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051U - 차량용 보조 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051U
KR20150000051U KR2020130005203U KR20130005203U KR20150000051U KR 20150000051 U KR20150000051 U KR 20150000051U KR 2020130005203 U KR2020130005203 U KR 2020130005203U KR 20130005203 U KR20130005203 U KR 20130005203U KR 20150000051 U KR20150000051 U KR 201500000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side plate
vehicle
fold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2020130005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051U/ko
Publication of KR20150000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차량용 보조 매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차량용 보조 매트는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차량용 보조 매트에 의하면, 차량용 보조 매트가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차량용 보조 매트가 탑승자에게 저면은 물론 측면에서도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매트{Assistant m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보조 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보조 매트는 밴 차량 등 앞좌석 뒷쪽의 후석들이 접힐 수 있는 차량에서 그 후석들이 접힌 상단에 깔려,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차량용 보조 매트의 예로 아래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된 등록실용신안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을 포함한 종래의 차량용 보조 매트에 의하면, 차량용 보조 매트가 일정 면적의 사각형의 매트 형태로 형성되어, 접힌 후석 위에 단순히 차량용 보조 매트가 올려지는 형태로 적용되고 있어서, 차량이 급회전, 급제동 및 급가속을 하는 경우 등에는 보조 매트 위의 탑승자가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보조 매트는 내부에 공기 등이 채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탑승자가 불편을 느낄만큼 물렁물렁한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보조 매트는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모두 빼야하는 등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1. 등록실용신안 제 20-0210650호(등록일자: 2000년11월07일, 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보조 안락 에어매트)
본 고안은 탑승자가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는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의하면, 차량용 보조 매트가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차량용 보조 매트가 탑승자에게 저면은 물론 측면에서도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서 차량의 도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의 일부 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적용되는 결속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적용되는 손잡이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서 포켓 부재가 펼쳐지고 다른 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서 차량의 도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의 일부 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적용되는 결속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적용되는 손잡이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100)는 베이스 부재(110)와, 한 쌍의 측판 부재(120, 130)와, 전측 부재(140)를 포함하고, 차량의 후석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는 차량의 정지 후 이동되어 야외의 지면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차량은 후석이 눕혀질 수 있는 밴 형식의 차량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눕혀진 상태의 상기 후석 상에 놓이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 유지부(113)와, 상기 형상 유지부(113) 상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충격 흡수와 푹신한 느낌을 주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 제공부(114)와, 상기 형상 유지부(113)와 상기 쿠션 제공부(114)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표피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 유지부(113)는 합판 등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제공부(114)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피부(112)는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 유지부(113)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쿠션 제공부(114)가 쿠션 기능을 하여 푹신함을 제공함으로써, 눕혀진 상기 후석 상의 울퉁불퉁한 표면 상태 상에서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유지부(113)와 상기 쿠션 제공부(114)의 적층체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적층체가 상기 표피부(112)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적층체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이등분하는 베이스 절개 홈(111)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상기 베이스 절개 홈(111)을 따라 절반으로 접힐 수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절반으로 접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13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내에 깔리는 열선으로,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발열될 수 있다. 상기 열선(113)에 의해 겨울철 등에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열기를 전달하여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판 부재(120, 13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의 각 측부를 따라 얹혀진 형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측면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측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전측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의 전측부, 즉 상기 차량의 앞좌석 쪽 부분을 따라 얹혀진 형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전면 길이에 대응되거나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의 길이만큼만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의 급정지, 급가속, 급회전 등의 움직임 속에서도,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와 상기 전측 부재(140)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올라탄 탑승자가 상기 차량의 딱딱한 내부와 부딪혀 상해를 입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에는 측판 절개 홈(121, 131)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 절개 홈(121, 131)은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에서 상기 차량의 후석 도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도어 대응부(122, 132)와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의 나머지 부분이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 내부가 