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13Y1 -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 Google Patents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13Y1
KR200330513Y1 KR20-2003-0021872U KR20030021872U KR200330513Y1 KR 200330513 Y1 KR200330513 Y1 KR 200330513Y1 KR 20030021872 U KR20030021872 U KR 20030021872U KR 200330513 Y1 KR200330513 Y1 KR 200330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consonants
rows
vowels
h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8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매튜 와이. 안
Original Assignee
매튜 와이. 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튜 와이. 안 filed Critical 매튜 와이. 안
Priority to KR20-2003-0021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1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글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한손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한손 한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handed Hangul keypad for quickly and simply inputting a character into a device displaying and inputting Korean characters.

본 고안은 3X4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되, 상기 3X4 키패드의 3열 중 2열을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1열 과 3열 보다 전진 배열하게 되며, 상기 3X4 키패드의 5개의 자음은 빈도가 가장 많은 1개의 자음을 2열의 2행에 배열하고 나머지 4개의 자음은 1열 과 3열 1행 3행에 각각 배열하고, 3개의 모음은 상기 4개의 자음과 겹치지 않은 열과 행에 각각 배열하되, 가장 빈도가 많은 1개의 모음은 상기 1개의 자음과 겹쳐서 배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보드를 외우기 쉽고 이용에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of five consonants and three vowel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n the basis of the 3X4 keypad, the two rows of the three columns of the 3X4 keypad are arranged in advance than the first row and three rows to match the length of the finger. The five consonants of the 3X4 keypad are arranged in two rows of two columns with the most frequent consonants,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are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rows, one row and three rows, respectively. The vowels are arranged in non-overlapping columns and rows, respectively, and the most frequent one vowel is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one consona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emorize the keyboard and make it convenient to use so that the text input speed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한손 한글 키패드{ONE HAND KOREAN INPUT KEY PAD}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본 고안은 한손 한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한손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한손 한글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handed Korean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handed Korean keypad for quickly and simply inputting a character with a single hand in a device for displaying Korean characters.

일반적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 또는 전동 타자기를 들 수 있고, 이 컴퓨터나 전동 타자기의 경우 문자를 입력하려면 문자의 자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들 키의 각각에는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형성하여 표시하게 된다.In general, a device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includes a computer or an electric typewriter. In the case of the computer or an electric typewriter,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the letter's characters must be provided to input characters. Each type is given a code of a specific type, and the characters are formed and displayed by a combination thereof.

이와 같이 컴퓨터와 같은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는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문자(한글 또는 영문자)를 소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글 24자 영문 26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특정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키에 의하여 소형화가 어렵고,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an apparatus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such as a computer must include a keyboard hav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thereon, and at least 24 characters in order to smoothly display and display characters (Korean or English characters) in a desired form. Since a character key and a specific key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must be provided,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by a plurality of keys and cannot carry it.

뿐만 아니라, 상기 키보드의 경우 대부분이 양손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고, 보다 원활한 문자 입력을 위해서는 키 배열을 숙지하지 않으면 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keyboard is to use both hands, and if you do not know the key arrangement for a smooth character input has a lot of inconvenience to input with one hand.

그리고 상기 키보드의 문자(한글)배열은 영문자 배열 위에 그대로 만들어져 있으며, 한글은 차례로 입력되는 것으로 문자가 되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어우러져 하나의 문자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키보드의 문자 배열은 한글 문자 입력을 영문자 패턴에 맞추어 차례로 입력하여 모아쓰는 형태로 만들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한글의 글자를 합성하는 오토마타가 개입하게 된다.And the character (Hangul) array of the keyboard is made as it is on the alphabetic character array, Hangul is entered in order, unlike the English alphabet that is a letter, consonant (consonant), neutral (vowel), Jongseong (consonant) is a combination of one character In this case, the character array of the keyboar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Korean characters are input in sequence according to an alphabetic pattern, and in some cases, an automata for synthesizing Korean characters is involved.

