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08A -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108A
KR20150002108A KR1020130075484A KR20130075484A KR20150002108A KR 20150002108 A KR20150002108 A KR 20150002108A KR 1020130075484 A KR1020130075484 A KR 1020130075484A KR 20130075484 A KR20130075484 A KR 20130075484A KR 20150002108 A KR20150002108 A KR 2015000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st
preventive
weight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708B1 (ko
Inventor
황영선
이윤직
Original Assignee
영흥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흥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흥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7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73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2Oxy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24Carboxylic acids
    • C23F11/126Aliphat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4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41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23F11/142Hydroxy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고 혼련시킨 다음, 아민류, 카르복실산류 및 아졸류의 기화성 액상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여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청성능이 향상되며 기화성 및 금속 접촉성 방청 기능을 동시에 보유하게 되고, 방청효과가 장기간 지속유지된다.

Description

방청수지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ticorrosive polymeric resins}
본 발명은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철 및 비철금속류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기화성 및 접촉성의 방청제를 사용하여 방청 성능을 향상시키고 방청효과를 지속시키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류 부품 또는 철제 제품의 보관 및 운송에 있어서, 철 또는 비철금속류는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부식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청유, 방청그리스 등을 도포하여 상기 철 또는 비철금속류의 표면에 얇은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포장 개봉 후에 상기 방청유 또는 방청그리스를 일일이 닦아서 제거하는 탈지작업과 후처리가 필요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되며, 고부가성의 금속 제품에는 부적절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청수지로 제조된 방청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포장 개봉 후 일일이 닦아낼 필요없이 방청필름만 벗겨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해 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청성능을 갖는 방청수지로 제조된 방청보호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하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청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고체상 방청제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상기 방청제는 방청제의 성분이 금속과 포장재 사이의 저장공간에 포화되어 금속 표면에서 물리ㆍ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얇은 막을 형성하고, 그 피막에 의해 수분과 산소를 차단하여 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제조되는 방청수지로 만들어진 방청필름은 방청제에 의한 부식방지 효과보다는, 외부 부식 인자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는 지금까지 방청성능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대부분의 방청제들은 낮은 비점을 가진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어 방청수지 제조에서 압출기를 사용하는 열가공 공정의 특성상 공정 중에 기화하여 방청성능이 소실되거나, 혹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방청제만 투입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방청제를 함유한 방청수지를 제조할 수 없으며, 수지와 혼합하는 압출과정에서 방청제의 안정성을 위해 압출온도를 최저화하여 유실을 줄일 수 있으나 방청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방청필름의 외관이 불균일해지며 압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체상의 방청제 제조를 위해 분쇄 과정에서의 분진 발생과 혼합 등에 의한 방청제 응고 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640262호에는 포장용 방청수지 팰럿과 이를 이용한 방청필름이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공보에서는 유해한 디시클로헥실암모늄 니트리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금속이나 비철금속에 방식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아질산계 금속화합물, 아세테이트 또는 벤조에이트계 금속 화합물을 혼합한 기화성 방청분말과 폴리에틸렌 수지, 메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징크스테아레이트를 혼합 압출 가공하여 방청수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는 방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청수지에서 방청제의 함량 증대 및 방청제의 안정성 향상과 성능 개선을 위한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청필름으로 적용시 방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청제를 수지와 혼합하여 방청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고 혼련시킨 다음, 아민류 25 ~ 70 중량%, 카르복실산류 20 ~ 65 중량% 및 아졸류 1 ~ 25 중량%를 포함한 기화성 액상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여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청수지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청수지 5 ~ 70 중량%와 폴리올레핀 수지 30 ~ 95 