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08A -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08A
KR20150002708A KR1020147030198A KR20147030198A KR20150002708A KR 20150002708 A KR20150002708 A KR 20150002708A KR 1020147030198 A KR1020147030198 A KR 1020147030198A KR 20147030198 A KR20147030198 A KR 20147030198A KR 20150002708 A KR20150002708 A KR 201500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shuttle
line
command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7857B1 (en
Inventor
게이이찌 사이또
Original Assignee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B61L3/1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 B61L3/125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using short-range radio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종착역에 있어서의 열차의 셔틀 운전을, 운전자가 승차하지 않고 무인으로 행한다. 도착 홈의 번선(22)에 있는 열차(12a)에 대해, 당해 열차(12a)를 중선(22)으로 퇴피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 퇴피 완료 후, 중선(24)에 있는 열차(12b)에 대해, 선두 운전대(14)를 전후로 전환하는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전환 완료 후, 출발 홈의 번선(26)을 향해 당해 열차(12b)를 전진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들 신호에 따른 셔틀 제어를 차상 장치(16)에 의해 실행한다. 셔틀 제어의 실행은,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허가한다.The driver performs the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at the terminal station unattended without boarding. A signal for retracting the train 12a to the middle line 22 is transmitted to the train 12a on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After completion of the evacuation, a signal for switching the front wheel steer 14 forward and backward is transmitted to the train 12b in the middle line 24,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witching, the train 12b Quot;). And the shuttle control according to these signals is executed by the onboard device 16. Execution of the shuttle control is permitted on condition that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of the driver is detected.

Description

자동 셔틀 제어 장치{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0001]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0002]

본 발명은 자동 셔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종착역에 도착한 열차를, 도착 홈의 번선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선두 운전대를 전환한 다음, 출발 홈의 번선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uttle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front wheel from a line of an arrival groove and then moving the train to a line of a departure slot.

종착역에 도착한 열차를 되돌려 다시 운행시키기 위해서는, 선두 운전대를 전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도착 홈과 출발 홈이 동일한 번선에 대해 설치되어 있는 종착역에서는, 그 번선의 정지 위치에서 선두 운전대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도착 및 출발 홈이 별개의 번선에 대해 설치되어 있는 종착역에서는, 열차를 도착 홈의 번선으로부터 중선(中線)으로 일단 측선하고, 중선 상에서 선두 운전대를 전환한 다음, 출발 홈의 번선으로 이동 진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return the train arriving at the terminating station and operating it again,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leading steering wheel back and forth. In the terminating station where the arrival groove and the departure groove are provided for the same line, it is sufficient to merely switch the front wheel in the stop position of the line. However, in the terminating station where the arrival and departure grooves are provided for the different lines, It is common to sideline once from the line of arrival to the middle line, to switch the leading steering wheel on the middle line, and then to move to the line of the starting groove.

이러한 열차의 셔틀 운전과 관련하여, 운전사 또는 작업원 등이 승차한 채 수동으로 열차를 중선으로까지 이동시키고, 키를 빼고 꽂는 조작 등에 의해 선두 운전대를 전환하는 방법이 종래 존재한다.In connection with the shuttle operation of such a train, there is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ally switching the front wheel by manually moving the train to the middle line, pulling out the key, and plugging it in with the driver or the worker riding.

열차의 셔틀 운전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정지 위치에 있는 차량을, 차량 기지 등 소정의 지점으로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lthough not related to the shuttle operation of a tra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moving a vehicle at a stop position to a predetermined point such as a vehicle sta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7224호 공보(단락 번호 0010∼001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67224 (paragraphs 0010 to 0012)

