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267U -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 Google Patents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267U
KR20150000267U KR2020130005681U KR20130005681U KR20150000267U KR 20150000267 U KR20150000267 U KR 20150000267U KR 2020130005681 U KR2020130005681 U KR 2020130005681U KR 20130005681 U KR20130005681 U KR 20130005681U KR 20150000267 U KR20150000267 U KR 201500002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line
nee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031Y1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130005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3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원고안은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낚시원줄에 연결되도록 원형의 연결부를 이루고, 타단은 낚시바늘이 형성되는 낚시 낱줄을 고정하는 고정대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부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낚시바늘이 꽂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바늘꽂이부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낚시 마친후에, 낚시중에 꼬여진 낚시낱줄을 똑바로 펴질수 있도록 하며, 보관도 편리하게 되며, 낚시중에 새로운 낚시낱줄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더 나아가 단순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ATTACHING LOD FOR FISHING HOOK}
본 고안은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 마친후에, 낚시중에 꼬여진 낚시낱줄을 똑바로 펴질수 있도록 하며, 보관도 편리하게 되며, 낚시중에 새로운 낚시낱줄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더 나아가 단순한 구조를 이루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고낚시낱줄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에는 낚시원줄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에는 여러개의 낚시낱줄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낚시원줄에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낚시를 마친 후에는 낚시 도구를 챙겨서 다음 낚시를 위해 정리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낚싯대 선단에 연결된 낚싯원줄에 연결되는 낚시낱줄은 풀어서 다음 낚시를 위하여 감아서 보관하거나, 이것도 귀찮으면, 낚시낱줄을 그냥 끊어서 버리거나 한다.
또한, 낚시를 마친 후에 낚시바늘이 형성된 낚시낱줄을 보관하기 위하여 낚시낱줄이 서로 엉키게 되어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낚시낱줄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낚싯대 외주면에 낚시낱줄을 감아서 고정하고 감겨진 낚시낱줄 사이로 낚시 바늘을 꽂아서 보관하게 되는 경우, 그 와중에 낚시낱줄에 꽂혀진 낚시 바늘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낱줄은 낚시중에 자체적으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보관하기가 곤란하며, 다음 낚시를 위하여 꼬여진 낚시낱줄을 다시 반듯하게 형성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낚시 진행중에도, 불가피하게 낚시낱줄이 절단되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새로운 낚시낱줄로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통상적으로는 포장비닐에 보관중인 낚시낱줄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4925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33924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33893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 마친후에, 낚시중에 꼬여진 낚시낱줄을 똑바로 펴질수 있도록 하며, 보관도 편리하게 되며, 낚시중에 새로운 낚시낱줄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더 나아가 단순한 구조를 이루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고낚시낱줄 고정대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일단은 낚시낱줄이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낚시바늘이 꽂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바늘꽂이부로 형성되는 낚시 낱줄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는 낚시 마친후에, 낚시중에 꼬여진 낚시낱줄을 똑바로 펴질수 있도록 하며, 보관도 편리하게 되며, 낚시중에 새로운 낚시낱줄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더 나아가 단순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낚시원줄에 연결된 다수개의 낚시낱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낱줄 고정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일단은 낚시원줄에 연결되도록 원형의 연결부(41)를 이루고, 타단은 낚시바늘(42)이 형성되는 낚시 낱줄(40)을 고정하는 고정대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부(41)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11)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낚시바늘이 꽂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바늘꽂이부(12)로 형성되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11)와 바늘꽂이부(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연결하는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낚시원줄에 연결된 다수개의 낚시낱줄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낱줄 고정대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대한 작동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낚시원줄에 연결된 다수개의 낚시낱줄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낚시대에 연결되는 낚시원줄의 끝단에는 다수개의 낚시낱줄이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낱줄 고정대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시 낱줄(40)은 일단은 낚시원줄에 연결되도록 원형의 연결부(41)를 이루고, 타단은 낚시바늘(42)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에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고정대는 일단은 연결부(41)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11)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낚시바늘이 꽂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바늘꽂이부(12)로 형성되어, 이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대는 낚시를 마친후에는 낚시낱줄을 도 2와 같이 장착하여, 바늘이 장착된 낚시낱줄을 안전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낚시중에 꼬여진 낚시낱줄을 상기 고정대에 장착함으로써, 평평하고 똑바른 상태로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낚시중에도 필요시에 손쉽게 고정대로부터 낚시낱줄을 탈착하여 낚시원줄에 장착하여, 신속하게 낚시를 즐길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낚시 낱줄 고정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원형의 외주연을 따라서, 주어진 면적에서 많은 수의 낚시낱줄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중앙부는 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며, 이는 낚시낱줄이 장착된 경우에, 중앙부에서 여유공간을 마련하여 장착시나 탈착시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11: 걸림부 12: 바늘꽂이부
40: 낚시 낱줄 41:연결부
42: 낚시바늘

