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654B1 -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654B1
KR101373654B1 KR1020130021275A KR20130021275A KR101373654B1 KR 101373654 B1 KR101373654 B1 KR 101373654B1 KR 1020130021275 A KR1020130021275 A KR 1020130021275A KR 20130021275 A KR20130021275 A KR 20130021275A KR 101373654 B1 KR101373654 B1 KR 10137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button
area
drag area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이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복 filed Critical 이의복
Priority to KR102013002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6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 region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and a server for providing a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used for the realization thereof. The character input terminal divides a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drag regions based on each button, and analyzes a drag pattern formed along the divided drag regions to generate and display characters.

Description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및 그 구현에 사용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각 버튼을 기준으로 터치 스크린을 복수개의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드래그 영역들을 따라 이루어지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문자를 생성 및 표시하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및 그 구현에 사용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text input terminal for splitting a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drag areas based on each button, and genera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by analyzing drag patterns formed along the divided drag areas. It relates to a server for providing a downloadable application used for.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기능에 컴퓨팅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 폰, 공공장소에 설치된 전자식 안내판 및 각종 키보드를 비롯한 다양한 장치들은 문자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computing guides installed in public places, and various keyboards include character input devices.

이러한 다양한 문자입력장치들은 SMS 및 메신저 이용시나 정보검색 등을 위해 이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문자를 표시하며,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터치 스크린이 사용된다.These various text input devices display text by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for SMS and messenger use or information search. For this, a touch screen is typically used.

터치 스크린은 손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직접 접촉하거나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센서로 그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 등을 이용함으로써 문자를 입력받는다. 물론, 문자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의 선택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도 한다.
The touch screen receives characters by using a method such as detecting a movement by a sensor even if the touch screen is not directly contacted by using a hand or a touch pen. Of course, it also receives a command for select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text.

한편, 터치 스크린을 통해 문자 입력시 자음과 모음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복수개의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하기 위해 자음 버튼을 누른 후 특정 패턴으로 드래그(drag)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Meanwhile, when a character is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 consonant and a vowel must be selected. In this case, a technique of pressing a consonant button and then dragging the consonant button in a specific pattern to select a plurality of different vowels is provided.

예컨대, 한국특허출원 제2007-0018984호에서는 도 1과 같이 버튼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길이를 각각 분석함으로써 그 길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7-0018984, as shown in FIG. 1,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length can be selected by analyzing lengths dragged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a button.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해당 길이만큼 정확히 드래그하기가 어렵다. 즉, 모음 'l', 'ㅏ' 및 'ㅑ'는 각각 동일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되 서로 다른 길이로 드래그를 해야한다.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rag exactly as long as the length. That is, the vowel 'l', 'ㅏ' and 'ㅑ' should be dragged in the same direction, but with different lengths.

따라서, 드래그의 길이가 조금이라도 길거나 짧으면 잘못된 모음이 선택되거나 혹은 아예 선택되지 않고, 하나의 모음 입력을 위해 여러 번 드래그를 시도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drag is a little long or short, the wrong vowel is not selected or not selected at all, and it is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since the drag attempt is made several times for inputting a vowel.

또한, 자신의 스마트 폰을 오랜 시간 사용함에 따라 드래그가 숙달된다고 해도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리는 공간에서는 여전히 위와 같은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rag is mastered by using the smart phone for a long time, there is still the above difficulty in the shaking space such as inside the vehicle.

또한, 이용자의 손에 적합한 인체 공학적인 드래그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 폰을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드래그시 신체 구조상 약간 곡선인 것이 편하고 자연스러운데 종래에는 직선 드래그만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an ergonomic drag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user's hand. For example, when holding a smart phone and dragging it with a thumb, it is comfortable and natural to have a slightly curved body structure, but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of recognizing only a straight drag.

직선 드래그만 인식하는 이유는 스크린 터치상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기준선을 설정하고, 그 기준선을 따라가며 드래그가 이루어져야만 입력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recognizing only straight drag is to set an imaginary reference line made of straight lines on the screen touch, and recognize the input only when dragging is performed along the reference line.

다른 예로서, 한국특허출원 제2010-0057172호에서는 도 2와 같이 버튼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되, 이때 드래그를 반복하는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As anothe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0-0057172, as shown in FIG. 2, the user drags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a button, and at this time, different vowel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dragging.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여러 번 드래그를 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롭다. 즉, 모음 '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무려 4번의 드래그가 필요하다. 더욱이 드래그가 잘못되면 취소하고 처음부터 다시 4번의 드래그를 해야한다.However,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because the user has to drag several times. In other words, to input the vowel 'ㅐ', 4 drags are required. Moreover, if the drag is wrong, you have to cancel it and drag it four times from the beginning.

또한, 버튼의 모서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여도 모음을 입력할 수 있지만, 이는 버튼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정된 기준선을 따라 정확히 드래그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대각선 방향의 기준선에서 벗어나면 드래그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문제점이 있다.
You can also enter a vowel by dragging diagonally from the corner of the button, but this must be done exactly along the baseline set radially around the button. Therefore, if the deviation from the diagonal reference l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g is not made or other vowels are selected.

