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639U -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 Google Patents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639U
KR20150001639U KR20150001542U KR20150001542U KR20150001639U KR 20150001639 U KR20150001639 U KR 20150001639U KR 20150001542 U KR20150001542 U KR 20150001542U KR 20150001542 U KR20150001542 U KR 20150001542U KR 20150001639 U KR20150001639 U KR 20150001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optical
optical patch
sensing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1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8940Y1 (ko
Inventor
김정곤
한창률
이정석
김영진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4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1R31/0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패치코드의 연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패치코드 센싱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플러그에는 센싱와이어와 연결되는 센싱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광패치플러그가 결합하는 광패치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어댑터에는 상기 센싱접속단자와 접속하는 패치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광패치코드의 광패치플러그를 광패치패널의 광패치어댑터에 삽입할 때, 상기 광패치플러그의 센싱접속단자가 상기 광패치어댑터의 패치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광패치코드와 광패치패널의 연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패치코드의 센싱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패치코드 센싱구조{STRUCTURE FOR DETECTING A PATCH CORD END CONNECTION)}
본 고안은 광패치코드의 연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패치코드 센싱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플러그에는 센싱와이어와 연결되는 센싱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광패치플러그가 결합하는 광패치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어댑터에는 상기 센싱접속단자와 접속하는 패치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광패치코드의 광패치플러그를 광패치패널의 광패치어댑터에 삽입할 때, 상기 광패치플러그의 센싱접속단자가 상기 광패치어댑터의 패치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광패치코드와 광패치패널의 연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패치코드의 센싱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패치코드는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된 두 개의 광패치플러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은 외피로 감싸져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치코드 센싱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패치코드(150)는 케이블과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된 패치플러그(1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치코드(150)는 센싱와이어(11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패치플러그(140)에는 상기 센싱와이어(110)가 접속되는 센싱접속단자(115)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패치패널(130)에는 상기 패치플러그(140)가 삽입되는 패치잭(145)이 구비된다. 상기 패치잭(145)에는 연결감지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패널접속단자(1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패치코드(150)의 패치플러그(140)을 패치패널(130)의 패치잭(145)에 삽입하면, 상기 패치플러그(140)의 센싱접속단자(115)와 패치잭(145)의 패널접속단자(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센싱접속단자(115)는 패널접속단자(120)의 제1 부분(120a) 및 제2 부분(120b) 사이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시, 상기 센싱접속단자(115)는 패널접속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의 결과로, 상기 센싱접속단자(115)는 제1 패치패널(130)에 구비된 제1 트랜시버(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센싱와이어(110)의 타 단에는 제2의 센싱접속단자(116)가 설치된다. 상기 센싱와이어(110)의 제2 센싱접속단자(116)는 제2 패치패널(131)에 연결된 제2의 패널접속단자(121)의 제1 부분(121a) 및 제2 부분(121b)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적 연결의 결과로서, 상기 센싱접속단자(121)는 제2 패치패널(131)에 제2 트랜시버(3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패치코드(150)의 양단에 설치된 패치플러그(140,141) 모두가 각각의 패치패널(130,131)의 패치잭(145,146)에 삽입될 때, 전기 회로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트랜시버(300,301)는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패치코드(150)의 패치플러그(140,141)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의 대응하는 패치잭(145,146)으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센싱와이어 회로는 단선되고, 상기 트랜시버(300,301)는 서로 통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치코드(15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패치코드 센싱구조는, 예를 들어, 센싱접속단자(115)가 패널접속단자(120)의 제1 부분(120a) 및 제2 부분(120b)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센싱접속단자(115)와 패널접속단자(120)가 일렬로 정렬되지 못한 경우 센싱접속단자가 잘 삽입되지 않고, 외력이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패치접속단자의 제1 부분 또는 제2 부분이 휘어져 센싱접속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서 패치코드의 연결상태를 감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미국 특허공보 US7435009(2008.10.14) (000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3549호(20006.03.14.)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센싱접속단자와 패널접속단자 사이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광패치코드에 구비되는 센싱접속단자를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의 외주부에 설치하고, 패치패널에 구비되는 패널접속단자를 광패치플러그 또는 광패치어댑터 하우징의 외주부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센싱접속단자가 외력이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센싱접속단자와 패널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센싱접속단자에 탄성력을 발생하는 곡선부를 형성하여 센싱접속단자와 패널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패치코드 센싱구조는,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된 광패치플러그를 포함하는 광패치코드와;