Claims (3)

  1. 일단은 낚시원줄에 연결되도록 원형의 연결부(41)를 이루고, 타단은 낚시바늘(42)이 형성되는 낚시 낱줄(40)을 고정하는 고정대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부(41)가 걸릴수 있도록 걸림부(11)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낚시바늘이 꽂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바늘꽂이부(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낱줄 고정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KR2020130005681U 2013-07-10 2013-07-10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KR200476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681U KR200476031Y1 (ko) 2013-07-10 2013-07-10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681U KR200476031Y1 (ko) 2013-07-10 2013-07-10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67U true KR20150000267U (ko) 2015-01-20
KR200476031Y1 KR200476031Y1 (ko) 2015-01-22

Family

ID=5257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681U KR200476031Y1 (ko) 2013-07-10 2013-07-10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30Y1 (ko) * 2016-06-10 2017-11-20 양재영 길이조절 낚시 바늘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88Y1 (ko) 2003-12-20 2004-03-18 김상환 낚싯대 케이스
JP3997489B2 (ja) 2004-09-22 2007-10-24 邦彦 大瀧 単品釣針ハリス糸巻、
KR20080092544A (ko) * 2007-04-12 2008-10-16 박형진 낚시줄 지선 보관기구
KR20070000533U (ko) * 2007-04-13 2007-05-08 김동진 낚시바늘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30Y1 (ko) * 2016-06-10 2017-11-20 양재영 길이조절 낚시 바늘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31Y1 (ko)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591B1 (en) Ponytail holder
US20140360086A1 (en) Fishing rod holder
US8485690B1 (en) Decorative light string clip device
JP6009401B2 (ja) 鯛ラバ仕掛け
US8936282B1 (en) Stop knot tying device
KR200476031Y1 (ko)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가능한 낚시 낱줄 고정대
US2147216A (en) Yarn rack
KR20120060543A (ko)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US1684037A (en) Wire reel
US2242168A (en) Plant support
US20150230579A1 (en) Hair Band
JP3185135U (ja) 仕掛け針巻取り具
US9096968B1 (en) Portable clothesline system for heavy garments
KR102163092B1 (ko) 훌치기 낚시채비용 낚싯줄 엉킴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훌치기 낚시채비
KR20150001278U (ko) 굴양식용 와이어형 패각걸이
KR200350557Y1 (ko) 낚시대 케이스의 낚시바늘 꽂이대
JP3209687U (ja) 防鳥糸張設器具
KR101370357B1 (ko) 가지 채비 및 낚시대 원줄을 가지 채비에 연결하는 방법
US1422954A (en) Transfer reel
KR102325170B1 (ko) 낚싯줄과 낚시바늘 고정이 가능한 낚싯대용 채비 고정구
RU1134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яжки кабеля (варианты)
JP3181576U (ja) 仕掛け針巻取り具
US1847056A (en) Garment hanger
JP3130545U (ja) 釣り用連結具
KR20140008091A (ko) 일체형 루어 낚시대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