또 다른 예로서, 한국특허출원 제2010-0091431호에서는 도 3과 같이 드래그를 하다가 다양한 패턴으로 방향을 바꾸면 그 패턴에 따라 특정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0-0091431, as shown in FIG. 3, when a drag is changed to various patterns, a specific vowe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ttern.

따라서, '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자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다른 문자입력 방식보다는 어느 정도 편리성을 향상시켰다.Therefore, in order to input 'ㅐ', dragging in the direction of 'ㄱ', thus improving convenience to some extent than other character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그러나, 이러한 방식 역시 오직 직선 방향 드래그만 인식하므로 인체 공학적인 드래그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혹은 동일 방향으로 복수회에 걸쳐 드래그를 해야 하는 등 여전히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method also does not provide an ergonomic drag environment because it recognizes only a linear drag, or still has the same problem as having to drag a plurality of times in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음의 선택이 편리하고 쉬우면서도 선택 오류를 월등히 줄일 수 있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및 그 구현에 사용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text input terminal and a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used for implementing the vowel that can easily and easily reduce the selection error. .

또한, 본 발명은 직선 방향의 드래그는 물론 인체 구조의 특성에 맞게 곡선 방향의 드래그도 분석하여 모음을 선택할 수 있고, 문자 입력의 숙달이 쉬운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및 그 구현에 사용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the vowel by analyzing the drag in the curv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structure as well as the linear drag,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for easy mastery of character input and downloads used in the implementation We want to provide a server to provide possible applications.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중심으로한 일정 넓이의 범위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드래그 영역 분할부와; 상기 드래그 영역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드래그를 분석하는 드래그 분석부; 및 상기 드래그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문자를 생성하여 표시되게 하는 문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g area divider for dividing a range of a predetermined width centered on a butt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A drag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 drag of a user along the drag area; And a character generation unit receiving the drag analysis result to generate and display a character.

이때,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 중 선택된 버튼을 중심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문자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자음과 상기 드래그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패턴에 대응하는 모음을 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rag area dividing unit divides the drag area around the selected button among the button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selected button and the pattern analyzed by the drag analyzing unit. It is desirable to combine the corresponding vowels to generate characters.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는 상기 버튼의 내외부를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1 영역 분할)하고, 상기 버튼의 외부를 분할하되 상기 버튼의 각 변에서 각각 연장된 연장선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2 영역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g region dividing unit divid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rag regions (first region division), and divides the outside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rag regions with extension lines extending from each side of the button. 2 area division).

또한, 상기 버튼을 터치한 지점과 상기 버튼의 중심점을 비교하는 터치점 비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는 상기 버튼을 터치한 지점과 상기 버튼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버튼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oint comparator configured to compare the point at which the button is touched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wherein the drag area divider is configured to touch the touched point when the point at which the button is touched does not coincide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Preferably, the drag area is divided based on a virtual button serving as a center point.

또한, 상기 제2 영역 분할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선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연장선이 이루는 폭이 상기 버튼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line used for dividing the second area is set so that the width formed by two extension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button increases.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는 상기 버튼의 각 모서리 부분을 중심점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3 영역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g area dividing unit may divide the third area by dividing the corner area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rag areas.

또한,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는 상기 버튼의 각 모서리를 교차점으로 하는 교차 대각선을 경계선으로 하여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g area dividing unit may divide the drag area by using a diagonal diagonal line as a boundary line of each corner of the button.

또한, 상기 드래그 분석부는 상기 버튼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는 경우와 상기 각 버튼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g analysis unit may distinguish between the case where the drag starts at each corner of the button and the case where the drag does not start at each corner of each button, and analyzes with a different command according to each of the divided cases. Do.

한편, 본 발명의 서버는 이상과 같은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가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아 구현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downloads the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in the terminal, and implements the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각 버튼을 기준으로 터치 스크린을 복수개의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드래그 영역들을 따라 이루어지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문자를 생성 및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drag regions based on each button, and generates and displays characters by analyzing drag patterns formed along the divided drag regions.

따라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들 사이를 이동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면 되므로, 모음의 선택이 편리하고 쉬우면서도 선택 오류를 월등히 줄일 수 있게 한다. Therefore, the drag pattern moving between the different drag regions can be analyzed,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collection is convenient and easy, and the selection error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직선은 물론 곡선의 드래그도 정확히 분석하여 모음을 선택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도 문자 입력을 숙달되게 한다.
It also accurately analyzes straight lines as well as dragging curves, allowing you to select vowels and master text input without spending a long ti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래그 방식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제1 예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래그 방식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제2 예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래그 방식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제3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키 패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영역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영역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영역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음 선택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1 is a first example illustrating a drag method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econd example illustrating a drag method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third example illustrating a drag method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n embodiment showing a keypa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region divisio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region division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region division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F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vowel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및 그 구현에 사용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text input terminal and a server for providing a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used for implemen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는 문자입력단말기로서 스마트 폰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전자식 안내판나 각종 터치식 키보드를 비롯하여 문자입력이 필요한 어떠한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다.
However, hereinafter, a smart phone as an example of a text input terminal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erminal requiring character input, including an electronic guide board or various touch keyboards installed in public places.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에는 복수개의 문자 입력 버튼 즉, 키패드가 표시되므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이를 통해 SMS, MMS, 모바일 메신저 및 정보검색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smart phone provides a touch screen for text input. Since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buttons, that is, a keypad,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desired character is input. This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SMS, MMS, mobile messenger and information search.

