 2023-02-23 김성경 기어 구동식 급수 조절 게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54B1 (ko) * 2008-10-29 2011-04-01 채명원 농업용 배수장치
KR20140013725A (ko) *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우진산업 농업용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54B1 (ko) * 2008-10-29 2011-04-01 채명원 농업용 배수장치
KR20140013725A (ko) *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우진산업 농업용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10Y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43B2 (en) Toilet flush valve assemblies
RU2391466C2 (ru) Промывной клапан с проточным каналом, сужающимся нелинейно
US10458112B2 (en) Backwater valve with control linkage
KR200486010Y1 (ko) 수로관용 급수 게이트
US9745730B2 (en) Toilet tank structure
KR101372516B1 (ko) 수위 조절을 이용한 토양 급수 시설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20170015029A (ko) 변기의 세척수 절약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3282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
CN202194213U (zh) 一种新型马桶
EP3231949A1 (fr) Robinet flotteur pour une chasse d'eau de wc à trois voies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DE102006032978A1 (de) Badewannen-Überlaufgarnitur mit horizontalem Wannen, Überlauf und einer Nebenluftvorrichtung mit einer vom Wasserstand beaufschlagten Membrane
JP2017048560A (ja) 水洗式便器
KR200426382Y1 (ko) 비데 연결용 분배공을 가지는 앵글밸브의 밸브캡
KR102571067B1 (ko) 제수밸브 일체형 옥외소화전
US1013616A (en) Water-closet.
KR100685857B1 (ko) 분리형 수도전
KR20150142561A (ko) 논물 수위 조절장치
US9677259B2 (en) Dual valve water discharge system
CN211039780U (zh) 自立式再循环控制阀
KR101276226B1 (ko) 새들 분수전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1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5

Effective date: 201802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