뿐만 아니라, 영어식 입력을 하다 보니 완성된 글자 밖에는 찾아오지 못하므로 세상의 모든 소리 및 사람의 소리인 외국어도 제대로 표기를 못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English-type input can only find the completed letters, so all the sounds of the world and the foreign language that is the sound of people could not be properly represented.

이것이 모두 영문자 배열을 토대로 그대로 입력하여 문자를 완성하게 됨으로 인하여 야기된 것이다.This is all caused by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are completed by typing them as they are based on the alphabetic array.

그리고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소형의 문자 입력장치 즉 PDA,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이동무선통신단말기(휴대폰)의 경우 장치가 소형이므로 그에 따른 키패드도 소형이기 때문에 한정된 키패드 내에서 한글 24자의 문자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버튼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소가 배열되게 된다.In the case of small character input devices, such as PDAs, electronic calculators, electronic notebooks,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phones), which are gr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e keypads are small because the device is small. In order to input the phoneme, at least two phonemes are arranged in one key button.

그러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영문자 배열에 따른 문자를 하나 하나씩 입력하게 되므로 키패드의 크기만 소형이지 이용방법은 컴퓨터 체계와 별 다른 것이 없고, 오히려 하나의 키버튼에 배열된 2개 이상의 자소를 숙지하지 않으면 입력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기는 마찬가지이다.In this case, however, characters in alphabetical order are entered one by one, so the size of the keypad is only small. The method of use is nothing different from the computer system. Rather, if you do not know two or more phonemes arranged in one key button, The same is true of having difficulty.

상기 소형 키패드의 경우에는 키패드 크기가 작은 관계로 양손을 이용하기가 어려워 대부분이 한손만을 이용하여 자소를 입력하게 되는데, 물론 두손을 이용하여 자소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이때 이용하게 되는 한손 또는 두손을 이용함에 있어서도 한손 또는 두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자소를 따라 움직이면서 하나 하나씩 입력하게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었다.In the case of the small keypad, since the keypad size is small, it is difficult to use both hands, and most of them input the phoneme using only one hand. Of course, the phoneme may be input using both hands. In the same way, using the thumb of one hand or two hands only move one by one while moving along the phoneme.

또한 기존의 한글 자소가 배열된 키패드의 경우, 가령 "각각" 이란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현재 자소의 배열에 의하여 "각" 글자에서 다시 한번 "각" 이란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ㄱ"을 누르게 되면, "ㄱ"을 두 번 누른 것으로 인식하여 먼저 입력되었던 "각" 자가 ""으로 인식하여 표시되게 되므로, 이용자는 다른 키패드를 눌러 주고 난 후 "ㄱ"을 눌러주거나 혹은 커서가 다음 자리로 움직임이 있을 때까지 기다렸다 "ㄱ"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입력속도가 늦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도 불편함을 가지게 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keypad of the existing Hangul alphabet,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the word "each", you need to input "A"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ang" once again from the "angle" lett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urrent letter. When it is pressed, it recognizes that it pressed twice "a" and the "each" character entered first " "A" is displayed and the user presses the other keypad and presses "a" or waits until the cursor moves to the next digit. I became uncomfortable.

이와 같이 종래의 키패드에는 영문자 입력 패턴을 이용한 것이어서, 상기 범주를 쉽게 벗어날 수 없게 되었으나, 한글은 영문자와는 달리 과학적인 글씨 체계이어서 대부분의 문자 표현은 주로 첫소리(자음)과 둘째 소리(모음)만으로 글자를 만들 수 있고, 상기 첫소리, 둘째소리, 셋째소리(자음)받침을 포함하는 경우 표현하지 못하는 소리 문자가 없게 되는 아주 체계적인 문자이다.As such, the conventional keypad uses an English alphabet input pattern, and thus cannot be easily deviated from the above category. However, unlike the English alphabet, the Korean alphabet is a scientific writing system, and most of the character expressions mainly include the first sound (consonant) and the second sound (vowel). If you can make a letter, including the first sound, the second sound, the third sound (consonant) support is a very systematic letter that there is no sound characters that can not be expressed.

