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014A -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014A
KR20150001014A KR1020130073569A KR20130073569A KR20150001014A KR 20150001014 A KR20150001014 A KR 20150001014A KR 1020130073569 A KR1020130073569 A KR 1020130073569A KR 20130073569 A KR20130073569 A KR 20130073569A KR 20150001014 A KR20150001014 A KR 2015000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vement
character
character input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5679B1 (en
Inventor
길재수
Original Assignee
길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재수 filed Critical 길재수
Priority to KR2013007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679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06V30/2268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xt input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s: a motion sensor which senses mo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between finger shape data and finger motion data of a user; a text input start recognition unit which recognizes start of text input by the user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the motion data; and a text input unit which generates a text pattern by combining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tion data of the user until one text inpu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extrac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ext pattern from a predefined database,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nto a scree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d combines the motion of a finger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at a consonant/vowel level, thereby reducing wrong-recognition compared to the recognition method at a character level and recognizing written text input quickly.

Description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motion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motion sensor and an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많은 사용자들은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를 통해 문자 메시지, 메모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빈번히 사용한다. 이러한 사용자들 중에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의 조작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들이 많이 있다. Many users frequently use a function of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a text message and a memo through a keypad mounted on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mong such users, there are many users who feel uncomfortable with the operation of a keypad mounted on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특히,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는 단말기 제조사마다 키패드 구조, 즉, 문자 할당 방식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설사 키패드의 조작이 익숙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제조사가 다른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keypad mounted on the terminal has different keypad structures, that is, a character allocation method for each terminal manufacturer,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keypad, even if the manufacturer inputs a character in another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avoided.

한편, 요즈음, PDA, 휴대폰 등의 단말기 중에는,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에 실제로 글씨를 종이에 쓰는 것처럼 필기하면, 필기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화면에 필기한 문자를 인식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erminals such as a PDA and a mobile phone nowadays provide terminals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Such a terminal performs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when a user writes the handwriting as if the handwriting is actually written on a screen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stylus pen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handwritten character on the screen and performs a character input function It is possible.

하지만,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 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해당 단말기와 함께 항상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를 분실한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a user who wishes to input a character by using a terminal that provides such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has a troublesome problem of always hav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stylus pen, which is a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together with the terminal . Therefore, if the user loses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stylus pen, it may be difficult to input characters.

또한,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기본적으로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된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을 구비하지 못한 단말기에는 이러한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is basically limited in that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ype screen, a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touch screen type screen has such a handwriting recogn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function can not be applied.

본 발명은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손가락의 동작에 따라 한글을 자소 단위로 인식하여 조합함으로써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 a character unit by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 units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otion of a finger sensed by a motion sensor,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영문, 숫자, 특수문자 등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당 문자를 인식하는 약어를 미리 정의한 후에 모션 센서로부터 인식된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에 따라 해당 문자를 빠르게 인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quickly input alphabets, numbers, special characters, and the like, an abbreviation for recogniz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s defined in advance, and then the character is quickly recognized and input according to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motion sensor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motion sens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들 중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 를 센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모션 센서가 모션 정보를 센싱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 및 상기 모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자 패턴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may include a motion sensor that sense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A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start of the input and a strok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until one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And a character input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attern and inputting the characters on a screen.

실시예들 중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모션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모션 센서가 모션 정보를 센싱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자 패턴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s sens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and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mo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until one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Extract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attern, and inputting the character on a scree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손가락의 동작에 따라 한글을 자소 단위로 인식하여 조합함으로써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a method of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 units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finger sensed by a motion sensor and recognizing them in units of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reduce recognition errors and quickly recogniz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영문, 숫자, 특수문자 등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당 문자를 인식하는 약어를 미리 정의한 후에 모션 센서로부터 인식된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에 따라 해당 문자를 빠르게 인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bbreviation for recogniz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s defined in advance so that an alphabet, a number, a special character, or the like can be inputted quickly, and the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quickly recognized and inputted according to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motion sensor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한글의 자소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초성 자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종성 자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모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영문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숫자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특수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문자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angul character recognized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leading consonant in Hangul in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consonant consonants in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vowel of Hangul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nglish recognized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umb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al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type of a character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의 "모션센서"라 함은 사람 신체의 전체 움직임 또는 손동작 등의 작은 움직임 정보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여기서의 센서의 예시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전도센서(EMG센서) 등을 들 수 있다.The term "mo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 sensor that recognizes small motion information such as the entire motion of the human body or a hand movement. Examples of the sensors herein include a gyroscop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n electromyography sensor (EMG sensor).