터치 스크린은 손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직접 접촉하거나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그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 등을 이용함으로써 문자를 입력받는다. 터치 스크린을 비접촉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The touch screen receives characters by using a hand or a touch pen, or by using a method of detecting a movement even when the touch is not directly made. When the touch screen is used in a non-contact manner, a method of detecting a movement using a sensor is mainly used.

한편,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버튼(B)을 중심으로한 일정 넓이의 범위(A)를 복수개의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a range A of a predetermined width around the button B into a plurality of drag regions as shown in FIGS. 5 to 6.

복수개의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면 각각 소정의 넓이를 갖는 드래그 영역들을 감시하여 드래그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터치시 각 드래그 영역을 통과하기만 하면 되고, 해당 드래그 영역 안에서는 그 움직임에 특별한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Wh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rag regions, each of the drag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monitored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drag. This is because the touch panel only has to pass through each drag area,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ovement within the drag are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 버튼(B)을 기준으로 터치 스크린을 복수개의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드래그 영역들을 따라 이루어지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문자를 생성 및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drag regions on the basis of each button B, analyzes drag patterns formed along the divided drag regions, and generates and displays characters.

따라서, 각 모음의 선택이 편리하고 쉬우면서도 선택 오류를 월등히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직선은 물론 곡선의 드래그도 정확히 분석하여 모음을 선택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도 문자 입력을 숙달되게 한다.Therefore, the selection of each vowel is convenient and easy, and can greatly reduce the selection error. It also accurately analyzes straight lines as well as dragging curves, allowing you to select vowels and master text input without spending a long time.

반면, 종래기술에서는 본 발명과 같이 복수개로 분할된 드래그 영역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따라서, 직선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설정된 기준선을 따라가면서 정확히 드래그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드래그의 횟수에 따라 명령을 구분하는 등의 번잡한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concept of a drag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dragging correctly while following a reference line set in a straight line or a diagonal dir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this problem, a complicated method such as dividing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ags has to be used.

드래그 영역은 도 5와 같이 키패드에 표시된 버튼(B)을 기준으로 그 버튼(B)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11)(이하, '제1 영역 분할'이라 함)된다. 아울러, 버튼(B)을 구성하는 각 변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12)(이하, '제2 영역 분할'이라 함)된다.The drag area is divided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rea partition') into different drag area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tton B based on the button B displayed on the keypad as shown in FIG. 5. In addition, it is divided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area division') into different drag regions based on an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each side constituting the button B.

바람직하게 드래그 영역은 버튼(B)을 중심으로 일정 넓이의 범위(A)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 범위(A) 내에서 제1 영역 분할(11)에 의해 2개의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된다. 또한, 버튼(B) 외부는 제2 영역 분할(12)에 의해 8개의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는 다양한 드래그 패턴을 쉽게 입력할 수 있고 단말기는 이를 정확히 분석한다.
Preferably, the drag area may set a range A of a predetermined width around the button B. FIG. In this effective range A, the first area division 11 divides the two drag areas. 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button B is divided into eight drag regions by the second region division 12. Therefore,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user can easily input various drag patterns and the terminal accurately analyzes them.

다른 예로서, 드래그 영역은 도 6과 같이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용자가 버튼(B)의 중심점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로 터치한 터지점(T_P)을 중심으로 드래그 영역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평소와 똑같이 드래그를 하면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drag area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 6.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does not touch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drag area around the touch point T_P that is actually touched. Therefore, the user may just drag as usual.

도 5와 같이 버튼(B)의 중심점에서 약간 어긋나도록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D)할 때 드래그 영역이 여전히 버튼(B)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불편함이 있다. 이에, 도 6과 같이 터치점(T_P)을 중심으로 제1 영역 분할(11)과 제2 영역 분할(12)이 재설정된다. 즉, 가상의 버튼(B')을 중심으로 재설정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drag area D is touched to be slightly shifte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it is inconvenient if the drag area is still se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FIG. Thus, as shown in FIG. 6,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reset based on the touch point T_P. That is, it is reset centering on the virtual button B '.

특히, 제2 영역 분할(12')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수평 연장선들 간의 폭이 가상의 버튼(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좌우 이동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인체의 특성에 맞게 상대적으로 넓은 드래그 영역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area segment 12 'is changed such that the width between two horizontal extension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virtual button B' is increased. Thus, a relatively wide drag area is provid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which is relatively difficult to move left and right of the finger.

다만, 수평 연장선들 이외에 수직 연장선들 간의 폭도 넓어지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장선이 변경되는 방식도 폭이 넓어지는 것 이외에 인체의 특성에 따라 더욱 다양화 및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버튼(B)의 중심점을 정확히 터치한 경우에도 수직 또는 수평 연장선들의 폭이 넓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extension lines, the width between the vertical extension lines may be set to be wider.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extension line is changed can be further diversified and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o being wider. In addition, even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is correctly touched as shown in FIG. 5, the width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extension lines may be set to be wider.

또 다른 예로서, 드래그 영역은 도 7과 버튼(B)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드래그 영역이 분할(13)(이하, '제3 영역 분할'이라 함)된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drag area, the drag area is divided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area division') around each corner of FIG. 7 and the button B. FIG.