뿐만 아니라 한글은 음소 문자이기도 하지만 음절글자이기 때문에 입력방법이 다양할 수밖에 없고, 음소 문자로서의 한글은 여섯 개의 기하학적인 모형으로 되어 있어 여섯 개의 모형만 차례대로 입력해도 음절문자를 만들 수가 있다.In addition, Hangul is a phoneme character, but because it is a syllable letter, the input method is inevitably varied, and Hangul as a phoneme character has six geometrical models, so you can make syllable characters even if you input only six models in sequence.

여섯 개의 획의 모형이란 점으로 된 모양, 가로선으로 된 모양, 세로선으로 된 모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며 그려진 모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며 그려진 모양, 동그라미 모양 등이다.The six stroke model is a dot, a horizontal, a vertical, a right-to-left drawing, a left-to-right drawing, a circle, and so on.

따라서 "ㄱ"은 가로선 + 세로선, ㅏ는 세로선+점 그리고 이들을 합치면 "가" 라는 음절 글자가 된다.Thus, "a" is a horizontal line + a vertical line, ㅏ is a vertical line + a point, and when combined, it becomes a syllable letter "a".

그러므로 한글의 경우 영문자와는 달리 12개의 키보드만 있으면 충분하고, 이 키보드의 배열만 잘하면 받침을 가진 글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글자를 동시에 입력 가능한 장점을 가진 문자인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Hangul, only 12 keyboards are enough, unlike English letters, and if the layout of this keyboard is good, all the letters can be entered at the same time except the letters with the suppor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진 한글을 한손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한글이라는 글씨 체계를 사람의 손으로 어떻게 제한된 글자판의 수에 맞추어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어떤 단위의 한글 자음과 모음을 사용하는 것이 최적화인가를 결정해야 하는데, 6개의 기본 획만을 사용하면 천지인에서처럼 글판 외우기는 쉽지만, 입력속도가 많이 제한되며, 현대 한글용 자모 24자를 사용하면 나랏글에서 처럼 하나의 자모를 만들기 위해서 여러 번 글자판을 누르거나, 특히 모음의 합성 경우에는 여러 개의 글자판을 한꺼번에 눌러 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input the Hangul with the above advantages with one hand, it is to understand the Hangul properly and how to adapt the Hangul font system to the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with human hands.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or not using vowels and vowels is optimal. Using only 6 basic strokes makes it easier to memorize the fonts as in Cheonjiin, but the typing speed is limited. In order to press the letter board several times, or in particular in the synthesis of vowels have a problem of going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pressing a number of letters at once.

본 고안의 목적은 한글 5자의 자음 자소와 3자의 모음 자소를 배열하여 가획법에 의해 한꺼번에 자판을 눌러주고, 자음과 모음을 한번에 입력되도록 프로그램하여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consonants and five vowels of Hangul alphabet by pressing the keyboard at a time by the grasp method, and to program the consonants and vowels at one time so that the characters can be conveniently enter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글의 자모를 사용빈도를 감안하여 그 사용 빈도에 따라 한손 움직임에 최적 위치의 글자판에 배열을 하여, 글자판을 외우기 쉽고, 입력속도도 빠르게 하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letters of the Hangul alphabet in the position of the optimal position for one-hand movem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so that the letters are easy to memorize, the input speed is fast, and convenient to use. hav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손의 손가락 중 손가락 움직임이 비교적 빠르고 긴 손가락인 인지, 중지, 약지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자음과 모음을 키패드의 중앙 상부에 배열하고, 비교적 느리고 짧은 엄지와 소지는 사용 빈도가 낮은 부호 키에 위치하도록 배열하여 입력시 손가락에 피로를 최소화하고자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most frequently used consonants and vowels on the upper center of the keypad for the recognition,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of the fingers of one hand. In order to minimize the fatigue of the finger when input by arranging to be located on the sign key with a low frequency.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X4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five consonants and three vowels arranged most frequently based on the 3X4 keypad.

