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51U -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51U
KR20150001751U KR2020130008904U KR20130008904U KR20150001751U KR 20150001751 U KR20150001751 U KR 20150001751U KR 2020130008904 U KR2020130008904 U KR 2020130008904U KR 20130008904 U KR20130008904 U KR 20130008904U KR 20150001751 U KR20150001751 U KR 201500017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swing
golf club
leng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나래
Original Assignee
정한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나래 filed Critical 정한나래
Priority to KR2020130008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751U/ko
Publication of KR20150001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및 스윙 연습시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구비된 헤드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을 구비하는 파지부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Golf club for practice swing}
본 고안은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립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을 구비하는 파지부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스윙동작이라 함은 어드레스,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드로우, 피니쉬로 이어지는 동작을 말한다. 이와 같은 동작과정에서 골퍼는 발의 위치, 허리의 움직임, 골프클럽의 회전범위와 속도 등은 타구의 안정성과 비거리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골퍼가 스윙자세를 보다 경제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러 도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특히 골프클럽의 중량을 조절하여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45150호인 골프스윙연습용 중량추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중량체의 내주면이 이루는 양단의 모서리는 소정의 원호를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량체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메쉬를 갖는 너어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11659호인 골프 스윙 연습 링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측에서 내 측으로 일부분 절개되어 홈을 형성하고 연통하여 중심부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홀이 천공된 중량 있는 원통형 금속제 링에 탄력 있는 고무덮개로 금속제 링의 외부에 착설시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중량 조절체를 샤프트에 결합하는 방식이 끼움방식에 의해 중량추를 끼워 결합함에 따라 샤프트를 휘둘렀을 때 중량 조절체가 샤트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골프 스윙 시 적당한 리듬을 갖추어야만 일정한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음 발생기, 스윙 스피드를 증가시키기 위해 헤드 무게를 증대시킨 연습용 골프클럽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3-0100473호의 '샤프트 길이와 유연성 조절이 용이한 스윙 연습기',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3-0097130호의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스윙 연습을 위한 전용 클럽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제작비용이 비교적 비싸고 충격에 약해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그립의 단면이 모두 원형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초보자가 그립을 항상 동일한 형태로 쥘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16072호의 '골프클럽의 그립보조장치'가 게시된 바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재료로 만든 사다리꼴 몸체의 한쪽면에 골프클럽의 그립부분을 바르게 잡았을 때의 손바닥과 손가락모양을 요철로 형성하여 이것을 골프클럽의 그립(손잡이)부분에 감싸서 손으로 그대로 잡으면 바로 그립이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요철모양으로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또한 개개인의 손가락과 손의 형상이 각기 다르며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골퍼에 대한 고려가 없어 누구나 편리하게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존을 지나면서 팔로우 스윙으로 이어지는 골프 스윙에서 일정한 그립이 이루어지고 적절한 스윙 리듬과 템포를 유지하면서 연습이 가능한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및 스윙 연습시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구비된 헤드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을 구비하는 파지부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의 하단부 및 헤드의 상단부에는 나사체결홈이 형성되고 샤프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샤프트의 단부가 나사체결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는 탄성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교환용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다양한 스윙의 템포 및 리듬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측부에 나란한 복수개의 체결공을 구비하고 다단으로 끼움되어 결합되는 원통형 길이조절관과,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하되, 상기 길이조절관을 인입 및 배출하여 결합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에는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방사상의 통공을 구비하여 스윙하는 과정중에 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되되, 상기 통공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스윙의 속도 및 클럽의 방향에 따라 고유의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스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골프 스윙에서 일정한 그립이 이루어지고 적절한 스윙 리듬과 템포를 유지하면서 연습이 가능한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의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을 구비하는 파지부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하게 그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는 탄성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교환용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스윙의 템포 및 리듬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관을 인입 및 배출하여 결합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클럽의 길이가 상이한 우드 및 아이언을 모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및 신체조건 등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또한,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에는 통공을 구비하여 스윙하는 과정중에 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되되, 상기 통공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스윙의 속도 및 클럽의 방향에 따라 고유의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스윙이 이루어져 슬라이스 및 훅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의 외형을 나타낸 외형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의 부분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굽힘을 나타낸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굽힘에 따른 부분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결합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용샤프트의 굽힘을 나타낸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9는 도8의 A-A' 절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관과 결합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12는 본 발명의 회전된 상태에서 길이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13은 본 발명의 무게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10),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20) 및 스윙 연습시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1)가 구비된 헤드(30)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그립(1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12)을 구비하는 파지부(11)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11)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12)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100)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의 외형을 나타낸 외형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의 부분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굽힘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굽힘에 따른 부분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결합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용샤프트의 굽힘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9는 도8의 A-A' 절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관과 결합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회전된 상태에서 길이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무게조절관의 통공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창작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먼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10),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20) 및 스윙 연습시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1)가 구비된 헤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1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12)을 구비하는 파지부(11)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11)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12)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11)는 그립(10)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측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그립을 파지했을 때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12)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11)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형성된 파지부(1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고, 양측의 압지면(12)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100)의 그립(10)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그립(10)을 파지했을 때 손바닥이 마주보고 나란하게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스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그립(10)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양측면이 평행한 장방형으로 형성되거나, 종래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그립의 양쪽에 동일한 높이의 파지부(11)를 형성하여도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사용자도 파지하고 스윙하는 것이 가능하나, 그립의 양측에 구비된 파지부(1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됨으로써 오른손과 왼손이 바람직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골프클럽(100)의 그립을 반바퀴 회전하여 파지함으로써 오른손잡이 뿐만 아니라 왼손잡이 사용자도 별도의 그립을 설치하지 않고 스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립(10)의 외주면에는 장방형의 띠로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밴드를 감아 고정하거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원통형 밀착튜브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그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는 스틸 또는 CP, MC, PP, PE재질의 고분자합성수지 및 화이바글라스, 카본,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샤프트(20)의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스윙중에 샤프트의 휘어지는 방향이 한쪽방향으로만 휘어지도록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그립(10)을 쥐고 스윙을 했을 때, 스윙의 회전방향과 샤프트(20)의 단면이 장폭이 서로 다른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한쪽방향으로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0)의 굴절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윙시에 샤프트에 의한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스윙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10)의 하단부 및 헤드(30)의 상단부에는 나사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샤프트(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나사부(22)가 형성되어 샤프트의 단부가 나사체결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는 탄성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교환용샤프트(20')를 추가로 구비하여, 다양한 스윙의 템포 및 리듬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31)는 측부에 나란한 복수개의 체결공(33)을 구비하고 다단으로 끼움되어 결합되는 원통형 길이조절관(32)과,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는 결합수단(34)을 포함하여 구비되하되, 상기 길이조절관(32)을 인입 및 배출하여 결합수단(34)으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절부(31)는 다단으로 인입 및 배출되는 길이조절관(32)과 상기 길이조절관(32)을 고정하는 결합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관(32)은 복수개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원통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은 직경의 길이조절관이 큰 직경의 길이조절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3)은 복수개의 길이조절관(32)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4)은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부(31)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아이언 또는 우드와 같은 실제 클럽의 길이를 모사하여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및 신체조건에 맞는 스윙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관(32)의 하단부에는 외주면에 통공(35)을 구비하여 스윙하는 과정중에 통공(35)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되되, 상기 통공(35)이 길이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스윙의 속도 및 클럽의 방향에 따라 고유의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스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절부(31)는 상기 길이조절관(32)의 단부 외측에는 추가로 무게조절관(36)을 구비하여 결합함으로써 헤드(3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조절관(36)은 상기 길이조절관(32)의 단부 외측에서 결합하되 상기 길이조절관(32)과 동일하게 외주면에 체결공을 구비하고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조절관(36)은 하측 단부에는 통공(35)이 구비되되, 중심부에서 외주면을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구비되고 바닥면이 개방되어 스윙중에 통공을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무게조절관(36)의 단부에 구비된 통공은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결합방향에 따라 고유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10),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20) 및 스윙 연습시에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1)가 구비된 헤드(30)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그립(1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12)을 구비하는 파지부(11)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11)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12)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그립을 파지하고 바람직한 스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10: 그립
11: 파지부
12: 압지면
20: 샤프트
20': 교환용샤프트
21: 나사체결홈
22: 나사부
30: 헤드
31: 조절부
32: 길이조절관
33: 체결공
34: 결합수단
35: 통공
36: 무게조절관