중량%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방청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청성이 우수하고 속효성을 지닌 액상 방청제 및 방청성을 지속 유지하는 고체상 방청제의 함유량이 증가하여 방청성능이 향상되며 기화성 및 금속 접촉성 방청 기능을 동시에 보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에서 방청성이 우수한 액상 방청제 및 고체상 방청제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방청성능이 개선되며 방청효과가 장기간 지속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청수지로 필름을 만들어 사용할 때, 필름 내부로부터 필름 표면으로 지속적인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의 이동 및 이에 따른 방청피막 형성으로 지속적인 부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방청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고 혼련시킨 다음, 아민류와 카르복실산류의 혼합물의 액상 방청제 및 아졸류를 포함한 기화성 액상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여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은 고체상 방청제 30 ~ 70 중량%, 폴리올레핀 수지 30 ~ 75 중량% 및 다공성 무기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체상 방청제는, 소듐나이트라이트, 암모늄포스페이트, 소듐카보네이트, 소듐벤조에이트 및 암모늄벤조에이트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접촉방청성 및 장기방청성을 나타내며, 철 표면에 흡착되어 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암모늄포스페이트 및 소듐나이트라이트는 접촉방청성능이 매우 우수하며, 스스로 기화성은 없으나 접촉시에는 표면층을 형성하여 철의 부식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물은 제올라이트, 질석(vermiculite), 세라이트(Selite) 및 운모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제올라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며, 이렇게 선택된 무기물은, 내부에 미세 공극이 발달되어 있으며 표면적이 넓고 표면이 실리카 및 알루미늄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강한 극성을 지님에 따라, 소수성의 약한 극성을 지니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방청제가 서로 균일하게 섞이기 어려운 점을 보완하여, 상기 방청제와 용이하게 결합하고 방청제를 흡착한 상태로 폴리올레핀 수지 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방청제가 상기 무기물 내부의 미세 공극에 다량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혼합되는 고온의 압출과정에서 다량의 방청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며, 폴리올레핀 수지 내에서 방청제가 무기물 내부 미세 공극에 저장되어 존재함으로써 방청기능을 잃어 버리지 않아 안정성이 증대되고, 상기 고체상 방청제의 서방성으로 방청 효과가 장기간 지속 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성형을 위한 고온 압출 가공 과정에서 방청제가 기화하거나 방청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무기물 입자로 사용될 수 있는 크기는 평균 입경이 1 ~ 10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5 ㎛의 분말형태이며, 이는 표면적이 증대되어 방청제를 많이 흡착할 수 있으며 방청수지에서 균일하게 잘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제올라이트는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므로 방청필름으로 적용시 투명도가 양호한 필름 외관을 나타낼 수 있어 본 발명에서 사용이 좀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올라이트는, 자연에서 채광한 천연 제올라이트를 분쇄기에서 상기 입경이 되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제올라이트를 수분제거를 위해 500 ~ 700 ℃의 고온에서 2 ~ 4 시간 건조한 미세 건조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질석은 화학성분이 알루미늄·마그네슘·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로서, 산(酸)에 쉽게 분해되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크며, 가열하면 팽창하고 다공질로 흡착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은 고체상 방청제 30 ~ 70 중량%, 폴리올레핀 수지 30 ~ 75 중량% 및 다공성 무기물 1 ~ 30 중량%인 것이, 상기 조성물이 고체상의 방청제가 다공성 무기물에 흡착되면서 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산되고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체상 방청제가 30 중량% 미만이면 방청성능이 저하되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방청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물이 1 중량% 미만이면 다량의 방청제를 흡착하여 안정화시키고 분산시키기 힘들어 방청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적용되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은 고체상 방청제, 폴리올레핀 수지 및 다공성 무기물을 고속 교반기 등을 사용하여 건식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구성하는 액상 방청제인 아민류와 카르복실산류 혼합물은 각 성분이 기화되어 철의 표면에서 재결합하여 염을 형성하고 철 표면에 흡착되어 부식을 방지하며, 상기 아민류는 사이클로헥실아민, 벤즈아민, 모르폴린, 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부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헥사민, 메틸렌아민, 트리메틸렌아민, 디에틸렌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르복실산류는 카프로산, 카프르산, 락틱산, 옥탄산, 옥칠산, 라우르산 및 벤조산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졸류는 벤조트리아졸, 머캅토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로시벤조트리아졸, 토릴트리아졸, 트리아졸, 벤즈이미다졸, 이미다졸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선택된 아졸류는 철뿐만 아니라 비철금속류에도 우수한 방청효과를 나타내며 방청제의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은 구리와 불용해성 착염을 형성하여 방청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졸류들은 열에 취약하여 압출기의 선단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함께 투입시 탄화되며, 투입과정에서 분산이 잘 되지 않고 시간 경과에 따라 원료투입 호퍼에서 굳어서 호퍼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상기 액상 방청제에 용해하여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로 하여 압출기의 후단에서 투입한다.
