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488U - 기능성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기능성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488U
KR20150001488U KR20130008311U KR20130008311U KR20150001488U KR 20150001488 U KR20150001488 U KR 20150001488U KR 20130008311 U KR20130008311 U KR 20130008311U KR 20130008311 U KR20130008311 U KR 20130008311U KR 20150001488 U KR20150001488 U KR 20150001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main
sub
inner sk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215Y1 (ko
Inventor
임형석
Original Assignee
임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석 filed Critical 임형석
Priority to KR2020130008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1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41D19/0093Retaining means, e.g. loops for hanging th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용 메인장갑;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천 재질의 내피용 서브장갑;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에 마련되어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 내에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고무장갑{Rubber gloves}
본 고안은,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고무장갑은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장갑으로서, 산업용, 의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방에서 설거지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통상적인 고무장갑은 사람의 손과 팔의 형태와 거의 흡사하게 제작된다. 이처럼 고무장갑이 고무 재질로 제작되면서 사람의 손과 팔의 형태와 동일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고무장갑을 착용할 경우, 밀착력이 높아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렇지만, 통상적인 고무장갑은 재질적인 특징으로 인해 벗으려고 할 경우, 손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잘 벗겨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실제, 고무장갑을 착용하여 부엌에서의 작업을 하다가 전화를 받는 등 급하게 고무장갑을 벗어야 할 경우, 고무장갑이 잘 벗겨지지 않아 낭패를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고무장갑이 잘 벗겨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컨대 고무장갑 내에 천 재질의 내피를 덧대어 고무장갑을 제조하는 방안들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고무장갑은 천 재질의 내피 일체형이기 때문에 제조가 불편함은 물론 내피가 오염될 경우,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보완한 기능성 고무장갑의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331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4317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기능성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용 메인장갑;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천 재질의 내피용 서브장갑;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에 마련되어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 내에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내부에 마련되는 외피용 벨크로; 및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손목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외피용 벨크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피용 손목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손가락 영역에 마련되는 다수의 내피용 손가락 벨크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다수의 재봉용 단추;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재봉용 단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다수의 자석 수단추;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 수단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자석 암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에는 터치패드의 인식을 위한 터치인식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치인식부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어느 한 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모든 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무 재질의 고무 외피층; 및 상기 고무 외피층의 내면을 형성하는 천 재질의 천 내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용 서브장갑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출입을 위한 천 재질의 단부토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레일형 암체결부재;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형 암체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형 수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외피용 메인장갑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외피용 메인장갑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100)은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피용 서브장갑(120), 그리고 착탈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용 메인장갑(110)은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100)에서 외피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내피용 서브장갑(120)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로 넣었다 빼야하기 때문에 외피용 메인장갑(110)은 잘 늘어나는 재질을 가져야 하며, 또한 설거지 시 물에 닿기 때문에 외피용 메인장갑(110)은 방수성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외피용 메인장갑(110)은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피용 서브장갑(120)은 외피용 메인장갑(110)과는 별개로 마련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100)이 종래의 고무장갑들과 다른 점으로서, 특히 외피용 메인장갑(110)에 대해 내피용 서브장갑(120)이 분리 가능하다는 점이다.
내피용 서브장갑(120)은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로 출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피용 메인장갑(110)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특히,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로 내피용 서브장갑(120)이 출입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피용 서브장갑(120) 역시 고무 재질로 제작되면 마찰에 의해 내피용 서브장갑(120)이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로 출입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내피용 서브장갑(120)을 외피용 메인장갑(1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천 재질로 제작하고 있다.