본 발명에서 문자를 입력 시, 모션 센서에서 인식한 손가락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은 수평 드레그 및 수직 드레그에 대응시키고, 손가락이 한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점(·)에 대응시켜 문자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한글을 입력 시, 손가락의 수직 이동을 {ㅣ}에 대응시키고, 우측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ㅏ}로 인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vertical movement or horizontal movement based on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is made to correspond to horizontal drag and vertical drag, and when the finger stays at one position for a specific time, Characters can be combin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orean alphabet is inpu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corresponds to the {{}}, and when the finger stays for a certain time on the right sid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the collection character {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내부에 모션 센서가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모션 센서는 문자 입력 장치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 motion sensor therein.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tion sensor can exist independently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us the configuration of FIG. 1 can be changed.

도 1을 참조하면,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모션 센서(110),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120), 문자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s a motion sensor 110, a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tion unit 120, a character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모션 센서(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센싱한다. 모션 센서(110)는 센싱한 모션 정보를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120)에 제공한다. The motion sensor 110 sense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The motion sensor 110 provides the sensed motion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120.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12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면 모션 정보를 문자 입력부(130)에 모션 정보를 제공한다.The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120 can recognize the start of character input by the user upon receiving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110. [ When the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120 recognizes the start of character input by the user, the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120 provides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with motion information.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하면 모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110,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user's finger movement information until on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consonant ({ can do.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이 발생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손가락이 머무르는 위치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stays for a specific time aft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우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ㅏ}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when a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a right side after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for a specific time.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ㅐ}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is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손가락이 머무르는 위치의 개수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sitions where the finger stays for a specific time aft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된 후에 좌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ㅔ}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된 후에 좌측의 두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ㅖ}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in time at a left point after repea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twice twice . In anothe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 when the finger stays for a specific time at two left points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is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have.

문자 입력부(130)는 인식된 획에 해당하는 종류가 여러 종류이면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의 종류를 판단한다.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if the types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troke are various types.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이 시작되는 정보에 따라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의 종류를 판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finger.

예를 들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동그라미 모양인 경우, 문자 입력부(130)는 밑 부분에서 시작하여 동그라미가 완성되면 경우 영문 {o}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180˚ 회전된 브이 모양인 경우, 문자 입력부(130)는 오른쪽에서 시작해서 180˚ 회전된 브이 모양이 완성되면 특수문자 {^}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circ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starts from the bottom, and if the circle is completed,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determine that the character is in English {o}. In another example, i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V shape rotated by 180 degrees,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determine the special character {^} when the V shape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right is completed hav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 모션 정보에 따라 문자의 종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동그라미 모양인 경우,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이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그라미가 완성되면 한글 {ㅇ} 로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character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For example,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circ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determine that the finger is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circle is completed, as the Hangul {}.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을 이용하여 문자의 종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이 영문 {Z} 또는 자음 자소 {ㅈ}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끝 모양이 아래방향으로 휜 경우 자음 자소 {ㅈ}로 판단하고 끝 모양이 평행한 경우 영문 {Z} 로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haracter us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example, if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either English {Z} or consonant {I}, if the end is bent downward, And if the end shape is parallel, it can be determined as {Z}.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하면 모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방향을 인식하여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110,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recognize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finger movement information and move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왼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move the cursor in the left direction when the user's hand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while the predetermined finger is maintained in the shap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오른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move the cursor to the right when the user's hand is moved to the right while the predetermined finger is kept in the shape.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위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move the cursor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user's hand is moved upward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finger is maintained in the shape.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아래쪽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move the cursor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the user's hand is moved downward while the predetermined finger is kept in the shape.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하면 모션 정보가 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o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10,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provide the corresponding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unction.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모션 정보가 스페이스 기능에 해당하면 스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한 번 움직이면 스페이스 기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provide a space function whe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10 corresponds to a space function.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thumb function corresponds to the space function when the thumb is moved once while the preset finger is maintained in the shap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모션 정보가 백스페이스 기능에 해당하면 백스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이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두 번 움직이면 백스페이스 기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provide a backspace function whe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10 corresponds to a backspace function.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thumb is moved to the backspace function when the thumb is moved twice while the predetermined finger is maintained in the shape.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모션 정보가 문자 상태 변경 기능에 해당하면 문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문자 상태 변경 기능에 따라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change the state of a character if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10 corresponds to a character state change function.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change a lowercase character to uppercase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ate change function.