이때, 상기 아졸류에서 토릴트리아졸이 상기 액상 방청제와의 호환성이 있어 적정 비율에서 용해되는 특징이 있어 좀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은 아민류 25 ~ 70 중량%, 카르복실산류 20 ~ 65 중량% 및 아졸류 1 ~ 25 중량%인 것이 가장 뛰어난 기화성 방청성능을 가지면서 비철 방청제를 가장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상 방청제에서 카르복실산류와 아민류의 몰비는 1: 1.1 ~ 1: 1.8인 것이 기화력 및 방청성능 면에서 우수하고 약한 염기성을 나타낼 수 있어 포장 대상 물질의 안정성 면에서도 뛰어나다.
또한, 상기 아졸류가 1 중량% 미만이면 비철 방청성능이 저하되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액상 방청제에 용해하기 어려워 압출기에 투입이 어렵고 탄화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압출기에서 상기 기화성 액상 방청제도 상기 다공성 무기물에 흡착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임에 따라 고체상 방청제보다 용이하게 다공성 무기물에 흡착되어 방청제의 손실없이 안정화되어 방청성능을 유지하고 발현할 수 있으며, 압출기내의 체류시간이 짧아도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어, 방청제의 투입 함량이 증대되고 방청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제는 기화성 방청제로서 역할을 하여 방청필름으로 적용시 속효성의 방청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구성하는 유동성 증진 첨가제는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방청오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선택된 유동성 증진 첨가제는 상기 액상 방청제가 압출기에 투입시 수지의 유동성을 좋게 하여 방청제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게 하고 액상 방청제의 탄화 및 손실을 방지하며, 최종적으로 적용된 방청필름의 내부에서 방청제를 필름의 표면으로 이동시켜 금속 표면에서 외부 부식인자를 막아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혼화성이 부족한데 상기 유동성 증진 첨가제가 이를 보완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은 기화성 액상 방청제 70 ~ 99 중량%, 상기 유동성 증진 첨가제가 1 ~ 3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고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고 혼련시킨 다음,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다이를 통과시켜 냉각한 후에 펠렛으로 만들어 방청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압출기는 일반적으로 수지 조성물을 혼련할 수 있는 압출기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압출기 및 압출 조건의 예로는 Φ 30 mm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압출기 온도 160 ~ 260 ℃, 스크류 회전 속도 100 ~ 300 rpm으로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압출기의 후단 투입 위치는, 압출기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이 투입되는 압출기의 선단으로부터 다이 방향으로 1/2 ~ 4/5의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점이 1/2 미만이면 상기 기화성 액상 방청제의 압출기 내에서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안정성이 저하되어 방청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4/5 이상이면 혼합이 불충분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는 량은 상기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방청수지의 전체 함량에서 1 ~ 2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투입량 증가로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제조되는 방청수지의 펠렛 성형 및 방청필름 성형이 어려워지고 필름의 외관이 균일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방청수지 제조 과정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은, 액상으로서 압출기 내에서 용융된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이 용이하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되어 짧은 시간 체류하면서 유동성 증진 첨가제에 의해 잘 혼합되므로 탄화가 발생하지 않고 변성이 되지 않으며 증발이 많지 않고 성능의 저하가 없어 우수한 방청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청수지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점이 낮고 증발성이 강한 액상 방청제를 투입 손실 없이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동시에 함유하여 방청제의 함량을 증대시켜 방청 성능을 향상하고 장기간 방청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출기의 운전온도를 상승시켜 상기 조성물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압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청수지 5 ~ 70 중량%와 폴리올레핀 수지 30 ~ 95 중량%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방청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청필름 내부로부터 방청필름 표면으로 지속적인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의 이동 및 이에 따른 방청피막 형성으로 지속적인 부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방청효과가 장기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소듐벤조에이트(Technical grade, Emerald Kalama Chemical)가 45 중량 %, 암모늄포스페이트(Shinyo Pure Chemicals)가 1 중량 %, 폴리에틸렌(LDPE, LG화학)이 47 중량%, 평균 입경 3 ㎛의 제올라이트((주)지심테크)가 7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선단에 있는 원료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하고 압출온도 190 ℃에서 압출하였다.