일 예로서 버튼(B)의 모서리를 교차점으로 하고, 그 교차점을 중심으로하는 교차 대각선(13a)으로 드래그 영역을 분할한다. 이로써 4개의 드래그 영역이 생성된다. 도 7에서는 버튼(B)의 우측 상단 모서리를 드래그한 경우이기 때문에 그 모서리를 기준으로 드래그 영역이 분할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As an example, the edge of the button B is taken as an intersection, and the drag area is divided into an intersection diagonal line 13a centered at the intersection. This creates four drag zones. In FIG. 7, since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button B is dragged, the drag area is divided based on the corner.

이와 같이 제3 영역 분할(13)에 의해 생성된 드래그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겠지만 드래그가 모서리에서 시작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더욱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g area generated by the third area segmentation 13 is used, a variety of commands may be input by distinguishing the case where the drag starts from the corner and the case where the drag area is not.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고, 그 드래그 영역을 따라 드래그하는 다양한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본 발명의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ividing the drag area and analyzing various patterns dragged along the drag area will be described.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_S), 드래그 영역 분할부(10), 드래그 분석부(20), 매핑 테이블(21), 문자 생성부(30), 터치점 비교부(40) 및 키패드 정보 메모리(4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text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T_S, a drag area divider 10, a drag analysis unit 20, a mapping table 21, a character generator 30, The touch point comparison unit 40 and the keypad information memory 41 are included.

터치 스크린(T_S)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일 예로 도 4와 같은 키 패드는 터치 스크린(T_S)의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The touch screen T_S is used to input characters in various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the keypad shown in FIG. 4 is provided through a screen of the touch screen T_S.

이러한 터치 스크린(T_S)은 손가락이나 터치 펜(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 방식도 터치 스크린(T_S)의 표면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과 센서에 의해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다.
The touch screen T_S receives a command through a finger or a touch pen (including a stylus pen). Input methods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of directly touch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T_S and a non-contact method of detecting a movement by a sensor.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터치 스크린(T_S)의 버튼(B)을 중심으로한 일정 넓이의 범위(A)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로써 드래그 영역의 분할이 이루어진다.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divides a range A of a predetermined width around the button B of the touch screen T_S into a plurality of areas. This divides the drag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드래그 영역은 복수개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만 하면 다양하고 자유롭게 분할할 수 있다. 다만,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이용자 입장에서 더욱 직관적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g area can be divided freely and variously as long as a plurality of vowels can be input. However, dividing the drag area as shown in FIGS. 5 to 6 may input the vowel more intuitivel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제1 영역 분할(11)과, 제2 영역 분할(12) 및 제3 영역 분할(13)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ag region dividing unit 10 performs the first region dividing 11, the second region dividing 12, and the third region dividing 13.

도 5와 같이 제1 영역 분할(11)은 버튼(B)의 내외부를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2 영역 분할(12)은 버튼(B)의 외부를 분할하되 버튼(B)의 각 변에서 각각 연장된 연장선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area division 11 divid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tton B into different drag areas, and the second area division 12 divides the outside of the button B, but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button B are divided. The extension lines extend from the sides into different drag regions.

버튼(B)은 보통 4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버튼(B)의 내외부를 구분할 수 있고, 연장선은 버튼(B)의 각 변마다 좌우/상하로 각각 연장된다. 이를 통해 내외부로 구분되는 2개의 드래그 영역과 연장선에 의해 외부를 구분한 8개의 드래그 영역을 제공한다.Since the button B is usually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tton B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extension line extend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for each side of the button B, respectively. This provides two drag zones separated by inside and outside and eight drag zones separated by outside by extension lines.

또한, 도 6과 같이 제3 영역 분할(13)은 버튼(B)의 각 모서리 부분을 중심점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한다. 바람직하게 버튼(B)의 각 모서리를 교차점으로 하는 교차 대각선(13a)을 경계선으로 드래그 영역을 분할한다. 이를 통해 4개의 드래그 영역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third area segmentation 13 divides each corner portion of the button B into different drag regions with a center point. Preferably, the drag area is divided by a crossing diagonal line 13a having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s an intersection. This provides four drag zones.

이때, 드래그 분석부(20)는 버튼(B)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는 경우와 각 버튼(B)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고, 그 구분된 각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으로 분석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종류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를 통한 버튼(B) 사용예는 후술한다.
In this case, the drag analysis unit 20 distinguishes the case where the drag starts at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nd the case where the drag does not start at each corner of each button (B), and each of the cases according to the divided cases By analyzing different commands, you get a wider variety of commands. An example of using the button B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드래그 분석부(20)는 드래그 영역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드래그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문자 생성부(30)로 전송한다. 이때, 드래그 분석부(20)는 매핑 테이블(21)을 참조하여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모음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문자 생성부(30)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g analysis unit 20 analyzes the user's drag along the drag area,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character generator 30. In this case, the drag analysis unit 20 may check the collec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referring to the mapping table 21 and transmit a result to the character generator 30.