상기 3X4 키패드는 3열 중 2열을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1열 과 3열 보다 전진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3X4 key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rows of the three rows arranged in advance than the first row and three columns to match the length of the finger.

상기 3X4 키패드의 5개의 자음은 빈도가 가장 많은 1개의 자음을 2열의 2행에 배열하고 나머지 4개의 자음은 1열 과 3열 1행 3행에 각각 배열하고, 3개의 모음은 상기 4개의 자음과 겹치지 않은 열과 행에 각각 배열하되, 가장 빈도가 많은 1개의 모음은 상기 1개의 자음과 겹쳐서 배열하게 된다.The five consonants of the 3X4 keypad are arranged in two rows of two columns with the most frequent consonants,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are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rows, one row and three rows, respectively, and the three vowels are the four consonants. The vowels are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that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but the most frequent one vowel is arranged to overlap the one consonant.

상기 5개의 자음은 ㄱ, ,ㄴ, ㅁ, ㅇ, ㅅ 으로 구성하게 된다.The five consonants are composed of a, b, ㅁ, ㅇ, ㅅ.

상기 3개의 모음은 ㆍ장단모음, ㅡ , ㅣ 으로 구성하게 된다.The three vowels are composed of short and long vowels, ㅡ, ㅣ.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빈도가 높은 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자판을 형성하고 하나의 키보드에 자음과 모음이 가능한 겹치지 않게 배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보드를 외우기 쉽고 이용에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is formed of five consonants and three vowels with high frequency and arranged so that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overlapped on one keybo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emorize the keyboard and use it conveniently. I want to make it faster.

도 1은 본 고안 한손 한글 키패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handed Hangul keypa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키패드10: keypad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한손 한글 키패드의 정면도 로서, 숫자 0~9, *. #을 기본으로 하는 전화기 키패드(10)와, 이 키패드(10)의 숫자와 특수문자에 자음과 모음이 서로 겹치지 않게 배열하여서 된 것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handed Korean keypad, numbers 0-9, *. The phone keypad 10 based on # and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arranged so that the consonants and vowels do not overlap each other.

상기 키패드(10)의 숫자1= ㄱ, 숫자2= ㅡ , 숫자3= ㄴ, 숫자4= ㅣ, 숫자5= ㅇ, 숫자6= ㅣ, 숫자7= ㅅ, 숫자8= ㅡ, 숫자9= ㅁ, 특수문자* = ㆍ 장단모음, 숫자0= 쌍, 특수문자#= ㅡ 로 배열하게 된다.Numeric 1 = a, numeral 2 = a, numeral 3 = b, numeral 4 = ㅣ, numeral 5 = ㅇ, numeral 6 = ㅣ, numeral 7 = ㅅ, numeral 8 = ㅡ of the keypad 10, numeral 9 = ㅁ , Special characters * = ㆍ Long and short vowels, numbers 0 = pairs, special characters # = ㅡ arranged.

상기 키패드(10)의 숫자5에는 " ㆍ 장단모음" 을 더 배열하고, 상기 특수문자#에도 " ㅣ"를 더 배열한다.In the number 5 of the keypad 10, "long and short vowels " are further arranged, and " |

상기 숫자5 에는 ㅇ 모음 앞에 올 때에는 음가가 없고, 다음 채움자(FILL CODE)로 만 쓰이며, 모음 다음에 오면 "응" 이 된다. 다른 자음과 결합할 때에는 결합된 자음을 경음(여린소리)으로 변화시켜 주도록 설정하여 놓게 된다.In the number 5, when there is no vowel, there is no note, and it is used only as the next fill code. When combined with other consonants, it is set to change the combined consonants to sound (cheep).