본 발명은, 종착역에 있어서의 열차의 셔틀 운전을, 운전자가 승차하지 않고 무인으로 행할 수 있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shuttle operation of a train in a terminating station without being ridden by a driver without unattended operation.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 장치는, 도착 홈의 번선에 있는 열차를 중선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중선으로 퇴피한 열차에 대해 선두 운전대를 전후로 전환시키고, 운전대 전환 후의 열차를 출발 홈의 번선을 향해 전진시키는, 열차의 셔틀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이며,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셔틀 개시 확인의 검지에 응답하여, 상기 셔틀 제어를 실행한다. 일 형태에서는, 도착 홈의 번선에 있는 열차에 대해, 당해 열차를 중선으로 퇴피시키는 퇴피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한편, 상기 중선에 있는 열차에 대해, 선두 운전대를 전후로 전환하는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출발 홈의 번선을 향해 당해 열차를 전진시키는 전진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지상 장치와, 상기 퇴피 지령 신호, 상기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 및 상기 전진 지령 신호에 따른 소정의 셔틀 제어를 실행하는 차상 장치와,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하고, 상기 차상 장치에 대해 상기 셔틀 제어의 실행을 허가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tracts the train in the line of the arrival groove to a middle line, switches the front steering wheel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train withdrawn to the middle line, and advances the train after switching the driving wheel toward the line of the departure groove And a shuttle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shuttle control in response to detection of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by means of detecting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by the driver. In one form, a train command signal for retracting the train to the middle line is transmitted to the train in the line of arrival groove, while a train-side switch command signal for switching the lead steer back and forth is transmitted to the train in the middle line A ground device for transmitting a forward command signal for advancing the train toward a line of a departure groove and a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shuttle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And a control device for detecting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of the driver and permitting the onboard device to perform the shuttle control.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셔틀 운전에 관한 일련의 제어가 자동 셔틀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종착역에 있어서의 셔틀 운전을, 운전자가 승차하지 않고 무인으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착 홈의 번선에 있는 열차는, 지상 장치로부터의 퇴피 지령 신호를 받아, 도착 홈의 번선으로부터 중선으로 퇴피하고, 중선 상에서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를 받아 선두 운전대를 전환한 후, 전진 지령 신호를 받아 중선으로부터 출발 홈의 번선을 향해 전진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셔틀 제어 장치 또는 차상 장치에 의한 셔틀 제어의 실행이,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일 형태에서는,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한 제어 장치에 의해 허가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ries of control for the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is executed by 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the shuttle operation in the terminating st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driver riding without being ridden. Specifically, the train in the line of the arrival groove receives the retreat command signal from the ground device, retracts from the line of the arrival groove to the middle line, receives the steering wheel switching command signal on the middle line, switches the front steering wheel, Signal and advances toward the line of the starting groove from the middle line.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shuttle control being performed by 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or the onboard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by the driver, in one aspect, th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Therefore, the safety of the driver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 장치의 차상 장치 및 지상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on-vehicle apparatus and a ground apparatus of 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flow of automatic shuttle contr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착역에 도착한 열차(12a)는, 도착 홈의 번선(22)으로부터, 선두 운전대(14)의 전환을 위해 중선(24)으로 퇴피하고, 중선(24) 상에서 선두 운전대(14)를 전환한 후, 출발 홈의 번선(26)으로 이동 진입한다. 여기서, 부호 12a로 나타내는 열차는, 도착 홈의 번선(22)에 설정된 정지 위치에 정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열차(12b)는, 중선(24)에 설정된 정지 위치에 정차하고 있는 상태를, 열차(12c)는, 출발 홈의 번선(26)에 설정된 정지 위치에 정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중선(24)에 정차하고 있는 열차(12b)는, 선두 운전대(14)를 전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출발 홈의 번선(26)을 향하는 열차 진행 방향에 관한 선두 차량에 구비되는 운전대(14)(및 차상 장치(16))를 실선으로, 반대의 후미 차량에 구비되는 운전대(14)(및 차상 장치(16))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in 12a arriving at the terminating station retracts from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to the center line 24 for switching the front wheel steer 14, ), And then moves to the line 26 of the starting groove. Here, the trai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a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train stops at the stop position set in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The train 1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ain 12c stops at a stop position set in the middle line 24 while the train 12c stops in a stop position set in the line 26 in the start groove. The train 12b standing on the middle line 24 indicates the state after the front wheel steer 14 is switched and the steering wheel 14b provided on the leading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in traveling direction toward the starting groove 26 (And the on-vehicle device 16) provided on the opposite rear vehicle are indicated by solid lines, and the steering wheel 14 (and the on-board device 16) provided on the opposite rear vehicle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중선(24, 24)을 설치하고 있고, 도착 홈의 1개의 번선(22)으로부터 각각의 중선(24, 24)으로 열차를 측선하여, 선두 운전대(14)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중선(24)은, 1개만이어도 되고,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중선(24)은, 선두 운전대(14)의 전환 전용으로, 도착 및 출발 홈의 각 번선(22, 2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착 홈의 번선(22)을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이 선로 연장부를 중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출발 홈의 번선(26)을 연장한 선로 연장부를 중선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middle lines 24 and 24 are provided, and the train is sideways from on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to each of the middle lines 24 and 24, It is possible to do. However, only one middle line 24 may be provided, or three or more middle lines 24 may be provided. The middle line 24 is not limited to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spective lines 22 and 26 of the arrival and departure grooves for the purpose of switching the front driving wheel 14 but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s in a straight line , And this line extension portion may be used as a middle lin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lin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he line 26 of the starting groove as the middle line.