문자 생성부(30)는 상기 드래그 분석부(20)로부터 드래그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문자를 생성 및 표시되게 한다. 이러한 문자 생성부(30)는 스마트 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The character generator 30 receives a drag analysis result from the drag analyzer 20 to generate and display a character. The character generator 30 may be used as it is basically mounted on the smart phon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선택된 버튼(B)을 중심으로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고, 문자 생성부(30)는 선택된 버튼(B)에 할당된 자음과 드래그 분석부(20)에 의해 분석된 패턴(즉, 드래그)에 대응하는 모음을 합하여 음절을 완성한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drag region dividing unit 10 divides the drag region around the selected button B, and the character generator 30 divides the consonant and the drag analyzing unit 20 assigned to the selected button B. The syllables are completed by summing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s (i.e., dragging) analyzed by).

터치점 비교부(40)는 이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버튼(B)을 실제로 터치한 지점과 그 터치된 버튼(B)의 중심점을 비교한다. 각 버튼(B)의 위치, 배열, 크기 및 중심점 등은 일 예로 키패드 정보 메모리(41)를 참조하며, 최종 비교 결과는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로 전송된다.The touch point comparison unit 40 compares a point where the user actually touches the button B with a finger and the center point of the touched button B. FIG. The position, arrangement, size and center point of each button B refer to the keypad information memory 41 as an example, and the final comparis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도 6과 같이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버튼(B)을 터치한 터지점(T_P)과 해당 버튼(B)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터지점(T_P)을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버튼(B')을 기준으로 드래그 영역을 재설정한다. 즉, 터치된 지점이 중심점이 되도록 드래그 영역의 위치를 변경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touch point T_P touching the button B and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includes an imaginary button having the touch point T_P as the center point. B ') to reset the drag area.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rag area is changed so that the touched point is the center point.

이때, 제2 영역 분할(12)에 사용되는 연장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2개의 연장선이 이루는 폭이 버튼(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line used for the second area division 12 is set so that the width formed by the two extension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button B increas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erver for providing a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_S), 매핑 테이블(21) 및 키패드 정보 메모리(41)를 제외하고는 프로그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programmatically except for the touch screen T_S, the mapping table 21 and the keypad information memory 41.

즉, 드래그 영역 분할부(10), 드래그 분석부(20), 문자 생성부(30) 및 터치점 비교부(40)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해당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어플'이라고도 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함으로써 구현된다.That is, the drag area divider 10, the drag analyzer 20, the character generator 30, and the touch point comparator 40 may b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by executing the program and applied to the smart phone. In this case, it is implemented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also called an "app" or "app").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는 본 발명의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가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구현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wnloads and implements an application program, the server provides the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이하,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9와 같이 먼저 터치 스크린(T_S)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지 입력 대기(S10)한다. As shown in FIG. 9, first, an input is waited for input of a character through a touch screen T_S (S10).

다음, 입력 대기 중 자음 버튼(B)이 선택되는지 확인(S20)한다. 키 패드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개의 버튼(B) 중 특정 버튼(B)이 터치되면 그 자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인식한다.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sonant button B is selected while waiting for input (S20). When a specific button B is touched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B provided through the keypad,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consonant is input.

다음, 자음 버튼(B)이 선택되면 해제 여부를 판단(S30)한다. 해제가 이루어지면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문자가 생성(S90)되고 입력이 종료된다. 최근에는 각 문자의 초성 자음만을 이용하여 대화를 하기도 하므로 이러한 때 유용하다.Next, if the consonant button (B)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release (S30). When the release is made, a character consisting of only consonants is generated (S90) and the input is terminated. In recent years, the conversation using only the consonant consonants of each character is useful at this time.

해제 방식으로는 버튼(B)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외 버튼(B)을 터치한 후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드래그가 없거나, 별도의 해제 버튼을 누르면 해제되는 방식 등도 사용될 수 있다.Most preferably, the release metho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button B is released. However, after the touch of the button (B), there is no drag during the set waiting time, or a method of releasing by pressing a separate release button may be used.

다음, 해제가 없으면 선택된 버튼(B)의 자음과 결합될 모음을 입력받아 음절이 완성되도록 드래그 영역 분할(S40)을 수행한다. 드래그 영역은 버튼(B)을 중심으로한 일정 넓이의 범위(A)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Next, if there is no release, the vowel to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of the selected button B is input, and the drag region division S40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syllable. The drag area divides a range A of a predetermined width around the button B into a plurality of areas,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다음, 이용자가 영역 가변 실행(S50)을 설정한 경우에는 영역 가변을 실행하고, 그에 따라 드래그 영역이 변경된다. 즉, 도 6과 같이 버튼(B)을 터치한 지점과 버튼(B)의 중심점을 비교하여 이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드래그 영역을 재설정한다.Next, when the user sets the area variable execution S50, area variable is executed, and the drag area is changed accordingly.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point where the button B is touched and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are compared, and when they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rag area is reset around the touched point.

다음, 드래그 영역 분할을 마치면 이용자가 버튼(B)을 누른 상태에서 연속하여 수행하는 드래그의 패턴을 분석(S70)한다. Next, when the drag area is finished, the user analyzes the pattern of the drag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pressing the button B (S70).

본 발명은 소정 넓이를 갖는 드래그 영역을 따라 드래그가 이루어지므로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이 편리하고 쉬우며 흔들리는 차안에서도 정확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말기의 입장에서는 그 드래그 패턴의 분석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g is made along the drag are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t is easy to use and easy to u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enabling accurate input even in a shaking car.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accurately analyze the drag pattern.

