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271B1 -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271B1
KR101438271B1 KR1020120088080A KR20120088080A KR101438271B1 KR 101438271 B1 KR101438271 B1 KR 101438271B1 KR 1020120088080 A KR1020120088080 A KR 1020120088080A KR 20120088080 A KR20120088080 A KR 20120088080A KR 101438271 B1 KR101438271 B1 KR 10143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input
character
drag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0693A (en
Inventor
길재수
Original Assignee
길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재수 filed Critical 길재수
Priority to KR102012008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271B1/en
Priority to PCT/KR2013/007184 priority patent/WO2014027798A1/en
Publication of KR2014002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입력의 자유도가 높고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문자 입력시, 일정 형상의 드래그 및 점(·)의 위치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드래그, 상기 점(·)의 위치, 및 상기 점(·)의 개수에 따라 문자의 자음 및 모음 자소를 각각 인식하고, 각 자소를 개별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작은 면적에서도 큰 형태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provides a writing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recognize a character input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drag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osition of a point at the time of character input by a user's handwriting;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nsonants and vowe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drag, the position of the point, and the number of points, an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by individually combining the respective positions .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rroneous recognition and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quickly a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recognizing in the character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scription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handwriting character,

본 발명은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형 한글을 빠르게 인식하고 공간에 제한되지 않도록 입력할 수 있는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ten typ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written typ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recognizing a handwritten type Hangul and inputting it without limitation to a space.

일반적으로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들은 문자 입력을 위하여 문자와 자판을 매칭하는 자판 입력 방식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쓰는 필기형 입력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electronic apparatuses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 a keyboard input method for matching letters and keyboards for inputting characters. However, since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pad have appeared, a handwriting input method in which a user directly writes a character has been proposed.

이러한 필기형 입력 방식은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필기를 하고 이를 일정 단위로 인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Such a handwriting inpu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user manually writes a handwriting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and recognizes the handwriting as a unit, thereby inputting a charact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기형 입력 방식은 문자를 펜과 같은 도구나 사람의 손으로 쓰고, 써진 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검색하여 문자를 인식하는데, 이를 위해서 일정 시간 입력을 하지 않고 대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인식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만큼 인식 소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a character is recognized by a tool such as a pen or a hand of a person, and a character similar to the written character is searched to recognize the character. To do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recognition is lengthened as much as the waiting time for waiting.

또한, 종래의 필기형 입력 방식은 문자를 일정 단위로 인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시 최소 한 글자를 입력하여야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필기 입력 면적이 작은 경우, 특히 아이들이나 노인과 같이 글씨를 크게 쓰는 경우에는 면적이 부족하여 입력이 곤란하거나 입력 면적에 맞추어 작게 써야하는 어려움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글자의 연속 입력이 용이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필기 입력시 정확하게 쓰기가 곤란하여 오인식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recognizes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unit, the user must input at least one character when inputting. However, when the handwriting input area is small due to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put is difficult or it is difficult to write small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area.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continuous input of characters is not easy, and mistakes are often made due to difficulty in writing correctly when writing with a finger.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기 입력을 단순화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문자 입력의 자유도가 높고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written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simplify handwriting input, reduce the erroneous expression, and can recognize the degree of freedom of character input with high degree of freedom.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문자 입력시, 일정 형상의 드래그 및 점(·)의 위치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드래그, 상기 점(·)의 위치, 및 상기 점(·)의 개수에 따라 문자의 자음 및 모음 자소를 각각 인식하고, 각 자소를 개별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필기형으로 입력되는 문자는 영어, 일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언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한글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device comprising: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posi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of a drag and a dot at the time of character input by a user's handwriting;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nsonants and vowe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drag, the position of the point, and the number of points, an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by individually combining the respective positions . Here, the characters input in the handwriting type may include English, Japanese, German, French,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langu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드래그 및 상기 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자음 인식부;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및 상기 수직 또는 수평 드래그와 상기 점(·)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모음 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includes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consonant charac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rag and the number of points; A vowe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owel in accordance with a vertical drag, a horizontal drag, and a position and a number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rag and the point; And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by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필기의 입력은 상기 자음 자소 중 {ㄱ, ㄷ, ㅂ, ㅇ, ㅈ}에 대응하는 드래그와 상기 점(·)이 조합되어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를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of the character handwriting is performed by combining a drag corresponding to {a, c, f, y} among the consonant keys and the point (·) to obtain a consonant character { Can be configu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필기의 입력은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가 모음 자소 {ㅡ, l}에 대응하고,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에 부가되는 상기 점(·)의 상하좌우 위치 및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 {ㅗ, ㅛ, ㅜ, ㅠ, ㅓ, ㅕ, ㅏ, ㅑ}를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of the character handwriting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corresponding to the vowel {-, l},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point () added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vowels {ㅗ, ㅛ, ㅜ, ㅠ, ㅓ, ㅕ, a, ㅑ}.