도착 홈의 번선(22)에는, 열차(12a)의 선두 차량 전단부 및 후미 차량 후단부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의 지상 송수신기(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송수신기(32a)는, 열차(12a)의 선두측에 설치된 차상 수전기(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고, 다른 쪽의 송수신기(32b)는, 열차의 후부측에 설치된 차상 수전기(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한다. 도착 홈의 번선(22)에 있는 열차(12a)의 차상 장치(16)는, 지상 장치(42)에 대해, 지상 송수신기(32a, 32b) 및 차상 수전기를 통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선(24) 및 출발 홈의 번선(2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열차(12b, 12c)의 선두측 차상 수전기 및 후부측 차상 수전기(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각각 한 쌍의 지상 송수신기(34a, 34b, 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A pair of ground transceivers 32a and 32b are provided on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rain 12a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rain 12a. One of the transceivers 32a corresponds to the onboard electric power supply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rain 12a and the other transceiver 32b corresponds to the onboard electric powe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rain ). The on-board device 16 of the train 12a on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via the terrestrial transceivers 32a and 32b and the on- The same applies to the middle line 24 and the starting line 26 of the starting groove and corresponds to a pair of ground transceivers 21a and 21b corresponding to the head side onboard water power of the trains 12b and 12c and the rear side on- (34a, 34b, 36a, 36b) are provided.

홈에는, 도착 및 출발 각각의 번선(22, 26)에 대해, 홈 도어(52, 5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 도어(52)의 개폐는, 홈 도어 제어 유닛(54)에 의해 제어된다.In the groove, the groove doors 52, 52, ... are provided for the respective lines 22 and 26 of arrival and departu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oove door 52 is controlled by the groove door control unit 54.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착 홈의 번선(22), 중선(24) 및 출발 홈의 번선(26)에 설치된 지상 송수신기(32a, 32b, 34a, 34b, 36a, 36b) 및 홈 도어 제어 유닛(54)은, 지상 장치(42)에 대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지상 송수신기(32a∼36b)는, 지상 장치(42)에 대해 차상 수전기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차상 장치(16)에 대해 차상 수전기를 통해 지상 장치(42)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홈 도어 제어 유닛(54)은, 지상 장치(42)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홈 도어(52)의 개폐를 제어함과 함께, 제어의 완료를 나타내는 보고 신호를 지상 장치(42)로 송신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und transceivers 32a, 32b, 34a, 34b, 36a, and 36b and the groove door control unit 54 Is connected to the ground device 42 so as to be communicable. The terrestrial transceivers 32a to 36b output the reception signals from the on-board electric power to the terrestrial equipment 42 and output the command signals from the terrestrial equipment 42 to the on- . The home door control unit 54 receives the command signal from the ground device 42 and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2 and transmits a report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control to the ground device 42 .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내 및 홈 상의 각각에 셔틀 개시 확인 버튼(62, 64)이 설치되어 있다. 홈 상 설치 버튼(62)은, 열차의 셔틀 운전의 개시를 하차한 운전사가 허가하기 위한 것이며, 도착 홈에 있어서 열차(12a)로부터 안전 확보상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차내 설치 버튼(64)은, 이것을 승차 중인 운전사가 행하기 위한 것이며, 운전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 상 설치 버튼(62)의 출력 신호는, 홈 도어 제어 유닛(54)을 통해 지상 장치(42)로 송신되고, 차내 설치 버튼(64)의 출력 신호는, 차상 장치(16) 및 차상 수전기를 통해 지상 장치(42)로 송신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huttle start confirmation buttons 62 and 64 are provided in each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groove installation button 62 is provided for allowing the driver who has left the start of the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ufficiently away from the train 12a in the arrival groove to secure safety. The in-vehicle setting button 64 is provided for the driver who is riding in the vehicle, and is provided in the cab.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hicle installation button 62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device 42 via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hicle installation button 64 is transmitted to the on- 16 and the on-ground equipment 42 via the on-board water supply.