다음, 추가 드래그가 있는지 검출(S80)한다. 만약 추가 드래그가 있다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모음을 추가한다. 추가 드래그에 대해서는 도 10f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it is detecte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drag (S80). If you have additional drags, add the collection by repeating the steps above. The additional dra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0F.

반면, 더 이상 추가 드래그가 없다면 문자를 생성(S90)한다. 문자 생성은 드래그 분석 단계(S70)의 분석 결과를 문자 생성부(30)에서 제공받아 문자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additional drag, a character is generated (S90). Character generation is to receive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ag analysis step (S70) from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30 to generate and display the character.

이하, 본 발명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드래그 영역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드래그 패턴은 무수히 많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드래그 패턴에 특별한 제한도 없음은 자명할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rag patterns that can input characters through the drag area,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rag pattern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a와 같이 '가', '거', '고', '구'를 입력하는 경우, 'ㄱ'이 있는 버튼(B)을 터치하여 자음을 선택한다. 그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B)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드래그를 하면 모음이 결합되어 음절이 완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0A, when inputting 'ga', 'ger', 'high', and 'sphere', the button 'B' is selected to select consonants. Then, dragg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B while maintaining the touch, the vowels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syllables.

예컨대, 버튼(B)의 내부에서 우변을 통해 버튼(B)의 외부로 드래그되면 'ㅏ'가 입력되고, 유사하게 좌변을 통해 외부로 드래그되면 'ㅓ'가 입력되고, 상변을 통해 외부로 드래그되면 'ㅗ'가 입력되며, 하변을 통해 외부로 드래그되면 'ㅜ '가 입력된다.For example, when dragging to the outside of the button B through the right side inside the button B, 'ㅏ' is input. Similarly, when dragg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ft side, 'ㅓ' is input, and dragg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side. 'ㅗ' is inputted, and 'TT' is inputted when dragged outward through the lower side.

이때, 본 발명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각각의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즉, 제1 영역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a의 좌측 도면과 같이 직선 방향을 따라 드래그되는 것뿐만 아니라, 도 10a의 우측 도면과 같이 직선, 대각선 및 곡선 방향을 따라 드래그되는 것도 인식한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e, divided into first regions) into respective different drag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refore, not only the drag along the straight line direction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0A, but also the drag along the straight, diagonal and curved directions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10A.

즉, 도 10a의 우측 도면에 일 예로서 3개의 화살표로 표시해 놓은 바와 같이'고'를 입력하기 위해 직상부로 드래그 되는 것과, 그 직상부에서 약간 좌측으로 기울여 드래그 되는 것 및 약간 우측으로 기울여 드래그 되는 것 모두 'ㅗ'로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하고 실수 없이 문자를 입력한다.
In other words, as indicated by three arrows in the right drawing of FIG. 10A, dragging to the upper portion to input 'high', tilting slightly to the left from the upper portion, and dragging to the right slightly All that is taken is taken as 'ㅗ'. Therefore, it is very 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inputs characters without mistakes.

다음, 도 10b와 같이 '갸', '겨', '교', '규'를 입력하는 경우, 'ㄱ'이 있는 버튼(B)을 터치하여 자음을 선택한다. 그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B)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내부로 들어오는 드래그를 하면 모음이 결합되어 음절이 완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0B, when inputting 'Ga', 'Off', 'Kyo', 'Gyu', touch the button (B) with 'a' to select consonants. After that, when the touch is kept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B to the outside, and then dragged back into the interior, the vowels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syllables.

도 10a와 비교하여 버튼(B)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는 것으로 모음의 획이 추가되고, 드래그가 버튼(B)의 우변, 좌변, 상변 및 하변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따라 각각 'ㅑ', 'ㅕ', 'ㅛ', 'ㅠ'가 자음에 결합된다. Compared to FIG. 10A, the stroke of the vowel is added by go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B and coming back in, and dragging the right side, the left side, the top side, and the bottom side of the button B respectively indicates' ㅑ ',' ㅕ ',' ㅛ ',' ㅠ 'are combined with consonants.

이때, 본 발명은 도 10b의 좌측 도면과 같이 직선을 방향을 따라 드래그되는 것뿐만 아니라, 도 10b의 우측 도면과 같이 곡선 방향을 따라 드래그되는 것도 인식한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at not only the straight line is dragged along the direction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10B, but also the dragged along the curved direction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10B.

문자 입력시 보통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 및 손바닥으로 스마트 폰을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드래그를 하는데, 인체 구조상 직선적인 움직임보다는 곡선적인 움직임이 더 편리하고 자연스럽다. When entering text, hold your smartphone with four fingers and palms except your thumb and drag with your thumb. Curved movements are more convenient and natural than linear movements.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이러한 곡선적인 드래그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곡선적인 드래그도 정확하게 입력받아 문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urved drag can be used, and a curved drag can be correctly input to process text input.

다음, 도 10c와 같이 '개', '게', '과', '궈'를 입력하는 경우, 'ㄱ'이 있는 버튼(B)을 터치하여 자음을 선택한다. 그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B)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버튼(B)의 외부에서 방향을 바꾼다(제2 영역 분할).Next, as shown in Figure 10c 'dog', 'crab', 'and', 'guo' when input, touch the button (B) with 'a' to select consonants. Thereafter, in the state of holding the touch, the button B moves outward. In addition, the direction is changed outside the button B (second area division).