문자 입력부(130)는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한다.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ombines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finger movement information until on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thereby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가 붙여진 상태에서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는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가 붙여진 상태에서 손가락이 이동되었을 때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generate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when it is judged that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f the finger are moved based on the finger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have.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generate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the thumb of the finger and the recognized stroke when the finger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index finger is attach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부(130)는 모션 센서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인 위치에서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를 표시하는 스크린으로부터 5cm이내인 위치에서 손가락이 이동되었을 때 인식된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finger is moved at a position within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motion sensor,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may generate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example, a character pattern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recognized strokes when a finger is moved at a position within 5 cm from a screen displaying a character.

문자 입력부(130)는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따라 생성한 문자 패턴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스크린 상에 입력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can extract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pattern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finger movement information in a preset database and input the character on a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한글의 자소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angul character recognized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부(130)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자음 자소 {ㄱ, ㄴ, ㅇ}와 유사하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ㄱ, ㄴ, ㅇ}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nsonant character {a, b, c, d, k, f, g, o, .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input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character input unit 100 is similar to the consonant portion {a, b, o}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 B, ㅇ}.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좌, 우, 상, 하가 볼록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ㄷ, ㄹ, ㅁ, ㅂ}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consonant character {c, d, k, f} when the left, right, top, and bottom are convex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이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라고 인식하였지만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가 인식된 후에 손가락이 어느 한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recognizes that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consonant character {a, c, f, o, i}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but the consonant character {a, c, }, The fing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nsonant ({,,,, ,,,})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for a certain time.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두 번의 자음 자소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이 쌍자음 자소{ㄲ, ㄸ, ㅃ, ㅆ, ㅉ} 또는 겹자음 자소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ㅄ}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I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judges that two consonant keys have been input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may be a double-consonant character {{ㄲ, ㄸ, ㅃ, ㅆ,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은 모음 자소{ㅡ, ㅣ}에 대응시키고, 손가락이 한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점(·)에 대응시킨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이 발생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 손가락의 위치, 예를 들면, 상, 하, 좌, 우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기본 모음을 구성한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orresponds to the vertical movement or the horizontal movement based on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point () when the finger stays at one position for a specific tim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onstitutes a basic vowel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 finger positio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for example, in the upward, downward, leftward, or rightward direction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우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ㅏ}로 인식할 수 있고, 우측에서 손가락이 두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ㅑ}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the right side after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for a specific time, If you stay in position for a certain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ㅑ}.

이와 반대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좌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ㅓ}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ㅕ}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ger is positio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oint on the left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 If you st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wo locations, you can respond to the collection point {ㅕ} that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your finger.

이와 유사하게,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평 이동이 발생된 후에 상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ㅗ}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ㅛ}로 인식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finger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oint on the upper side afte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llection point { If you st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ese two points,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fingers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ㅛ}.

이와 반대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평 이동이 발생된 후에 하측으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ㅜ}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ㅠ}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finger enter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fter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 If you stay in a posi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

또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평 이동에 이어 수직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ㅢ}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generates a vertical movement follow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circle around (x)}.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동시에 두 번 반복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ㅐ}로 인식할 수 있고, 동시에 두 번 반복된 손가락의 수직 이동 후에 그 사이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ㅒ}로 인식할 수 있고, 동시에 두 번 반복된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좌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ㅔ}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ㅖ}로 인식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the collection point {}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is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and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repeated twice at the same time, If the finger stays for a certain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circle around (2)}. At the same time, after two repeated vertical movements, The corresponding stroke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ㅔ}, and when a finger stays at a specific point at two point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llection point {ㅖ}.