도 2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의 차상 장치(16) 및 지상 장치(42)의 구성을 기능 블록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onboard device 16 and the ground device 42 of 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by functional blocks.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상 장치(42)는, 논리부(422) 및 통신부(424)를 구비하고, 논리부(422)는, 통신부(424)에 대해 버스를 통해 접속됨과 함께, 홈 도어 제어 유닛(54)에 구비되는 논리부(542)에 대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홈 도어 제어 유닛(54)은, 논리부(542)에 대해 버스를 통해 접속된 입출력부(544)를 구비하고, 이 입출력부(544)에 대해, 홈 상에 설치된 셔틀 개시 확인 버튼(홈 상 설치 버튼(62))이 접속되어 있다. 지상 장치(42)와 차상 장치(16)는, 서로 구비되는 통신부(424, 164)를 통해 서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신호 송수신은, 지상 송수신기(32a∼36b) 및 차상 수전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차상 장치(16)는,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 입출력부(162), 통신부(164) 및 논리부(166)를 구비하고, 이 입출력부(162)에 대해, 운전실 내에 설치된 셔틀 개시 확인 버튼(차내 설치 버튼(6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부(164)에는, 운전대(14)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부가 접속되어 있다. 차상 장치(16)는, 지상 장치(42)로부터 수신한 열차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열차 구동 장치(예를 들어, 구동 인버터)를 제어하여, 당해 열차의 주행을 제어한다.The ground device 42 includes a logic unit 422 and a communication unit 424 and the logic unit 422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424 via a bus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424 via a home door control And is connected to the logic unit 542 included in the unit 54 so as to be communicable. The home door control unit 54 includes an input and output unit 544 connected to the logic unit 542 through a bus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unit 544 via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button And an installation button 62) are connected. The ground device 42 and the on-board device 1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communication units 424 and 164 provid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here is performed through the terrestrial transceivers 32a to 36b and the in-phase water supply. The on-vehicle device 16 includes an input / output unit 162, a communication unit 164, and a logic unit 166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and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button (In-vehicle installation button 64). The communication unit 164 is connected to various control units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14. [ The onboard device 16 controls the train driving device (for example, a drive inverter) based on the trai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ground device 42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train.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셔틀 제어의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시계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automatic shuttl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ime series in reference to Fig.

시각(t1)에 있어서, 열차(12a)가 종착역에 있어서의 도착 홈의 번선(22)에 정차하고, 운전사가 승객의 하차를 확인하고, 열차(12a)의 각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이하 「차량 도어」라 함)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하면, 차량 도어 폐쇄 조작 검지 신호가 차상 장치(16)로 송신되고, 차상 장치(16)는, 이에 대응하여 홈 도어 제어 유닛(54)에 도어 폐쇄 지령 신호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상 장치(16)로부터 홈 도어 제어 유닛(54)으로의 도어 폐쇄 지령 신호의 송신은, 지상 장치(42)를 통해 이루어진다. 홈 도어 제어 유닛(54)은, 도어 폐쇄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도착 홈의 홈 도어(52)를 폐쇄하는 제어를 행함과 함께, 차상 장치(16) 및 지상 장치(42)의 양쪽에 대해 홈 도어(52)의 폐쇄 조작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보고 신호(도어 폐쇄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At the time t1, the train 12a stops at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in the terminating station, the driver confirms the getting off of the passenger, and a door provided in each vehicle of the train 12a The vehicle door closing operation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n-vehicle device 16 and the on-vehicle device 16 transmits a door close command to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correspondingly to the vehicle door closing operation detection signal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of the door closing command signal from the onboard device 16 to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is performed via the ground device 42. [ When the door closing command signal is received, the home door control unit 54 performs control to close the groove door 52 of the arrival groove, and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groove door 52 with respect to both the on- (Door closing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52 is completed.

지상 장치(42)는, 홈 도어 제어 유닛(54)으로부터 도어 폐쇄 보고 신호를 수신하면, 차상 장치(16)에 대해, 자동 셔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 신호를 수신한 차상 장치(16)는, 운전대(14)에 대해 표시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사에 대해, 램프의 점등 등에 의해 당해 열차(12a)의 자동 셔틀 운전이 예정되어 있는 것의 인식을 재촉한다. 그리고, 지상 장치(42)는, 중선(24)으로의 진로가 개통된 것을 확인한 후, 차상 장치(16)에 대해 출발 예고 신호를 송신한다. 출발 예고 신호는, 「퇴피 지령 신호」에 상당하고, 당해 열차(12a)에 관해 중선(24)으로의 진로가 개통되어, 셔틀 운전을 개시할 준비가 갖추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Upon receiving the door closing report signal from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the ground device 42 transmits an automatic shuttle request signal to the onboard device 16. The onboard device 16 that has received this signal outputs a display command signal to the steering wheel 14 and recognizes that the automatic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12a is scheduled for the driver by lighting the lamp or the like I urge you. Then, the ground device 42 transmits a start warning signal to the on-vehicle device 16 after confirming that the route to the middle line 24 is opened. The departure notice signal corresponds to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in 12a is ready to start the shuttle operation because the route to the center line 24 is opened.