또한, 상기 모음 자소 중 {ㅡ, ㅗ, ㅜ, ㅓ, ㅕ, ㅏ, ㅑ}에 대하여 상기 수직 드래그가 부가되어 모음 자소 {ㅢ, ㅚ, ㅟ, ㅔ, ㅖ, ㅐ, ㅒ}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vertical drag is added to the above-mentioned vowels {-, ㅗ,,, ㅓ, ㅕ, ㅏ, ㅑ} so that the vowel phoneme {ㅢ, ㅚ, ㅟ, ㅔ, ㅖ, ㅐ, have.

더욱이, 상기 모음 자소 중 {ㅚ, ㅟ}에 대하여 상기 점(·) 또는 상기 점(·) 및 상기 수직 드래그가 부가되어 모음 자소 {ㅘ, ㅙ, ㅝ, ㅞ}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point (·) or the point (·) and the vertical drag may be added to {ㅚ, 중} among the vowel elements to constitute a vowel element {ㅘ, ㅙ, ㅝ, ㅞ}.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문자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및 점(·)에 의해 입력되는 단계;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 및 상기 점(·)의 위치에 따라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상기 점(·)의 입력 위치 및 상기 점(·)의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개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a character by a handwriting of a user by means of a predetermined shape of a drag and a point; Recognizing a consonant character according to a drag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nd a position of the point; Recognizing a collection point according to a vertical drag, a horizontal drag, an input position of the point (·) and an input number of the point (·); And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separat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합하는 단계는 자음+모음, 자음+모음+단자음, 자음+모음+겹자음 중 어느 하나로 문자를 조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bining step may combine characters with any one of consonant + vowel, consonant + vowel + terminal vowel, consonant + vowel + double vow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음 자소가 반복 입력 또는 연속 입력되는 경우 쌍자음 또는 겹자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ognizing of the consonant character may be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or a double consonant when the consonant is repeatedly input or continuously in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에 대응하는 드래그 후에 상기 점(·)이 입력되면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consonant phoneme includes recognizing the consonant phoneme when the point (·) is input after dragging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phoneme {a, c, f, Can be recognized a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를 모음 자소 {ㅡ, l}로 인식하고,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 후에 상기 점(·)이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ㅗ, ㅛ, ㅜ, ㅠ, ㅓ, ㅕ, ㅏ, ㅑ}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vowel is to recognize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as a vowel {l, l}, and if the point (·) is input after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the vowel { , ㅜ, ㅠ, ㅓ, ㅕ, a, ㅑ}.

또한,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모음 자소 {ㅡ, ㅗ, ㅜ, ㅓ, ㅕ, ㅏ, ㅑ}를 인식한 후 상기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ㅢ, ㅚ, ㅟ, ㅔ, ㅖ, ㅐ, ㅒ}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gnizing the vowel character recognizes the vowel character {-, ㅗ, ㅗ, ㅔ, ㅔ, ㅕ, ㅑ, ㅖ, ㅐ, ㅒ}.

더욱이,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모음 자소 {ㅚ, ㅟ}를 인식한 후 상기 점(·) 또는 상기 점(·) 및 상기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ㅘ, ㅙ, ㅝ, ㅞ}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Further, the step of recognizing the vowel character recognizes the vowel character {[chi], [chi]), and when the point (·) or the point (·) and the vertical drag are inputted, ≪ / RTI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 드래그가 동시에 두 개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ㅐ}로 인식하고, 상기 동시 입력된 수직 드래그 후에 상기 점(·)이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ㅒ, ㅔ, ㅖ}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vowel character recognizes the vertical vowel as a vowel character {circle around (2)} when two vertical vowels are input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point (·) is input after the vertically- ㅒ, ㅔ, ㅖ}.

본 발명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자소 단위로 인식하고 이를 조합함으로써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rroneous recognition and promptly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recogniz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combination thereof by character unit.