모르폴린(BASF) 30 중량%, 옥탄산(Emery Oleo Chemicals) 48 중량%, 토릴트리아졸(Aceto Shinhwa Material) 16 중량% 및 미네랄 오일 6 중량%로 이루어진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2축 스크류 압출기의 후단에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투입하고 혼합하여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된 혼합물을 다이를 통과시켜 냉각한 후에 펠렛으로 만들어 방청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압출기 후단에 투입하는 량은 제조된 방청수지의 전체 함량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함량이 7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청수지 30 중량%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티 다이(T-Die)가 구비된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있는 원료 투입 호퍼를 통해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미네랄 오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방청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청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기화성 방청성 시험
입구가 넓은 병의 고무마개의 내면에 철 시험편을 장착하고, 고무마개에 연결된 방청필름 25*150 mm 2 매가 병 내부로 닿지 않으면서 늘어뜨려 지도록 장착한다.
기화성 방청성분이 활성화되도록 20 시간 방치한 후에 습도 조절용 글리세린 수용액(35 %)을 병의 바닥에 넣은 후 상온에서 40 ℃의 항온조로 이동하여 2 시간 정도 유지하였다.
이후, 시험편에 응축된 물을 제거하여 시험편 면의 녹 발생 유무를 관찰한다(TL 8135-0043 독일 시험 규격을 응용함).
2. 접촉성 방청성 시험
금속별 시험편 시편을 60*80*2.3 mm 크기로 3매 절단하고 절단된 금속 시편 표면을 연마지로 시험면을 길이 방향으로 연마한다. 이후 솔벤트와 메틸알콜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청필름으로 실링 포장한다.
접촉성 방청성 시험은 실링 포장된 금속 시편을 절대습도 95 %로 조정하기 위해 글리세린 수용액(23 %) 데시케이터 하부 전면에 넣은 후, 50 ℃로 유지된 데시케이터에서 16 시간 보존한 다음, 5 ℃로 유지한 데시케이터에서 8 시간 보존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4~12 사이클 동안 테스트를 진행한다(KS T 1086을 응용함).
기화성 방청성 시험 결과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대조구*
평가결과 녹 없음 녹 발생 녹 발생 녹 1~3점 발생 녹 2~3점 발생 녹 없음 녹 발생
방청효과** Grade 3 Grade 1 Grade 1 Grade 2 Grade 2 Grade 3 Grade 0
* 방청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필름
** 방청효과
Grade 0 : 녹 발생이 매우 심하여 방청효과가 없음
Grade 1 : 녹 발생이 Grade 0와 Grade 2 사이의 수준으로 어느 정도 존재함
Grade 2 : 녹 발생이 미미하지만 존재함
Grade 3 : 녹 발생 없음
접촉성 방청성 시험 결과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대조구*
철용

4 Cycle X
6 Cycle Δ Δ Δ Δ Δ X
12 Cycle Δ Δ Δ X X X
비철용
(아연도금강판)
4 Cycle Δ Δ X
6 Cycle X X Δ Δ Δ X
12 Cycle X X Δ X X X
* 방청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필름
** 평가기준
○: 녹/부식 발생 없음, Δ: 녹/부식 발생 20 % 미만, X: 녹/부식 발생 20 % 이상
상기 표 1 및 2로부터,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이 없거나(비교예 2) 접촉성 방청 조성물이 없어도(비교예 3) 방청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여도(비교예 1) 방청성능이 저하되는데 이는 압출과정에서 열에 의한 기능 손실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가 첨가되지 않을 경우(비교예 4) 녹 발생과 함께 6 사이클 이상 환경에서 방청성능의 저하를 확인하였는데, 이로부터 제올라이트가 방청성분을 안정화시켜 방청성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방청효과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주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네랄 오일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비교예 5) 기화성 방청성 시험 결과는 양호하나 접촉성 방청성 시험 결과에서 6 사이클 이상 환경에서 방청성능의 저하를 확인하여, 미네랄 오일이 지효성 방청효과를 나타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접촉성 방청 조성물을 압출기의 선단에 투입하고 혼련시킨 다음, 아민류 25 ~ 70 중량%, 카르복실산류 20 ~ 65 중량% 및 아졸류 1 ~ 25 중량%를 포함한 기화성 액상 방청제와 유동성 증진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을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여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성 방청 조성물은 고체상 방청제 30 ~ 70 중량%, 폴리올레핀 수지 30 ~ 75 중량% 및 다공성 무기물 1 ~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상 방청제는 소듐나이트라이트, 암모늄포스페이트, 소듐카보네이트, 소듐벤조에이트 및 암모늄벤조에이트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물은 제올라이트, 질석, 세라이트 및 운모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류는 사이클로헥실아민, 벤즈아민, 모르폴린, 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부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헥사민, 메틸렌아민, 트리메틸렌아민, 디에틸렌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카르복실산류는 카프로산, 카프르산, 락틱산, 옥탄산, 옥칠산, 라우르산 및 벤조산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아졸류는 벤조트리아졸, 머캅토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로시벤조트리아졸, 토릴트리아졸, 트리아졸, 벤즈이미다졸 및 이미다졸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증진 첨가제는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방청오일로부터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은 상기 기화성 액상 방청제 70 ~ 99 중량%와 상기 유동성 증진 첨가제 1 ~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액상 방청 조성물의 상기 압출기의 후단에 투입하는 량은 상기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방청수지의 전체 함량에서 1 ~ 2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8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방청수지.