상기 광케이블과 나란하게 포설되는 센싱와이어와;
상기 광패치플러그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광패치어댑터가 구비되고, 상기 광패치코드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광패치패널과;
상기 광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센싱접속단자와;
상기 광패치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어댑터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패치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패치플러그를 상기 광패치어댑터에 삽입할 때, 상기 센싱접속단자의 내면이 상기 패널접속단자의 외면에 접속하여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이 광패치코드의 연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광패치코드 센싱구조에 따르면, 상기 센싱접속단자가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패치접속단자가 광패치어댑터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조시 상기 센싱접속단자 및 패치접속단자의 설치가 용하고, 사용시 상기 센싱접속단자가 외력이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접속단자와 패치접속단자가 면 접촉하여 센싱접속단자와 패널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코드 센싱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플러그가 구비된 광패치코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플러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어댑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어댑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 패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치코드 센싱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코드 센싱구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코드 센싱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코드 센싱구조(1)의 일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패치코드 센싱구조(1)는, 광케이블(11)의 양단에 광패치플러그(23)(23a)가 설치된 광패치코드(10)와, 다수 개의 광패치어댑터(53)가 구비된 광패치패널(50)(5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패치코드(10)는 센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센싱와이어(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싱와이어(12)는 광케이블(11)과 함께 외피로 피복되거나 광케이블(1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패치플러그(23)는 광케이블(11)의 양단에 설치되는 하우징(26)과 상기 광케이블(11)이 관통되고 상기 하우징(26)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부츠(25)를 포함한다. 상기 부츠(25)는 센싱와이어(12)를 고정 및 보호한다.
상기 광패치플러그(23)의 하우징(26)은 사각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설치된 광케이블(11)과 페룰(16)를 보호한다. 상기 광패치플러그(23)의 하우징(26) 외주면에는 센싱접속단자(17)가 구비된다.
상기 센싱접속단자(17)는 도전성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6)의 외주면을 감싸서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접속단자(17)는, 센싱접속단자(17)를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26)을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링 형태의 고정부(18)와, 후술하는 패치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6)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금속편 형상의 접속부(19)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패치코드(10)의 일단에 설치된 제1 광패치플러그(23)와 상기 광패치코드(10)의 타단에 설치된 제2 광패치플러그(23a)는 제1 센싱접속단자(17)와 제2 센싱접속단자(17a)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광패치패널(50)(50a)에는 다수 개의 광패치어댑터(53)가 구비된다. 상기 광패치어댑터(5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패치플러그(23)의 전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관통홀(61)이 형성된 하우징(56)을 포함한다.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양단으로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상기 광패치플러그(23)를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패치어댑터(53)는 두 개의 광패치플러그(23)의 광케이블(11)을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은 그 외주면에는 패치접속단자(57)가 설치된다. 상기 패치접속단자(57)는 도전성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장(56)의 외주면을 감싸서 고정된다.
상기 패치접속단자(57)는, 패치접속단자(57)를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에 감싸서 고정하고 상기 센싱접속단자(17)의 접속부(19)가 접촉하도록 설치된 링 형태의 단자부(59)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에 구비된 패치접속단자(57)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감지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는 광패치패널(5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에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감지회로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광패치패널(50)의 후단에는 접속커넥터(5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커넥터(55)는 외부 전자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센싱접속단자(17)가 구비된 광패치플러그(23)를 상기 패치패널(50)에 구비된 광패치어댑터(53)의 관통홀(61)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상기 광패치플러그(23)의 하우징(26) 외주면에 설치된 센싱접속단자(17)가 광패치어댑터(50)의 하우징(56) 외주면에 설치된 패널접속단자(57)의 단자부(59)와 자연스럽게 접속하여 두 개의 광패치패널(50)(50a)에 설치된 연결감지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광패치코드(10)의 센싱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광패치플러그(23)는 광케이블(11)의 양단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페룰(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페룰(16)은 광케이블(11)의 단부를 보호하면서, 그 단부에는 광케이블(11)의 단부면이 노출되어 마주하는 광케이블 또는 광 접속장치의 광소자에 광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달받게 된다.