상기 ㆍ 장단모음은 모음을 합성할 때에 쓰인다.The short and long vowels are used to synthesize vowels.

상기 특수문자#의 ㅡ 는 자음의 가획에 쓰이며, 가령 ㅅ + ㅡ = ㅈ , 특수문자 #의 ㅣ는 이중 모음을 만들 때 사용되게 된다.The ㅡ of the special character # is used to collect consonants, for example ㅅ + ㅡ = ㅈ, and the ㅣ of the special character # is used to make a double vowel.

그러므로 본 고안의 자음 입력은 ㄱ=1, ㄴ= 3, ㄷ= 3+#, ㄹ= 3+#+1, ㅁ=9,ㅂ=9+#, ㅅ=7, ㅇ= 5, ㅈ=7+#, ㅊ=7+#+*, ㅋ=1+#, ㅌ=3+#+*, ㅎ=5+#+* 이 되고, ㄲ=ㄱ+쌍(0), ㄸ= ㄷ+쌍, ㅃ=ㅂ+쌍, ㅆ= ㅅ+쌍, ㅉ=ㅈ+쌍 으로 입력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sonant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 1, b = 3, c = 3 + #, d = 3 + # + 1, ㅁ = 9, ㅂ = 9 + #, ƒ = 7, ㅇ = 5, = 7 + #, T = 7 + # + *, l = 1 + #, t = 3 + # + *, h = 5 + # + *, t = a + pair (0), t = t + pair, You would enter ㅃ = ㅂ + pairs, ㅆ = s + pairs, and ㅉ = ㅈ + pairs.

모음 입력은 ㅏ=4+5, ㅑ=4+5+*, ㅓ=5+6, ㅕ=5+6+*, ㅗ=5+8, ㅛ=5+8+*, ㅜ = 2+5, ㅠ=2+5+*, ㅡ = 2 혹은 8, ㅣ=4 혹은 6, 으로 입력한다.Vowel inputs are ㅏ = 4 + 5, ㅑ = 4 + 5 + *, ㅓ = 5 + 6, ㅕ = 5 + 6 + *, ㅗ = 5 + 8, ㅛ = 5 + 8 + *, TT = 2 + 5 , ㅠ = 2 + 5 + *, ㅡ = 2 or 8, ㅣ = 4 or 6,

쌍모음과 복모음은 해당 키를 한꺼번에 눌러주면 된다. 예를 들면 ㅘ를 만들기 위해서는 5+8+4+*를 한꺼번에 누르면 된다.For double vowels and double vowels, press the corresponding key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o make ㅘ, press 5 + 8 + 4 + * all at once.

상기와 같이 각각의 키보드를 차례로 눌러서 원하는 문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문자를 만들어 줄 때, 상기 키패드(10)의 키보드 누름에 따른 동작 제어는 기기의 내부에 롬(ROM), 램(RAM)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않음)에 기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식하고 판단하면서 문자를 입력 표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each keyboard is pressed in order to combine the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desired character to create a character, the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keyboard press of the keypad 10 is ROM, RAM (RAM) inside the device. A character is inputted and displayed while being recognized and judged by an existing program in a built-in microprocessor (not shown).

따라서 " 나는 간다 " 라는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은 키를 차례대로 누르면 된다.Therefore, if you want to enter the sentence "I am coming", press the following keys in sequence.

즉, 키패드(10)의 키보드를 숫자3+4+5=나, 숫자3+2=느, 숫자3=ㄴ, 숫자1+4+5=가, 숫자3=ㄴ, 숫자3+#+4+5=다.In other words, the keyboard of the keypad 10, the number 3 + 4 + 5 = or the number 3 + 2 = yes, the number 3 = b, the number 1 + 4 + 5 =, the number 3 = b, the number 3 + # + 4 + 5 =.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예를 더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pplic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described with an example.