  10. 제 1항 내지 8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방청수지 5 ~ 70 중량%와 폴리올레핀 수지 30 ~ 95 중량%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방청필름.
KR1020130075484A 2013-06-28 2013-06-28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KR10151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84A KR101512708B1 (ko) 2013-06-28 2013-06-28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84A KR101512708B1 (ko) 2013-06-28 2013-06-28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08A true KR20150002108A (ko) 2015-01-07
KR101512708B1 KR101512708B1 (ko) 2015-04-16

Family

ID=5247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84A KR101512708B1 (ko) 2013-06-28 2013-06-28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7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3936A (zh) * 2015-10-21 2015-12-16 郑园 一种高性能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60125038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예스테크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WO2017197723A1 (zh) * 2016-05-20 2017-11-23 黄健 乳化型防锈剂
KR20190141047A (ko) * 2018-06-12 2019-12-23 주식회사 조은기업 기화성 방청필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6677B2 (ja) * 2011-08-23 2014-04-09 株式会社アイセロ 防錆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038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예스테크 기화성 방청 포장재의 제조장치
CN105153936A (zh) * 2015-10-21 2015-12-16 郑园 一种高性能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153936B (zh) * 2015-10-21 2018-04-17 江西省高精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WO2017197723A1 (zh) * 2016-05-20 2017-11-23 黄健 乳化型防锈剂
KR20190141047A (ko) * 2018-06-12 2019-12-23 주식회사 조은기업 기화성 방청필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708B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708B1 (ko) 방청수지의 제조방법
KR101483015B1 (ko) 기상 부식 방지제 및 그 제조방법
EP0990676B1 (en) Biodegradable vapor corrosion inhibitor products
KR100934197B1 (ko) 생분해성 방청 수지용 방청제,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방청 수지 조성물과 방청 필름, 및 방청 필름의 제조방법
KR101613952B1 (ko) 수용성 방식용 코팅 조성물
KR100598152B1 (ko) 기화성 방청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311971A (zh) 多金属用防锈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124582B1 (en) Aqueous lubricating coating agen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and metal material
KR101720537B1 (ko) 제습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습 수축필름
KR101160848B1 (ko) 고성능 기화성 방청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6330B1 (ko) 고성능 기화성 방청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청필름
CZ286216B6 (cs) Antikorozní plastové obalové materiály
WO2016042524A1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the vulcanization of rubber
KR20190062489A (ko) 부식 억제 방법
JP5124738B2 (ja) 金属防錆性化合物粉末とその製法、および金属防錆用組成物と金属防錆用フィルム
CN104311969A (zh) 椰油酰基谷氨酸三乙醇胺盐气相防锈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9124838A (ja) 金属防錆用樹脂組成物
JP5565013B2 (ja) 防錆フィルム
JP2005350583A (ja) 防錆剤組成物
CN104356482B (zh) 一种多金属用防锈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76534A (zh) 巯基苯并噻唑气相防锈纤维板及其制备方法
KR20160022547A (ko) 기화성 방청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E19830819A1 (de) Gefrierschutzmittelkonzentrate und diese enthaltende Kühlmittelzusammensetzungen für Kühlkreisläufe in Verbrennungsmotoren
JP3148742B2 (ja) 経時固化性及び粉塵発生の抑制された粉末
KR102071886B1 (ko) 기화성 방청필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