상기 페룰(16)과 광케이블(11)은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에 수용된다. 상기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은 페룰(16)과 광케이블(11)의 접속 부분을 보호하면서, 페룰(16)의 단부를 돌출시킨다.
상기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의 외주면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정편(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22)은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에 지지된 일단에 고정 돌기(22a)와 타단에 누름 돌기(22b)가 구비된다(도 2참조).
상기 광패치플러그(23)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을 포함한다. 상기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은 외주면에 센싱접속단자(17)가 구비된다. 상기 센싱접속단자(17)는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의 외주면을 링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부(17)와 상기 패널접속단자(57)와 접속가능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부(19)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광패치플러그 하우징(26)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사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9)는 고정부(17)의 일 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19)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패치패널(50)은, 전면판(52)과 도시되지 않은 연결감지회로기판 및 접속커넥터(55)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52)은 금속판으로서,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용 홀(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판(52)에는 다수 개의 광패치어댑터(53)를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52)의 배면 상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감지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연결감지회로를 보호하기 보호캡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는 통상의 PCB로서, 도시되지 않은 다수 개의 트랜시버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패널접속단자(5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52)의 삽입홀(51)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광패치어댑터(53)는 광패치플러그(23)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광패치어댑터 하우징(56)을 포함한다. 상기 광패치어댑터 하우징(56)은 광패치플러그(23)가 삽입되는 관통홀(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패치어댑터 하우징(56)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패널접속단자(57)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접속단자(57)는 도전성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접속단자(57)는 광패치어댑터 하우징(56)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에는 관통홀(61)뿐만 아니라, 체결홀(67), 수용홈(64) 등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61)은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양단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 홀(67)은 상기 관통홀(61)과 광패치어댑터(53)의 외부를 연통시켜 걸림편(67)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홈(64)은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상, 하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패널접속단자(57)는 상기 수용홈(64)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어 패널접속단자(57)는 상기 수용홈(64)이 위치하는 부분을 감싸고, 상기 수용홈(64)에 대응되는 패널접속단자(57)를 눌러서 돌기를 돌출시키고 이 돌기가 상기 체결홈(6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널접속단자(57)를 상기 광패치어댑터(53)의 하우징(56)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광패치플러그(23)를 광패치어댑터(53)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상기 광패치코드(10)의 양단에 설치된 광패치플러그(23)의 센싱접속단자(17)가 광패치어댑터(53)의 패치접속단자(57)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센싱접속단자(17)의 접속부(19)의 내측 면이 패치접속단자(57)의 단자부(59)에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두 개의 광패치패널(50)(50a)에 구비된 연결감지회로기판이 센싱와이어(1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폐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감지회로에 있는 트랜시버가 광패치코드(1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 광패치코드(10)는 광케이블(11)의 양단에 사각 커넥터(SC; square connector)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되거나, 광섬유 커넥터(FC; fiber connector)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 또는 루슨트 커넥터(LC; lucent connector)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사각 커넥터 형태의 광패치플러그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다른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패치코드 센싱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5는, 센싱접속단자(17)의 접속부(19)가 광패치플러그(73)의 하우징(76)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패치접속단자(57)의 단자부(59)가 상기 접속부(19)에 대응하도록 광패치어댑터(83)의 하우징(86)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패치어댑터(83)에는 두 개의 패치접속단자(57a)(57b)가 형성되어 상기 광패치어댑터(83)의 양단에서 삽입되는 광패치플러그(73)의 센싱접속단자(17)와 접속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는 두 개의 광패치플러그(73)를 한꺼번에 결합할 수 있는 광패치어댑터(18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패치어댑터(183)는 광패치플러그(73)가 삽입되는 두 개의 관통홀(181a)(181b)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광패치어댑터(183)의 하우징(186)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패치접속단자(157a)(157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치접속단자(157a)의 상부에는 광패치플러그(73)를 광패치패널(150)의 삽입홀(151)에 삽입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편(18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광패치플러그가 상하로 배치된 경우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어나 두 개의 광패치플러그를 좌우로 배열하는 것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이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이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센싱와이어(12)가 