Claims (5)

  1.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10),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샤프트(20) 및 스윙 연습시에 길이 및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1)가 구비된 헤드(30)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그립(1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손바닥이 밀착되는 압지면(12)을 구비하는 파지부(11)을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11)는 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되며 압지면(12)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10)의 하단부 및 헤드(30)의 상단부에는 나사체결홈(21)이 형성되고 샤프트(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나사부(22)가 형성되어 샤프트의 단부가 나사체결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는 탄성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교환용샤프트(20')를 추가로 구비하여, 다양한 스윙의 템포 및 리듬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1)는 측부에 나란한 복수개의 체결공(33)을 구비하고 다단으로 끼움되어 결합되는 원통형 길이조절관(32)과,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는 결합수단(34)을 포함하여 구비되하되, 상기 길이조절관(32)을 인입 및 배출하여 결합수단(34)으로 체결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관(32)의 외주면에는 통공(35)을 구비하여 스윙하는 과정중에 통공(35)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음향이 발생되되, 상기 통공(35)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스윙의 속도 및 클럽의 방향에 따라 고유의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스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KR2020130008904U 2013-10-30 2013-10-30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KR201500017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04U KR20150001751U (ko) 2013-10-30 2013-10-30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04U KR20150001751U (ko) 2013-10-30 2013-10-30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51U true KR20150001751U (ko) 2015-05-08

Family

ID=5343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04U KR20150001751U (ko) 2013-10-30 2013-10-30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75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712A (ko) 2021-10-01 2023-04-10 (주) 레온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KR20230060810A (ko) 2021-10-28 2023-05-08 (주) 레온 회전기능이 구비된 골프스윙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712A (ko) 2021-10-01 2023-04-10 (주) 레온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KR20230060810A (ko) 2021-10-28 2023-05-08 (주) 레온 회전기능이 구비된 골프스윙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302B2 (en) Muscle training and development device
US7156748B2 (en) Golf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5174577A (en) Audible/tactile feedback swing training device
US928346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US20110250979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20150001751U (ko)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US5947835A (en) Golf swing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KR20130100473A (ko) 샤프트 길이와 유연성 조절이 용이한 스윙 연습기
US20130079172A1 (en) Golf Club
WO2014075150A1 (en) Golf club or implement
US7762929B1 (en) Golf swing exercise device
JP7165582B2 (ja) ボール打撃スイング練習補助具
KR100908374B1 (ko) 골프용 백스윙 자세교정기
KR102237850B1 (ko) 리본을 갖춘 스윙 연습용 골프채
US20090054171A1 (en) Golf-bat for centrifugal golf swing
JP2015043791A (ja) テニスラケット、卓球ラケット及び野球バット等のスイング練習具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2015084964A (ja) テニスラケット、卓球ラケット及び野球バット等のグリップ補助具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0275009Y1 (ko) 골프스윙연습채
KR10254688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316628Y1 (ko) 연습용 골프채
US11745074B1 (en) Golf swing training aid
JP3135095U (ja) パタークラブ用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