이와 같이 인식된 각 자음 및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은 한글 입력 방식의 조합 순서와 마찬가지로,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구분하여 조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consonants and the vowel consonants to form one character can be achieved by dividing and combining the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bining procedure of the Hangeul input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초성 자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3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leading consonant in Hangul in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문자가 최초로 입력되는 초성 자음(S0)은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자음과 동일한 자음으로 인식되는 경우,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consonant (SO) in which a character is firstly input i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formed as a consonant (a, b, c, d, , ㅇ, I} can be recognized. In this case, when a consonant is input, if it is recognized as the same consonant as the previously inputted consonant, it is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ㄲ, ㄸ, ㅃ, ㅆ, ㅉ} have.

한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이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라고 인식하였지만,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에 대해서 손가락이 어느 한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recognizes that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nsonant sound {a, c, b, o, If a finger stays in a position for a certain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consonant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종성 자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다. 4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consonant consonants in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초성 및 중성을 인식한 후에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로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recognizes the beginning and the neutral, and then,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generate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consonant ({a, b, c, d, ㅅ, ㅇ,}} can be recognized.

이때, 문자 입력 장치(100)는 이전에 입력된 자음과의 관계에 따라 받침 자음으로 사용되는 겹자음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ㄲ, ㅆ}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plurality of consonant sounds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ㄲ, ㅆ}, and otherwis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following initial consonant is input.

여기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쌍자음 {ㄸ, ㅃ, ㅉ}은 종성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자음 자소가 연속 입력된 경우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 {ㄷ, ㅂ, ㅈ}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Here, sinc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does not use the consonants {ㄸ, ㅃ, ㅉ} as a consonant, when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sonant consonants {c, can do.

한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기본 자음으로 인식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손가락이 한 지점에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할 수 있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basic consonant, and then, when the finger stays at one point for a predetermined tim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 ,}, And otherwis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following initial consonant is inpu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한글의 모음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vowel of Hangul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초성이 인식된 후에 손가락의 이동 정보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중성으로서 모음 자소(S1)로 인식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수평 이동 또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모음 자소 {ㅡ, l}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ㅢ}로 인식하며, 손가락의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손가락의 위치 또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에 따라 모음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the character S1 as the neutral, accord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after recognizing the start character. As shown in Fig. 5,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as the collection point {-, l} When the moveme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re repeated continuously,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recognized as {ㅢ}, and after the horizontal movement 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Can be recognized.

도 5의 2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우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ㅏ}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ㅑ}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각각 {ㅐ, ㅒ}로 인식할 수 있다. 5,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the right after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When a finger stays at two points for a specific tim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ㅑ}.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s, respectively, as {[phi], [phi]).

이와 유사하게, 도 5의 3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좌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ㅓ}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ㅕ}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각각 {ㅔ, ㅖ}로 인식할 수 있다. Likewise, as shown in line 3 of FIG. 5,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the left side after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set as { ㅓ}, and if the finger stays at two points for a certain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ㅕ}.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s, respectively, as {[phi], [phi]).

상기와 마찬가지로, 문자 입력 장치(100)는 도 5의 4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수평 이동이 발생된 후에 상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ㅗ}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이 두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ㅛ}로 인식할 수 있다. 5, when the finger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oint on the upper side afte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set as { ㅗ}, and if the finger stays at two points for a certain tim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ㅛ}.

문자 입력 장치(100)는 {ㅗ}에 부가하여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ㅚ}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ㅚ}에 부가하여 손가락이 한 위치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ㅘ}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ㅙ}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 as a result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in addition to {circle around (2)}.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stays in one position for a certain time in addition to {circle around (2)}, and in addition, Can be recognized as {ㅙ}.