버튼(B)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모음은 도 10a와 같고, 나아가 버튼(B)의 외부에서 우측 영역으로 방향을 바꾸면 'ㅏ'가 추가되고, 버튼(B)의 외부에서 좌측 영역으로 방향을 바꾸면 'ㅓ'가 추가되며, 버튼(B)의 외부에서 하측 영역으로 방향을 바꾸면 'ㅣ'추가된다.The vowel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B to the outside is the same as in FIG. 10A. Further,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B to the right area, 'ㅏ' is added and the left side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B is left. 'ㅓ' is added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area, and 'ㅣ' is added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B to the lower area.

예컨대, '과'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자 버튼(B)의 내부에서 상변을 통해 외부로 드래그함으로써 'ㅗ'를 추가하고, 계속해서 버튼(B)의 외부에서 우측 영역으로 방향 변환을 함으로써 'ㅏ'를 추가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and', 'ㅗ' is added by dragg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B' button B to the outside,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B to the right area. Add 'ㅏ'.

이때, 본 발명은 도 10c의 좌측 도면 및 우측 도면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드래그는 물론 곡선 드래드도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eft and right drawings of FIG. 10C, respectively, as well as a straight drag as well as a curved drag can be input, thereby enabling convenient character input.

다음, 도 10d와 같이 '걔', '계', '괘', '궤'를 입력하는 경우, 'ㄱ'이 있는 버튼(B)을 터치하여 자음을 선택한다. 그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함으로써 모음을 결합하고 음절을 완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0D, when inputting 'he', 'system', 'rug', and 'arch', a button B with 'a' is selected to select a consonant. Afterwards, the vowels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syllables by dragging while maintaining the touch.

이러한 도 10d는 위에서 설명한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조합한 것과 같은 방식이 적용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D is the same method as the combination of FIGS. 10A, 10B, and 10C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도 10e 및 도 10f는 버튼(B)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드래그 영역을 분할(제3 영역 분할)하고, 이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 및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다. Next, FIGS. 10E and 10F divide a drag region (third region division) based on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nd select different colle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dragging.

도 10e는 드래그가 버튼(B)의 모서리에서 시작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f는 드래그가 버튼(B)의 모서리에서 시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FIG. 10E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drag does not start at the corner of the button B, and FIG. 10F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drag starts at the corner of the button B. FIG.

도 10e와 같이 버튼(B)의 모서리에서 시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 예로 현재 터치된 버튼(B)의 자음에 모음을 추가하는데 사용된다.If it does not start at the corner of the button (B) as shown in Figure 10e is used to add a vowel to the consonants of the button (B) currently touched as an example.

예컨대, '그' 및 '기'를 입력하는 경우 'ㄱ'이 있는 버튼(B)을 터치하여 자음을 선택한다. 그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B)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한 후 방향을 변경한다. 모서리 부분을 통과한 후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면 'ㅡ'가 결합되고, 모서리 부분을 통과한 후 하측으로 수직 이동하면 'l'가 결합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he' and 'gi', the consonant is selected by touching a button B having 'a'. Thereafter, the direction is chan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rner portion of the button B while keeping the touch. If you move horizontally to the right after passing through the corner, 'ㅡ' is combined, and if you move vertically down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rner, 'l' is combined.

반면, 도 10f와 같이 버튼(B)의 모서리에서 시작하는 경우에는 일 예로 기 선택 완료된 자음에 모음을 결합하거나 혹은 한글 키와 영문 키 사이의 변경과 같은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starting from the corner of the button (B) as shown in FIG. 10F, for example, it is used to combine vowels with previously selected consonants or to select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hang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keys.

예컨대, 드래그가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면 기 선택 완료된 특정의 모음에 'ㅡ'가 추가로 결합되고, 드래그가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여 하측으로 수직 이동하면 'l'가 추가로 결합된다. For example, if the drag moves horizontally to the right, starting at the corner part, 'ㅡ' is additionally combined to a specific selected bar, and if the drag starts vertically to the bottom side, 'l' is additionally combined. .

또한, 드래그가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여 상측으로 수직 이동하면 한글 키에서 영문 키로 키패드가 바뀌는 부가 기능이 실행된다. 영문 키의 경우 하나의 버튼(B)에 여러개의 알파벳이 제공되므로 영어 키에서는 다시 드래그를 통해 영문을 입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drag is moved vertically upward starting from the corner portion, an additional function of changing the keypad from the Korean key to the English key is executed. In the case of the English key, since several alphabets are provided in one button B, the English key is input again by dragging.