또한, 본 발명은 필기형 문자 입력을 문자 단위로 인식하지 않고 자소 단위로 인식함으로써, 입력 면적에 상대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작은 면적에서도 큰 형태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is recognized per character without recogniz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the degree of freedom of input can be improved since the input can be input in a large form even in a small area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nput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위한 한글 자소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초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종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문자 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angul character for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 writing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putting a consonant sound in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inputting consonant consonants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of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character combination method in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에 대한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a basic configuration of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필기형 문자 입력은 특정 언어에 제한되지 않지만,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부분 한글 입력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Although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anguage, in order to facilitate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most of Korean input is assu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위한 한글 자소의 예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예를 도시한다.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angul character for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드래그와 점(·)에 의해 문자를 인식하며, 특히, 한글의 경우, 자소별로 인식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자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은 해당 자소와 유사 또는 임의의 형태를 갖는 드래그로 인식된다. 이러한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는 단획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면, 자음 자소 {ㄱ, ㄴ, ㅇ}은 해당 자소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자음 자소 {ㄷ, ㄹ, ㅁ, ㅂ}은 서로 다른 방향, 즉, 좌, 우, 상, 하로 볼록한 형태로 구성되고, {ㅈ}은 그와 유사하게 단획으로 드래그할 수 있는 "Z"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자음을 구성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의 단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character by a drag and a do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ngul, it recognizes each character by a drag and a dot. As shown in Fig. 1, a consonant character {a, b, c, d, Is recognized as a drag having a similar or arbitrary shape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he drag corresponding to these consonants has a form of consonantation, for example consonants {a, b, o} are formed in a similar form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and consonants {c, d, k, Direction, that is, left, right, up, and down, and {circle around (x)} can be configured in a similar "Z" The present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for constituting a consona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constituted by a piece of arbitrary shape.

또한,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은 자음 자소 {ㄱ, ㄷ, ㅂ, ㅇ, ㅈ}에 대응하는 드래그에 점(·)을 부가하여 구성한다. The consonant phoneme {ㅋ,,,,, ㅎ, ㅊ}, which is similar to the consonant phoneme {a, c, f, Add a point (·) to the drag to configure it.

또한, 쌍자음 자소 {ㄲ, ㄸ, ㅃ, ㅆ, ㅉ}은 해당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를 반복 입력하고, 겹자음 자소 {ㄳ, ㄵ, ㄶ, ㄺ, ㄻ, ㄻ, ㄼ, ㄽ, ㄾ, ㄿ, ㅀ,ㅄ}는 해당 자음 자소를 연속 입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자음 자소를 해당 자음 자소를 반복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시에 입력하거나, 또는, 유사 자음 자소 {ㅋ, ㅌ, ㅍ, ㅅ, ㅊ}에 점(·)을 부가하거나 그 외의 임의의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ouble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repeatedly input the dra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the double consonants {ㄳ, ㄵ, ㄶ, ㄺ, ㄻ, ㄻ, ㅃ, ㅆ, ㄿ, ㅀ, ㅄ} can be constructed by continuousl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sonants of the consonants are input repeated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wo consonants may be input simultaneously using two fingers, , A point (·) may be added to the point, or any other configuration is possible.

모음 자소는 수평 드래그, 수직 드래그 및 점(·)으로 구성되며, 기본 드래그인 수평 드래그 또는 수직 드래그는 모음 자소 {ㅡ, ㅣ}에 대응한다. 이러한 기본 드래그에 대하여 점(·)의 위치, 예를 들면, 점(·)이 기본 드래그에 대하여 상, 하, 좌, 우 중 어느 방향으로 입력되는지에 따라 기본 모음을 구성한다. The vowel suffix consists of a horizontal drag, a vertical drag, and a dot (·). The default drag, horizontal drag or vertical drag, corresponds to the vowel {{,,}}. For this basic drag, a basic vowel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 for example, in which direction the point (·) is inputted in the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ic drag.