이와 유사하게, 도 5의 5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수평 이동이 발생된 후에 하측의 특정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이 머무른 지점의 개수에 따라 {ㅜ, ㅠ}로 인식할 수 있고, {ㅜ}에 부가하여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ㅟ}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ㅟ}에 부가하여 손가락이 한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ㅝ}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수직 이동이 발생되면 {ㅞ}로 인식할 수 있다.
Similarly, as shown in line 5 of FIG. 5, if a finger stays for a specific time at a specific point on the lower side after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it is recognized as { , And can be recognized as {ㅟ} when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in addition to {t}. In addition to {circle around (2)},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circle around (x)} if the finger stays at one poi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x} when the vertical movement occur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영문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nglish recognized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영문 {a, b, c, d, e, g, h, i, l, m, n, o, p, q, r, s, u, v, w, x, y, z}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영문 {a, b, c, d, e, f, g, h, i, l, m, n, o, p, q, r, s, u, v, w, x, y, z}와 유사하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영문 {a, b, c, d, e, f, g, h, i, l, m, n, o, p, q, r, s, u, v, w, x, y, z}로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display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alphabetical order {a, b, c, d, e, g, h, i, can be recognized as m, n, o, p, q, r, s, u, v, w, x, y, z}.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to input characters {a, b, c, d, e, f, g, h, i, l, m, a, b, c, d, e, f, g, h, i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 l, m, n, o, p, q, r, s, u, v, w, x, y, z}.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끝 부분이 왼쪽방향으로 조금 올라간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j}로 인식할 수 있고,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끝 부분이 오른쪽방향으로 조금 올라간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t}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j}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shape in which the end portion is slightly raised to the left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t} when the end portion is slightly raised to the right direction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 브이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k}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k}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the V shape rotated to the right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숫자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numb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숫자 {1, 2, 3, 6, 7, 8, 9, 0}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숫자 {1, 2, 3, 6, 7, 8, 9, 0}와 유사하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숫자 {1, 2, 3, 6, 7, 8, 9, 0}로 인식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갈고리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숫자 {5}로 인식할 수 있다.
7,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a number {1, 2, 3, 6, 7, 8, 9, 0}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do.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is similar to the numbers {1, 2, 3, 6, 7, 8, 9, 0}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recognized as a number {1, 2, 3, 6, 7, 8, 9, 0}.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th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the number {5}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hook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인식하는 특수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al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갈고리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로 인식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수직 이동이 발생된 후에 하측의 한 지점에서 손가락이 특정 시간 동안 머무르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로 인식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오른쪽 방향으로 두 번 회전된 브이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로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s {?}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a hook shap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when the finger stays at a certain point on the lower side after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occurs for a certain tim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 whe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the V shape rotated twice in the right direction.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특수문자 {(, ), ~, /}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 ), ~, /}와 유사하다고 판단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특수문자 {(, ), ~, /}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recognize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a special character {(,), ~, / /)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example, i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finger is similar to {(,), ~, / /)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가 문자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type of a character by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동그라미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이 시작되는 위치에 따라 영문 {o} 또는 한글 {ㅇ}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10)과 같이 손가락이 밑 부분에서 시작하여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한글 {ㅇ}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20)과 같이 손가락이 위쪽 부분에서 시작해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영문 {o}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nger moves in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movement of the finger starts, in English {o} or Hangul {}.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character as a Korean {} when the finger starts from the bottom and moves leftward or rightwar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10.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characters {0} to be shifted in the left direction or the right direction starting from the upper portion, such as the reference numeral 920.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이 180˚회전된 브이 모양인 경우, 손가락의 이동이 시작되는 위치에 따라 한글 {ㅅ} 또는 특수문자 {^}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30)과 같이 오른쪽 방향에서 시작해서 180˚회전된 브이 모양이 완성된 경우 특수문자 {^}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40)과 같이 왼쪽 방향에서 시작해서 180˚회전된 브이 모양이 완성된 경우 한글 {ㅅ}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has a V shape whos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rotated by 180 degre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is a Korean character or a special character.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determine a special character {^} when the V shape having been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930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letter V is formed when the V shape having been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left direction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40 is completed.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 중 끝 부분의 모양에 따라 영문 {Z} 또는 자음 자소 {ㅈ}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50)과 같이 손가락의 끝 모양이 아래방향으로 휜 경우 자음 자소 {ㅈ}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60)과 같이 손가락의 끝 모양이 평행한 경우 영문 {Z}로 판단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 is the English {Z} or the consonant character {I}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determine that the end of the finger is bent downwar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950, as a consonant. As anothe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end of the finger is parallel {Z},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960. [