전체적으로 스펀지 등의 쿠션부로 이루어지되, 그 쿠션부가 두 개로 분리되고, 그 두 개의 쿠션부가 천 등의 표피부로 감싸짐으로써, 상기 측판 절개 홈(121, 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후석 도어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대응부(122, 132)가 상기 측판 절개 홈(121, 131)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열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측판 절개 홈(121, 13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에서 상기 각 도어 대응부(122, 132)가 열릴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각 도어 대응부(122, 132)를 열고 탑승자가 손쉽게 승하차할 수 있으면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각 도어 대응부(122, 132)도 닫혀 탑승자에게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가 보관, 이동 등을 위해, 펼쳐졌을 때에 비해 작은 크기로 변형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절개 홈(111)을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절반으로 접혀 포개어지고, 상기와 같이 포개어진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에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가 각각 포개어지며, 상기 전측 부재(140)가 상기 한 쌍의 측판 부재(120, 130) 중 하나의 측판 부재(120)의 하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에 포개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측판 부재(120, 130) 및 상기 전측 부재(14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 가능한 결속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기 측판 부재(120, 130) 및 상기 전측 부재(1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속 수단(150)이 복수 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결속 수단(150)은 예시적으로 후크(151)와 상기 후크(151)가 연결될 수 있는 후크 홀이 형성된 후크 결합부(15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상기 후크 결합부(152)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 부재(120, 130)에 상기 후크(15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후크 결합부(152)에 상기 후크(151)가 각각 결속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측판 부재(120, 13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측판 부재(120, 130)와 상기 전측 부재(140) 사이에도 상기 후크(151)와 상기 후크 결합부(152)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전측 부재(140) 사이에도 상기 후크(151)와 상기 후크 결합부(152)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 수단(150)에 의해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는 포개어진 상태의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에서 일정 길이 내려온 위치에 매달린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펼쳐지고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각 측면부를 따라 얹혀질 때, 상기 결속 수단(150)에 의해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각 측면부를 따라 얹혀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의 펼쳐짐 및 접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의 이용을 위해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를 펼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펼쳐지도록 한 다음,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를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얹고, 상기 전측 부재(140)를 상기 측판 부재(12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전측 상에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차량의 앞좌석 사이의 공간에 끼움으로써,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가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의 보관, 이동 등을 위해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를 접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를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내린 다음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접는다, 그러면, 상기 각 측판 부재(120, 130)가 접힌 상태의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에 늘어지면서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측 부재(140)를 상기 측판 부재(120) 하측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가 접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7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들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이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각 말단에 연결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71은 상기 한 쌍의 손잡이(170)를 착탈 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벨크로파스너 등의 결속 부재이다.
도면 번호 160은 상기 측판 부재(120, 130) 중 상기 전측 부재(140)가 연결되는 측판 부재(120)가 아닌 다른 측판 부재(130)의 하측에 상기 결속 수단(15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베개 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가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120, 13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100)가 탑승자에게 저면은 물론 측면에서도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200)는 베이스 부재(210), 한 쌍의 측판 부재(220, 230) 및 전측 부재(240)와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 연결되고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포장 부재(28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 부재(280)는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포개어지거나 말린 형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일 측, 예를 들어 베이스 절개 홈의 주변부에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포장 부재(280)는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 접힌 상태로 있다가,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200)를 접어서 보관, 이동 등을 하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펼쳐져서, 포개어진 상태의 상기 베이스 부재(210), 상기 한 쌍의 측판 부재(220, 230) 및 상기 전측 부재(240)를 감쌀 수 있다. 물론, 베개 부재 등도 함께 감쌀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포장 부재(280)가 펼쳐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210)가 접혀 포개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외측에 상기 측판 부재(220, 230)와 상기 전측 부재(240)가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210), 상기 측판 부재(220, 230) 및 상기 전측 부재(240)가 상기 포장 부재(28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면 번호 281은 상기 포장 부재(280)가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200)를 감싼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똑딱 단추 등의 결합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200)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200)가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포장 부재(280)의 별도 보관이 필요없는 편리함이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서 포켓 부재가 펼쳐지고 다른 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310)의 저면, 즉 상기 베이스 부재(310)가 접힌 상태에서 외측에 해당되는 면 상에 포켓 부재(380)가 각각 형성된다. 