수직 드래그에 대하여 우측에 점(·)이 한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ㅏ}에, 두 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ㅑ}에 대응하고, 이와 반대로 좌측에 점(·)이 한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ㅓ}에, 두 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ㅕ}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수평 드래그에 대하여 상측에 점(·)이 한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ㅗ}에, 두 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ㅛ}에 대응하고, 이와 반대로 하측에 점(·)이 한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ㅜ}에, 두 번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드래그에 이어 수직 드래그가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음 자소 {ㅢ}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의 단획 또는 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이 두 개인 경우, 즉, 모음 자소 {ㅑ, ㅕ, ㅛ, ㅠ}는,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시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a point (·) is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vertical drag, it corresponds to the vowel {{}}, and when it is inputted twice, it corresponds to the vowel {{}}, In the case of double entry, it can correspond to the vowel suffix {ㅕ}. Similarly, when a point (·) is input once on the upper side of a horizontal drag, it corresponds to a vowel {{}}, and when it is input twice, it corresponds to a vowel {{}}, Can be applied to the vowel {t} when it is input once, and to the vowel {tau} when it is input twice. In addition, when a horizontal drag is followed by a vertical drag continuously, it can correspond to a vowel {}. The present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for constituting a vowe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constituted by a shape or a dot () of arbitrary shape.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points (·), that is, the vowel {{ㅑ, ㅕ, ㅛ, ㅠ}} can be composed of, for example, using two fingers to input simultaneousl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 자소 {ㅐ, ㅒ, ㅔ, ㅖ}가 수직 드래그 후 점(·) 및 또 다른 수직 드래그가 반복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직 드래그가 동시에 두 개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ㅐ}로 인식하고, 동시 입력된 수직 드래그 후에 그 사이에 점(·)이 하나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ㅒ}로 인식하고, 점(·)이 동시 입력된 수직 드래그의 좌측에 하나 입력되거나, 둘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ㅔ, ㅖ}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점(·)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두손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동시에 입력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vowel {{ㅐ, ㅒ, ㅔ, ㅖ} is repeatedly inputting a point (후) and another vertical drag after vertical dragg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wo vertices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y are recognized as a vowel {{}}, and if a vertex (·) is input after the vertically dragged simultaneously, the vertex is recognized as a vowel { One can be entered to the left of the drag, or two can be recognized as a vowel {ㅔ, ㅖ}. In the case where the point (·) here is input at the same time, both hands are input both horizontally or vertically.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자음 및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은 한글 입력 방식의 조합 순서와 마찬가지로,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구분하여 조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Constructing one character by combining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 element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dividing and combining the chorus, neutrality, and choru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bination order of the Hangeul input meth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깅"을 입력하는 경우, 종래에는 한 문자로 인식하기 위해 각 자소가 겹치지 않도록 입력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자음 및 모음이 각각의 자소별로 인식되기 때문에 도 2의 우측과 같이 각 자소가 겹치도록 입력하여도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큰 글씨체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character "ging" is input, conventionally, each character must be input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 However,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5A,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nput into a larger font.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Hereinafter, a writing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10)는 필기형 한글 문자에 대응하는 드래그 및 점(·)이 입력되는 입력 수단(110) 및 입력된 드래그와 점(·)에 따라 한글 자소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120)를 포함한다.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10 includes input means 110 for inputting a drag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handwritten Korean characters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Korean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put drag and point 120).

입력 수단(110)은 사용자가 한글 문자를 필기 형태로 입력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일정 형상의 드래그 및 점(·)의 위치를 생성한다. 이러한 입력 수단(11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드일 수 있다. The input means 110 is for inputting a Hangul character in a handwriting form by a user, and generates a position of a drag and a point (·) of a constant shape to be inputted. The input means 110 may be, for example, a touch pad.

문자 인식부(120)는 일정 형상을 갖는 드래그, 점(·)의 위치, 및 점(·)의 개수에 따라 한글의 자음 및 모음 자소를 각각 인식하고, 각 자소를 개별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며, 자음 인식부(122), 모음 인식부(124), 및 문자 조합부(126)를 포함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Korean consonant and the vowel character according to the drag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position of the point, and the number of points, and recognizes the character by combining the respective positions individually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2, a vowel recognition unit 124, and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126.

자음 인식부(122)는 드래그 및 점(·)의 개수에 따라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데, 예를 들면, 한글 필기의 자음 입력은 각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일정한 형태의 단획 드래그로 구성되며, 또한, 자음 자소 중 {ㄱ, ㄷ, ㅂ, ㅇ, ㅈ}에 대응하는 드래그와 점(·)이 조합되어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를 구성할 수 있다.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2 recognizes th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ots and the dots. For example, the consonant input of the Korean character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type of drag corresponding to each consona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nsonant sound {ㅋ, ㅌ,,, ㅎ,}} by combining a drag and a dot (·) corresponding to {a, c, f,

모음 인식부(124)는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및 수직 또는 수평 드래그와 점(·)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데, 예를 들면, 한글 필기의 모음 입력은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가 모음 자소 {ㅡ, l}에 대응하고,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에 부가되는 점(·)의 상하좌우 위치 및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 {ㅗ, ㅛ, ㅜ, ㅠ, ㅓ, ㅕ, ㅏ, ㅑ}를 구성할 수 있다. The vowel recognition unit 124 recognizes the vowel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vertical drag, the horizontal drag, and the vertical or horizontal drag and the point (·). For example, (ㅗ, ㅛ, ㅜ, ㅠ, ㅛ, ㅕ,,, ㅑ)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oint (·) added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and the number of input Can be configured.