이처럼 내피용 서브장갑(120)을 천 재질로 제작하면 메인장갑(110) 내로 출입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설거지 시 전화를 받는 등 급하게 외피용 메인장갑(110)을 벗어야 할 경우, 외피용 메인장갑(110)이 잘 벗겨지지 않아 낭패를 겪는 경우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
착탈 결합부(130)는 외피용 메인장갑(110)과 내피용 서브장갑(120)에 마련되어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에 내피용 서브장갑(1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착탈 결합부(130)가 없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외피용 메인장갑(110)과 내피용 서브장갑(120)이 임의로 쉽게 분리될 수도 있기 때문에 착탈 결합부(130)가 필요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외피용 메인장갑(110)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인데, 이 도면을 참조하여 착탈 결합부(130)에 대해 살펴보면 착탈 결합부(130)는 외피용 메인장갑(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외피용 벨크로(131)와, 내피용 서브장갑(120)의 손목 영역에 마련되며, 외피용 벨크로(13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피용 손목 벨크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처럼 외피용 메인장갑(110)의 내부에 외피용 벨크로(131)를 마련하고, 내피용 서브장갑(120)의 손목 영역에 내피용 손목 벨크로(132)를 마련함으로써 이들 벨크로(131,132)에 의해 내피용 서브장갑(120)이 외피용 메인장갑(110) 내에서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벨크로(131,132)의 특성상 외피용 메인장갑(110)으로부터 내피용 서브장갑(120)을 쉽게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2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210), 내피용 서브장갑(220), 그리고 착탈 결합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230)는 외피용 벨크로(231)와 내피용 손목 벨크로(232)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착탈 결합부(230)는 내피용 서브장갑(220)의 손가락 영역에 마련되는 다수의 내피용 손가락 벨크로(233)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내피용 손가락 벨크로(233)들이 더 마련되면 전술한 실시예보다 좀 더 견고하게 내피용 서브장갑(220)을 외피용 메인장갑(210) 내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참고로, 외피용 메인장갑(210) 내에는 내피용 손가락 벨크로(233)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3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310), 내피용 서브장갑(320), 그리고 착탈 결합부(3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탈 결합부(33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착탈 결합부(330)는 내피용 서브장갑(320)에 마련되는 다수의 재봉용 단추(331)와, 외피용 메인장갑(310)에 마련되어 다수의 재봉용 단추(3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추 고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추 고리(332)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재봉용 단추(331)와 단추 고리(332)를 이용하여 착탈 결합부(330)를 구현하더라도 외피용 메인장갑(310) 내에 내피용 서브장갑(320)이 결합되도록 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면과 달리, 내피용 서브장갑(320)에 단추 고리(332)를, 그리고 외피용 메인장갑(310)에 재봉용 단추(331)를 마련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러한 사항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4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410), 내피용 서브장갑(420), 그리고 착탈 결합부(4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착탈 결합부(43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착탈 결합부(430)는 내피용 서브장갑(320)에 마련되는 다수의 자석 수단추(431)와, 외피용 메인장갑(310)에 마련되어 다수의 자석 수단추(4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자석 암단추(4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 수단추(431)와 자석 암단추(432)를 착탈 결합부(430)를 구현하더라도 외피용 메인장갑(410) 내에 내피용 서브장갑(420)이 결합되도록 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면과 달리, 내피용 서브장갑(420)에 자석 암단추(432)를, 그리고 외피용 메인장갑(410)에 자석 수단추(431)를 마련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러한 사항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5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510), 내피용 서브장갑(520), 그리고 착탈 결합부(5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530)는 외피용 벨크로(531)와 내피용 손목 벨크로(5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내피용 서브장갑(520)에는 터치패드의 인식을 위한 터치인식부(52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인식부(525)는 내피용 서브장갑(520)의 어느 한 손가락의 단부 즉, 검지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내피용 서브장갑(520)에 터치인식부(525)가 더 마련되는 경우, 설거지 도중에 외피용 메인장갑(510)을 벗어낸 상태라 하더라도 이 상태에서 굳이 내피용 서브장갑(520)을 벗지 않더라도 터치패드 제품들, 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을 터치하면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6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610), 내피용 서브장갑(620), 그리고 착탈 결합부(6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630)는 외피용 벨크로(631)와 내피용 손목 벨크로(6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내피용 서브장갑(620)에는 터치패드의 인식을 위한 터치인식부(625)가 더 마련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인식부(625)는 내피용 서브장갑(620)의 모든 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되고 있다.
이처럼 내피용 서브장갑(620)에 터치인식부(625)가 더 마련되는 경우, 설거지 도중에 외피용 메인장갑(610)을 벗어낸 상태라 하더라도 이 상태에서 굳이 내피용 서브장갑(620)을 벗지 않더라도 터치패드 제품들, 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을 터치하면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7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710), 내피용 서브장갑(720), 그리고 착탈 결합부(7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730)는 외피용 벨크로(731)와 내피용 손목 벨크로(7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피용 메인장갑(710)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무 재질의 고무 외피층(710a)과, 고무 외피층(710a)의 내면을 형성하는 천 재질의 천 내피층(710b)을 포함한다.
이처럼 외피용 메인장갑(710)을 고무 외피층(710a)과 천 내피층(710b)의 이중 구조로 만들 경우, 천 내피층(710b)에 외피용 벨크로(731)를 적용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처럼 외피용 메인장갑(710)을 고무 외피층(710a)과 천 내피층(710b)의 이중 구조로 만들 경우, 내피용 서브장갑(720)을 외피용 메인장갑(710)의 천 내피층(710b)에 임시로 재봉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제조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8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810), 내피용 서브장갑(820), 그리고 착탈 결합부(8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830)는 외피용 벨크로(831)와 내피용 손목 벨크로(8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피용 메인장갑(810)의 단부 영역에는 내피용 서브장갑(82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 재질의 단부토시(815)가 마련될 수 있다.
단부토시(815)는 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영역보다 많이 흐느적거리지 않고 빳빳하게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처럼 천 재질의 단부토시(815)가 마련되는 경우, 단부토시(815) 영역을 통해 내피용 서브장갑(820)을 출입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영역을 천 재질의 단부토시(815)로 적용함으로써 고무 재질이 피부에 닿아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9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91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피용 메인장갑(910)에는 다수의 걸이공(915)이 형성된다.