" 학교에 갑니다 " 라는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키패드(10)의 키보드를 숫자5+#+*4+5+1=학, 숫자1+5+*+8=교, 숫자5+*6+#=에, 숫자1+4+5+9+#=갑, 숫자3+6=니, 숫자3+#+4+5=다.If you want to enter the sentence "Go to school", use the keypad 10 to enter the numbers 5 + # + * 4 + 5 + 1 = Study, numbers 1 + 5 + * + 8 = Teach, numbers 5 + * 6 + In # =, number 1 + 4 + 5 + 9 + # = a, number 3 + 6 = Y, number 3 + # + 4 + 5 =.

" 도깨비 " 라는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키패드(10)의 키보드를 숫자3+#+5+8=도, 숫자1+쌍(0)+4+5+6=깨, 숫자9+#+6=비.If you want to enter the sentence "Gobbi", use the keypad 10 to enter the numbers 3 + # + 5 + 8 = degrees, 1 + pairs (0) + 4 + 5 + 6 = goes, 9 + # + 6 = Rain.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문자 입력시 문자의 자음(받침)과 모음을 마치 상형문자처럼 문자를 만들면서 입력하게 되므로, 문장 입력시 앞문자의 종성(받침)과 다음문자의 초성(받침)이 겹치거나, 예를 들어 "각각" 이란 단어, 혹은 받침이 다르더라도 앞문자의 종성(받침)과 다음문자의 초성(받침) 예를 들어 "강물" 이라는 단어 입력시에도 앞문자 입력 후, 다음 문자 입력시 까지 일정시간을 대기하거나, 또는 다른 키보드(화살표로 자리이동)를 눌러준 후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consonants (supports) and vowels of characters as characters, making letters as if they were hieroglyphs. For example, even if the word "each" or the support is different, the last character of the front letter (the back) and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the back) You can wait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or press another keyboard (or move to an arrow) before entering the hassle.

본 고안의 키패드(10)의 키보드들은 중복되어 사용되는 키가 없는 동시에 키보드의 숫자5의 ㅇ 와 ㆍ 그리고 #의 ㅡ 와 ㅣ 는 하나의 키보드에 두 개가 존재하지만 문장을 입력시 한번의 동작으로 각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The keyboards of the keypa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keys used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two of the numbers 5 and 0 of the keyboard and ㅡ and ㅣ exist on one keyboard, but each of them is a single operation when entering a sentence. The operation is possible.

즉, " 가 "라는 글자를 만들 경우 숫자1+4+5=가, 자가 만들어지고, " 암 "이라는 글자를 만들 경우 숫자5+4+*+9=암, 자가 만들어지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if the letter "" makes the number 1 + 4 + 5 = self, and if you make the letter "cancer", the number 5 + 4 + * + 9 = cancer, self is made.

그러므로 본 고안의 키패드는 문자를 전송하는 기기 즉 PDA, 휴대폰, 컴퓨터의 키보드, 그리고 전자수첩 등에 적용하였을 경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vice that transmits text, that is, a PDA, a mobile phone, a computer keyboard, and an electronic notebook,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quickly input tex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자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기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에 배열을 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만을 이용하여 받침과 모음을 만들어 가면서 입력하게 되므로 앞문자의 종성과 다음 문자의 초성이 문장에서 겹치게 되더라도 대기 또는 별도의 키조작 없이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문자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transmits an array and a vowel using only five consonants and three vowels on the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by making the final character of the preceding character and the next character. Even if the consonants of the overlap in the sentence can be input continuously without waiting or a separate key operation will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entered quickly and conveniently.