차상 장치(16)는, 지상 장치(42)로부터의 출발 예고 신호를 수신한 후, 마스터 키가 그 차내 삽입부로부터 발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키 발취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것 및 운전사에 의해 셔틀 운전의 개시가 허가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일련의 셔틀 제어를 실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셔틀 운전의 개시는, 운전사가 홈 상 설치 스위치(62) 또는 차내 설치 스위치(64)를 조작함으로써 허가된다. 도 3은, 마스터 키를 발취하고, 하차한 운전사가 홈 상 설치 스위치(62)를 조작함으로써 셔틀 운전의 개시를 허가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세를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상 장치(16)로의 셔틀 개시 확인 신호의 송신은, 홈 도어 제어 유닛(54) 및 지상 장치(42)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on-vehicle device 16 is configured to receive a key extraction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master key is extracted from the in-vehicle insertion portion after receiving the start warning signal from the ground device 42, The following series of shuttle control is executed on condition that the start is permitted. As already described, the start of the shuttle operation is permitte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groove installation switch 62 or the in-vehicle installation switch 64. Fig. 3 shows a case in which the master key is extracted and the driver who gets off the master key permits the start of the shuttle operation by operating the groove installation switch 62. Fig.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the transmission of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signal to the on-vehicle device 16 is performed through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and the ground device 42. [

차상 장치(16)는, 운전사의 버튼 조작에 기초하는 셔틀 개시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열차(12a)를 중선(24)을 향해 이동시킴과 함께, 지상 장치(42)에 대해 셔틀 운전에 관한 일련의 제어(이하 「셔틀 제어」라 함)를 개시한 것을 나타내는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열차(12b)가 중선(24)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에 정차하면, 지상 장치(42)에 대해 중선(24)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점 정지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When the onboard device 16 receives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signal based on the button operation of the driver, the onboard device 16 moves the train 12a toward the middle line 24 and sets a series of shuttle operations for the ground device 4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huttle control "). Then, when the train 12b stops at the stop position on the middle line 24, a vertex stop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vement to the center line 24 is completed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device 42. [

정점 정지 보고 신호를 수신한 지상 장치(42)는, 차상 장치(16)에 대해, 선두 운전대(14)를 전후로 전환하는 지령 신호(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차상 장치(16)는, 선두 차량과 후미 차량 사이에서 유효 운전대(14)를 전환하고, 지상 장치(42)에 대해 선두 운전대(14)의 전환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보고 신호(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The ground device 42 that has received the peak stop report signal transmits a command signal (steering wheel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switching the front steering wheel 14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nboard device 16. The onboard device 16 that receives this signal switches the effective steering wheel 14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outputs a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witching of the front steering wheel 14 to the ground device 42 is completed Report signal).

지상 장치(42)는, 차상 장치(16)로부터의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를 수신한 후, 다이어그램에 따른 당해 열차(12b)의 출발 예정 시각이 가까워질 때까지의 동안, 이 열차(12b)를 중선(24) 상에서 대기시킨다. 여기서, 이 대기 시간 중에 별도의 열차가 종착역에 도착한 경우에는, 당해 별도의 열차를 운전대의 전환 시에 다른 1개의 중선(24)으로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출발 예정 시각이 가까워지면, 지상 장치(42)는, 차상 장치(16)에 대해 출발 예고 신호를 송신한다. 운전대 전환 완료 후의 열차(12b)에 대해 송신하는 출발 예고 신호는, 「전진 지령 신호」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의 수신을 기다려, 출발 예고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당해 보고 신호의 수신과 무관하게 출발 예고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의 실제 수신으로써, 먼저 송신한 출발 예고 신호를 유효로 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출발 예고 신호의 송신은, 다이어그램에 따른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려 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송신 자체를 먼저 행해 두고, 출발 홈의 번선(26)을 향한 열차(12b)의 전진을 이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금지하는 것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The ground device 42 receives this signal from the on-board device 16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in 12b is to b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until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of the train 12b according to the diagram is approached And waits on the middle line 24. Here, in the case where another train arrives at the terminating station during this waiting time, it is possible to retreat the other train to another one of the middle lines 24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steering wheel. When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approaches, the ground device 42 transmits a start notice signal to the onboard device 16. The start not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train 12b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witchover of the drive wheels corresponds to the " advance command signal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rt notice signal is transmitted by waiting for the receipt of the report of the switchover completion report signal. However, the start notice signal is transmitted irrespective of the reception of the report signal, It may be control to make the transmitted start notice signal effective. The transmission of the start notice signal is carried out not only by waiting fo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according to the diagram but also by performing the transmission itself first and by advancing the train 12b toward the line 26 of the start groove, But can also be done by forbidding.

출발 예고 신호를 수신한 차상 장치(16)는, 출발 홈의 번선(26)을 향해 열차(12b)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차상 장치(16)는, 열차(12c)가 출발 홈의 번선(26)에 진입하고, 당해 번선(26)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에 도착하면, 지상 장치(42)에 대해 정점 정지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 출발 홈의 번선(26)에 있는 열차(12c)로부터 송신하는 정점 정지 보고 신호는, 「도착 보고 신호」에 상당한다.The onboard device 16 that has received the start warning signal advances the train 12b toward the line 26 of the start groove. When the train 12c enters the starting line 26 of the starting groove and arrives at the stop position of the line 26, the on-vehicle device 16 transmits a peak stop report signal . The peak stop repo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in 12c on the line 26 of the departure groove corresponds to the " arrival report signal ".