문자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의 크기 및 끝 모양에 따라 자음 자소 {ㄷ} 또는 영문 {c}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70)과 같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의 크기가 특정 크기 이상이거나 끝 모양이 둥글지 않으면 자음 자소 {ㄷ}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장치(100)는 참조번호(980)과 같이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의 크기가 특정 크기 이하이거나 끝 모양이 둥글면 영문 {c} 로 판단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 is the consonant character {c} or the English character {c}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the e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at the siz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specific size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970, or a consonant character {} if the end shape is not round.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siz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specific size, such as reference numeral 980, or if the end shape is round, {c}.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문자 입력 장치
110: 모션 센서
120: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
130: 문자 입력부
140: 제어부
100: character input device
110: Motion sensor
120: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tion unit
130:
140:

Claims (8)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센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모션 센서가 모션 정보를 센싱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문자 입력 시작 인식부; 및
상기 모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자 패턴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A motion sensor for sens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A character input start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start of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motion information; And
A character pattern is generated by combining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until one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attern is extracted from a predetermined database, And a character input section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he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mo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손가락 모양으로 상기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거나,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인 위치에서 상기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unit
When the finger is determined to have been moved in the predetermined finger shape on the basis of the finger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a character pattern is generated by combining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 character pattern is generated by combining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mo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하거나 상기 손가락의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한번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 손가락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unit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ingers positioned for a specific time after recognizing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r after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is generated once or continuously And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motion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상기 인식된 획에 해당하는 종류가 여러 종류이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이 시작되는 위치, 상기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haracter input unit
Determining a type of the character us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finger starts, a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the character of < RTI ID = 0.0 >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motion sensor.
모션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 및 손가락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모션 센서가 모션 정보를 센싱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자 패턴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문자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Sens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 shape information and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ing the start of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mo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until on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pattern from a predetermined database and inputting the character on a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손가락 모양으로 상기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인 위치에서 상기 손가락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조합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each strok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 is moved in a predetermined finger shape based on the finger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nd generating a character pattern by combining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 is moved at a position within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가 모션 정보를 센싱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하거나 상기 손가락의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한번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된 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 손가락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에 해당하는 획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mo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tart of character input by the user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ingers positioned for a specific time after recognizing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r after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nger is generated once or continuously And recognizes a stroke correspon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획에 해당하는 종류가 여러 종류이면 상기 손가락의 이동이 시작되는 위치, 상기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해당하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a type of the character us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finger starts, a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KR20130073569A 2013-06-26 2013-06-2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1485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569A KR101485679B1 (en) 2013-06-26 2013-06-2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569A KR101485679B1 (en) 2013-06-26 2013-06-2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14A true KR20150001014A (en) 2015-01-06
KR101485679B1 KR101485679B1 (en) 2015-01-28

Family

ID=5247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569A KR101485679B1 (en) 2013-06-26 2013-06-2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6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10A (en) * 2016-12-13 2018-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input character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00086060A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원이멀스 Korean input system and method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2394069B1 (en) * 2022-03-17 2022-05-04 최동성 Kiosk Device Having 3D Spatial Touch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90B1 (en) * 2004-12-20 2007-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Wearable General-Purpose 3-Dimensional Input
KR100884900B1 (en) * 2007-05-04 2009-0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writing and method of recognizing writing by using mobile terminal
KR101112624B1 (en) * 2008-11-06 2012-02-1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Character Recognizing method and the system with 3D Accelerometer
KR101053411B1 (en) 2009-02-04 2011-08-01 허성민 Character input method and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10A (en) * 2016-12-13 2018-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input character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00086060A (en)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원이멀스 Korean input system and method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2394069B1 (en) * 2022-03-17 2022-05-04 최동성 Kiosk Device Having 3D Spatial Touch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679B1 (en)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CN101620480B (en) Method for realizing handwritten stroke input on touch screen
KR101636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527539A5 (en)
KR20100000617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JP2010218286A (en)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display method
KR10148567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1189112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US20120256860A1 (en) Directional Finger Recognition Authoring
KR20110049617A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39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screen
KR101632750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101373654B1 (en)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KR101248752B1 (en)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0656779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JP5032624B2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string expressio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101438271B1 (en)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KR20050043541A (en)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1654710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hand gesture and method thereof
CN109558007B (en) Ges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00027195A (en) Method for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