예컨대, 하나의 버튼(B)에 'abc'와 같이 3개의 알파벳이 있고, 이때 버튼(B)을 그냥 터치만 하면 가운데에 있는 'b'가 선택되고, 버튼(B)을 터치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좌측의 'a'가 선택되며, 마찬가지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우측의 'c'가 선택된다.For example, one button B has three alphabets, such as 'abc'. At this time, simply touching the button B selects the 'b' in the center, and touches the button B to the left. Dragging selects 'a' on the left, while dragging right selects 'c' on the r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여 다양한 기능을 정확하게 편리하게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drag area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correctly and conveniently input.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드래그 영역 분할부 11: 제1 영역 분할
12, 12': 제2 영역 분할 13: 제3 영역 분할
13a: 교차 대각선 20: 드래그 분석부
21: 매핑 테이블 30: 문자 생성부
40: 터치점 비교부 41: 키패드 정보 메모리
T_S: 터치 스크린 B: 버튼
B': 가상 버튼 T_P: 터치점
D: 드래그(drag)
10: drag area divider 11: split first region
12, 12 ': second area division 13: third area division
13a: intersection diagonal 20: drag analysis
21: mapping table 30: character generator
40: touch point comparison unit 41: keypad information memory
T_S: touch screen B: button
B ': Virtual button T_P: Touch point
D: drag

Claims (11)

터치 스크린(T_S)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B)을 중심으로한 일정 넓이의 범위(A)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드래그 영역 분할부(10)와; 상기 드래그 영역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드래그를 분석하는 드래그 분석부(20); 및 상기 드래그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문자를 생성하여 표시되게 하는 문자 생성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상기 터치 스크린(T_S)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B) 중 선택된 버튼(B)을 중심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문자 생성부(30)는 상기 선택된 버튼(B)에 할당된 자음과 상기 드래그 분석부(20)에 의해 분석된 패턴에 대응하는 모음을 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며,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상기 버튼(B)의 내외부를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1 영역 분할)하고, 상기 버튼(B)의 외부를 분할하되 상기 버튼(B)의 각 변에서 각각 연장된 연장선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2 영역 분할)하고,
상기 버튼(B)을 터치한 지점과 상기 버튼(B)의 중심점을 비교하는 터치점 비교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상기 버튼(B)을 터치한 지점과 상기 버튼(B)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버튼(B')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며,
상기 제2 영역 분할(12)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선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연장선이 이루는 폭이 상기 버튼(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A drag area dividing unit 10 for dividing a range A of a predetermined width into a plurality of areas, centering on the button B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T_S; A drag analysis unit 20 for analyzing a user's drag along the drag area; And a character generator 30 which receives the drag analysis result and gener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divides the drag area around the selected button B among the buttons B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T_S, and the character generator 30 divides the selected button. To generate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ssigned to (B) and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nalyzed by the drag analysis unit 20,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divid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tton B into different drag areas (dividing a first area), and divides the outside of the button B at each side of the button B. Each of which extends to a different drag area (extended area) by extension lines,
And a touch point comparison unit 40 comparing the point where the button B is touched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button B, wherein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has a point where the button B is touched. If the center point of the and the button (B) does not match, the drag area is divided based on the virtual button (B ') with the touched point as the center point,
The extension region used for the second region division (12) is set so that the width formed by two extension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button (B) increa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상기 버튼(B)의 각 모서리 부분을 중심점으로 서로 다른 드래그 영역으로 분할(제3 영역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is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vide each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utton (B) into a different drag area (center area divi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영역 분할부(10)는 상기 버튼(B)의 각 모서리를 교차점으로 하는 교차 대각선(13a)을 경계선으로 하여 상기 드래그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rag area dividing unit (10) is a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viding the drag area with a diagonal line (13a) of the intersection of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s a boundary 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분석부(20)는 상기 버튼(B)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는 경우와 상기 각 버튼(B)의 각 모서리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ag analysis unit 20 distinguishes the case where the drag starts at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nd the case where the drag does not start at each corner of the button (B), according to each of the divided cases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by different commands.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드래그 영역 인식 타입 문자입력단말기가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아 구현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The server for providing the downloadable application program when the drag area recognition type character input terminal such as any one of claims 1 and 6 to 8 is downloaded from the terminal and implemen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21275A 2013-02-27 2013-02-27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KR101373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75A KR101373654B1 (en) 2013-02-27 2013-02-27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75A KR101373654B1 (en) 2013-02-27 2013-02-27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654B1 true KR101373654B1 (en) 2014-03-25

Family

ID=5064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75A KR101373654B1 (en) 2013-02-27 2013-02-27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65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7B1 (en) * 2016-08-12 2017-03-08 주식회사 온매칭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 touch character inpu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2161174B1 (en) * 2019-12-23 2020-09-29 선영진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KR102253889B1 (en) * 2020-09-16 2021-05-18 선영진 Pattern Input Type Multi-language Virtual Key Pad System
WO2021133050A1 (en)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Pattern input type multilingual virtual keypad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7B1 (en) * 2016-08-12 2017-03-08 주식회사 온매칭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 touch character inpu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2161174B1 (en) * 2019-12-23 2020-09-29 선영진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WO2021133050A1 (en)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Pattern input type multilingual virtual keypad system
KR102253889B1 (en) * 2020-09-16 2021-05-18 선영진 Pattern Input Type Multi-language Virtual Key Pa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902471B (en) Input interface switching method and input interface switching device
JP2013238935A (en) Input device, input device controlling method, controll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00000617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07728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program
CN102314318A (en) Character input method applied to touch screen terminal, device and touch screen terminal
KR20180119647A (en) Method for inserting characters into a str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KR101373654B1 (en)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JP2010218286A (en)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display method
CN103927114A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189112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KR10148567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motion senso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11216691B2 (en) Inpu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JP2014045387A (en) Input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put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26112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KR1013487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using hand gestur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101654710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hand gesture and method thereof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