또한, 모음 인식부(124)는 모음 자소 중 {ㅡ, ㅗ, ㅜ, ㅓ, ㅕ, ㅏ, ㅑ}에 대하여 수직 드래그가 부가되어 모음 자소 {ㅢ, ㅚ, ㅟ, ㅔ, ㅖ, ㅐ, ㅒ}를 구성할 수 있으며, 더욱이, 모음 자소 중 {ㅚ, ㅟ}에 대하여 점(·)을 부가하여 모음 자소 {ㅘ, ㅝ}를, 또한 모음 자소 {ㅘ, ㅝ}에 수직 드래그가 부가되어 모음 자소 {ㅙ, ㅞ}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wel recognition unit 124 adds a vertical drag to {vowel, vowel, vowel, vowel, vowel, vowel, }, And a vertex drag is added to the vowel {{,,}} by adding a point (·) to the {vow, ㅟ}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uffix {ㅙ, ㅞ}.

문자 조합부(126)는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데, 자음 인식부(122) 및 모음 인식부(124)에서 인식된 각 자소를 임시 저장하여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에 따라 조합하고 다음 입력되는 자소에 따라 한 문자의 인식을 종료하고 한글 코드를 생성한다. The character combination unit 126 recognizes characters by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2 and the vowel recognition unit 124 temporarily store the recognized consonants, Combin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and recognition of one character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next input character, and Hangul code is generat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10)는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작은 면적에서도 큰 형태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andwritten type character input device 10 can reduce the erroneous recognition and can quickly recognize the handwritten type input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recognizing it on a character basis, and also can input in a large form in a small area The degree of freedom of input can be improved.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의 한글 필기에 의한 문자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및 점(·)에 의해 입력되는 단계,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 및 점(·)의 위치에 따라 한글의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점(·)의 입력 위치 및 점(·)의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개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character by a user's Hangul writing is input by a drag and a point (·) of a certain shape, a consonant character of a Hangul is recognized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drag and a point (·)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Recognizing the vowel character according to the vertical drag, the horizontal drag, the input position of the point, and the input number of the point, and individually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여기서,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자소의 조합 순서에 따라 초성 자음 및 종성 자음의 인식에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자음 자소를 반복 입력하여 쌍자음을 구성하고 서로 다른 자음을 연속 입력하여 겹자음을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recognizing the consonant can be repeatedly used for recognizing the consonant and consonan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rder of the consonants. In addition, the step of recognizing consonant phonemes may constitute a double consonant by repeatedly inputting a consonant phoneme and continuously inputting consonants of different consonants.

또한, 조합하는 단계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구성에 따라 자음+모음, 자음+모음+단자음, 자음+모음+겹자음 중 어느 하나로 문자를 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bining step can combine the characters with any one of consonant + vowel, consonant + vowel + terminal vowel, consonant + vowel + double vowel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initial, neutral, and lasting Korean characters.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초성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초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for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putting a consonant sound in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자가 최초로 입력되는 초성 자음(S0)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기본 자음으로 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의 드래그로 인식된다. 이때,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자음과 동일한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자음 자소가 동일한 자음이 연속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멀티 터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일한 자음이 동시에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sonant consonant S0 to which a character is firstly inputted is recognized as a drag of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sonants {a, b, c, d, k, f, g, At this time, when a consonant is input, if the same consonant as the previously inputted consonant is input, the consonant is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ㄲ, ㄸ, ㅃ, ㅆ, ㅉ}.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same consonants are consecutively inputted in the double consona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ame consonants can be input simultaneously using two fingers in a multi-touch manner.

한편, 초성에 대한 기본 자음 후 점(·)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 입력된 기본 자음이 {ㄱ, ㄷ, ㅂ, ㅈ, ㅇ}인 경우, 즉, {ㄱ, ㄷ, ㅂ, ㅈ, ㅇ}에 대응하는 드래그 후에 상기 점(·)이 입력되면 형태적으로 연관되는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ic consonant posterior point (.) For the beginning is input, if the previously input basic consonant is {a, c, f, x, When the point (·) is input after the corresponding drag,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onsonant is associated with a consonant ({,,,, ,,}), and other consonants are recogniz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종성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종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for inputting consonant consona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n input method of consonant consonants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성 및 중성 후에 입력되는 종성 자음(S2)은 초성 자음과 유사하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기본 자음으로 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의 드래그로 인식된다. 이때,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자음과의 관계에 따라 받침 자음으로 사용되는 겹자음 {ㄳ, ㄵ, ㄶ, ㄺ, ㄻ,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ㄲ, ㅆ}으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쌍자음 {ㄸ, ㅃ, ㅉ}은 종성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자음 자소가 연속 입력된 경우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 {ㄷ, ㅂ, ㅈ}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자음 자소 {ㄲ, ㅆ}의 경우, 동일한 자음이 연속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멀티 터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일한 자음이 동시에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sonant consonant (S2) input after the initial and the neutral is recognized as a drag of the corresponding shape by using the consonants as basic consonants such as {a, b, c, d, k, do. In this case, when a consonant is input, a plurality of consonant sounds {ㄳ, ㄵ, ㄶ, ㄺ, ㄻ,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ㄲ , ㅆ}, and otherwise recognizes that the following initial consonant is input. Here, since the consonant {ㄸ, ㅃ, ㅉ} is not used as a consonant, when consonant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the consonant consonant {c, f, i} is recognized as being inpu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ame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in the case of the double consonant character {ㄲ, ㅆ},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Can be configured.