운전사가 승차하고, 차량 도어를 여는 조작을 행하면, 차량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신호가 차상 장치(16)로 송신되고, 차상 장치(16)는, 이에 대응하여 홈 도어 제어 유닛(54)으로 도어 개방 지령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마스터 키가 차내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차량 도어를 개방한다. 홈 도어 제어 유닛(54)은, 도어 개방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출발 홈의 홈 도어(52)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함과 함께, 차상 장치(16) 및 지상 장치(42)의 양쪽에 대해 홈 도어(52)의 개방 조작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When the driver rides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opening the vehicle door, a vehicle door opening operation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n-vehicle device 16, and the on-vehicle device 16 responds to the door open control signal to the door door control unit 54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vehicle door is opened on condition that the master ke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open command signal is received, the home door control unit 54 performs control to open the groove door 52 of the starting groove, and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groove door 52 with respect to both the on- And transmits a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52 is completed.

승객이 승차하고, 당해 차량(12c)의 출발 예정 시각이 되면, 운전사는, 차량 도어 및 홈 도어(52)를 폐쇄하고, 열차(12c)를 발진시킨다.When the passenger gets on and the expected departure time of the vehicle 12c is reached, the driver closes the vehicle door and the door 52 and oscillates the train 12c.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셔틀 개시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키 삽입 검지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차상 장치(16)가 행하는 제어가, 일련의 「셔틀 제어」에 상당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performed by the onboard device 16 until receiving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signal and receiving the key inser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s to a series of " shuttle control ".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착 홈의 번선(22)에 있는 열차(12a)는, 출발 예고 신호(퇴피 지령 신호)을 받아 도착 홈의 번선(22)으로부터 중선(24)으로 퇴피하고, 중선(24)에 있어서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를 받아 선두 운전대(14)를 전후로 전환한 후, 운전대 전환 완료 후의 출발 예고 신호(전진 지령 신호)를 받아 중선(24)으로부터 출발 홈의 번선(26)으로 이동 진입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ain 12a in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receives the departure warning signal (evacuation command signal) and retreats from the line 22 of the arrival groove to the middle line 24, Receives a start warning signal (forward command signa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wheels, and moves from the middle line 24 to the line 26 of the starting groove .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열차의 셔틀 운전에 관한 일련의 제어(셔틀 제어)가 차상 장치(16)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종착역에 있어서의 열차의 셔틀 운전을, 운전자(예를 들어, 운전사)가 승차하지 않고 무인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운전자가 조작하는 셔틀 개시 확인 버튼(62, 64)을 설치하고, 버튼 조작에 기초한 운전자의 셔틀 개시 허가를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셔틀 제어의 실행이 허가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셔틀 개시 확인 버튼(62, 64)은 「제어 장치」를 구성하고, 홈 상 설치 버튼(62)이 「제1 수동 조작부」에, 차내 설치 버튼(64)이 「제2 수동 조작부」에 각각 상당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ries of control (shuttle control) relating to the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is automatically executed by the on-vehicle device 16, the shuttle operation of the train in the terminating station is controlled by the driver For example, a driver) can ride unattended without boarding. 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button 62, 64 operated by the driver is provided and execution of the shuttle control is permitted provided that the shuttle start permission based on the button operation is detected. Therefore, The safety of the driver can be secured.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buttons 62 and 64 constitute the "control device", and the groove installation button 62 corresponds to the "first manual operation portion" and the in-vehicle installation button 64 corresponds to the "second manual operation portion" do.

이상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운전대 전환 완료 후의 열차(12b)에 대한 출발 예고 신호의 송신이, 지상 장치(42)가 차상 장치(16)로부터의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를 수신한 후에 행하여지기 때문에, 선두 운전대(14)의 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 예고 신호가 송신되는 것에 의한 열차(12b)의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ssion of the start notice signal to the train 12b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wheels is performed after the ground device 42 receives the steering wheel switching completion report signal from the onboard device 1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in 12b from reversing due to the start notice signal being transm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of the front wheel steer 14 is not comple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차상 장치(16)와 지상 장치(42)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서로 대향 설치되는 차상 수전기 및 지상 송수신기(32a∼36b)를 통해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무선을 통해 이것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 측에 차상 장치(16)와 접속된 무선기를 설치함과 함께, 지상측에 지상 장치(42)와 접속된 무선기를 설치하고, 이들 무선기를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he onboard device 16 and the ground device 42 are performed through the onboard water-electricity and ground-based transceivers 32a to 36b,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face each other, . For example, a radio device connected to the onboard device 16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side, and a radio device connected to the ground device 42 may be provided on the ground side, and signals may be transmitted / do.