물론, 상기 포켓 부재(380)는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외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켓 부재(380)는 직물, 천 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재(310) 표면에 납작하게 접히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310)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져서 측판 부재(320, 330), 전측 부재 등의 다른 부재들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300)가 사용을 위해 펼쳐졌을 때에는, 상기 포켓 부재(38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300)의 보관, 이동 등을 위하여 접혀졌을 때에는, 상기 포켓 부재(380)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측판 부재(320, 330), 상기 전측 부재 등의 다른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보조 매트에 의하면, 탑승자가 차량의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펼치고 접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차량용 보조 매트 110 : 베이스 부재
120, 130 : 측판 부재 140 : 전측 부재

Claims (9)

  1. 차량의 후석 상에 깔려 탑승자가 올라갈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부 상에 놓이는 한 쌍의 측판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측부 상에 놓이는 전측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 부재에서 상기 차량의 후석 도어에 대응되는 도어 대응부와 상기 각 측판 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구분되도록 하는 측판 절개 홈이 상기 각 측판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후석 도어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대응부가 상기 측판 절개 홈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절반으로 접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를 이등분하는 베이스 절개 홈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절반으로 접혀 포개어진 외측에 상기 각 측판 부재가 각각 포개어지고, 상기 전측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측판 부재 중 하나의 측판 부재에 연결되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에 포개어지는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 상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쿠션 제공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와 상기 쿠션 제공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표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탑상한 탑승자에게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상기 측판 부재 및 상기 전측 부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포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부재가 펼쳐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접혀 포개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에 상기 측판 부재와 상기 전측 부재가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 상기 측판 부재 및 상기 전측 부재가 상기 포장 부재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보조 매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 표면에 연결되는 포켓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펼쳐지면 상기 포켓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표면에 납작하게 접힌 상태가 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접히면 상기 포켓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표면에서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측판 부재와 상기 전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매트.
KR2020130005203U 2013-06-26 2013-06-26 차량용 보조 매트 KR201500000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203U KR20150000051U (ko) 2013-06-26 2013-06-26 차량용 보조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203U KR20150000051U (ko) 2013-06-26 2013-06-26 차량용 보조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51U true KR20150000051U (ko) 2015-01-06

Family

ID=5247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203U KR20150000051U (ko) 2013-06-26 2013-06-26 차량용 보조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05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27A (ko) * 2016-09-20 2018-03-28 오재호 차량용 접이식 매트
KR102441297B1 (ko) 2022-01-13 2022-09-06 김태원 차박용 에어박스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27A (ko) * 2016-09-20 2018-03-28 오재호 차량용 접이식 매트
KR102441297B1 (ko) 2022-01-13 2022-09-06 김태원 차박용 에어박스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8306A (en) Protective and support device for vehicle travel
KR102136044B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CN105398362A (zh) 临时座椅套
WO2003057525A1 (en) Rear seats for a vehicle
KR20030043903A (ko) 간이침대 겸용 운송수단 시트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US7856689B2 (en) Baby diaper-changing pad cover
KR20150000051U (ko) 차량용 보조 매트
US20130229036A1 (en) Booster seat cushion with removable, washable, reversible cover and attached harness system
CN102848953B (zh) 用于汽车座椅的座椅垫
US8272665B2 (en) Side air bag assembly for vehicle seat
CN207241513U (zh) 一种可折叠头枕
US201602572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vehicle-rider arm rest
US10513209B2 (en) Padding and/or expandable armrest integrated into upper door of vehicle
US20080030056A1 (en) Kart kozy
KR20150067644A (ko)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
CN209861910U (zh) 一种使用isofix组合固定方式具车载功能的宠物包
CN209410064U (zh) 地铁车厢用可提供儿童座椅的多功能扶手杆
JP4399867B2 (ja) 自動車用収納具
KR102183715B1 (ko) 헤드레스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쿠션
KR20170001434U (ko) 차량용 목 및 허리용 쿠션 받침대
US10104978B2 (en) Resting surfaces for vehicle occupants
JP2009286373A (ja) 車両用シート
US20120193952A1 (en) Seat or bench for a motor vehicle
KR200415303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