한편, 종성에 대한 기본 자음 후 점(·)이 입력되는 경우, 초성 자음과 유사하게, 이전 입력된 기본 자음이 {ㄱ, ㄷ, ㅂ, ㅈ, ㅇ}인 경우, 즉, {ㄱ, ㄷ, ㅂ, ㅈ, ㅇ}에 대응하는 드래그 후에 상기 점(·)이 입력되면 형태적으로 연관되고 받침 자음으로 사용되는 자음 자소 {ㅋ, ㅌ, ㅍ, ㅎ, ㅊ}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다음의 초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When a basic consonant after a consonant (.) Is input to the consonant, similarly to the consonant consonant, if the previously input basic consonant is {a, c, f, i, (X, y, z) after the dra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nsonants (x, y, y) in the form of a consonan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initial consonant is inpu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vow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of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성 후에 입력되는 드래그는 중성으로서 모음 자소(S1)를 구성한다. 모음 자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를 기본 모음으로 하여 모음 자소 {ㅡ, l}로 인식하고, 수평 및 수직 드래그가 연속 입력되면 {ㅢ}로 인식하며, 수평 또는 수직 드래그에 대하여 점(·) 또는 수직 드래그에 따라 모음이 구성된다. The drag that is input after initialization constitutes the collection point S1 as neutral. As shown in FIG. 6, the collection ruler recognizes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g as a basic vowel as a collection point {-, l}, recognizes as {v} if horizontal and vertical drags are continuously input, A vowel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 point (.) Or a vertical drag for a drag.

도 6의 2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드래그 후 점(·)이 우측에 위치하면 그 개수에 따라 {ㅏ, ㅑ}로 인식하고, 이에 부가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ㅐ, ㅒ}로 인식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6의 3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드래그 후 점(·)이 좌측에 위치하면 그 개수에 따라 {ㅓ, ㅕ}로 인식하고, 이에 부가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ㅔ, ㅖ}로 인식한다. As shown in the second row of FIG. 6, when the point (·) after the vertical drag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it is recognized as {a, b} according to the number, and when the vertical drag is input in addition thereto, {ㅐ, . Likewise, as shown in the third row of FIG. 6, when the point (·) after the vertical drag is located on the left side, it is recognized as {ㅓ, ㅕ} according to the number thereof, and when the vertical drag is input thereto, , ㅖ}.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6의 4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드래그 후 점(·)이 상측에 위치하면 그 개수에 따라 {ㅗ, ㅛ}로 인식하고, {ㅗ}에 부가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ㅚ}로 인식한다. 또한 {ㅚ}에 부가하여 점(·)이 입력되면 {ㅘ}로, 이에 더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ㅙ}로 인식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6의 5행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드래그 후 점(·)이 하측에 위치하면 그 개수에 따라 {ㅜ, ㅠ}로 인식하고, {ㅜ}에 부가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ㅟ}로 인식한다. 또한 {ㅟ}에 부가하여 점(·)이 입력되면 {ㅝ}로, 이에 더하여 수직 드래그가 입력되면 {ㅞ}로 인식한다. 6, when the point (·) after the horizontal drag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is recognized as {ㅗ, ㅛ}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vertical drag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ㅚ}. Also, when a point (·) is added in addition to {ㅚ}, it is recognized as {ㅘ}. In addition, when a vertical drag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ㅙ}. Likewise, as shown in line 5 of FIG. 6, when the point (·)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fter the horizontal drag, it is recognized as {{tild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vertical drag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ㅟ}. Also, when a point (·) is added in addition to {ㅟ}, it is recognized as {ㅝ}. In addition, when a vertical drag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ㅞ}.

여기서, 점(·)이 두 개로 구성되는 모음 자소 {ㅑ, ㅕ, ㅛ, ㅠ}는 점(·)을 연속하여 두 번 입력하거나, 멀티 터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시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ollection point {ㅑ, ㅕ, ㅛ, ㅠ} having two points ()) consists of two consecutive input points ()) or a multi-touch manner And the like.