12a∼12c : 열차,
14 : 선두 운전대,
16 : 차상 장치,
162 : 입출력부,
164 : 통신부,
166 : 논리부,
22 : 도착 홈의 번선,
24 : 중선,
26 : 출발 홈의 번선,
32a, 32b : 도착 홈에 설치된 지상 송수신기,
34a, 34b : 중선에 설치된 지상 송수신기,
36a, 36b : 출발 홈에 설치된 지상 송수신기,
42 : 지상 장치,
422 : 논리부,
424 : 통신부,
52 : 홈 도어,
54 : 홈 도어 제어 유닛,
542 : 논리부,
544 : 입출력부,
62 : 홈 상 설치 버튼,
64 : 차내 설치 버튼.
12a to 12c:
14: Leading steering wheel,
16: Onboard equipment,
162: input / output unit,
164:
166:
22: The line of arrival,
24: Medium line,
26: Line of departure groove,
32a, 32b: ground transceiver installed in the arrival groove,
34a, 34b: ground transceiver installed in the middle line,
36a, 36b: a ground transceiver installed in the departure groove,
42: Ground equipment,
422:
424:
52: Home door,
54: Home door control unit,
542: logic unit,
544: input / output unit,
62: home setting button,
64: In-car installation button.

Claims (8)

도착 홈의 번선에 있는 열차를 중선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중선으로 퇴피한 열차에 대해 선두 운전대를 전후로 전환시키고, 운전대 전환 후의 열차를 출발 홈의 번선을 향해 전진시키는, 열차의 셔틀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로서,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셔틀 개시 확인의 검지에 응답하여, 상기 셔틀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of the train is carried out to withdraw the train in the line of the arrival groove to the middle line and to switch the leading wheel to the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train withdrawn to the middle line, A shuttl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by a driver, and executing shuttle control in response to detection of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도착 홈의 번선에 있는 열차에 대해, 당해 열차를 중선으로 퇴피시키는 퇴피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한편, 상기 중선에 있는 열차에 대해, 선두 운전대를 전후로 전환하는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출발 홈의 번선을 향해 당해 열차를 전진시키는 전진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지상 장치와,
상기 퇴피 지령 신호, 상기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 및 상기 전진 지령 신호에 따른 소정의 셔틀 제어를 실행하는 차상 장치와,
운전자의 셔틀 개시 확인을 검지하고, 상기 차상 장치에 대해 상기 셔틀 제어의 실행을 허가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
Transmits a save command signal for retracting the train to the intermediate line to the train in the line of the arrival groove while transmitting to the train in the middle line a command signal for switching the front steering wheel back and forth, A grou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advancing command signal for advancing the train toward the groove line,
An on-vehicle device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shuttle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the driving-zone switching command signal, and the forward command signal,
And a control device which detects a shuttle start confirmation of the driver and permits the onboard device to perform the shuttle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장치는, 상기 운전대 전환 지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상 장치에 대해, 상기 선두 운전대의 전환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상 장치는, 상기 차상 장치로부터 상기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전진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
3. The onboard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nboard device transmits, to the terrestrial apparatus, a cabin switchover completion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witching of the front-wheel steerbar is completed, in response to the cabin switchover command signal,
Wherein the ground device transmits the forward command signal after receiving the steering wheel switching completion report signal from the onboard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장치는, 상기 운전대 전환 완료 보고 신호의 수신 후, 당해 열차의 다이어그램에 따른 소정의 시각까지 상기 전진 지령 신호의 송신을 대기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4. 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round apparatus waits for transmission of the advance command signal until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iagram of the train concerned after receiving the steering wheel switching completion report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착 홈에 설치된 제1 수동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상 장치는, 상기 퇴피 지령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셔틀 개시 확인으로서 상기 제1 수동 조작부의 출력 신호를 받아, 상기 셔틀 제어를 개시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manual operating section provided in the arrival groove,
Wherein the onboard device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manual operating section as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after receiving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and starts the shuttle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내에 설치된 제2 수동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상 장치는, 상기 퇴피 지령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셔틀 개시 확인으로서 상기 제2 수동 조작부의 출력 신호를 받아, 상기 셔틀 제어를 개시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anual operating se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Wherein the onboard device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manual operating section as the shuttle start confirmation after receiving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and starts the shuttle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장치는, 상기 열차 및 상기 도착 홈의 도어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된 것을 나타내는 도어 폐쇄 보고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퇴피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round device transmits the evacuation command signal after receiving a door close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at least one of the train and the door of the arrival groove is closed.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장치는, 상기 차상 장치로부터 상기 출발 홈의 번선에 열차가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착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자동 셔틀 제어 장치.The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ground device receives an arrival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a train arrives at a line of the departure groove from the onboard device.
KR1020147030198A 2012-03-30 2013-03-18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KR1018978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3187 2012-03-30
JP2012083187A JP5945145B2 (en) 2012-03-30 2012-03-30 Automatic folding control device
PCT/JP2013/057688 WO2013146430A1 (en) 2012-03-30 2013-03-18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08A true KR20150002708A (en) 2015-01-07
KR101897857B1 KR101897857B1 (en) 2018-09-12

