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11U -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 Google Patents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11U
KR20150000511U KR2020130006157U KR20130006157U KR20150000511U KR 20150000511 U KR20150000511 U KR 20150000511U KR 2020130006157 U KR2020130006157 U KR 2020130006157U KR 20130006157 U KR20130006157 U KR 20130006157U KR 20150000511 U KR20150000511 U KR 20150000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section
body portion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296Y1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미르젠(주)
(주) 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젠(주), (주) 더웰 filed Critical 미르젠(주)
Priority to KR202013000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9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물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의 상부와 탈착되게 결합되고, 제1공간과 연통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개방된 하부와 몸체부의 하부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정수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WATER PURIFYING MATERIAL AND FUNCTIONALITY WATER BOTTLE}
본 고안은 정수재 및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담기는 내부공간에 정수기부재를 구비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이 점차 심각해짐에 따라 수질의 오염 또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오염된 수질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음료(飮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직장 등의 상주 공간에는 정수기를 기본적으로 설치 및 사용하므로 수돗물을 정화한 정수된 물을 음료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물을 정수할 수 없는 야외에서는 물병에 정수된 물을 담고, 물병에 담긴 물을 음료로 사용한다. 또는 물병에 담긴 정수(정화)된 물을 상점에서 구입하여 음료를 섭취한다. 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물병은 내부에 물을 담고 외출 시 휴대하거나 보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물병은 내부에 담긴 물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또한 물병은 물을 장소에 제약 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일반적인 물병은 물을 물병에 장시간 보관할 경우, 정수된 물이라도 물병 내부에서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물병에서 자체적으로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고, 번식된 세균이 내부에 담긴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해당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302호, “황토 음이온 물병”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물병에 담긴 물을 정수할 수 있고, 물병 및 물에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부재를 구비한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물을 정수하고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기 위한 정수기부재의 용이한 교체 및 관리가 가능한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은 내부에 제1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의 상부와 탈착되게 결합되고, 제1공간과 연통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개방된 하부와 몸체부의 하부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정수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부재의 제2공간에 구비되는 정수재를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부재는 몸체부의 제1공간에서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재는 구 형상, 원 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원 뿔 형상 또는 다각 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기부재는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제2공간이 분리된다. 덮개는 상부의 일 구간이 타 구간과 회동결합되고, 일 구간이 회동구동에 의해 개폐되어 제1공간을 밀폐 또는 밀폐해체시킨다. 조성물은 마그네슘, 맥반석, 활성탄 또는 토르말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덮개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몸체부의 제1공간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며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정수기부재를 구비하며, 정수기부재의 제2공간에 세라믹 볼 또는 마그네슘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됨으로써, 물병에 담긴 물을 정수할 수 있고, 물병 및 물에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정수기부재가 몸체부의 하부와 탈착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구비된 세라믹 볼 또는 마그네슘 볼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정수하고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기 위한 정수기부재의 용이한 교체 및 관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화살표‘a’는 상부 및 상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화살표‘a’ 방향은 상부 및 상방을 의미한다. 또한, 화살표‘b’는 하부 및 하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화살표‘b’ 방향은 하부 및 하방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물병(100)은 내부에 제1공간(111)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110)의 상부와 탈착되게 결합되고, 제1공간(111)과 연통되는 덮개(120)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개방된 하부와 몸체부(110)의 하부 사이에 제2공간(131)을 형성하며, 제1공간(111)과 제2공간(131)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개구(132)가 형성된 정수기부재(13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화살표‘a’방향의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10)는 화살표‘b’방향의 하부에서 내부 공간에 정수기부재(130)를 구비한다. 정수기부재(130)는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끼움결합,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된다.