또한, 수직 드래그가 두 개로 구성되는 모음 자소 {ㅐ, ㅒ, ㅔ, ㅖ}는 멀티 터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직 드래그가 동시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드래그가 동시에 두 개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ㅐ}로 인식하고, 동시 입력된 수직 드래그 후에 그 사이에 점(·)이 하나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ㅒ}로 인식하고, 점(·)이 동시 입력된 수직 드래그의 좌측에 하나 입력되거나, 둘 입력되면 모음 자소 {ㅔ, ㅖ}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llection point {ㅐ, ㅒ, ㅔ, ㅖ} composed of two vertical drags can be composed of multi-touch method, for example, simultaneous input of vertical drag using two fingers. For example, if two vertical strokes are input at the same time, it is recognized as a vowel {{}}, and if a vertex (·) is input after the vertical input simultaneously, it is recognized as a vowel { ·) Can be input to the left of the vertically dragged concurrent input, or can be recognized as a vowel {{ㅔ, ㅖ} if both are input.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문자 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mbining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character combination method in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각각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한 문자를 인식하는데, 이는 한글의 구성 방식인 초성, 중성, 종성에 대응하여 조합하도록 구성되며,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의 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one character by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combine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and consonant + consonant, consonant + Respectivel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초성으로 인식하고(S0), 초성 입력 후 모음이 입력되면 중성으로 인식하여 자음+모음으로 구성된 문자로 인식하고(S1), 다음 입력되는 자소가 자음인 경우, 종성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 자음+모음+자음으로 인식된 문자로 인식한다(S2). 한편, S1 상태에서 쌍자음 자소 {ㄲ, ㅆ}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일 자음을 동시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consonant is input for the first time, it is recognized as a first character (S0). If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after the input of the first character, it is recognized as neutral and recognized as a character composed of consonant +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 vowel + consonant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S2).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double consonant element {[phi], [phi]} in the S1 st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simultaneous input of the same consonants using two fingers.

다음,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종성으로 인식된 자음과 조합하여 자음+모음으로 구성된 다음 문자로 인식하고(S1),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에 종성으로 입력된 자음과의 연관성에 따라 쌍자음 자소 {ㄲ, ㅆ} 또는 겹자음 자소 {ㄳ, ㄵ, ㄶ, ㄺ, ㄻ, ㄻ, ㄼ, ㄽ, ㄾ, ㄿ, ㅀ,ㅄ}으로 인식하여 입력되는 문자의 종성으로 인식된다. 한편, S2 상태에서 입력되는 자음이 상기와 같은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서 인식한다(S0).Next, when a vowel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a next character composed of a consonant + vowel in combination with consonants previously recognized as vowels (S1). When a consonant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of the input character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suffix {ㄲ, ㅆ} or a double suffix {ㄳ, ㄵ, ㄶ,.,., ㄻ, ㄼ, ㄽ, ㄾ, ㄿ, ㅀ, ㅄ. On the other hand, if the consonant input in the S2 state does not form the above-mentioned double consonant or double note, it is recognized as the star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S0).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단위로 인식하는 방식에 비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키고 필기형 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작은 면적에서도 큰 형태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handwritin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an reduce the erroneous recognition and recognize the handwritten character input quickly compared with the method of recognizing in character units, and at the same time, since it can input in a large form even in a small area,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에서는 패치패드만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명칭에 관계없이 손 또는 필기구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화면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ly a patch pa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on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hand or a writing instrument, regardless of its nam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Do.

10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110 : 입력 수단
120 : 문자 인식부 122 : 자음 인식부
124 : 모음 인식부 126 : 문자 조합부
10: Writing type character input device 110: Input means
120: Character recognition unit 122: Consonant recognition unit
124: vowel recognition unit 126: character combination unit

Claims (14)