Family

ID=4925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198A KR101897857B1 (en) 2012-03-30 2013-03-18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945145B2 (en)
KR (1) KR101897857B1 (en)
CN (1) CN104203715B (en)
BR (1) BR112014021502A2 (en)
IN (1) IN2014DN08193A (en)
WO (1) WO201314643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2943B (en) * 2015-04-16 2017-03-01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train is turned back automatically
CN109305199B (en) * 2017-07-28 2020-10-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Train turning back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936987B (en) * 2019-11-25 2022-01-14 卡斯柯信号有限公司 Full-automatic turn-back control method for urban rail transit train
CN112092864B (en) * 2020-09-14 2022-09-02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Unmanned automatic turn-back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latfor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64B2 (en) * 1977-06-01 1985-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Train direction control system
JPH0456677A (en) * 1990-06-25 1992-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in number collecting method
JP2003267224A (en) * 2002-03-18 2003-09-25 Nippon Signal Co Ltd:The Automatic drive control device
JP2003341518A (en) * 2002-05-27 2003-12-03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vehicle
CN101941451A (en) * 2010-08-31 2011-01-12 北京交通大学 Intermittent trai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612A (en) * 2000-08-04 2002-02-12 Toshiba Corp Train running control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3848541B2 (en) * 2001-02-19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curity system selection system, train control device, ground control device and on-vehicle control device
CN100551755C (en) * 2008-02-20 2009-10-21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 A kind of locomotive control method and locomotive control
CN102267481B (en) * 2011-05-16 2014-08-1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有限公司 Automatic operation train-mounted device for CTCS (Chinese Train Control System)-3 level train and rail transit vehicle
CN102381342B (en) * 2011-08-31 2014-08-13 北京和利时系统工程有限公司 Computer interloc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rban rail transit signal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64B2 (en) * 1977-06-01 1985-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Train direction control system
JPH0456677A (en) * 1990-06-25 1992-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in number collecting method
JP2003267224A (en) * 2002-03-18 2003-09-25 Nippon Signal Co Ltd:The Automatic drive control device
JP2003341518A (en) * 2002-05-27 2003-12-03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vehicle
CN101941451A (en) * 2010-08-31 2011-01-12 北京交通大学 Intermittent trai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DN08193A (en) 2015-05-01
WO2013146430A1 (en) 2013-10-03
JP5945145B2 (en) 2016-07-05
JP2013212740A (en) 2013-10-17
CN104203715B (en) 2016-09-14
KR101897857B1 (en) 2018-09-12
BR112014021502A2 (en) 2021-06-01
CN104203715A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0230B (en) Train unmanned system and method
KR101897857B1 (en) Automatic shuttle control device
JP5877538B2 (en) Train control system
JP6051092B2 (en) Train control system
CN103010271A (en) Train unmanned turning-back method based on CBTC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system
WO2017071465A1 (en) Unmanned freight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CN114435432B (en) Automatic turning-back method, system and device
CN106232453A (en)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JP2009166671A (en) Train control device
CN102303615B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wrongly opening door of urban rail vehicle
KR100867226B1 (en) PSD communication system in use of RF frequency.
CN106347413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ins by using single vehicle-mounted signal host
CN107985342B (en) Unmanned automatic turning-back method for train
KR101339348B1 (en) hybrid operating system for moving block and fixed block using track circuit and method thereof
CN105579323B (en) The operation of rail vehicle
JP6091385B2 (en) Train radio system
KR101172004B1 (en) Wireless control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linked with automatic train operation
CN112477916A (en) Evacu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full-automatic driving train
CN203805889U (en) Layout structure of automatic control system of subway train
JP2008029143A (en) Train running system and running device at ground side
CN116080712B (en) Unmanned turn-back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uble ends of single-set vehicle-mounted equipment
CN116080711B (en) Automatic end changing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et vehicle-mounted equipment control double ends
CN102490734B (en) Running mode control method of dual-power engineering maintenance vehicle
CN110654240A (en) Intelligent rail trolley bus pantograph lifting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system
JP2002067958A (en) Trai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