다수의 걸이공(915)은 외피용 메인장갑(910)의 대면하는 앞뒷면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다수의 걸이공(915)이 형성됨에 따라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900)을 걸어 보관하기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되며, 특히 본 실시예는 걸어 보관하기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고무장갑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고무장갑(1000) 역시 외피용 메인장갑(1010), 내피용 서브장갑(1020), 그리고 착탈 결합부(10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착탈 결합부(1030)는 외피용 메인장갑(1010)에 마련되는 레일형 암체결부재(1031)와 내피용 서브장갑(1020)에 마련되는 레일형 수체결부재(1032)를 포함한다. 레일형 암체결부재(1031)와 레일형 수체결부재(1032)는 지퍼식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되는 구성들이다.
이와 같이, 착탈 결합부(1030)로서 지퍼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형 암체결부재(1031)와 레일형 수체결부재(1032)를 외피용 메인장갑(1010)과 내피용 서브장갑(1020)에 적용함으로써, 착용하고 벗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레일형 암체결부재(1031)와 레일형 수체결부재(1032)가 각각 내피용 서브장갑(1020)과 외피용 메인장갑(1010)에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800 : 기능성 고무장갑 110 : 외피용 메인장갑
120 : 내피용 서브장갑 130 : 착탈 결합부
131 : 외피용 벨크로 132 : 내피용 손목 벨크로

Claims (11)

  1.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용 메인장갑;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는 별개로 마련되고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천 재질의 내피용 서브장갑;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에 마련되어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 내에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내부에 마련되는 외피용 벨크로; 및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손목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외피용 벨크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피용 손목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손가락 영역에 마련되는 다수의 내피용 손가락 벨크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다수의 재봉용 단추;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재봉용 단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다수의 자석 수단추;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 수단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자석 암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에는 터치패드의 인식을 위한 터치인식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인식부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어느 한 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모든 손가락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무 재질의 고무 외피층; 및
    상기 고무 외피층의 내면을 형성하는 천 재질의 천 내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용 서브장갑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의 출입을 위한 천 재질의 단부토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레일형 암체결부재; 및
    상기 외피용 메인장갑과 상기 내피용 서브장갑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형 암체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형 수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KR2020130008311U 2013-10-10 2013-10-10 기능성 고무장갑 KR200477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11U KR200477215Y1 (ko) 2013-10-10 2013-10-10 기능성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11U KR200477215Y1 (ko) 2013-10-10 2013-10-10 기능성 고무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88U true KR20150001488U (ko) 2015-04-20
KR200477215Y1 KR200477215Y1 (ko) 2015-05-18

Family

ID=5303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11U KR200477215Y1 (ko) 2013-10-10 2013-10-10 기능성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052B1 (ko) 2015-10-01 2016-07-13 김지영 고무장갑 내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장갑
KR102431524B1 (ko) * 2020-06-26 2022-08-11 박기준 통기성 속장갑이 구비된 이중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42A (ko) * 1998-11-21 1999-02-25 김남선 주방용 방습 고무장갑
KR200420096Y1 (ko) * 2006-02-25 2006-06-28 박수양 구멍 뚫린 고무장갑
KR200422032Y1 (ko) * 2006-04-27 2006-07-20 방지환 항균가공처리된 부직포장갑이 내피로 결합된 고무장갑
KR101181973B1 (ko) * 2010-09-01 2012-09-11 송혁진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215Y1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596B2 (en) Cold weather gloves and mittens
US20140213330A1 (en) Cell Phone / Phone Case Finger Clutches
KR200477215Y1 (ko) 기능성 고무장갑
US20110265243A1 (en) Tethering an Unused Glove or Mitten to a Wearer Method and Device
US11406174B2 (en) Industrial strength kitchen glove
USD654657S1 (en) Glove
KR20120102884A (ko) 미끄럼방지 장갑
JP2019130254A (ja) 毛染め器具
JP3236951U (ja) 手荒れ改善保護手袋
JP3171120U (ja) 手袋型ワックス掛け用具
KR20130006793U (ko) 일회용 비닐장갑
KR20200000440U (ko) 장식을 바꿀 수 있는 장갑
KR20160003593U (ko) 간편하게 벗을 수 있는 끈과 에어백이 달린 고무장갑
CN203633602U (zh) 一种皮带扣结构
KR200486556Y1 (ko) 손목 안쪽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손목부를 가진 장갑
KR20120095163A (ko) 장갑용 기능성 액세서리
KR20110009767U (ko) 식기 세척용 장갑
KR101059200B1 (ko) 반장갑
KR20140005525U (ko) 손바닥 및 손가락이 노출되어 촉각이 확보되는 토시
KR200361347Y1 (ko) 장갑형 손걸레
JP5883086B2 (ja) 手袋型ワックス掛け用具
JP2010018932A (ja) 手と手袋をフィットさせる方法
JP3204754U (ja) ネールアート保護用三つ指手袋
KR20130080563A (ko) 장갑이 부착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4763556U (zh) 可与手部贴合的pvc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