화면에 필기인식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필기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포함하는 모든 자소가 문자 필기 순서에 따라 상기 화면에 서로 겹치면서 순차적으로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의 형태로 입력되는 입력 수단; 및
드래그 및 상기 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자음 인식부,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및 상기 수직 또는 수평 드래그와 상기 점(·)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모음 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조합부,를 포함하는 문자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인식부에서는,
드레그가 입력되면 입력된 드레그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를 인식하고,
자음자소 인식후에 점(·)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자음자소를 드레그와 점(·)의 결합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로 변경하여 인식하며,
상기 화면 전체에 자음자소의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화면 전체에 모음자소의 입력도 가능하며,
상기 자음자소와 모음자소는 아래의 표에서의 입력예로 입력시에 상기 입력예에 대응하는 자음자소 및 모음자소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Figure 112014070786434-pat00008
1.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on a screen only by handwriting recogni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all the letters including the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in the form of a drag, a drag and a dot in a predetermined shape sequentially overlapping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letter writing sequence by a user's handwriting; And
A consonan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nsonant charac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rag and the number of points (·), a vertical drag, a horizontal drag, and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rag and the point (·) And a character recognizing unit including a character recognizing unit, and a character combining unit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by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the collective character,
In the consonant recognition unit,
When the drag is inputted, the recognizer recognize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ag,
If the point (·) is recognized after recognizing the consonant portion, the recognized consonant porti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drag and the point (·)
A consonant character can be input to the entire screen and a character can be input to the entire screen,
Wherein the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ample at the time of input as an example of input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4070786434-pat0000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면에 필기인식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필기형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자음자소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자소 입력단계;
자음 자소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의 위치에 따라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상기 자음자소와 겹치도록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모음자소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에 의해 입력되는 모음 자소 입력단계;
모음 자소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모음 자소에 대응하는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상기 점(·)의 입력 위치 및 상기 점(·)의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개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자소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드레그가 입력되면 입력된 드레그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를 인식하고,
자음자소 인식후에 점(·)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자음자소를 드레그와 점(·)의 결합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로 변경하여 인식하며,
상기 화면 전체에 자음자소의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화면 전체에 모음자소의 입력도 가능하며,
상기 자음자소와 모음자소는 아래의 표에서의 입력예로 입력시에 상기 입력예에 대응하는 자음자소 및 모음자소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방법.
Figure 112014070786434-pat00009
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on a screen only by handwriting recognition,
A consonant cursor input step of inputting a consonant character by a user's handwriting on the screen by dragging or dragg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oint;
Recognizing a consona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point or a drag or drag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 vowel character input step of inputting a vowel character by a user's handwriting so as to overlap the consonant character on the screen by a predetermined drag or drag and a point;
Recognizing a collection point according to a vertical drag, a horizontal drag, an input position of the point, and an input number of the point (?)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point input in the collection point input step; And
And combining the recognized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separately,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consonant,
When the drag is inputted, the recognizer recognizes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ag,
If the point (·) is recognized after recognizing the consonant portion, the recognized consonant portion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drag and the point (·)
A consonant character can be input to the entire screen and a character can be input to the entire screen,
Wherein the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consonant and vowel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ample when inputting as an example of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4070786434-pat0000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하는 단계는 자음+모음, 자음+모음+단자음, 자음+모음+겹자음 중 어느 하나로 문자를 조합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bining step combines the characters with any one of consonant + vowel, consonant + vowel + terminal vowel, consonant + vowel + double vowe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음 자소가 동시 입력, 반복 입력 또는 연속 입력되는 경우 쌍자음 또는 겹자음으로 인식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nd recognizing the consonant character as a double consonant or a double consonant when the consonant is simultaneously input, repeatedly input, or continuously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88080A 2012-08-11 2012-08-11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KR101438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80A KR101438271B1 (en) 2012-08-11 2012-08-11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PCT/KR2013/007184 WO2014027798A1 (en) 2012-08-11 2013-08-09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ursive le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80A KR101438271B1 (en) 2012-08-11 2012-08-11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93A KR20140020693A (en) 2014-02-19
KR101438271B1 true KR101438271B1 (en) 2014-09-04

Family

ID=5026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080A KR101438271B1 (en) 2012-08-11 2012-08-11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8271B1 (en)
WO (1) WO201402779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7B1 (en) * 2016-08-12 2017-03-08 주식회사 온매칭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 touch character inpu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348A (en) * 2008-06-13 2008-07-02 조근우 Method for inputing text using number keys
KR20090053495A (en)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디오텍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610A (en) * 2007-09-06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20100039650A (en)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495A (en)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디오텍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20080061348A (en) * 2008-06-13 2008-07-02 조근우 Method for inputing text using number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798A1 (en) 2014-02-20
KR20140020693A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5050B2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US9298270B2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US20140173522A1 (en) Novel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Remote Selection Menu and Touch Screen Movements
JP2017509080A (en) Kanji input device, kanji input method, and kanji search method using the same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32750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US7979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llables of a phonetic script into a computer
KR101438271B1 (en)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KR10148567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101653906B1 (en) Devic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using swipe with touch screen
KR101561783B1 (en)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terminal
KR20100027195A (en) Method for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KR102065532B1 (en) Eye Recognition Key Board for Korean Alphabet Input
KR101977594B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KR101176280B1 (en) Letter entry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and Drag at keyboard area inputted two-click morse code
KR20150131662A (en) Enlarging the condition of combination of characters when inputting text
KR20190066161A (en) 16key Hangul Sswipee Pad
KR101569626B1 (en)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KR2004006759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ositioning input window in handwriting recongnizer
KR20090053495A (en) Korean alphabet input apparatus for consonant note-recognition and vowel touch-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20489B1 (en)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KR200330513Y1 (en)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KR101550141B1 (en) Hangeul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