포설된 광패치플러그(23)를 광패치패널(50)의 광패치어댑터(53)의 삽입구(61)에 꽂으면, 상기 광패치패널(50)의 광패치어댑터(53)에 설치된 패널접속단자(57)의 외 측면에 상기 센싱접속단자(17)의 내측 면이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싱접속단자(17)가 삽입되면, 상기 센싱접속단자(17)의 접속부(19)의 탄성 작용하여 센싱접속단자(17)는 부드럽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9)가 일정한 탄성 복원력이 생기게 되므로 센싱접속단자(17)와 패널접속단자(57)의 단자부(59)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센싱접속단자(17)의 접속부(19)는 자유 단을 형성하고, 곡선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패치접속단자(57)와 접속될 센싱접속단자(17)의 삽입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도면과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사항으로 정해지는 것이 당연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을 근거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고안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1: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10: 광패치코드
11: 광케이블 12: 센싱와이어
17: 센싱접속단자 18: 고정부
19: 접속부 22: 고정편
23: 광패치플러그 25: 부츠
26: 광패치플러그 하우징 50: 광패치패널
51: 삽입홀 52: 전면판
53: 광패치어댑터 55: 접속커넥터
56: 광패치어댑터 하우징

Claims (3)

  1.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에 구비된 광패치플러그를 포함하는 광패치코드와;
    상기 광케이블과 나란하게 포설되는 센싱와이어와;
    상기 광패치플러그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광패치어댑터가 구비되고, 상기 광패치코드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광패치패널과;
    상기 광패치코드의 양단에 구비된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패치플러그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광패치플러그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치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센싱접속단자와;
    상기 광패치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광패치어댑터의 하우징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패치어댑터의 하우징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센싱접속단자의 접속부와 접속하는 링 형상의 단자부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패치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치접속단자는 상기 패치접속단자의 일부를 눌러서 돌출된 돌기가 상기 광패치어댑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광패치플러그를 상기 광패치어댑터에 삽입할 때, 상기 센싱접속단자의 내면이 상기 패널접속단자의 외면에 접속하여 상기 연결감지회로기판이 광패치코드의 연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접속단자의 접속부는 상기 광패치플러그의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치접속단자의 단자부는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광패치어댑터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치어댑터 하우징에는 두 개의 패치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KR2020150001542U 2015-03-11 2015-03-11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KR200478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42U KR200478940Y1 (ko) 2015-03-11 2015-03-11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42U KR200478940Y1 (ko) 2015-03-11 2015-03-11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58A Division KR20140111929A (ko) 2013-03-12 2013-10-25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39U true KR20150001639U (ko) 2015-04-29
KR200478940Y1 KR200478940Y1 (ko) 2015-12-02

Family

ID=5303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42U KR200478940Y1 (ko) 2015-03-11 2015-03-11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171A (ko)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오딘 광선로 추적관리를 위한 광패치코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73Y1 (ko) 2006-02-06 2006-05-25 주식회사 케이티 길이 표시 광패치코드
KR100621557B1 (ko) 2006-04-20 2006-09-11 (주)유프론티어 광케이블 패치코드 연결장치
US7435009B1 (en) 2007-05-21 2008-10-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940Y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6809B (zh) 連接器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TWI446657B (zh) 連接器
CN104362451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854523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KR101328321B1 (ko) 복수개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기 커넥터
TWI648916B (zh) 插頭連接器
US20090129725A1 (en) SFP Active fiber patch cord with over-molded strain relief and conductive housing
US20120214326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power and signal transmitting
US20120115359A1 (en) Cable assembly adapted for power and signal transmitting
US20170093096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light member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TWI618321B (zh) 插頭連接器
TW202017267A (zh) 電連接器組件
US686354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structure
KR200478940Y1 (ko)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KR20170077553A (ko) C 타입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 및 c 타입 usb 커넥터 어셈블리
US20110003516A1 (en) Connector system
KR101697264B1 (ko) Usb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구조,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장치, 및 usb 커넥터 어셈블리
US10615544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97094A1 (en) Contacts For Use In Monitoring Connection Patterns In Data Ports
KR20140111929A (ko) 광패치코드 센싱구조
KR20200092557A (ko) 엘이디 어댑터가 구비된 패치 코드
TWM566922U (zh) 電連接裝置及插頭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