몸체부(110)는 하부에 결합되고, 일 구간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받침대(112)를 구비한다. 받침대(112)는 덮개(120)와 대응되는 소재 및 색상 등으로 구현되고, 상이한 소재 및 색상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몸체부(110)는 받침대(112)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받침대(112)와 결합하기 위해 하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고, 받침대(112)는 전술한 나사산에 대응되는 홈을 내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10)와 받침대(112)가 나사산과 홈을 각각 구비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몸체부(110)의 하부가 받침대(112)와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11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2)는 일 구간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제2손잡이(113)를 형성한다. 아울러, 받침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손잡이(113)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받침대(112)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받침대(112)의 상부에 몸체부(110)의 하부가 인입(引入)되며 결합된다.
받침대(112)에서 제2손잡이(113)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 구간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받침대(112)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 구간은 덮개(120)와 몸체부(110)의 경계부분까지 연장형성된다. 제2손잡이(113)는 받침대(112)에서 연장형성된 부분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된다.
받침대(112)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 구간은 몸체부(110)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되는 높이는 특정하게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손잡이(113)의 크기 및 형상 등은 특정하게 국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몸체부(110), 받침대(112), 덮개(120) 및 정수기부재(130)는 플라스틱 및 유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크기 및 색상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몸체부(110), 받침대(112) 또는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에 가죽, 천 등을 이용해 외부를 덮는 커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10)에서 개방된 상부는 덮개(12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대(112)의 상부는 몸체부(11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덮개(12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부의 일 구간(d)이 타 구간(d')과 결합된다. 이때 결합은 덮개(120)의 일 구간이 타 구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살표 ‘c’와 같이 회동 구동될 수 있도록 회동결합된다. 덮개(120)는 몸체부(110)와 서로 연통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덮개(120)의 일 구간(d)이 회동구동에 의해 개폐되어 제1공간(111)을 밀폐 또는 밀폐해체시킨다.
덮개(12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며, 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은 덮개(120)가 결합될 경우, 덮개(120)의 내부 공간까지 확장된다.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에 물 등의 음료를 담고 덮개(120)의 일 구간(d)을 개폐하여, 제1공간(111)에 담긴 물을 보관 및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덮개(120)의 일 구간(d)이 제1공간(111)을 밀폐시킬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간(d)은 제1걸림턱(122)을 구비하여 덮개(120)의 외측에 결합되며, 일 구간(d)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걸림턱(122)은 덮개(120)의 외측에 형성된 제2걸림턱(123)과 서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덮개(120)에 의해 제1공간(111)이 밀폐된다.
덮개(120)는 외측의 일 구간이 타 구간으로 관통하며 연장형성하여 제1손잡이(121)를 형성한다. 제1손잡이(121)는 덮개(1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손잡이(121)는 덮개(120)와 분리형으로도 이루어져 덮개(120)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덮개(120)는 몸체부(110)와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덮개(120)의 하부 내측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부 외측에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산(나사돌기)을 형성한다.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끼움결합 등에 의해 덮개(120)를 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덮개(120)는 몸체부(110)와 결합 시 결합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상부 끝부와 접하는 덮개(120)의 내부 측면에 격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몸체부(110)와 덮개(120)의 나사결합 시 결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물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제2손잡이(113)를 구비하지 않은 기능성 물병(100)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에 담기는 물 등의 음료를 정수하기 위해, 제1공간(111)에 정수기부재(130)가 구비된다.
정수기부재(130)는 몸체부(110)의 제1공간에서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정수기부재(130)는 복수의 개구(132)를 형성한다. 정수기부재(130)에 형성된 개구(132)는 정수기부재(130)의 외면을 따라 상방으로 길이를 가진다. 정수기부재(130)에 구비되는 개구(132)의 개수 및 길이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정수기부재(130)는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에서 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 시 제2공간(131)을 형성한다. 제2공간(131)은 정수기부재(130)의 하부와 몸체부(110)의 하부 사이 공간을 의미한다. 정수기부재(130)에 형성된 제2공간(131)에는 세라믹 볼, 마그네슘 볼 등의 정수재(133)를 구비된다. 정수재(133)는 다양한 물질들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정수기부재(130)는 다양한 방법에 끼움결합,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방법을 이용해 몸체부(110)으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정수기부재(130)는 원뿔형상, 반구형상 및 다각형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부재(130)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정수기부재(130)에 세라믹 볼 등의 정수재(13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에 담기는 음료의 정수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수기부재(130)를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분리시키고, 기존의 정수재(133)를 새로운 정수재(133)로 교체한다. 아울러, 정수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수기부재(130)를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분리시키고, 제2공간(131)에 정수재(133)인 세라믹 볼과 마그네슘 볼을 혼합하여 충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물병(1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에 배치되는 정수기부재(130)는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하나 이사의 격벽(134)을 구비한다. 또한 정수기부재(130)는 격벽(134)에 의해 제2공간(131)이 분리된다.