Claims (9)

3X4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One-handed Hangu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is composed of the five most consonants and three vowels based on the 3X4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X4 키패드는 3열 중 2열을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1열 과 3열 보다 전진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one-handed Hangul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X4 keypad is arranged to be advanced more than 1 column and 3 colum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nger in 2 columns of the 3 row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X4 키패드의 5개의 자음은 빈도가 가장 많은 1개의 자음을 2열의 2행에 배열하고, 나머지 4개의 자음은 1열 과 3열 1행 3행에 각각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consonant of claim 3, wherein the five consonants of the 3X4 keypad are arranged in two rows of two columns,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are arranged in one row and three rows, one row and three rows, respectively. One-handed Hangul keypad featu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모음은 상기 4개의 자음과 겹치지 않은 열과 행에 각각 배열하되, 가장 빈도가 많은 1개의 모음은 상기 1개의 자음과 겹쳐서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one-handed Hangul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vowels are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which do not overlap the four consonants, but the one vowel with the highest frequency overlaps the one conson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자음은 ㄱ, ,ㄴ, ㅁ, ㅇ, ㅅ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one-handed Hangul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ve consonants are composed of a, b, ㅁ, ㅇ, ㅅ.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모음은 ㆍ 장단모음, ㅡ , ㅣ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one-handed Hangul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vowels are composed of short and long vowels, ㅡ, ㅣ. 3X4 키패드의 숫자1= ㄱ, 숫자2= ㅡ , 숫자3= ㄴ, 숫자4= ㅣ, 숫자5= ㅇ, 숫자6= ㅣ, 숫자7= ㅅ, 숫자8= ㅡ , 숫자9= ㅁ, 특수문자* = ㆍ 장단모음, 숫자0= 쌍, 특수문자#= ㅡ 로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3x4 keypad's number 1 = a, number 2 = ㅡ, number 3 = b, number 4 = ㅣ, number 5 = ㅇ, number 6 = ㅣ, number 7 = ㅅ, number 8 = ㅡ, number 9 = ㅁ, special characters * = ㆍ A one-handed Korean keypad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short and long vowels, number 0 = pairs, and special characters # = ㅡ.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숫자5에는 " ㆍ 장단모음" 을 더 배열하고, 상기 특수문자 #에는 이중모음을 만들 때 사용하는 "ㅣ"를 더 배열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8. The one-handed Korean keypa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number 5 of the keypad is further arranged with a "long and short vowel", and the special character # is further arranged with "|" used for making a double vow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문자를 전송하는 PDA, 휴대폰, 컴퓨터 키보드, 전자수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한글 키패드.The one-handed Korean keypa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keypad is applied to any one or both of a PDA, a mobile phone, a computer keyboard, and an electronic notebook for transmitting text.
KR20-2003-0021872U 2003-07-08 2003-07-08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KR2003305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72U KR200330513Y1 (en) 2003-07-08 2003-07-08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72U KR200330513Y1 (en) 2003-07-08 2003-07-08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40A Division KR100620489B1 (en) 2003-07-08 2003-07-08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13Y1 true KR200330513Y1 (en) 2003-10-17

Family

ID=4941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872U KR200330513Y1 (en) 2003-07-08 2003-07-08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1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1880A (en) Keyboard used for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same
JP2003258977A (en) Mobile telephone set
KR101113960B1 (en) Key pad for character
KR100371381B1 (en) a word input unit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KR102459508B1 (en) Japanese characters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ame
KR200330513Y1 (en)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KR100620489B1 (en) One hand korean input key pad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100609287B1 (en) Plus Keypad
JP3007007U (en) Input device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100627964B1 (en) CrossDial Keypad for inputting letter
KR2013000464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101438271B1 (en)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KR20230140202A (en) Key array for inputting a romaji and keyboard of having the same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100664651B1 (en) Keypad
KR20100032024A (en) Letter entry device and method which use touch and drag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20060025256A (en) Device for input a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KR20120056581A (en) Vietnamese input device on touch screen panel
KR20110044394A (en) Keyboard for small-sized electronic machine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using the same
KR20040044238A (en) inputting system of multiplex le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