격벽(134)에 의해 제2공간(131)이 각각 분리된 경우, 각각의 제2공간(131)에 서로 상이한 정수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34)에 의해 제2공간(131)이 각각 분리된 경우에 일 제2공간(131)은 세라믹 볼을 구비할 수 있고, 타 제2공간(131)에 마그네슘 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정수기부재(130)는 제2공간(131)에 정수를 위한 목적으로 세라믹 볼 및 마그네슘 볼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녹차잎, 홍차 잎 및 보리차 등의 음료생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공간(131)을 분리시키는 격벽(134)은 분리된 제2공간(131)을 연통시키고, 제2공간에 정수재(133)를 투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출입구(135)를 구비한다. 격벽(134)에 의해 제2공간(131)이 각각 분리된 경우, 출입구(135)를 통해 일 제2공간(131)에 세라믹 볼을 투입하고, 정수기부재(13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타 제2공간(131)에 마그네슘 볼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정수재(133)의 배출을 위해, 타 제2공간(131)에 구비된 마그네슘 볼을 배출하고, 출입구(135)를 통해 일 제2공간에 구비된 세라믹 볼을 배출할 수 있다. 정수재(133)는 분말상, 섬유상 또는 입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자 상태로 구성되는 조성물이다. 정수재(133)의 조성물은 마그네슘, 맥반석, 활성탄 또는 토르말린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조성물은 마그네슘을 100g 중량으로 하고, 활성탄을 10g 중량, 맥반석을 10g 중량, 토르말린을 10g 중량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 조성물은 마그네슘이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활성탄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맥반석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토르말린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비율로 혼합된다. 정수재(133)의 조성물들은 구 형상, 원 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원 뿔 형상 또는 다각 뿔 형상 등으로 구현된다.
정수재(133)의 조형물 중 마그네슘은 마그네슘 잉곳(ingot)을 일정굵기의 금형에 넣어 철사를 만들고 만들어진 철사를 금형에 넣어서 타정하는 방법으로 5㎜ 크기로 제조한다. 또한, 맥반석의 경우, 맥반석을 주재료로 하여 당의기(제환기)에 물을 분무하션서 씨드(seed)를 만들고, 만들어진 씨드를 소정의 시간동안 당의기에서 회전시켜 5㎜ 크기의 환으로 제조한다. 이 환을 소성가마에 넣고 소정의 시간을 경과시켜 맥반석 볼(구 형상)로 만든다. 조성물 중 활성탄과 토르말린의 제조과정은 맥반석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제조하려는 조성물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물병(100)은 덮개(120)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몸체부(110)의 제1공간(111)에 복수의 개구(132)를 형성하며 제2공간(131)을 형성하는 정수기부재(130)를 구비하며, 정수기부재(130)의 제2공간(131)에 세라믹 볼 또는 마그네슘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됨으로써, 기능성 물병(100)에 담긴 물을 정수할 수 있고, 물병 및 물에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부재(130)가 몸체부(110)의 하부와 탈착되게 결합되며,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구비된 세라믹 볼 또는 마그네슘 볼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정수하고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기 위한 정수기부재의 용이한 교체 및 관리가 가능하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기능성 물병 110: 몸체부
111: 제1공간 112: 받침대
113: 제2손잡이 120: 덮개
121: 제1손잡이 122: 제1걸림턱
123: 제2걸림턱 130: 정수기부재
131: 제2공간 132: 개구
133: 정수재 134: 격벽
135: 출입구

Claims (13)

  1. 내부에 제1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와 탈착되게 결합되고, 제1공간과 연통되는 덮개;
    하부가 개방되어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개방된 하부와 몸체부의 하부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정수기부재; 및
    정수기부재의 제2공간에 구비되는 정수재를 포함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2. 제1항에 있어서,
    정수기부재는
    몸체부의 제1공간에서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3. 제1항에 있어서,
    정수재는 구 형상, 원 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원 뿔 형상 또는 다각 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4. 제3항에 있어서,
    정수기부재는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제2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분리된 제2공간을 연통시키고, 제2공간에 정수재를 투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6. 제1항에 있어서,
    덮개는
    상부의 일 구간이 타 구간과 회동결합되고, 일 구간이 회동구동에 의해 개폐되어 제1공간을 밀폐 또는 밀폐해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7. 제1항에 있어서,
    덮개는
    외측의 일 구간이 타 구간으로 관통하며 연장형성하여 제1손잡이를 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8.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 구간이 몸체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9. 제8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일 구간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제2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10. 분말상, 섬유상 또는 입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자 상태로 구성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그네슘, 맥반석, 활성탄 또는 토르말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그네슘이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활성탄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맥반석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토르말린이 7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 형상, 원 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원 뿔 형상 또는 다각 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재.
KR2020130006157U 2013-07-24 2013-07-24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KR200479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57U KR200479296Y1 (ko) 2013-07-24 2013-07-24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57U KR200479296Y1 (ko) 2013-07-24 2013-07-24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11U true KR20150000511U (ko) 2015-02-03
KR200479296Y1 KR200479296Y1 (ko) 2016-01-14

Family

ID=5248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157U KR200479296Y1 (ko) 2013-07-24 2013-07-24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550A (zh) * 2016-11-17 2017-05-31 广西大学 一种多用水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3853B (zh) * 2016-11-17 2018-06-26 钱秀英 一种净水型水杯
CN108669964A (zh) * 2016-11-17 2018-10-19 卢定华 净水型水杯
CN108713954A (zh) * 2016-11-17 2018-10-30 李学忠 多功能水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55U (ko) * 1988-06-15 1990-01-18 허환노 물통의 뚜껑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120008588U (ko) * 2011-06-05 2012-12-13 김남현 다기능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55U (ko) * 1988-06-15 1990-01-18 허환노 물통의 뚜껑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120008588U (ko) * 2011-06-05 2012-12-13 김남현 다기능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550A (zh) * 2016-11-17 2017-05-31 广西大学 一种多用水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96Y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777B2 (en)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KR200479296Y1 (ko)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AU2011242902A1 (en) Water container cap with filter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US20130139893A1 (en) Hands free hydration system
WO2014142445A1 (ko) 2액형 음료용기
JP2004083022A5 (ko)
US9719061B2 (en) Assembly for selectively aerating a beverage
JP2008056244A (ja) 飲料包装容器
WO2016021035A1 (ja) 浄水器付飲用器具
KR20150012004A (ko) 정수재를 이용한 휴대용 기능성 물병
KR101836764B1 (ko)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CN2930569Y (zh) 一种调料瓶盖
CN209300834U (zh) 饮水机抗菌装置及其微孔抗菌球承载器
KR20110013099A (ko) 음료용기
KR102024797B1 (ko) 휴대용 차 음료용기
CN208102562U (zh) 一种新型的矿水瓶
CN206062778U (zh) 一种旋转杯套装
KR200351905Y1 (ko) 정수부재가 삽입된 애완동물용 수통
JP3145358U (ja) 水容器
KR20160107654A (ko) 칵테일원액 믹스캡
KR20120076843A (ko) 팽이기능을 추가한 병뚜껑
KR20220001468U (ko) 음료용기의 원터치형 캡
KR20200021383A (ko) 은폼을 포함한 수질개선구의 움직임을 이용한 위생물병
TWI530441B (zh) A container containing two kinds of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